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482Y1 -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 - Google Patents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482Y1
KR200234482Y1 KR2020000036841U KR20000036841U KR200234482Y1 KR 200234482 Y1 KR200234482 Y1 KR 200234482Y1 KR 2020000036841 U KR2020000036841 U KR 2020000036841U KR 20000036841 U KR20000036841 U KR 20000036841U KR 200234482 Y1 KR200234482 Y1 KR 200234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hole
integrally
drain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용
Original Assignee
박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용 filed Critical 박광용
Priority to KR2020000036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4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482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방에 각각 연결구가 형성되며 관통되는 몸체 외주면으로부터 120。 설정각도를 유지하며 삼발이 형상으로 되는 스냅체결구가 일체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그 단부는 수직상방으로 절곡 연장되되 최단부에 갈고리 형상의 걸림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브라켓트와, 본체 외주면으로 걸림홈이 복수조 환설되어지고, 본체 상단측에 턱이 일체로 환설되며, 상기 턱 상단으로 소정높이 일체로 입설되는 수직부재 외주연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절결되는 유입공이 120。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과 유입공 사이의 교호되는 위치에 120。 간격으로 절취선을 갖는 돌출편이 일체로 돌출되고, 본체 내주면 상단으로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하방에 걸림턱이 환설되는 배수전과, 상기 본체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도록 숫나사가 형성되는 외경을 갖는 몸체부 하방으로 상기 배수구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관과 상부의 통공이 연통되어지되, 통공의 직경이 삽입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상광하협상의 형상을 갖도록 하고, 상기 통공에 착탈자재하게 결합되는 마개를 갖는 방수파치홀커버로 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를 제공하여, 배수전 설치시 필요로 하게 되는 방수파치홀커버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공사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하고, 작업자등이 부주의로 인해 배수전을 밟는 경우에도 요동되지 않아 수평이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의 재타설 작업 등의 비효율적 작업공기를 사전에 예방함은 물론이거니와 배수전 유니트의 설치작업이 단 한번의 작업에 의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극대화 시키고 작업인원의 효율적 관리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The lowest drain unit}
본 고안은 욕실바닥이나 세면장, 목욕탕등 콘크리트 몰탈/타설 공정전에 바닥면에 해당되는 거푸집에 고정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공정 및 타일공정등을 거쳐 오수, 생활수등을 별도로 배관시공되는 하수관측으로 원할하게 유출시키도록 하기 위한 배수전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타설 및 타일공사 이전에 설치 시공되는 거푸집으로 배수전을 고정하되 콘크리트 타설시 배수전의 유동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배수전 고정브라켓트와, 상기 고정브라켓트에 고정되는 오수/생활수등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전 및 상기 배수전의 상면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타설 공정이나, 수압테스트 및 타일공사시 오물질등이 배수전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파치홀커버에 의해 상기 배수전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단 한번의 시공에 의해 완벽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기존의 배수전 설치 후 콘크리트 부설물 탈거작업 등 수차례에 걸친 마무리 공정작업에 의한 인건비등의 증가에 따른 설치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하고 배수전 설치 공기를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목욕탕등 생활수나 오수등을 배출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전에 거푸집으로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를 설치 한 후 콘크리트 타설공정과 바닥 타일공사를 실시한 다음, 상기 배수전에 결합되는 배수용 트랩 유니트가 결합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상기 배수전 유니트는 콘크리트 타설전의 바닥면에 해당되는 거푸집상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이며, 배수용 트랩 유니트는 상기와 같이 설치된 배수전 유니트상으로 콘크리트 펌프카등에 의해 거푸집내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적정시간 경과 후 양생되면, 바닥면 타일 공사 후 배수전 상단으로 결합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의 배수전(10)은 통상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거푸집(1)상에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배수전(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라켓트(20)와, 상기 고정브라켓트(20) 상단으로 결합되는 배수전(10) 및 상기 배수전(10) 상단을 막아 콘크리트 타설시 배수전(10) 내부로 콘크리트나 이물질등이 투입되지 못하도록 밀폐하는 방수파치홀커버(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트(20)는 하수관과 결합되어 오수 등이 배출 될 수 있도록 상하단이 각각 적정 직경으로 개방되어지되, 그 하단부는 거푸집(1) 내부로 설치되는 배수관 상단부와 연결되고 하단 외주면상으로 다수개 돌출되는 결합부재(21)에 의해 상기 거푸집(1)과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돌출되는 결합부재(21)가 거푸집(1)과 당접, 고정되어 결국 고정브라켓트(20)를 수평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20) 상단으로 배수전(10) 하단부의 삽입구 (11)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배수전(10) 상단부측으로 방수파치홀커버(30)가 삽입된다.
