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583B1 - 맨홀거푸집 - Google Patents

맨홀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583B1
KR100733583B1 KR1020060068666A KR20060068666A KR100733583B1 KR 100733583 B1 KR100733583 B1 KR 100733583B1 KR 1020060068666 A KR1020060068666 A KR 1020060068666A KR 20060068666 A KR20060068666 A KR 20060068666A KR 100733583 B1 KR100733583 B1 KR 100733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formwork
coupling sphere
pip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문
남진희
Original Assignee
남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문 filed Critical 남상문
Priority to KR1020060068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거푸집과, 상기 맨홀의 외벽면을 형성하는 외부거푸집을 갖는 맨홀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내부거푸집은 그 하부면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상기 맨홀의 저부면에 반원상의 인버터를 형성하는 인버터형성부와, 상기 인버터형성부의 적어도 길이방향 일측에 부분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관체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외부거푸집은 상기 관체접속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관체결합구를 형성하는 관체결합구형성부와, 상기 맨홀에 결합되는 관체가 삽입되는 관삽입구를 가지고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에 유동 및 고정 가능하게 마련되는 관체결합위치조절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맨홀과 관체가 견고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맨홀과 관체의 결합부위에서 누수의 우려가 없으며, 관체의 결합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관체의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맨홀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이 제공된다.
또한, 맨홀 저부에 하수나 우수 등의 유체나 오물 등이 정체하지 않는 맨홀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이 제공된다.
맨홀, 맨홀거푸집, 관체, 인버터

Description

맨홀거푸집{Manhole mold}
도 1 및 도 2는 종래 맨홀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맨홀을 제작하기 위한 맨홀거푸집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거푸집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맨홀거푸집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맨홀거푸집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거푸집의 관체결합구형성부 영역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거푸집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작된 맨홀의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작된 또 다른 맨홀의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맨홀거푸집 10 : 내부거푸집
20 : 외부거푸집 30 : 관체결합부
33 : 관체결합위치조절판 35 : 고정부재
50 : 맨홀 60 : 관체
70 : 인버터
본 발명은, 맨홀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버터 형성구조 및 관체 연결구조가 개선된 맨홀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하수나 우수 및 통신케이블 등의 이동경로를 형성할 때 이동경로의 분기점나 교차지점(이하 "분기점"으로 함)에 맨홀을 마련하고, 이 맨홀에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관체를 결합 시공하게 된다. 이때, 맨홀의 내측 저부에는 하수나 우수 등의 유체를 포함해 오물이 정체하지 못하도록 관체를 향하는 인버터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관체의 연결 및 인버터 구조를 갖는 종래 맨홀과 이 맨홀을 제작하기 위한 맨홀거푸집의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1890호에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개시된 바 있다.
이 중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맨홀(201)은 적어도 어느 일측벽에 관삽입구(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 저부에 관삽입구(210)에 대응하는 반원 형상의 인버터(220)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맨홀(201)의 벽체 내에는 맨홀(201) 상부에 맨홀(201)의 높이를 연장하기 위한 추가의 맨홀구체(미도시)의 결합을 위한 볼트삽입홀(230)이 형성되어 있고, 맨홀(201) 상단부에는 추가의 맨홀구체(미도시)의 결합을 위한 걸림턱(24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맨홀(201)을 제작하기 위한 맨홀거푸집(10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201)의 외벽을 형성하는 외부틀(110)과, 외부틀(110) 내벽면 하부의 적어도 일영역에 부착되어 맨홀(201)의 관삽입구(210)를 형성하는 관삽입구형성틀(111)과, 외부틀(110) 내에 수용되어 맨홀(201)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틀(120)과, 관삽입구형성틀(111)에 대응하는 내부틀(120) 하부에 결합되는 인버터형성틀(121)과, 맨홀(201)의 상하단부를 형성하는 상하받침(130)과, 외부틀(110)과 내부틀(120) 사이의 벽체 형성공간에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기립설치되어 볼트삽입홀(230)을 형성하는 복수의 중공관(1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맨홀거푸집(101)은 전술한 각 부품들이 적절히 조립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관삽입구(210)와 인버터(220) 구조를 갖는 맨홀(201)을 제작하게 된다.
