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523B1 - 조립식 하수관 - Google Patents

조립식 하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523B1
KR101573523B1 KR1020130057039A KR20130057039A KR101573523B1 KR 101573523 B1 KR101573523 B1 KR 101573523B1 KR 1020130057039 A KR1020130057039 A KR 1020130057039A KR 20130057039 A KR20130057039 A KR 20130057039A KR 101573523 B1 KR101573523 B1 KR 101573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ding
coupling
groove
engag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6687A (ko
Inventor
우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진특수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진특수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진특수건설
Priority to KR1020130057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523B1/ko
Publication of KR20140136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16L1/03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the pipes being composed of sections of short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하수관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위치한 복수의 제1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들 사이에 하수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들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제2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에 양단이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들을 상호 고정시키는 결합키가 마련된 고정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수관은 베이스 플레이트, 측방플레이트 및 상측플레이트가 고정유닛에 의해 상호 결합되므로 시공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플레이트들을 분리하여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운반이나 보관 시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하수관{Assembly drain pipe}
본 발명은 조립식 하수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 측방플레이트 및 상측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되어 하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조립식 하수관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이나 도로측구는 주택가 골목, 공장 등을 비롯하여 각종 시설물 주위나 도로변에 소정의 깊이로 매립설치되거나 또는 상부에 지표면을 통하여 흐르는 오수나 빗물의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배수공을 가진 맨홀 뚜껑이 설치된 시설을 말한다.
상기 하수관과 도로측구를 시공설치하고자 할 때는, 본체를 먼저 시공형성한 뒤 본체 위에 덮개를 덮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시공하게 되는데, 상기 본체를 시공하고자 할 때는 먼저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를 선정한 뒤 소정의 깊이로 굴토하고, 굴토된 바닥에 잡석을 깔아 구배를 맞춘 다음 합판 또는 철판 등으로 형성된 거푸집을 세우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몰탈을 충진 양생시킨 뒤 거푸집을 이형시켜 하수관이나 도로측구 본체를 형성하거나, 또는 양단부에 각각 암수의 결합부를 가지며 소정의 길이로 제작된 다수의 "U"형 하수관을 연결조립시켜 도로측구 본체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본체 위에 별도로 제작된 덮개를 덮거나 또는 개방된 상면에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하여 본체와 일체로 된 덮개를 시공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U"형 하수관의 경우, 공장에서 제작시 단면이 "U"형으로 제작하므로 체적이 비교적 커서 운반이나 보관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다수의 플레이트를 상호 결합하여 하수관을 제작할 수 있는 조립식 하수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수관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위치한 복수의 제1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들 사이에 하수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들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제2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에 양단이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들을 상호 고정시키는 결합키가 마련된 고정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제1접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상기 제1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홈과, 상기 제1체결홈의 단부에 연통되며, 상기 제1체결홈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체결홈을 갖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2접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결홈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2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체결홈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3체결홈과, 상기 제3체결홈의 단부에 연통되며, 상기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체결홈을 갖는 제2체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키는 상기 제1 및 제3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 삽입바와, 상기 제2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바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1연장바와, 상기 제4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바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4상측 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2연장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제1접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상기 제1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홈과, 상기 제1체결홈의 단부에 연통되며, 상기 제1체결홈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체결홈을 갖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2접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결홈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2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체결홈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3체결홈과, 상기 제3체결홈의 단부에 연통되며, 상기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체결홈을 갖는 제2체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키는 상기 제1 및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신축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재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1체결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체결홈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제1나사부재와, 상기 제1나사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1결합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신축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재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3체결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제2나사부재와, 상기 제2나사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4상측 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2결합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일단이 사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헤드부가 마련된 다수의 고정볼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수관은 상기 내부유로에 유동하는 하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차수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수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차수판과, 상기 차수판에 대향되는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홈에 대향되는 상기 차수판의 일측면에,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삽입홈의 연장방향으로 따라 연장된 제1삽입돌기와, 상기 차수판에 대향되는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삽입홈에 대향되는 상기 차수판의 타측면에,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에 인집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2삽입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삽입돌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수관은 베이스 플레이트, 측방플레이트 및 상측플레이트가 고정유닛에 의해 상호 결합되므로 시공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플레이트들을 분리하여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운반이나 보관 시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하수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식 하수관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하수관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수관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수관(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조립식 하수관(100)은 제1결합플레이트(210)들, 제2결합플레이트(220)들 , 차수부재(230) 및 고정유닛(240)을 구비한다.