상기의 방수파치홀커버(30)는 배수전(10) 유니트를 설치한 후, 배수용 트랩 유니트의 설치 이전에 진행되는 콘크리트 타설공정 및, 바닥면 타일공사시 상기 배수전(10) 내부로 불순물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콘크리트 타설 완료후 누수현상의 체크 및 수압테스트등을 원할히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은 방수파치홀커버(30)는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환형상으로 되며 그 외주면측이 테이퍼지며 형성되고 상면으로는 절취홈(31)이 형성되어 절취 가능한 뚜껑(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32) 양측으로 절취가능한 절취구멍(33) 각각 형성되어 배수전(10) 및 고정브라켓트(20) 설치후 요동 및 이탈등을 방지하기 위해 거푸집(1)과 배수전 (10)간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와이어(미도시)로 묶을 수 있도록 하고, 일측단에 작업자가 강제적으로 뚜껑(32)을 방수파치홀커버(30)로부터 절취, 분리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34)가 뚜껑(3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되는 종래의 배수전 유니트를 도 7에서와 같은 수순에 의해 설치하게 되는바, 먼저 거푸집(1)상으로 고정브라켓트(20)를 고정시키고 고정브라켓트(20)에 배수전(10) 하단부를 고정 설치한 후, 배수전(10) 상단부측에 방수파치홀커버(30)를 덮어 거푸집(1)상으로 콘크리트 타설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같이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을 완료하게 되면, 배수전(10)은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형상이고 방수파치홀커버(30)만이 돌출되어 식별되어지게 되며, 배수전(10) 하방으로 하수관 배관 작업을 한 후, 작업자는 방수파치홀커버(30)의 뚜껑(32)을 절취홈(31)을 따라 손잡이를 잡아당겨 절취한 후 하수관측과의 수압테스트 및 연결부위의 누수현상의 체크를 완료한다.
그런다음 속마개(일명 코르크마개)(40)를 배수전(10)의 삽입구(11)측에 삽입하여 하수관측으로 불순물이나 오물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뚜껑(32)을 배수전(10)의 상단부에 삽입하여 외부 불순물등이 배수전(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방수파치홀커버(30)는 바닥면 타일공사시에 탈거하도록 한다. 이때 방수파치홀커버(30)의 외주면부는 일정각도 하향 테이퍼지며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양생면이 테이퍼진 상태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바닥면의 타일공사가 완료되면, 바닥의 방수 체크를 위해 속마개 (40)와 뚜껑(32)이 각각 배수전(10)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타일 공사된 바닥면에 물을 채워 일정기간 방수효과를 측정하게 되며, 상기의 작업 완료 후에는 배수전 (10)으로부터 속마개(40)와 뚜껑(32)을 완전 탈거한 후, 배수용 트랩(50)을 설치하여 욕실의 배수전(10) 및 배수용 트랩(50) 유니트의 시공을 완료하는 것이 통상의 시공방법이다.