그리고, 제작완료된 맨홀(201)은 시공현장의 맨홀(201) 설치영역에 설치된 상태에서, 관삽입구(210)에 관체(250)를 결합하고, 관삽입구(210)와 관체(250) 사이의 간극을 몰탈(261)로 몰딩처리함으로써, 맨홀(201)과 관체(25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시공된 맨홀(201) 내에서는 인버터(220) 구조에 의해 하수나 우수 등의 유체나 오물 등이 정체하지 않고 관체(250)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맨홀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은 맨홀 제작 후 맨홀의 관삽입구에 관체를 별개로 결합하기 때문에, 맨홀과 관체의 결합구조가 취약할 뿐만 아니라, 누수의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체를 맨홀의 관삽입구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관체의 중심과 맨홀의 관삽입구 중심을 정확하게 일치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에, 관체의 결합시공이 매우 불편하고, 관체를 정확한 결합위치에 결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관체의 중심과 관삽입구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게 시공되면 인버터의 둘레와 관체의 내주면 둘레부분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턱이 생김으로써, 맨홀 저부에 하수나 우수 등의 유체나 오물 등이 부분적으로 정체하여 부폐될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과 관체가 견고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맨홀과 관체의 결합부위에서 누수의 우려가 없으며, 관체의 결합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관체의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맨홀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맨홀 저부에 하수나 우수 등의 유체나 오물 등이 정체하지 않는 맨홀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맨홀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거푸집과, 상기 맨홀의 외벽면을 형성하는 외부거푸집을 갖는 맨홀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내부거푸집은 그 하부면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상기 맨홀의 저부면에 반원상의 인버터를 형성하는 인버터형성부와, 상기 인버터형성부의 적어도 길이방향 일측에 부분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관체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외부거푸집은 상기 관체접속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관체결합구를 형성하는 관체결합구형성부와, 상기 맨홀에 결합되는 관체가 삽입되는 관삽입구를 가지고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에 유동 및 고정 가능하게 마련되는 관체결합위치조절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거푸집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는 상기 외부거푸집 판면으로부터 외향 융기되며, 상기 관체결합구는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의 융기된 판면에 상기 내부거푸집의 관체접속부에 비해 큰 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체결합위치조절판은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 내측 둘레에 비해 작고 상기 관체결합구에 비해 큰 판상부재로 마련되어 융기된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 내면에 유동 가능하게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는 상기 외부거푸집 판면으로부터 외향 융기되며, 상기 관체결합구는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의 융기된 판면에 상기 내부거푸집의 관체접속부에 비해 큰 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체결합위치조절판은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의 상기 관체결합구에 비해 큰 판상부재로 마련되어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의 융기된 외면에 유동 가능하게 밀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의 융기된 외측 둘레면에는 복수의 고정핀이 외향 돌출되어 있고, 상기 관체결합위치조절판의 상기 관체삽입구 둘레영역에는 외 향 돌출된 복수의 위치고정핀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핀과 상기 위치고정핀에 결합되어 상기 관체결합위치조절판을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목적은 상기 맨홀거푸집에 의해 제작되는 맨홀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거푸집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맨홀거푸집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맨홀거푸집(1)은 맨홀(50)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거푸집(10)과, 맨홀(50)의 외벽면을 형성하는 외부거푸집(20)과, 외부거푸집(20)의 적어도 일 영역에 마련되는 관체결합부(30)를 포함한다.
