KR200239488Y1 -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 - Google Patents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488Y1
KR200239488Y1 KR2020010006849U KR20010006849U KR200239488Y1 KR 200239488 Y1 KR200239488 Y1 KR 200239488Y1 KR 2020010006849 U KR2020010006849 U KR 2020010006849U KR 20010006849 U KR20010006849 U KR 20010006849U KR 200239488 Y1 KR200239488 Y1 KR 2002394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drain pipe
sleeve cover
pipe installation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이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진 filed Critical 이상진
Priority to KR2020010006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4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4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488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베란다나 욕실에 배수구를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작업시에 배수구가 설치될 부분에 매설되는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에 한시적으로 덮어두는 배수관 설치용 슬리브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게하게는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의 상부외주연에 방수작업용 홈부가 콘크리트 타설작업때부터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하고, 빗물 등을 배수시키기 위한 임시 배수공이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하며, 방수작업을 위하여 상기 슬리브커버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는 건축물의 베란다나 욕실바닥에 배수구를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작업시에 배수구가 설치될 부분에는 상부외주연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방수돌출턱(21)이 배열 형성된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가 콘크리트층(30)에 매설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측에는 슬리브커버(10)가 한시적으로 덮어 씌워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커버(10)는 외주연 전둘레에 방수작업용 홈부(31)를 형성하기 위한 홈성형부(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커버(10)의 중앙부에는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중앙절취부(13)가 형성되며, 이 중앙절취부(13)의 외측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방사상절취부(14)가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A sleeve cover for installing a drain-pipe}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베란다나 욕실에 배수구를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작업시에 배수구가 설치될 부분에 매설되는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에 한시적으로 덮어두는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의 상부외주연에 방수작업용 홈부가 콘크리트 타설작업 때 부터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하고, 빗물 등을 배수시키기 위한 임시 배수공이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하며, 방수작업을 위하여 상기 슬리브커버를 분리시에는 상기 슬리브커버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배란다나 욕실바닥에 배수구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위하여 설치되는 거푸집(50)의 배수구가 설치될 부분에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를 고정 설치한 뒤에,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여 상기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를 배수구가 설치될 부분에 매설되게 한다. 이때, 상기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측에는 슬리브커버(10)를 닫아서 콘크리트가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내측으로 들어가 막히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를 콘크리트층(30)에 고정 설치한 뒤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수작업용 홈부(31)를 형성해야 하는데, 이 방수작업용 홈부(31)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가 양생되기전에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측 외주연과 접하는 콘크리트층(30)을 긁어내어 소정깊이의 방수작업용 홈부(31)를 형성해야 한다. 이때, 상기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측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방수돌출턱(21)에 콘크리트가 묻지 않게 콘크리트를 긁어내야한다.
이렇게 방수돌출턱(21)에 콘크리트가 묻지 않게 콘크리트를 긁어내는 것은 방수작업시 방수액을 포함한 시멘트가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외주연에 밀착되어야만 방수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가 양생되기전에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측 외주연과 접하는 콘크리트층(30)을 긁어내지 못할 경우에는 정과 망치 등의 타격공구를 이용하여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측 외주연과 접하는 굳어진 콘크리트층(30)을 깨내는 과정에서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측 선단부가 깨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작업과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설치작업이 완료된 뒤에는 거푸집 해체공정과 미장공정, 문틀설치공정, 전기배선 및 설비공정 등의 여러 공정들이 뒤를 이어 진행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작업과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설치작업이 완료된 뒤에는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를 설치해 놓은 상태로 일정기간이 경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를 설치해 놓은 상태로 일정기간이 경과하는 동안에 비가 오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측이 슬리브커버(10)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빗물이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를 설치해 놓은 배란다나 화장실 바닥에 고이게 되므로, 이때는 상기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측에 막혀있는 슬리브커버(10)를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깨트려서 빗물이 하측으로 흘러내려 가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슬리브커버(10)를 깨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가 깨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방수작업이 