여기서, 배수용 트랩(50) 유니트의 구성에 관하여 간략히 서술하면, 도 8에서 보는바와 같이 사각판부재(53) 내부에 취합되는 방취통(52) 및 방취통(52)에 내합되는 방취파이프(51)와 상기 사각판부재(53)에 얹혀지는 스텐레스재질의 걸름망(58)이 구비되고, 상기 사각판부재(53) 하방측과 결합되는 결합편(55) 및 결합편(55)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편(56)과, 상기 결합편 (55)과 사각판부재(53)사이에 게재되어 회전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가이드편(56)의 안내에 의해 일정 행정거리 직/후진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된 배수전(10)과의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배수전(10) 상단에 안착되어지는 위치이송판(54)으로 되는 통상적인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이와같은 배수전 및 배수용 트랩의 유니트를 이용하여 시공할 경우, 처음의 고정브라켓트를 거푸집등에 고정시 고정브라켓트와 거푸집간의 평활한 고정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이며 고정브라켓트에 고정되는 배수전 및 방수파치홀커버를 설치하여 가고정되어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부주의등으로 배수전 및 방수파치홀을 밟게 되는 현상이 비일비재하게 되므로 고정브라켓트와 배수전의 수평이 정확하게 셋팅되지 않은 상태로 되거나 또는 파손, 파열되는 경우가 많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불량시공의 원인이 되고 이에 따라 재차 양생된 콘크리트를 국부적으로 파쇄한 후 재차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점은 물론 이에 따른 작업인원의 비효율적 관리 및 인건비 상승 등 경제적 비효율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또한 방수파치홀커버로부터 절취홈을 따라 절취된 뚜껑의 사용시, 수압테스트 및 방수테스트등의 작업을 위해 배수전내부에 불순물, 오물등의 유입을 막기위헤 상단으로의 삽입/탈거가 다수 반복되어야 하는 필수작업과정(예컨데, 하수관 누수테스트, 바닥면 방수테스트, 배수전 내부청소 등등)을 거치게 됨에 따라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상기 뚜껑을 분실하거나 파손, 분실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여, 작업현장에서 모래주머니나 신문지 뭉치등을 대용하여 배수전의 삽입구측을 틀어막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에 따라 하수관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에따른 하수관 재분해/설치 작업을 반복하여야 하는등, 비효율적 작업공정이 추가되는 문제는 물론 작업비용 및 인건비가 상승됨과 동시에 작업공기의 지연등에 따른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상기 뚜껑을 절취하기 위해 손잡이를 잡아당겨야 되는데, 작업자는 보통 장갑을 낀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 통례이고 이와같은 작업조건에서 일부 돌출된 손잡이를 잡아당겨 뚜껑을 절취한다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여 별도의 작업공구등으로 파쇄한 후 사용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은 물론, 제품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등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방수파치홀커버등은 한번의 시공후 재사용이 불가하므로, 공사완료후 폐기처분하게 되어 산업폐기물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는 등의 문제점과, 방수파치홀커버의 구입비용에 의해 시공가가 현저하게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수파치홀커버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배수전 유니트를 제공하여 공사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하고, 작업자등이 부주의로 인해 배수전을 밟는 경우에도 요동되지 않아 수평이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의 재타설 작업 등의 비효율적 작업공기를 사전에 예방함은 물론이거니와 배수전 유니트의 설치작업이 단 한번의 작업에 의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극대화 시키고 작업인원의 효율적 관리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거푸집상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100)와, 고정브라켓트(100)에 고정되는 중앙에 소정직경을 갖는 배수구(220)를 갖는 배수전(200) 및 배수전(200) 상부에 결합되는 방수파치홀커버(300)로 되는 배수전 유니트(B)에 있어서,
상하방에 각각 연결구(120,120')가 형성되며 관통되는 몸체(140) 외주면으로부터 120。 설정각도를 유지하며 삼발이 형상으로 되는 스냅체결구(110)가 일체로소정길이 연장되고 그 단부는 수직상방으로 절곡 연장되되 최단부에 갈고리 형상의 걸림구(111)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브라켓트(100)와,
본체(210) 외주면으로 걸림홈(215)이 복수조 환설되어지고, 본체(210) 상단측에 턱(211)이 일체로 환설되며, 상기 턱(211) 상단으로 소정높이 일체로 입설되는 수직부재(212) 외주연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절결되는 유입공(213)이 120。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213)과 유입공(213)사이의 교호되는 위치에 120。 간격으로 절취선(t)을 갖는 돌출편(214)이 일체로 돌출되고, 본체(210) 내주면 상단으로 암나사부(216)가 형성되고 그 하방에 걸림턱(217)이 환설되는 배수전 (200)과,
