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048B1 -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및 그 배수홈통을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및 그 배수홈통을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048B1
KR100569048B1 KR1020030035745A KR20030035745A KR100569048B1 KR 100569048 B1 KR100569048 B1 KR 100569048B1 KR 1020030035745 A KR1020030035745 A KR 1020030035745A KR 20030035745 A KR20030035745 A KR 20030035745A KR 100569048 B1 KR100569048 B1 KR 100569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orary
drain
gutter
temporary drain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4211A (ko
Inventor
최해권
Original Assignee
최해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권 filed Critical 최해권
Priority to KR1020030035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048B1/ko
Publication of KR20040104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 욕조실 등의 바닥에 매설되어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배수홈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배수홈통 바닥의 일측에 임시로 배수구를 형성하고, 세면 욕조실의 바닥 마무리 공사시 상기 배수홈통의 임시 배수구를 밀폐마개로 막아 중간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배수홈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및 그 배수홈통을 이용한 바닥시공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03019967504-pat00001
배수홈통

Description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및 그 배수홈통을 이용한 바닥시공방법{Floor Drain Having Temporary Drainage Hol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Floor Using the Same}
도1은 종래의 배수홈통이 바닥에 매설된 후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임시 커버 및 임시마개가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을 바닥에 매설한 후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임시 커버와 임시마개를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의 임시 배수구에 임시로 체결되는 임시 밀폐마개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의 임시 배수구와 임시 배수구 밀폐마개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을 바닥의 마무리 공사를 위해 임시커버와 임시마개를 제거하고 임시 배수구 밀폐마개를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0 : 배수홈통 11,101 : 배수홈통 몸체
12,102 : 배수구 20 : 임시 커버
21 : 절단부 30 : 임시마개
103 : 임시 배수구 104 : 밀폐마개 머리 삽입턱
105, 106 : 임시 배수구 임시 밀폐마개
110,110': 임시 배수구 밀폐마개 111,111' : 밀폐마개 머리
112 : 임시 배수구 삽입부 113 : 고무링
112' : 숫피치가 형성된 임시 배수구 삽입부
103' : 암피치가 형성된 임시 배수구
115 : 드라이버 삽입홈
본 발명은 세면 욕조실 등의 바닥에 매설되어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배수홈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배수홈통 바닥의 일측에 임시로 배수구를 형성하고, 세면 욕조실의 바닥 마무리 공사시 상기 배수홈통의 임시 배수구를 밀폐마개로 막아 중간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배수홈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및 그 배수홈통을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세면 욕조실과 같은 바닥에 매설되는 배수홈통은 바닥 타설작업과 함께 매설하기 위해 바닥의 거푸집에 배수홈통을 설치하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 또는 오수를 집수하는 몸체(11)와 집수된 하수 또는 오수를 배출하는 배수구(12)로 구성된 배수홈통(10)의 배수구(12)에 임시마개(30)를 삽입한다. 또한, 상기 배수홈통(10) 상부에 배수홈통과 맞닫는 위치와 중앙에 절단부(21)를 갖는 임시커버(20)를 덮어 씌워 바닥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나 기타 이물질이 배수홈통(10)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와 같이 배수홈통이 바닥 콘크리트 타설과 함께 매설되면, 거푸집을 제거하고, 배수홈통의 배수구 하부가 노출된다.
이때, 콘크리트 타설중 또는 타설후 다음 공정을 시작하기 전에 비가 내려 바닥에 빗물이 고일 경우, 차후 건축공정을 위해 바닥의 물을 배출해야만 한다. 상기 바닥의 오수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수홈통(10)의 임시커버(20) 중앙의 절단부(21)를 절단하고, 배수홈통(10)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12)를 막고 있는 임시마개(30)를 제거하여 오수를 배출하고, 다시 임시마개(30)를 닫아 차후 건축공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이 배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야만 하였다.
