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764B1 -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 - Google Patents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764B1
KR102477764B1 KR1020200144465A KR20200144465A KR102477764B1 KR 102477764 B1 KR102477764 B1 KR 102477764B1 KR 1020200144465 A KR1020200144465 A KR 1020200144465A KR 20200144465 A KR20200144465 A KR 20200144465A KR 102477764 B1 KR102477764 B1 KR 102477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ocket
concrete
concrete manhole
ma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9183A (ko
Inventor
김인철
Original Assignee
스페이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페이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페이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4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7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콘크리트 맨홀 제조를 위한 거푸집 구조체가 개시되며, 상기 콘크리트 맨홀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를 감싸는 측면부의 내면 및 외면 각각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흄관이 삽입되도록 측면부에 내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되 외측에 단턱부를 갖는 흄관 소켓부가 형성되는 맨홀이고, 상기 거푸집 구조체는, 기초 거푸집; 상기 측면부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이며, 내면이 상기 측면부의 외면과 대응하게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초 거푸집 상에 배치되는 외부 거푸집; 상기 외부 거푸집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콘크리트 맨홀의 중공부에 대응하며, 외면이 상기 측면부의 내면과 대응하게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블록부; 및 상기 흄관 소켓부에 대응하며, 상기 외부 거푸집의 내면과 상기 블록부의 외면 사이에 구비되는 소켓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FORMWORK STRUCTURE, MANUFACTURE METHOD OF CONCRETE MANHOLE USING THE SAME AND CONCRETE MANHOLE MADE MENUFACTURED BY THE SAME}
본원은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외측에 연결 관경보다 큰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관통구에는 유입 또는 유출관으로 사용되는 흄관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맨홀의 외측에 복수개의 관통구를 형성하고, 이들 관통구 각각으로 유입관 또는 유출관으로 사용되는 흄관을 삽입하며, 흄관이 관통구에 걸쳐진 상태에서, 흄관 외주와 관통구 사이에 마감 콘크리트 등의 실링재를 사용하여 밀봉함으로써 설치 작업을 완료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맨홀 구조에 의하면, 흄관이 단순히 관통구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고, 맨홀과 흄관의 결합부 외측에만 실링재가 사용됨에 따라 토압에 의하여 흄관이 비틀리는 경우 결합부에서 누수가 쉽게 발생될 수 있었다.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주위 토양을 오염시킬 수 있고, 토양 오염 문제 이외에도, 맨홀 지반이 점차 침식 되어 맨홀이 기울어지게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맨홀과 흄관의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다른 타입의 맨홀(한국 등록실용신안 20-0318133호)이 개시되었다. 개시된 다른 타입의 맨홀은 관통구 외측에 단턱부를 형성하여 흄관이 결합되도록 하여 별도의 실링재를 사용하지 않고 맨홀에 흄관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개시된 다른 타입의 맨홀은 외측면이 곡면이 되면 관통구 외측에 단턱부를 형성할 수 없으므로, 원형 타입의 맨홀에는 적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59109호에 흄관 결합용 콘크리트 맨홀이 개시되었다. 개시된 맨홀은, 원형의 흄관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유입관 또는 유출관이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관통구가 측면에 형성된 횡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 형태의 흄관 결합용 콘크리트 맨홀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 중 어느 하나의 둘레에는 상기 맨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흄관 결합부를 성형시켜 흄관 단부가 밀착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맨홀에 따르면, 맨홀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구조적으로 복잡할 뿐만 아니라 돌출된 부분이 깨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제품 생산 후 돌출된 부피 이상의 야적장소가 필요하고 운반차량에 적재 시에도 동일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운반시 제품간 접촉시 돌출부가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할 수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턱부를 갖는 흄관 소켓부가 내장된 원형 타입 콘크리트 맨홀을 제조할 수 있는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거푸집 구조체는, 기초 거푸집; 상기 측면부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이며, 내면이 상기 측면부의 외면과 대응하게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초 거푸집 상에 배치되는 외부 거푸집; 상기 외부 거푸집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콘크리트 맨홀의 중공부에 대응하며, 외면이 상기 측면부의 내면과 대응하게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블록부; 및 상기 흄관 소켓부에 대응하며, 상기 외부 거푸집의 내면과 상기 블록부의 외면 사이에 구비되는 소켓 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켓 형성부는, 내측부 및 상기 흄관 소켓부의 