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577Y1 - 배수용 집수구 - Google Patents

배수용 집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577Y1
KR200311577Y1 KR20-2003-0002090U KR20030002090U KR200311577Y1 KR 200311577 Y1 KR200311577 Y1 KR 200311577Y1 KR 20030002090 U KR20030002090 U KR 20030002090U KR 200311577 Y1 KR200311577 Y1 KR 200311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ridge
drainage
drain pip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원
Original Assignee
안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33318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11577(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원 filed Critical 안병원
Priority to KR20-2003-0002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5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5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노면을 흐르는 물과 아스콘포장층으로 스며든 물을 교량아래로 배수시켜주는 배수용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슬래브에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 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해서 집수부(10)의 아래로 연장된 배수관(12)의 하부 외주면에는 여러개의 돌기(44)를 형성하고, 배수로와 연결되어지는 연결관(14)의 상단부에는 돌기(44)와 대응하는 맞물림홈(46)을 형성하며, 배수관(12)의 돌기(44)윗쪽에는 연결관(14)을 배수관(12)에 조립 할 수 있도록 링형공간(52)을 제공해주는 덮개(54)를 고정한 배수용 집수구이다.
본 고안은 교량의 슬래브시공용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한 후에도 배수로와 연결되어지는 연결관(14)을 배수관(12)에 매우 간단하게 조립 할 수 있는 것이어서 교량 슬래브에 집수구를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수용 집수구{A drain for draining}
본 고안은 배수용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빗물과 같이 교량의 노면을 흐르는 물과 아스콘포장층으로 스면든 물을 배수시켜 주는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 시공되는 집수구는 물이 유입되는 집수부와, 이 집수부로 유입되는 물이 배출되는 배수관으로 이루어지는 바, 배수관의 하단부는 교량 아래쪽에 배관되는 배수로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교량을 관통하여 교량밖으로 노출되어야 한다.
종래의 집수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부(10)아래로 연장된 배수관 (12)과, 연결관(14)에 각각 마주보는 구멍(16),(16'),(18),(18')을 형성시켜서 볼트(22),(24)와 너트(26),(28)로 분해, 조립 할 수 있도록 된 것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집수구는 도4a, 도 4b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에 적용하는데 시공이 매우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제거푸집(30)으로 시공되는 교량에 적용 할 경우 집수구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집수구모형(32)을 철제거푸집(30)위에 올려 놓고 나중에 집수구모형(32)을 뽑아내기 좋도록 상기 집수구모형(32)의 주위에 발포폴리스티렌 보드(34)들 덧댄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36)을 타설하는 공정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몰탈(36)이 양생된 후 집수구모형(32)과 발포폴리스티렌 보드(34)를 제거하고 철제거푸집(30)을 해체한 다음 연결관(14)이 조립되지 않은 상태의 집수구(A)를 확보된 집수구 설치공간(38)속으로 삽입하고 그 위치를 셋팅한 후, 교량 슬래브(B)밖으로 노출되는 집수구(A)의 배수관(12)과 집수구 설치공간(38)의 아래쪽을 바닥 거푸집(40)으로 막아주고, 집수구(A)와 교량 슬래브(B)사이의 틈새를 시멘트 몰탈(42)을 타설하는 공정과,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멘트 몰탈(42)이 앵생된 후 바닥거푸집(40)을 제거하고 교량 슬래브(B)밖으로 노출도는 배수관(12)의 하부에 있는 구멍(16),(16')과 연결관(14)의 상부에 있는 구멍(18),(18')들이 일치하도록 연결관(14)을 배수관(12)에 끼우고 볼트(22), (24)와 너트(26),(28)로 조립, 고정하는 공정으로 시공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집수구는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시공작업이 매우 번거로웠을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드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집수구는 목제거푸집으로 시공되는 교량에 적용 할 경우 집수구모형을 사용하지 않을 수는 있으나 목제거푸집의 바닥에 구멍을 뚫어서 배수관 (12)의 하부가 관통되도록 하고 상기 구멍과 배수관(12)사이를 견고하게 막아주고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해주어야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또 종래의 집수구는 배수관(12)에 연결관(14)을 고정시켜주는 볼트(22), (24)가 배수관(12)을 " + "자형으로 관통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집수부(10)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쓰레기나 이물질이 상기 볼트(22), (24)에 걸려지게 되어서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각종 쓰레기나 이물질등을 제거해주어야만 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인바, 본 고안은 집수부아래로 연장된 배수관의 하부에 배수로와의 연결관이 조립,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주는 덮개를 마련함으로서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 할 수 있는 배수용 집수구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를 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집수구의 분해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집수구를 교량에 적용한 사용상태도.
도 3은 종래 집수구의 분해사시도.
도 4a, 도 4b및 도 4c는 종래 집수구를 교량에 적용한 사용상태도.
본 고안은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집수부(10)아래로 연장된 배수관(12)과, 이 배수관(12)에 조립되는 연결관(14)으로 이루어진 배수용 집수구에 있어서, 배수관(12)의 하부외주면에는 여러개의 돌기(44)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관(14)의 상단부에는 상기 배수관(12)의 돌기(44)들과 대응하는 맞물림홈(46)들이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홈(46)은 돌기(44)가 끼워지거나 이탈 할 수 있는 입구(48)와, 이 입구(48)를 통해서 끼워지는 돌기(44)를 고정되는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스토퍼(5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배수관(12)의 돌기(44)윗쪽에는 배수관(12)과 함께 이중관형태를 이루어서 상기 연결관(14)을 배수관(12)에 조립 할 수 있도록 링형공간(52)을 제공해주는 덮개(54)가 고정되어 있다.
덮개(54)는 연결관(14)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 측벽부분(58)과, 배수관(12)이 끼워질 수 있는 구멍(60)을 가진 것으로서 이 구멍(60)과 배수관(12)사이는 덮개(54)가 금속제 일 경우는 용접에 의해서 그리고 덮개(54)가 합성수지제 일 경우 접착제로 고정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덮개(54)는 발포성 폴리스티렌관체와 같은 가연성 슬리브 (sleeve)로 형성시켜 줄 수도 있다.
덮개(54)가 가연성 슬리브로 형성된 것일 경우 교량의 시공후 연결관(14)을 배수관(12)에 조립하기 전에 연결관(14)이 삽입될 수 있는 링형공간(52)을 제공 할 수 있도록 제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2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집수부(10)아래에 있는 배수관(12)의 하부외주면에 연결관(14)이 조립되는 여러개의 돌기(44)가 형성되어 있고, 배수관(12)의 하부에는 연결관(14)을 조립 할 수 있도록 링형공간(52)을 제공해주는 덮개(54)가 고정된 것이어서 교량 슬래브 시공용 거푸집(70)의 바닥에 바로 설치하고 콘크리트 몰탈(36)를 바로 타설하는 공정과, 도 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몰탈(36)이 양생된 후 교량 슬래브 시공용 거푸집(70)을 해체한 다음 배수관(12)과 덮개(54)사이에 있는 링형공간(52)을 통해서 연결관(14)의 맞물림홈(46)에 있는 입구(48)쪽에 배수관(12)의 돌기(44)를 끼우면서 연결관(14)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고, 연결관(14)을 아래쪽으로 잡아당겨서 배수관(12)의 돌기(44)가 연결관(14)의 맞물림홈(46)에 있는 스토퍼(50)쪽에 견고하게 맞물려지도록 연결관(14)을 배수관(12)에 조립, 고정하는 공정만으로 교량의 슬래브에 시공된다.
본 고안은 교량의 슬래브 시공용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한 후에도 배수로와 연결되어지는 연결관(14)을 배수관(12)에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과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매우 간단하게 조립 할 수 있는 것이어서 교량 슬래브에 집수구를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 할 수 있고, 배수관(12)에 연결관(14)을 관통하는 볼트로 배수관(12)과 연결관(14)을 고정시켰던 종래 것에 비하여서 각종 쓰레기나 이물질등이 배수로 상에 걸려질 우려가 없어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집수부(10), 배수관(12)및 연결관(14)으로 이루어진 배수용 집수구에 있어서, 배수관(12)의 하부외주면에는 여러개의 돌기(44)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관(14)의 상단부에는 상기 돌기(44)와 대응하는 맞물림홈(46)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관 (12)의 돌기(44)윗쪽에는 연결관(14)을 배수관(12)에 조립 할 수 있도록 링형공간 (52)을 제공해주는 덮개(54)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집수구.
KR20-2003-0002090U 2003-01-23 2003-01-23 배수용 집수구 KR200311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090U KR200311577Y1 (ko) 2003-01-23 2003-01-23 배수용 집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090U KR200311577Y1 (ko) 2003-01-23 2003-01-23 배수용 집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577Y1 true KR200311577Y1 (ko) 2003-05-01