내부거푸집(10)은 형성될 맨홀(50)의 내벽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내부거푸집부재(11)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원형 맨홀(5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원호판상의 내부거푸집부재(11)들이 상호 결합되어 원형의 내부거푸집(10)을 형성하며, 각형 맨홀(50) 등을 형성할 경우에는 평판상의 내부거푸집부재(11)가 상호 결합되어 각형의 내부거푸집(10)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내부거푸집(10)의 하부면에는 오수 및 우수와 오물 등의 정체를 방지하기 위해 맨홀(50)의 저부면에 반원상의 인버터(70)를 형성하는 인버터형성부(13) 가 내부거푸집(10)의 하부면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인버터형성부(13)의 길이방향 전후 양 외측에는 맨홀(50)에 결합되는 관체(60)의 단부가 기밀하게 접하는 부분구형상의 관체접속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관체접속부(15)는 맨홀(50)에 단일의 관체(60)가 결합되는 경우 인버터형성부(13)의 일 외측에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인버터형성부(13)는 내부거푸집(10)의 하부면에 사방으로 마련되고, 관체접속부(15) 역시 각 인버터형성부(13)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체접속부(15)는 인버터형성부(1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어 인버터형성부(13)에 결합될 수도 있다.
외부거푸집(20)은 내부거푸집(10)과 마찬가지로 형성될 맨홀(50)의 외벽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외부거푸집부재(21)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원형 맨홀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원호판상의 외부거푸집부재(21)들이 상호 결합되어 원형의 외부거푸집(20)을 형성하며, 각형 맨홀 등을 형성할 경우에는 평판상의 외부거푸집부재(21)가 상호 결합되어 각형의 외부거푸집(20)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관체결합부(30)는 내부거푸집(10)의 관체접속부(15)에 대응하는 외부거푸집(20)의 일영역에 형성되는 관체결합구형성부(31)와, 관체결합구형성부(31)에 유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관체결합위치조절판(33)과, 관체결합위치조절판(33)을 고정 하는 고정부재(35)를 포함한다.
관체결합구형성부(31)는 외부거푸집(20)의 일영역 판면으로부터 외향 융기되며, 융기된 판면에는 내부거푸집(10)의 관체접속부(15)에 비해 큰 면적의 관체결합구(3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체결합구(31a)의 융기부 둘레면에는 고정부재(35)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고정핀(31b)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핀(31b)은 볼트나 피스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관체결합구형성부(31) 내부공간은 콘크리트타설에 의해 관체(60)와 맨홀(50) 간의 결합영역을 보강하는 보강공간으로 형성된다.
관체결합위치조절판(33)은 관체결합구형성부(31)의 관체결합구(31a)에 비해 큰 판상부재로 마련되어 관체결합구형성부(31) 내에서 융기면 내측면에 밀착되며, 그 판면에 관체(60)의 외경에 대응하는 관체삽입구(3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체결합위치조절판(33)의 외부거푸집(20)의 외측을 향하는 판면에는 관체삽입구(33a) 둘레영역에 고정부재(35)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위치고정핀(33b)이 돌출되어 있다. 이 위치고정핀(33b) 역시, 볼트나 피스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관체결합위치조절판(3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결합구형성부(31)의 융기된 외부면에 밀착되어 후술할 고정부재(35)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위치고정핀(33b)의 돌출영역은 관체결합구형성부(31)의 관체결합구(31a) 내측 둘레 단부에 대해 유동간격을 유지하는 영역에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관체결합위치조절판(33)은 그 둘레단부가 관체결합구형성부(31) 내측 둘레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관체결합위치조절판(33)은 관체결합구형성 부(31)의 관체결합구(31a) 평면에 대해 평면 유동 가능하다.