제1결합플레이트(210)들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제2결합플레이트(220)들에 지지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위치한다. 제1결합플레이트(210)들은 상호 대향되는 일측면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접촉돌기(211)가 형성된다. 접촉돌기(211)는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일측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돌기(211)는 다른 제1결합플레이트(210)에 대향되는 일측면에 제2결합플레이트(220)가 접촉할 수 있도록 평편한 제1접촉면(214)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접촉돌기(211)의 제1접촉면(214)에는 차수부재(2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삽입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삽입홈(212)은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결합플레이트(210)는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후술되는 고정유닛(240)의 고정볼트(245)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2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213)들은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2결합플레이트(220)들은 제1결합플레이트(210)들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하수가 유동하는 내부유로를 형성한다. 제2결합플레이트(2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상하면에는 각각 제1결합플레이트(210)들의 접촉돌기(211)에 접할 수 있도록 평편한 제2접촉면(2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2접촉면(223)에는 차수부재(2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삽입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삽입홈(221)은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결합플레이트(220)는 상기 관통구(213)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하면에는 관통구(213)를 관통한 고정볼트(245)의 일단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222)들이 형성되어 있다.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제2결합플레이트(220)를 제작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을 갖는 관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체결홀(222)을 형성할 수 있다.
차수부재(230)는 내부유로에 유동하는 하수가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 사이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차수판(231), 제1삽입돌기(232) 및 제2삽입돌기(233)를 구비한다.
차수판(23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이때, 차수판(231)은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차수판(231)은 하수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테인 레스 스틸이나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차수판(231)은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접촉돌기(211)와 제2결합플레이트(220) 사이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제1삽입돌기(232)는 접촉돌기(211)의 제1삽입홈(2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결합플레이트(210)에 대향되는 차수판(231)의 일측면 중앙부분에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210)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제1삽입돌기(232)는 하수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삽입돌기(233)는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제2삽입홈(2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2결합플레이트(220)에 대향되는 차수판(231)의 타측면 중앙부분에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220)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제2삽입돌기(233)는 하수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차수부재(230)는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의 상기공간들에 각각 삽입되므로 내부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하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수관 부근의 토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고정유닛(240)은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들을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다수의 제1 및 제2체결부(241,242), 다수의 결합키(243)와 고정볼트(245)를 구비한다.
제1체결부(241)는 제1접촉면(214)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외측면인 폭방향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접촉면(21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홈(251)과, 제1체결홈(251)의 단부에 연통되며, 제1체결홈(251)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체결홈(252)을 갖는다.
제1체결홈(251)은 제2결합플레이트(220)에 대향되는 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제2체결홈(252)은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다. 이때, 제1체결홈(251)의 단부는 제2체결홈(252)의 중앙부분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체결홈(251,252)은 다수개가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상호 대향되는 양측면에 형성되되,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2체결부(242)는 제2접촉면(223)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유로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외부로 좌우측면 중 외부로 노출된 측면에 마련된다. 제2체결부(242)는 제2접촉면(223)으로부터 머어지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3체결홈(253)과, 제3체결홈(253)의 단부에 연통되며, 제3체결홈(253)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체결홈(254)을 갖는다.
제3체결홈(253)은 결합키(24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체결홈(251)에 대향되는 위치의 제2결합플레이트(220)에 형성되며, 제1결합플레이트(210)에 대향되는 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4체결홈(254)은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되, 제3체결홈(253)의 단부가 중앙부분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및 제4체결홈(253,254)은 다수개가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상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결합키(243)는 제1 및 제2체결부(241,242)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삽입바(255)와 제1 및 제2연장바(256,257)를 구비한다.
삽입바(255)는 제1 및 제3체결홈(251,253)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3체결홈(251,253)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삽입바(255)는 제1 및 제3체결홈(251,253)의 길이의 합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연장바(256)는 제2체결홈(25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바(255)의 일단에 형성되되, 제2체결홈(252)의 연장방향과 나란하도록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이때, 제1연장바(256)는 제2체결홈(252)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며, 중앙부분에서 삽입바(255)의 일단부가 연장된다.