상기 본체(210)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도록 숫나사가 형성되는 외경을 갖는 몸체부(310)와, 몸체부(310) 하방으로 상기 배수구(220)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관 (320)과 상부의 통공(340)이 연통되어지되, 통공(340)의 직경이 삽입관(3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상광하협상의 형상을 갖도록 하고, 상기 통공(340)에 착탈자재하게 결합되는 마개(350)를 갖는 방수파치홀커버(300)로 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전 유니트가 결합, 설치되기 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된 상태의 본 고안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전 유니트를 설치/시공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각각의 단면도이며,
도 4a는 본 고안에 의해 설치된 배수전으로 배수용 트랩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4b는 바닥의 타일면과 수평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배수트랩커버의 높이조절을 작동을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종래의 배수전 유니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종래의 배수전 유니트가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7의 각 도면은 종래의 배수전 유니트를 설치/시공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배수전 유니트 상측으로 결합되는 배수용 트랩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거푸집 100; 고정브라켓트 110; 스냅체결구
111; 걸림구 120,120'; 연결구 130; 체결구
140; 몸체 200; 배수전 210; 본체
211; 턱 212; 수직부재 213; 유입공
214; 돌출편 t; 절취선 215; 걸림홈
216; 암나사부 220; 배수구 230; 밴드
300; 방수파치홀커버 310; 몸체부 320; 삽입관
330; 돌부 331; 삽입홈 340; 통공
341; 결합가이드홈 350; 마개 351; 돌기
352; 삽입부재 353; 결합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전 유니트가 결합, 설치되기 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된 상태의 본 고안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전 유니트를 설치/시공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각각의 단면도이며, 도 4a,b는 본 고안에 의해 설치된 배수전으로 배수용 트랩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바닥의 타일면과 수평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배수트랩커버의 높이조절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거푸집(1)상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 (100)와 상기 고정브라켓트(100)에 취부되어 고정되는 배수전(200) 및 누수, 수압테스트 및 방수테스트를 위해 배수전(200)의 상단에 삽입 취부되는 방수파치홀커버 (300)로 되는 배수전 유니트(B)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전 유니트(B)의 고정브라켓트(100)는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삼발이 형상을 갖는 스냅체결구(110)가 몸체(140)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120。각도를 이루며 삼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된 후 수직상으로 상향 절곡되어 연장 인출되고, 절곡된 최단부측으로 걸림구(111)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고정브라켓트(100)의 몸체 (140) 중앙으로는 관통되되 하수관 및 배수전 하단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 (120,120')가 상기 몸체(140) 상하방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배수전(200)은 원통형상으로 되는 본체(210)와 본체(210) 상단부측에 일체로 환설되는 턱(211) 및 턱(211) 상단으로 소정 높이 입설되는 수직부재(21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수직부재(212)에 바닥의 물이 배수전(200)측으로 원할히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입공(213)이 대략 120。 정도의 간격을 두고 직사각형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재(212) 외주연상으로 상기 유입공(213)과 교호되는 위치에서 대략 120。 정도의 간격으로 절취 가능하도록 절취선(t)을 갖는 돌출편(214)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210) 외주면으로 상기의 고정브라켓트(100) 스탭체결구(110)의 걸림구(111)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걸림홈(215)이 복수조 환설된다.
한편 배수전(200)의 상기 수직부재(212) 내주면측으로 배수트랩유니트(50)의 위치이송판(54)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숫나사부(57)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216)를 형성하며, 배수전(200) 내부 중앙에 통상적인 배수구(220)가 형성되어 상기한 고정브라켓트(100)의 연결구(120)측과 연결 결합되도록 하고 있고, 암나사부(216) 직하방측에 걸림턱(217)이 환설되어 수밀성 및 기밀성을 위해 링(240)이 삽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암나사부(216)와 배수트랩유니트(50)의 위치이송판(54) 숫나사부 (57)는 결합 후 불순물등이 배수전(20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둥근나사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파치홀커버(300)는 배수전(200) 설치 후 콘크리트 타설 공정이 완료되어 양생이 끝난 상태에서, 배수전(200)과 하수관(미도시)과의 연결작업을 마무리 한 후 수압테스트 및 배수트랩유니트(50)의 설치전까지 배수전(200) 내부로 불순물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수단이다.