또한, 상기 임시커버의 절단부를 절단하거나 임시마개를 개폐하는 작업을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실시해야 하지만 작업자들이 통상 못을 빼거나 박는 연장과 같은 도구들을 이용하여 임시커버와 배수구 임시마개에 구멍을 뚫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배수홈통의 바닥이 깨지거나 배수구가 파손되어 차후 배수관 공사시 배수홈통을 통해 하수가 누수되거나 배수관을 체결하지 못하는 사태 등이 발생하여 현장에 서 시공상의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들을 관리 감독하고 교육을 시킨다고 하더라도 공기를 단축하고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많은 작업자들이 뾰족한 도구등으로 배수홈통의 임시커버와 배수구 임시마개를 깨뜨리고 있는 실정이고, 이 경우 배수홈통이 파손되면 이를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교체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배수홈통이 파손될 경우 이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배수홈통이 매설된 부분의 바닥 콘크리트를 제거하고, 그 부분에 다시 배수홈통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제거한 부분에 다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건축공기가 지연되고 인력 및 비용이 추가로 소요된다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배수홈통 바닥의 배수구 일측에 건축공정중에서 계속해서 뚫려 있는 임시 배수구를 형성하고, 바닥공사와 배관 공사후 그 임시 배수구를 막을 수 있는 임시 배수구 밀폐마개를 제공함으로써, 바닥에 빗물이나 기타 오수가 쌓이더라도 임시 커버나 배수구 임시마개를 개봉할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오수가 하층으로 연속적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을 사용함으로써 배수홈통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공기지연이나 인력 및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면 욕조실 등의 바닥에 매설되어 하수 및 오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수홈통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통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임시 배수구와; 상기 임시 배수구의 용도가 다했을 경우 상기 임시 배수구를 폐쇄하기 위한 임시 배수구 밀폐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을 설치하는 바닥에 오수가 없는 상태로 바닥 공사를 마무리 하기 위한 방법은 받침대를 배수홈통에 체결하여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에 고정된 배수홈통에 배수구 임시마개와 임시 커버를 체결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거푸집을 제거하여 배수구와 임시 배수구 하단이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임시 커버의 테두리를 제거한 후 바닥에 방수작업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작업이 완료된 후 임시 커버를 완전히 제거하고, 임시 배수구에 임시 밀폐마개를 체결한 후 담수를 이용하여 담수 시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담수 시험이 완료된 후 임시 배수구의 임시 밀폐마개를 제거하여 시험한 담수를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담수가 모두 배출된 후 배수구 임시마개를 제거하고, 임시 배수구에 밀폐마개를 체결한 후 차후 공정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을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10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배수홈통 몸체(101)의 바닥 중앙에 형성된 배수구(102)의 일측에 상기 배수구(102)의 직경보다 작은 임시 배수구(103)를 형성한다. 이때, 임시 배수구(103)는 원통형상의 임시 배수구 몸체와, 그 몸체와 연결되는 부분의 배수홈통(100) 바닥 두께를 좀더 두껍게 하여 후술한 임시 배수구 밀폐마개(110)의 머리(1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밀폐마개 머리 삽입턱(104)으로 구성된다.
다음에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 커버를 갖는 배수홈통(100)을 바닥에 매설하기 위해 임시커버(20)와 배수구 임시마개(30)를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받침대(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상기 배수홈통(100)을 바닥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된 거푸집(도시되지 않음) 상부에 고정 설치한 후, 상기 배수홈통(100)의 배수구(102)에 임시마개(30)를 체결하고, 몸체(101) 상부에는 임시커버(20)를 체결한다. 이때, 임시 배수구(103)는 개방된 상태로 있게 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임시커버(20)와 배수구 임시마개(30)가 체결된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100)이 거푸집에 설치되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을 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임시커버를 덮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바닥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바닥 하부의 거푸집을 제거하여 상기 배수홈통(100)의 배수구(102)와 임시 배수구(103)가 시공되는 건물의 하층 천장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바닥시공이 완료된 후 비가 내리거나 다른 작업등에 의해 바닥에 오수가 고일 경우, 종래의 임시커버를 갖는 배수홈통을 통해 오수를 배출하는 방법은 커버의 중앙에 있는 절단부(21)를 제거하여 그 부분으로 오수가 배수 홈통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면, 배수홈통 내부로 유입된 물은 임시 배수구(103)를 통해 하층으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에 방수작업을 실시하고, 방수작업이 제대로 이루어 졌는지를 시험하기 위한 단수시험을 할 경우, 임시 배수구(103)를 막기 위한 임시배수구 임시 밀폐마개(105 또는 106)가 필요하다.