완료된 뒤에도 누수가 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방수작업을 위하여 도 2와 같이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측 외주연과 인접한 부위에 방수작업용 홈부(31)를 형성해 놓은 상태로 일정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선단부는 도 2의 ' A'와 같이 노출된 상태이므로, 작업자가 밟고 지나가거나 자재가 부딪칠 경우에 상기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노출된 선단부가 쉽게 깨지게 되는 폐단이 있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선단부가 깨진 경우에 배수관 설치용 슬리브(20)를 교체해야 하는데, 상기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가 설치된 콘크리트층(30)을 깨낸 뒤에 깨진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를 뜯어내고 새로운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로서 떼워야 하는데,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자재 및 공사비용이 증액되므로 시멘트 등으로 떼우고 마는 경우가 대다수여서 건축물의 공사가 완료된 뒤에는 상기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가 깨졌던 부분은 여지없이 누수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의 배란다나 욕실에 배수구를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층에 매설되는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의 상측에 한시적으로 설치되는 슬리브커버에 의해배수관설치용 슬리브의 상부외주연과 인접하는 콘크리트층에 콘크리트 타설 작업때부터 방수작업용 홈부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면서, 상기 슬리브커버에 의해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의 선단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의 상측에 한시적으로 설치되는 슬리브커버에 중앙절취부와 방사상절취부를 각각 형성함으로서, 빗물 등을 배수시키기 위한 임시 배수공이 용이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방수작업을 위하여 상기 슬리브커버를 분리시에는 상기 슬리브커버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는 건축물의 배란다나 욕실닥에 배수구를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작업시에 배수구가 설치될 부분에는 상부 외주연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방수돌출턱이 배열 형성된 배수관설치용 슬리브가 콘크리트층에 매설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의 상측에는 슬리브커버가 한시적으로 덮어 씌워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커버는 외주연 전둘레에 방수작업용 홈부를 형성하기 위한 홈성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커버의 중앙부에는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중앙절취부가 형성되며, 이 중앙절취부의 외측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방사상절취부가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에 슬리브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슬리브커버 11. 홈성형부
12. 내부걸림턱 13. 중앙절취부
14. 방사상절취부 15. 살빼기홈
20. 배수관설치용 슬리브 21. 방수돌출턱
30. 콘크리트층 31. 방수작업용 홈부
40. 배수관 50. 거푸집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는 건축물의 배란다나 욕실바닥에 배수구를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작업시에 배수구가 설치될 부분에 매설되는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측에 한시적으로 슬리브커버(10)가 덮어 씌워진다.
상기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는 콘크리트 타설작업시에 먼저 실시하는 거푸집 설치공정이 완료된 후 배수구가 설치될 거푸집(50)의 상측에 도 2 및 도 4와 같이 설치되며, 이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는 상부외주연에 방수돌출턱(21)이 다수개 돌출형성 되었고,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설치작업과 방수작업이 완료된 뒤에는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하에 배수관(40)이나 걸름망이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커버(10)는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부 외주연 전둘레와 인접한 콘크리트층(30)에 방수작업용 홈부(31)를 형성하기 위한 홈성형부(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커버(10)의 중앙부에는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임시배수공 형성을 위한 중앙절취부(13)가 형성되며, 이 중앙절취부(13)의 외측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방사상절취부(14)가 배열형성되어 최종적으로 슬리브커버(10)를 뜯어낼 때 슬리브커버(10)가 여러조각으로 분리되어 뜯어낼 수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커버(10)의 저면 둘레에는 내부걸림턱(12)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홈성형부(11)의 상측 전둘레에는 살빼기홈(15)을 형성하여 슬리브커버(10)를 사출 성형시 수축을 예방함과 동시에 재료를 절감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건축물의 배란다나 욕실바닥에 배수구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위하여 설치되는 거푸집(50)의 배수구가 설치될 부분에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를 고정 설치하는데, 상기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내측으로 들어가 막히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슬리브커버(10)가 설치된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를 거푸집(50)에 고정 설치한 뒤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리브커버(10)의 홈성형부(11)에 의해 홈성형부(11)의 부피만큼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아서 슬리브커버(10)를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측에서 분리하였을 경우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부 외주연에는 방수작업용 홈부(31)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완료된 뒤에는 거푸집 해체공정과 미장공정, 문틀설치공정, 전기배선 및 설비공정 등의 여러공정들이 뒤를 이어 진행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완료된 뒤에는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를 설치해놓은 상태로 일정기간이 경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를 설치해 놓은 상태로 일정기간이 경과하는 동안에 비가 오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측이 슬리브커버(10)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빗물이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를 설치해 놓은 배란다나 화장실 바닥에 고이게 되는데, 이때는 상기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측에 막혀있는 슬리브커버(10)의 중앙부를 망치 등의 공구로 가볍게 두르리면 중앙절취부(13)가 절취되면서 슬리브커버(10)의 중앙부에는 구멍, 즉 임시배수공이 형성되어 상기 빗물 등의 오수가 상기 임시배수공으로 배수되게 된다.