제2연장바(257)는 제4체결홈(25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바(255)의 타단에 형성되되, 제4체결홈(254)의 연장방향과 나란하도록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이때, 제2연장바(257)는 제4체결홈(254)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며, 중앙부분에서 삽입바(255)의 타단부가 연장된다. 이때, 결합키(243)는 제1 및 제2체결부(241,242)에 결합시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가 상호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결합키(243)는 다수개가 제1 내지 제4체결홈(251,252,253,254)들에 각각 결합되어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를 상호 고정시킨다.
고정볼트(245)는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관통구(213)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일단이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체결홀(222)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분(258)과, 체결부분(258)의 타단에 형성되어 체결부분(258)이 제1결합플레이트(2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부분(259)을 구비한다.
체결부분(258)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헤드부분(259)은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관통구(213)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볼트(245)는 다수개가 관통구(213)들에 각각 삽입되어 제2결합플레이트(220)에 체결된다.
상기 언급된 결합키(243) 및 고정볼트(245)에 의해 다수의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들이 결합되어 하수가 유동하는 내부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시공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플레이트들을 분리하여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운반이나 보관 시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합키(3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결합키(310)는 연장부재(311), 제1나사부재(312), 제1결합부재(313), 제2나사부재(314), 제2결합부재(315)를 구비한다.
연장부재(311)는 제1 및 제3체결홈(251,253)의 연장방향과 나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제1 및 제2나사부재(312,314)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부분에 내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된 중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파이프 형으로 형성된다. 연장부재(311)는 제1 및 제3체결홈(251,25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3체결홈(251,253)의 폭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시 제1 및 제2나사부재(312,314)가 연장부재(311)로부터 돌출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제1 및 제2나사부재(312,314)가 연장부재(311)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하방향 가운데를 기준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나사부재(312)는 제1체결홈(25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체결홈(251)의 연장방향과 나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이 연장부재(311)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나사부재(312)는 연장부재(311)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되므로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연장부재(31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신축된다.
제1결합부재(313)는 제1나사부재(312)의 타단에 연장되며, 제2체결홈(25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체결홈(252)의 연장방향과 나란하도록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이때, 제1결합부재(313)는 제2체결홈(252)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며, 중앙부분에서 제1나사부재(312)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제2나사부재(314)는 제3체결홈(25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3체결홈(253)의 연장방향과 나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이 연장부재(311)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나사부재(314)는 연장부재(311)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므로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연장부재(31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신축된다.
제2결합부재(315)는 제2나사부재(314)의 타단에 연장되며, 제4체결홈(25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4체결홈(254)의 연장방향과 나란하도록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이때, 제2결합부재(315)는 제2체결홈(252)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며, 중앙부분에서 제2나사부재(314)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연장부재(311)의 양단부에 각각 제1 및 제2나사부재(312,314)가 나사결합되므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연장부재(31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의 두께나 차수판(231)의 두께에 따라 제1 및 제2나사부재(312,314)의 연장부재(311)에 대한 신축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체결홈(251,252,253,254)에 결합키(310)를 삽입한 다음 제1 및 제2나사부재(312,314)가 연장부재(311)로 인입되도록 상기 연장부재(311)를 회전시켜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가 상호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인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조립식 하수관
210: 제1결합플레이트
214: 제1접촉면
220: 제2결합플레이트
223: 제2접촉면
230: 차수부재
231: 차수판
232: 제1삽입돌기
233: 제2삽입돌기
240: 고정유닛
241: 제1체결부
242: 제2체결부
243: 결합키
245: 고정볼트

Claims (6)

  1. 삭제
  2.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위치한 복수의 제1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들 사이에 하수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들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제2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에 양단이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들을 상호 고정시키는 결합키가 마련된 고정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제1접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상기 제1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홈과, 상기 제1체결홈의 단부에 연통되며, 상기 제1체결홈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체결홈을 갖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의 제2접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결홈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2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체결홈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3체결홈과, 상기 제3체결홈의 단부에 연통되며, 상기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체결홈을 갖는 제2체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키는 상기 제1 및 제3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 삽입바와, 상기 제2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바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1연장바와, 상기 제4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바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4상측 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2연장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수관.