이와같은 방수파치홀커버(300)는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배수전(200) 암나사가 형성되는 상단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 될 수 있는 숫나사가 형성되는 외경을 갖는 몸체부(310)가 형성되고, 그 하방으로 길게 일체로 돌출되는 삽입관(320)이형성되는바, 상기 삽입관(320)의 직경은 배수전(200)의 배수구(220) 내경에 내합되도록 하고, 상기 삽입관(320)의 길이는 배수전(200)의 상단부에 몸체부(310)가 나사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배수구(220)측에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한다.
상기 삽입관의 직경과 방수파치홀커버 상면에 형성되는 통공(마개 삽입을 위한 구멍)은 연통되도록 하되, 상기 통공의 직경이 삽입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상광하협상의 형상을 갖도록 하며, 통공의 형상은 깔대기 형상을 갖으며 하방측으로 테이퍼지며 형성된 후 그 직하방으로는 일체로 직관되는 삽입관이 형성되도록 하여 담수테스트, 수압테스트시 물의 유속을 빠르게 하여 테스트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방수파치홀커버(300) 상면측으로 삽입홈(331)이 절결 개방되는 돌부(330)가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상기 방수파치홀커버(300)를 배수전(200)내에 체결하거나 또는 탈거할 때, 봉형상의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삽입홈(331)에 끼운 상태에서 돌려 용이하게 체결/탈거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일부 돌출된 상태의 손잡이(34)를 억지로 잡아당겨 분리하는 수고와 작업시간을 덜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수파치홀커버(300)의 통공(340)상으로 마개(350)를 착탈자재하게 취부하여 방수파치홀커버(300)의 삽입관 (320)측과 외부간이 차단 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마개(350)는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그 상면으로 돌기(35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마개(350)를 돌려 방수파치홀커버(300)통공(340)으로부터의 결합 및 탈거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고, 마개(350) 하방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상의 삽입부재(352) 외주면으로 결합구(353)가 다수개 돌출 형성된다.
이와같이 된 마개(350)를 상기 방수파치홀커버(300)의 통공(340)에 용이하게 삽입 체결하기 위해 통공(340) 상단 내주면측으로 다수개의 결합가이드홈(341)을 형설하여 마개(350)를 돌릴때 상기 결합구(353)가 상기 결합가이드홈(341)의 안내를 받으며 방수파치홀커버(300)와의 결합 및 탈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354는 마개와 방수파치홀간의 수밀성과 기밀성을 위한 패킹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건물 구조물의 거푸집(1)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욕실등의 바닥면에 배수전(200)을 매입,설치하기 위해 거푸집(1)상으로 배수전(200)을 설치고정코자 상기 고정브라켓트(100)를 체결구(130)측으로 고정수단(미도시)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배수전(200)을 고정브라켓트(200)상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트(100) 하방 외주면측에서 일정길이 돌출 된 후 상향 절곡된 최단부의 걸림구(111)가 배수전(200) 본체(210) 외주면으로 복수조 형성되는 적정위치의 걸림홈(215)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여 배수전(200)을 상기 고정브라켓트(100)와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거푸집(1)내로 콘크리트 타설공정 이전에 작업자가 부주위로 배수전(200)을 밟게 된다 하더라도, 배수전(200)이 고정브라켓트(100)의 완벽한 수평지지력에 의해 종전과 같이 기울여지게 되는 현상을 미연에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배수전(200)의 수평유지교정작업을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브라켓트(100)와 배수전(200)간의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배수전(200) 상단 내주면측의 암나사부(216)와 방수파치홀커버(300)의 하단간을 나사체결한다.
이때, 배수전(200)의 턱(211)상으로 밴드(230)를 환설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잔여물등이 유입공(213)등을 통하여 배수전(20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후 방수파치홀커버(300)과 배수전(200)간을 결합한다.