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의 임시 배수구에 체결되는 임시 밀폐마개(105)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임시 배수구(103)의 임시 배수구 몸체가 내면이 매끄러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임시 밀폐마개(105)는 상기 임시 배수구 몸체의 내경과 같은 직경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홈과, 그 홈에 체결된 고무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임시 배수구에 강압에 의해 체결되고 사용 후 강압에 의해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4b와 같이 임시 배수구(103')의 임시 배수구 몸체 내주면에 피치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머리를 갖지 않는 원기둥 형상의 임시 밀폐마개(106)는 외주면에 상기 임시 배수구 몸체 내주면에 형성된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를 형성하고, 상면에 드라이버 홈을 형성함으로써 드라이버 등으로 체결하거나 해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임시 밀폐마개를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은 담수 시험후 상부로부터 막대나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하부로 용이하게 해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타설된 바닥의 방수작업이 완료되면 바닥 마무리 공사를 실시하 게 되고, 이를 위해 임시 커버(20)와 배수구 임시마개(30)를 제거하고, 배수홈통 상부에 취기 역류 방지구 등을 체결하고 타일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임시 배수구는 밀폐시켜야만 한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의 임시 배수구의 형태와 그에 체결되는 임시 배수구 밀폐마개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5a에 도시된 임시 배수구(103)의 몸체는 내측면이 매끄러운 형태를 갖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임시 배수구(103)에 체결되는 밀폐마개(110)는 상단에 상기 밀폐마개 머리 삽입턱(104)에 삽치되는 머리(111)가 임시 배수구(103)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머리(111) 하부에 원기둥 형태로 상기 배수구(103)의 내경과 같은 직경으로 하여 밀폐마개 머리(111)의 상부에서 힘을 가해 강제삽입 할 수 있는 삽입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112) 중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을 외주면 상에 형성하고, 그 홈에 고무링(113)을 삽입함으로써 임시 배수구(103)와 삽입부(112)를 더욱 견고히 밀착시킬 수도 있다.
다음에 도5b는 임시 배수구 몸체 내주면에 피치가 형성된 임시 배수구(103')에 체결되는 밀폐마개를 나타낸 것으로, 도5a와 같이 형성된 밀폐마개 머리(111') 상면 중앙에 드라이버로 체결하거나 해체할 수 있도록 일자 또는 십자형태의 드라이버 삽입홈(115)이 형성되며, 삽입부(112')의 외주면에는 상기 임시 배수구 내면에 형성된 피치와 맞물려 체결될 수 있는 피치가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다음에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100)을 이용하여 바닥 공사가 진행된 후 임시 배수구(103)를 임시 배수구 밀폐마개(110)에 의해 밀폐시킨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임시 배수구 밀폐마개(110)를 이용하여 임시 배수구를 밀폐시킴으로써 배수구(102)를 통해서만 집수된 오수나 하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의 임시 배수구는 바닥 콘크리트 타설단계부터 바닥 마무리 공사 단계 전까지는 관통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가 바닥 마무리 공사전에 밀폐마개를 체결하여 임시 배수구를 통해서는 오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은 임시커버와 배수구 임시마개가 체결된 형태로 바닥에 매설된 후, 바닥에 오수가 발생하더라도 별다른 조치 없이 임시 배수구를 통해 오수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불필요한 동작으로 배수홈통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배수홈통의 파손에 따른 교체에 필요한 인력과 비용,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 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세면 욕조실 바닥에 매설되어 하수 및 오수를 집수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바닥에 형성되어 집수된 하수 또는 오수를 배출하는 배수구로 구성된 배수홈통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배수홈통의 몸체 바닥의 일측을 천공하여 형성되고 바닥 시공후 영구적으로 밀폐되는 임시 배수구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배수구는 내면이 매끄러운 형태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임시 배수구 몸체와,
    상기 임시 배수구 몸체 상부에 임시 배수구 몸체보다 큰 직경을 갖는 밀폐마개 머리가 삽치되도록 형성된 밀폐마개 머리 삽입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배수구의 용도가 다했을 경우 임시 배수구를 밀폐하기 위한 임시 배수구 밀폐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마개는 상기 임시 배수구의 내경과 같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임시 배수구 삽입부와,
    상기 임시 배수구 삽입부 상단에 삽입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밀폐마개 머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마개는 원기둥 형상의 임시 배수구 삽입부 외주면에 형성된 홈과,
    상기 홈에 체결된 고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배수구를 임시로 밀폐시키기 위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면에 형성된 홈과,
    상기 홈에 체결된 고무링으로 구성된 임시 밀폐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배수구는 내주면에 피치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임시 배수구 몸체와,
    상기 임시 배수구 몸체 상부에 임시 배수구 몸체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밀폐마개 머리가 삽치되도록 형성된 밀폐마개 머리 삽입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마개는 상기 임시 배수구 몸체 내주면에 형성된 피치에 대응되는 피치가 외주면에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임시 배수구 삽입부와,