Family

ID=4933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090U KR200311577Y1 (ko) 2003-01-23 2003-01-23 배수용 집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5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789B1 (ko) * 2006-04-27 2007-02-15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량의 노면침투수 배수처리장치
KR101619353B1 (ko) * 2014-12-30 2016-05-12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세면기의 트랩배관 설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789B1 (ko) * 2006-04-27 2007-02-15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량의 노면침투수 배수처리장치
KR101619353B1 (ko) * 2014-12-30 2016-05-12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세면기의 트랩배관 설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855B1 (ko) 교량상부슬래브에 설치되는 조립식배수관 및 이를 이용한 교량조립식집수구설치방법
US11987938B2 (en) Drainage device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nd use
KR20060102831A (ko) 교량용 집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311577Y1 (ko) 배수용 집수구
KR20100025159A (ko) 교량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776413B1 (ko) 교량용 배수장치
KR101231693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집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73523B1 (ko) 조립식 하수관
KR20100002206U (ko)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JP2008101333A (ja) 排水装置
KR102266895B1 (ko) 탈부착이 용이한 그레이팅 보조덮개
JP2001254316A (ja) 床版排水装置
KR20060129783A (ko) 매입형 집수구의 설치 구조
KR200195887Y1 (ko) 교량용 동바리 클램프
KR200233297Y1 (ko) Frp특수틀을 이용한 조립식 오수맨홀
KR200344194Y1 (ko)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
KR200438176Y1 (ko) 보수용 배수트랩
KR100536430B1 (ko) 건축용 부자재 고정구의 지지방법 및 그 구조
JP6045418B2 (ja) 排水スリーブ設置用治具
KR200300844Y1 (ko) 배수관설치용 슬리브커버
KR200387721Y1 (ko)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프리캐스트 거푸집
KR200395832Y1 (ko) 매입형 집수구의 설치 구조
KR102300295B1 (ko) 개방형 배수직관
KR100451145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옹벽용 배수 슬리브
KR200354116Y1 (ko) 조립식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