  3.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위치한 복수의 제1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들 사이에 하수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들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제2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에 양단이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들을 상호 고정시키는 결합키가 마련된 고정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제1접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상기 제1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홈과, 상기 제1체결홈의 단부에 연통되며, 상기 제1체결홈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체결홈을 갖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의 제2접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결홈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2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체결홈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3체결홈과, 상기 제3체결홈의 단부에 연통되며, 상기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체결홈을 갖는 제2체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키는
    상기 제1 및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신축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재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1체결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체결홈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제1나사부재와,
    상기 제1나사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1결합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신축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재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3체결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제2나사부재와,
    상기 제2나사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4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2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수관.
  4. 삭제
  5. 삭제
  6.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위치한 복수의 제1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들 사이에 하수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들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제2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에 양단이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들을 상호 고정시키는 결합키가 마련된 고정유닛과;
    상기 내부유로에 유동하는 하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차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차수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차수판과,
    상기 차수판에 대향되는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홈에 대향되는 상기 차수판의 일측면에,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삽입홈의 연장방향으로 따라 연장된 제1삽입돌기와,
    상기 차수판에 대향된느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삽입홈에 대향되는 상기 차수판의 타측면에,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에 인집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2삽입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삽입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수관.

KR1020130057039A 2013-05-21 2013-05-21 조립식 하수관 KR101573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039A KR101573523B1 (ko) 2013-05-21 2013-05-21 조립식 하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039A KR101573523B1 (ko) 2013-05-21 2013-05-21 조립식 하수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687A KR20140136687A (ko) 2014-12-01
KR101573523B1 true KR101573523B1 (ko) 2015-12-01

Family

ID=5245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039A KR101573523B1 (ko) 2013-05-21 2013-05-21 조립식 하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5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306B1 (ko) * 2015-10-20 2016-12-30 주식회사 티씨케이 잉곳 성장장치의 상부링
KR20190088369A (ko) 2018-01-18 2019-07-26 김성우 기타형 악기
CN110565775A (zh) * 2019-08-22 2019-12-13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波纹管排水沟的排水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051A (ja) 1999-01-28 2000-08-02 Kaieitechno Co Ltd 組立式暗渠ブロック及び組立式暗渠ブロックの構築工法
KR200260045Y1 (ko) 2001-09-10 2002-01-10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콘크리트 하수 박스 조립식 구조
KR200387868Y1 (ko) 2005-04-08 2005-06-28 주식회사 삼호 피 시 소켓 및 브라켓 보강 조립식 피씨 암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051A (ja) 1999-01-28 2000-08-02 Kaieitechno Co Ltd 組立式暗渠ブロック及び組立式暗渠ブロックの構築工法
KR200260045Y1 (ko) 2001-09-10 2002-01-10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콘크리트 하수 박스 조립식 구조
KR200387868Y1 (ko) 2005-04-08 2005-06-28 주식회사 삼호 피 시 소켓 및 브라켓 보강 조립식 피씨 암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687A (ko) 201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004478A (ja) 排水金具及び排水ブロック、並びに排水金具付き排水ブロックの付設方法
KR101573523B1 (ko) 조립식 하수관
US11987938B2 (en) Drainage device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nd use
KR200439619Y1 (ko) 매입형 배수로 부재
KR20150001401A (ko) 변형 방지 조립식 수로관
KR101248434B1 (ko) 강연선 설치구, 이를 이용한 강연선 설치방법 및 조립식 우수저류조의 블록간 결합구조
KR200346948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
KR10068405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KR100451145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옹벽용 배수 슬리브
KR102506679B1 (ko) 웰라가 구비되는 유로폼용 결속장치
KR200167575Y1 (ko) 코너 배수로 구조
KR200172273Y1 (ko) 조립식 암거
KR100733583B1 (ko) 맨홀거푸집
KR200374685Y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JP6921371B2 (ja) 勾配付き排水溝
KR20120058914A (ko) 콘크리트 옹벽용 배수관
JP6045418B2 (ja) 排水スリーブ設置用治具
GB2406602A (en) Drainage channel section
KR102326135B1 (ko)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KR200277682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옹벽용 배수 슬리브
KR200311577Y1 (ko) 배수용 집수구
KR200338276Y1 (ko) 택지개발에 따른 배수로관 장치
KR20080030812A (ko) 맨홀용 고무 커넥터 및 그 시공방법
KR100646039B1 (ko)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
KR101796825B1 (ko)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벽체플레이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