이렇게 슬리브커버(10)가 설치된 상태로 거푸집 해체공정과 미장공정, 문틀설치공정, 전기배선 및 설비공정 등의 여러공정들이 뒤를 이어 진행되는 동안에 작업자들이 상기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측을 밟거나 자재들이 부딪쳐도 상기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측에는 슬리브커버(10)가 덮어 씌워있기 때문에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부가 파손되는 일은 좀처럼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슬리브커버(10)에 의해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부가 보호되는 동안 상기 거푸집 해체공정과 미장공정, 문틀설치공정, 전기배선 및 설비공정 등의 여러공정들이 완료되어 방수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망치 등의 공구로 상기 방사상절취부(14)를 가볍게 두드리면, 상기 타격력에 의해 다수의 방사상절취부(14)가 절취되어 슬리브커버(10)를 여러 조각으로 분리하여 뜯어낼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슬리브커버(10)를 여러 조각으로 분리하여 뜯어내면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부외주연과 인접한 콘크리트층(30)에는 방수작업용홈부(31)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게 되고,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부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방수돌출턱(21)이 깨끗한 상태로 노출되어 상기 방수작업용 홈부(31)에 방수액을 포함한 시멘트로서 방수작업을하면 누수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방수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는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의 상부에 한시적으로 설치되는 슬리브커버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홈성형부에 의해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의 상부외주연에 방수작업용홈부가 콘크리트 타설작업 때부터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별도로 방수작업용 홈부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과, 상기 슬리브커버에 의해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의 상부가 보호되어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의 파손으로 인하여 발생되던 누수의 폐단과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의 교체 및 보수작업에 따른 번거로움과 작업시간의 지연, 공사금액의 상승 등의 모든 폐단을 완벽하게 해소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거푸집 해체공정과 설비공정등의 각종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비가 오거나 작업중 발생하는 오수가 고일 경우에는 중앙절취부를 뜯어내기만 하면 간단하게 임시배수공이 형성되는 장점과 방수작업을 위하여 상기 슬리브커버를 분리시에는 방사상절취부를 이용하여 슬리브커버를 여러조각으로 분리하여 뜯어내면 배수관설치용 슬리브가 손상되지 않으면서도 슬리브커버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건축물의 배란다나 욕실바닥에 배수구를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작업시에 배수구가 설치될 부분에는 상부외주연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방수돌출턱(21)이 배열 형성된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가 콘크리트층(30)에 매설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설치용 슬리브(20)의 상측에는 슬리브커버(10)가 한시적으로 덮어 씌워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커버(10)는 외주연 전둘레에 방수작업용 홈부(31)를 형성하기 위한 홈성형부(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커버(10)의 중앙부에는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중앙절취부(13)가 형성되며, 이 중앙절취부(13)의 외측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방사상절취부(14)가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커버(10)의 저면 전둘레에는 내부걸림턱(12)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홈성형부(11)의 상측 전둘레에는 살빼기홈(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
KR2020010006849U 2001-03-10 2001-03-10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 KR2002394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849U KR200239488Y1 (ko) 2001-03-10 2001-03-10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849U KR200239488Y1 (ko) 2001-03-10 2001-03-10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488Y1 true KR200239488Y1 (ko) 2001-10-08

Family

ID=7309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849U KR200239488Y1 (ko) 2001-03-10 2001-03-10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4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530Y1 (ko) 바닥 배수용 배수체의 부설장치
KR200239488Y1 (ko)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
KR200297205Y1 (ko)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
KR200414770Y1 (ko) 교량배수용 소켓형 집수구조체
KR200300844Y1 (ko)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
KR100643144B1 (ko) 분리 설치형 배수홈통 및 그 배수홈통의 설치방법
CA2429407C (en) Sleeve for toilet flanges and drains
KR200334325Y1 (ko)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용 임시커버
KR200323941Y1 (ko)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KR100569048B1 (ko)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및 그 배수홈통을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KR100815191B1 (ko) 배수트랩 받침구
KR100569596B1 (ko) 배수용 슬리브
KR200438176Y1 (ko) 보수용 배수트랩
KR200327309Y1 (ko) 배수홈통의 배수구용 임시마개
KR200356300Y1 (ko) 분리 설치형 배수홈통 및 그 배수홈통의 설치방법
KR200204328Y1 (ko) 배수트랩 뚜껑
KR200371585Y1 (ko) 욕실용 매립트랩의 개량구조
KR101124498B1 (ko) 오폐수 배수관용 슬리브
KR200229465Y1 (ko) 케이블 트로프
KR10047684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장치
KR100815193B1 (ko) 배수트랩조립체
KR200165003Y1 (ko) 수도용 배수대
KR100874309B1 (ko) 배수조 고정용 캡
KR101457875B1 (ko) 토류판 유출수 유도 및 밀폐장치
KR200266009Y1 (ko) 배수관 임시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