이러한, 관체결합위치조절판(33)은 관체삽입구(33a)에 관체(60)가 용이하게 삽입 결합되는 형태가 되도록 적어도 한쌍의 판상부재가 상호 접하여 하나의 관체결합위치조절판(33)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35)는 바아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 고정부재(35)에는 관체결합구형성부(31)의 고정핀(31b)과 관체결합위치조절판(33)의 위치고정핀(33b)이 결합되는 핀결합공(3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재(35)는 관체결합위치조절판(33)이 관체결합구형성부(31) 내측면에서 위치조절된 상태에서, 관체결합위치조절판(33)의 고정핀(31b)과 관체결합구형성부(31)의 위치고정핀(33b)에 고정너트(35b) 등으로 체결됨으로써, 관체결합위치조절판(33)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관체결합위치조절판(33)은 위치고정핀(33b) 및 고정부재(35) 등의 구성 외에도 다양한 결합부품을 이용하여 외부거푸집(20)의 관체결합구형성부(31)에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거푸집(1)을 이용하여 관체(60)가 일체로 결합되는 맨홀(50)을 타설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도 4와 같이,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20)을 설치하여 맨홀(50) 타설을 위한 틀을 형성한다. 그리고, 외부거푸집(20)의 관체결합위치조절판(33)의 위치를 도 6과 같이 조절하여 관체(60)가 결합될 위치를 설정한다. 이때, 관체결합위치조절판(33)의 관체삽입구(33a)로 삽입된 관체(60)의 단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거푸집(10)의 관체접속부(15)에 밀착되는데, 이때, 관체(60)의 하단 내주면이 인버터형성부(13)의 하단 외주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여야 한다. 이는 관체(60)와 인버터(70) 간의 단차 형성을 방지하여 맨홀(50) 저부에 하수나 우수 등의 유체나 오물 등이 정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상태에서 고정부재(35)를 이용하여 관체결합위치조절판(33)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때, 외부거푸집(20)의 외측에 위치하는 관체(60)의 하부에는 관체(60)를 수평 지지할 수 있도록 버팀부재를 개재한다.
이렇게 맨홀거푸집(1)과 관체(60)의 결합 후에 맨홀거푸집(1)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소정 시간 양생하면, 도 8 및 도 9와 같이, 관체(60)가 일체로 결합된 맨홀(50)의 제작이 완료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작된 또 다른 맨홀의 정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맨홀은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기초 맨홀구조체(50')와, 적어도 하나의 상부 맨홀구조체(51)를 가지고 있다. 이때, 기초 맨홀구조체(50')는 전술한 본 발명의 맨홀거푸집(1)에 의해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상단부 및 적층되는 상부 맨홀구조체(51)의 하단부에 상호 적층되도록 걸림턱(95) 구조를 형성하고, 걸림턱(95)에 지수링(97)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기초 맨홀구조체(50')와 상부 맨홀구조체(51)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 맨홀구조체(50'.51)의 적층상태를 유지시키기위한 결속수단(90)이 마련된다. 이 결속수단(90)은 각 맨홀구조체(50'51)의 인접하 는 상하단부의 둘레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호 대응하게 한 쌍씩 결합되며 돌출단부에 결속공(91a)이 형성되어 있는 결속부재(91)와, 결속부재(91)의 결속공(91a)을 통해 양 결속부재(91)를 결속시키는 볼트(93) 및 너트(9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결속수단(90)은 각 맨홀구조체(50',51)의 상호 적층 상태를 보다 경고하게 결합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맨홀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은 관체가 맨홀에 일체로 타설되기 때문에, 맨홀과 관체의 결합구조가 매우 견고할 뿐만 아니라, 누수의 염려가 없다.
또한, 관체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관체결합위치조절판을 조절하여 관체의 결합위치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특히, 관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함으로써, 맨홀의 인버터의 둘레와 관체의 내주면 둘레부분을 정확하게 일치시켜 단차를 방지함으로써, 맨홀 저부에 하수나 우수 등의 유체나 오물 등이 정체될 염려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맨홀과 관체가 견고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맨홀과 관체의 결합부위에서 누수의 우려가 없으며, 관체의 결합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관체의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맨홀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이 제공된다.
또한, 맨홀 저부에 하수나 우수 등의 유체나 오물 등이 정체하지 않는 맨홀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이 제공된다.