이와같이 고정브라켓트(100)와 배수전(200) 및 방수파치홀커버(300)로 되는 배수전 유니트(B)의 결합이 완료된 후, 거푸집(1)상으로 콘크리트 타설공정을 거치게 되는바, 타설시에 콘크리트 잔여물등이 배수전(20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수파치홀커버(300)가 완벽하게 차단하게 되며, 상기의 콘크리트 타설공정후 적정시간 경과하여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1)을 모두 철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된 상태에서, 고정브라켓트(100)의 하방측으로 하수관의 설치작업을 완료하게 되면, 배수전(200)측과 하수관과의 누수현상테스트 및 수압테스트를 실시하게 되는바, 먼저 배수전(200)과 결합되어 있는 방수파치홀커버(300)의 마개 (350)를 돌려 방수파치홀커버(300)로부터 분리한 후 배수전(200)의 배수구(220)측에 삽입되어 있는 결합구(353)내로 배수시켜 하수관과의 누수와 수압테스트를 완료 한 다음, 재차 마개를 방수파치홀커버(300)와 결합하여 배수전(200)을 밀봉시킨다.
그런 다음, 바닥면에 타일공사를 실시한 후 배수전(200)의 상단부에 돌출되는 돌출편(214)을 절취선(t)을 따라 절취하여 밴드(230)를 탈거하고, 바닥면의 누수현상을 테스트 한 다음 방수파치홀커버(300)를 배수전(200)으로부터 완전히 탈거하고, 배수 트랩 유니트(50)를 배수전(200)측과 결합하여 완성된 배수전 및 배수 트랩 유니트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배수트랩유니트(50)는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사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되, 배수트랩유니트(50)의 위치이송판(54) 외주면으로 숫나사부(57)를 형성하여 배수전(200)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216)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배수전(200)과 배수트랩유니트(50)의 사각판부재(53)간의 나사결합에 의해 타일바닥면의 높이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그 위치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높이조절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요하지 않고 간단하게 결합위치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거푸집 설치후 거푸집상에 고정되어 배수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라켓트가 견고하게 삼발이 형상의 스냅체결구에 의해 배수전과 안정성 있게 결합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보행시 또는 작업중 실수등으로 배수전을 밟는다 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배수전이 기울어지거나 하는 예없이 항상 안정적인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르는 재설치/위치조정작업등을 요하지 않고 바로 다음 공기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방수파치홀커버의 재사용이 항상 가능하게 되고 분실 또는 훼손할 염려가 없어 타일바닥면 공사가 완료된 후 배수 트랩유니트의 설치시 방수파치홀커버를 수거한 후, 타 작업장소에서 배수전유니트의 설치/시공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방수파치홀커버의 일회성 사용에 의해 발생되는 산업폐기물의 발생, 절취된 뚜껑의 분실로 인하여 배수전의 삽입구내를 여타의 수단(예컨데 신문지등)을 이용하여 막아 발생되는 하수관의 막힘현상등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어, 공기중 항상 청결한 상태의 배수전 내부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분실등의 우려없이 원할하게 다음 공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영구적인 방수파치홀커버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배수전 유니트의 설치시공가를 현저하게 낮출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상은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거푸집상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100)와, 고정브라켓트(100)에 고정되는 중앙에 소정직경을 갖는 배수구(220)를 갖는 배수전(200) 및 배수전(200) 상부에 결합되는 방수파치홀커버(300)로 되는 배수전 유니트(B)에 있어서,
    상하방에 각각 연결구(120,120')가 형성되며 관통되는 몸체(140) 외주면으로부터 120。 설정각도를 유지하며 삼발이 형상으로 되는 스냅체결구(110)가 일체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그 단부는 수직상방으로 절곡 연장되되 최단부에 갈고리 형상의 걸림구(111)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브라켓트(100)와,
    본체(210) 외주면으로 걸림홈(215)이 복수조 환설되어지고, 본체(210) 상단측에 턱(211)이 일체로 환설되며, 상기 턱(211) 상단으로 소정높이 일체로 입설되는 수직부재(212) 외주연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절결되는 유입공(213)이 120。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213)과 유입공(213)사이의 교호되는 위치에 120。 간격으로 절취선(t)을 갖는 돌출편(214)이 일체로 돌출되고, 본체(210) 내주면 상단으로 암나사부(216)가 형성되고 그 하방에 걸림턱(217)이 환설되는 배수전 (200)과,