    상기 임시 배수구 삽입부 상단에 삽입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밀폐마개 머리 삽입턱에 삽치되며 상면에 일자형 또는 십자형의 드라이버 홈이 형성된 밀폐마개 머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배수구를 임시로 밀폐시키기 위해 외주면에 임시배수구 몸체 내주면에 형성된 피치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피치가 형성된 원기둥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 상면에 형성된 드라이버 홈으로 구성된 임시 밀폐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10. 제 1 항의 배수홈통을 이용하여 받침대를 배수홈통에 체결하여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에 고정된 배수홈통에 배수구 임시마개와 임시 커버를 체결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거푸집을 제거하여 배수구와 임시 배수구 하단이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임시 커버의 테두리를 제거한 후 바닥에 방수작업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작업이 완료된 후 임시 커버를 완전히 제거하고, 임시 배수구에 임시 밀폐마개를 체결한 후 담수를 부어 바닥의 누수여부를 확인하는 담수 시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담수 시험이 완료된 후 임시 배수구의 임시 밀폐마개를 제거하여 시험한 담수를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담수가 모두 배출된 후 배수구 임시 밀폐마개를 제거하고, 임시 배수구에 밀폐마개를 체결하여 임시 배수구를 밀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을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20030035745A 2003-06-03 2003-06-03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및 그 배수홈통을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KR100569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745A KR100569048B1 (ko) 2003-06-03 2003-06-03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및 그 배수홈통을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745A KR100569048B1 (ko) 2003-06-03 2003-06-03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및 그 배수홈통을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416U Division KR200323941Y1 (ko) 2003-06-03 2003-06-03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211A KR20040104211A (ko) 2004-12-10
KR100569048B1 true KR100569048B1 (ko) 2006-04-12

Family

ID=3737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745A KR100569048B1 (ko) 2003-06-03 2003-06-03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및 그 배수홈통을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193B1 (ko) * 2006-11-03 2008-03-19 정종태 배수트랩조립체
KR101134584B1 (ko) * 2009-12-29 2012-04-09 이유수 발코니 배수트랩
DK179869B1 (en) 2018-02-26 2019-08-07 Blücher Metal A/S Combination of a cover plate and a drain and use of such combin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6426U (ko) * 1973-08-23 1975-05-09
JPS5260434U (ko) * 1975-10-28 1977-05-02
JPH08134971A (ja) * 1994-11-02 1996-05-28 Takenaka Komuten Co Ltd 排水経路が二つある水道設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6426U (ko) * 1973-08-23 1975-05-09
JPS5260434U (ko) * 1975-10-28 1977-05-02
JPH08134971A (ja) * 1994-11-02 1996-05-28 Takenaka Komuten Co Ltd 排水経路が二つある水道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211A (ko) 200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144B1 (ko) 분리 설치형 배수홈통 및 그 배수홈통의 설치방법
KR100569048B1 (ko)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및 그 배수홈통을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KR200323941Y1 (ko)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
US5431815A (en) Drainage and coupling adapter for a fluid conduit
KR200444530Y1 (ko) 바닥 배수용 배수체의 부설장치
US6739597B2 (en) Drain Gasket
KR200334325Y1 (ko)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용 임시커버
KR200356300Y1 (ko) 분리 설치형 배수홈통 및 그 배수홈통의 설치방법
KR200414770Y1 (ko) 교량배수용 소켓형 집수구조체
KR200327309Y1 (ko) 배수홈통의 배수구용 임시마개
KR20100125168A (ko) 오물수거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KR200300844Y1 (ko)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
KR200371585Y1 (ko) 욕실용 매립트랩의 개량구조
KR200239488Y1 (ko)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
JP3032536U (ja) コンクリート床開口部用仮止栓
KR200266009Y1 (ko) 배수관 임시커버
US20030159203A1 (en) Closet fitting
KR200234482Y1 (ko)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
JP4210387B2 (ja) 住宅用土間コンクリートの排水施工方法
KR101930401B1 (ko) 배수 트랩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90008065U (ko) 측벽 관통 슬리브용 커버
KR100874309B1 (ko) 배수조 고정용 캡
KR200297205Y1 (ko)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
KR200187054Y1 (ko)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960008704B1 (ko) 위생 상수 및 하수도용 플라스틱 수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