Claims (5)

  1. 맨홀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거푸집과, 상기 맨홀의 외벽면을 형성하는 외부거푸집을 갖는 맨홀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내부거푸집은 그 하부면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상기 맨홀의 저부면에 반원상의 인버터를 형성하는 인버터형성부와, 상기 인버터형성부의 적어도 길이방향 일측에 부분구형상으로 마련되는 관체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외부거푸집은 상기 관체접속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관체결합구를 형성하는 관체결합구형성부와, 상기 맨홀에 결합되는 관체가 삽입되는 관삽입구를 가지고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에 유동 및 고정 가능하게 마련되는 관체결합위치조절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는 상기 외부거푸집 판면으로부터 외향 융기되며, 상기 관체결합구는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의 융기된 판면에 상기 내부거푸집의 관체접속부에 비해 큰 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체결합위치조절판은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 내측 둘레에 비해 작고 상기 관체결합구에 비해 큰 판상부재로 마련되어 융기된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 내면에 유동 가능하게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거푸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는 상기 외부거푸집 판면으로부터 외향 융기되며, 상기 관체결합구는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의 융기된 판면에 상기 내부거푸집의 관체접속부에 비해 큰 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체결합위치조절판은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의 상기 관체결합구에 비해 큰 판상부재로 마련되어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의 융기된 외면에 유동 가능하게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거푸집.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의 융기된 외측 둘레면에는 복수의 고정핀이 외향 돌출되어 있고,
    상기 관체결합위치조절판의 상기 관체삽입구 둘레영역에는 외향 돌출된 복수의 위치고정핀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핀과 상기 위치고정핀에 결합되어 상기 관체결합위치조절판을 상기 관체결합구형성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거푸집.
  5. 맨홀에 있어서,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맨홀거푸집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KR1020060068666A 2006-07-21 2006-07-21 맨홀거푸집 KR100733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666A KR100733583B1 (ko) 2006-07-21 2006-07-21 맨홀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666A KR100733583B1 (ko) 2006-07-21 2006-07-21 맨홀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583B1 true KR100733583B1 (ko) 2007-06-28

Family

ID=3837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666A KR100733583B1 (ko) 2006-07-21 2006-07-21 맨홀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78B1 (ko) * 2007-09-05 2008-05-07 오영재 높이가 조절되는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맨홀 제작용거푸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5898A (ja) * 2018-07-09 2020-01-16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5898A (ja) * 2018-07-09 2020-01-16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등록실용공보 제20-205898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78B1 (ko) * 2007-09-05 2008-05-07 오영재 높이가 조절되는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맨홀 제작용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699B1 (ko) 건축용 슬리브
KR101566229B1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100733583B1 (ko) 맨홀거푸집
KR100665210B1 (ko) 맨홀 제작용 콘크리트 거푸집
KR100752268B1 (ko) 맨홀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구조체
KR101573523B1 (ko) 조립식 하수관
KR20150029421A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KR200397660Y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KR200192083Y1 (ko) 조립식 맨홀
KR100490956B1 (ko) 토목및도로공사용하수로관연결용거푸집
KR102477764B1 (ko)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
KR100546951B1 (ko) 흄관과 맨홀 및 인버터의 기초 타설 일체형 거푸집 및 이의시공공법
KR200178968Y1 (ko) 조립체 맨홀
KR101665475B1 (ko) 무개형 수로관 제조장치 및 이 제조장치를 이용한 무개형 수로관 제조방법
KR100635482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연결부재
KR101053677B1 (ko) 관을 조립한 후 일체형을 성형하는 맨홀과 그 제조방법
KR101304987B1 (ko) 소켓 및 커넥터 일체형 조립식 pc맨홀
KR200396761Y1 (ko) 맨홀 등의 관체결합구 형성 거푸집
KR100683911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KR20130124875A (ko) 소켓 및 커넥터 일체형 조립식 pc맨홀의 제작방법
KR101153044B1 (ko) 콘크리트 수로관의 제조방법
KR100766716B1 (ko) 맨홀에 연결되는 배관 결합구 및 그 시공 방법
KR100743595B1 (ko) 맨홀블록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 맨홀블록 제조방법 및이에 의해 제조된 맨홀블록
KR200277682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옹벽용 배수 슬리브
KR101796825B1 (ko)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벽체플레이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