    상기 본체(210)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도록 숫나사가 형성되는 외경을 갖는 몸체부(310)와, 몸체부(310) 하방으로 상기 배수구(220)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관 (320)과 상부의 통공(340)이 연통되어지되, 통공(340)의 직경이 삽입관(3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상광하협상의 형상을 갖도록 하고, 상기 통공(340)에 착탈자재하게 결합되는 마개(350)를 갖는 방수파치홀커버(300)로 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전(200)의 턱(211)상으로 수직부재(212)의 높이와 동일하며, 소정폭을 갖는 밴드(230)를 결합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시공한 후, 바닥 타일공사시에 배수전(200)의 돌출편(214)을 절취하여 상기 밴드(230)를 탈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방으로 개방되는 삽입홈(331)을 갖는 돌부(330)가 상기 방수파치홀커버 (300) 상면상에 상호 대향되며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파치홀커버(300)의 마개(350) 하방으로 삽입부재(352)가 돌출성형되고, 삽입부재(352) 외주면에 결합구(35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352)가 삽입 체결되는 방수파치홀커버(300) 상면의 통공(340) 내주면측에 결합가이드홈 (341)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
KR2020000036841U 2000-12-28 2000-12-28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 KR200234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841U KR200234482Y1 (ko) 2000-12-28 2000-12-28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841U KR200234482Y1 (ko) 2000-12-28 2000-12-28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482Y1 true KR200234482Y1 (ko) 2001-09-26

Family

ID=73094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841U KR200234482Y1 (ko) 2000-12-28 2000-12-28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48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458A (ko) * 2000-12-28 2001-04-06 박광용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
KR101304762B1 (ko) * 2012-05-18 2013-09-05 서영대 볼을 이용한 악취 차단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장치
KR101846988B1 (ko) * 2016-04-14 2018-05-28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바닥배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CN109763557A (zh) * 2019-02-21 2019-05-17 宁波高新区大维卫浴用品有限公司 一种新型水封器及使用该水封器的地漏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458A (ko) * 2000-12-28 2001-04-06 박광용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
KR101304762B1 (ko) * 2012-05-18 2013-09-05 서영대 볼을 이용한 악취 차단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장치
KR101846988B1 (ko) * 2016-04-14 2018-05-28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바닥배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CN109763557A (zh) * 2019-02-21 2019-05-17 宁波高新区大维卫浴用品有限公司 一种新型水封器及使用该水封器的地漏
CN109763557B (zh) * 2019-02-21 2023-10-31 宁波高新区大维卫浴用品有限公司 一种水封器及使用该水封器的地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8900B2 (en) Rough-in adapter
KR101177790B1 (ko) 세면기용 폽업장치의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KR200234482Y1 (ko)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
KR20010025458A (ko) 바닥 배수용 배수전 유니트
KR20160043416A (ko) 욕조 배수관 장치 및 그 교체 지그 장치
KR102327047B1 (ko) 배수관 연결용 배수트랩의 이물질 제거 장치
JP2008101333A (ja) 排水装置
KR200334325Y1 (ko)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용 임시커버
KR100943995B1 (ko) 점검기능을 갖춘 트렌치 배수관 장치
KR101496285B1 (ko) 배수구의 마개 장치
JP3145276U (ja) 雨水貯留設備
KR101846988B1 (ko) 바닥배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44194Y1 (ko)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
KR100903358B1 (ko) 시공이 용이한 양변기
US20180155914A1 (en) Pre-form for drain installation
KR100815193B1 (ko) 배수트랩조립체
JP5956129B2 (ja) インナーおよびインナーを備えた排水トラップ
KR20140005630A (ko) 세면기 트랩 여과장치
KR960008704B1 (ko) 위생 상수 및 하수도용 플라스틱 수용구
KR200169068Y1 (ko) 욕실용 배수장치
KR200244697Y1 (ko) 발코니 배수장치
KR200311577Y1 (ko) 배수용 집수구
JPH11200472A (ja) 排水設備における阻集ます
KR100874309B1 (ko) 배수조 고정용 캡
KR100947107B1 (ko) 점검기능을 갖춘 트렌치 배수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