단턱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외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부의 내면에는 그와 대향하는 상기 블록부의 외면의 일부와 대응하는 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부의 외면에는 그와 대향하는 상기 외부 거푸집의 내면의 일부와 대응하는 곡면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의 상기 내측부보다 상기 소켓 형성부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내면에는 상기 단턱부와 대응하는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은,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거푸집 구조체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거푸집 구조체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은,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콘크리트 맨홀로서,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를 감싸는 측면부의 내면 및 외면 각각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흄관이 삽입되도록 측면부에 내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되 외측에 단턱부를 갖는 흄관 소켓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외부 거푸집은 내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블록부는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소켓 형성부는 외면이 곡면이고 내면이 곡면이며 콘크리트 블록의 단턱부와 대응되는 면은 평면이므로, 별도의 실링재가 사용되지 않고도 흄관이 결합될 수 있는 흄관 소켓부가 돌출되지 않고 내장된 콘크리트 블록이 용이하게 제작 및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된 흄관 결합부를 갖던 종래의 콘크리트 맨홀이 가지고 있던 돌출된 흄관 결합부가 손상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고, 종래의 콘크리트 맨홀이 돌출된 흄관 결합부로 인해 많은 야적 공간을 필요로하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의 개략적인 상하 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의 흄관 소켓부에 흄관이 삽입된 것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의 흄관 소켓부가 형성된 부분의 개략적인 수평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서로 다른 타입의 흄관 소켓부 복수 개가 형성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의 맨홀의 흄관 소켓부가 형성된 부분의 개략적인 수평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구조체의 기초 거푸집 및 외부 거푸집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구조체의 외부 거푸집, 블록부 및 소켓 형성부를 상측에서 내려다 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구조체의 소켓 형성부의 개략적인 개념 입체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구조체의 소켓 형성부의 개략적인 개념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구조체의 소켓 형성부의 개략적인 개념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구조체의 소켓 형성부가 장착된 부분의 개략적인 개념 단면도이다.
도 12는 내측부가 외측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내외측 이동 가능한 소켓 형성부를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구조체의 소켓 형성부가 장착된 부분의 개략적인 개념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하측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 도 2 및 도 6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구조체(이하 '본 거푸집 구조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본 거푸집 구조체는 콘크리트 맨홀(9) 제조를 위한 거푸집 구조체일 수 있다.
먼저, 본 거푸집 구조체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본 거푸집 구조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콘크리트 맨홀(9)에 대해 설명한다.
콘크리트 맨홀(9)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테면, 콘크리트 맨홀(9)는 무근 콘크리트 구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콘크리트 맨홀(9)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맨홀(9)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중공부(91)가 형성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맨홀(9)은 기초부(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필요할 경우, 콘크리트 맨홀(9)은 하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콘크리트 맨홀(9)이 시공될 시공 장소에서 기초부가 형성되고, 기초부 상에 상하측으로 개구된 중공부(91)가 형성된 콘크리트 맨홀(9)이 거치될 수 있다. 즉, 콘크리트 맨홀(9)은 기초부를 포함하는 타입으로 제작장에서 일괄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콘크리트 맨홀(9)은 상하측으로 개구된 중공부(91)를 포함하며 기초부를 포함하지 않게 제작장에서 형성되고, 기초부는 별도의 시공 장소에서 시공되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맨홀(9)의 중공부(91)를 감싸는 측면부의 내면 및 외면 각각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이 형성된다. 즉, 콘크리트 맨홀(9)은 측면부의 외면이 원형인 원형 맨홀 타입일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맨홀(9)은 흄관(8)이 삽입되도록 콘크리트 맨홀(9)의 측면부에 내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흄관 소켓부(92)가 형성된다. 흄관 소켓부(91)에는 흄관(8)으로 이루어진 유입관 또는 유출관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흄관 소켓부(92)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는데, 복수 개의 흄관 소켓부(92) 중 하나에는 흄관(8)(흄관(8)으로 이루어진 유입관)의 단부가 삽입되고, 복수 개의 흄관 소켓부(92) 중 다른 하나에는 흄관(8)(휸관(8)으로 이루어진 유출관)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흄관 소켓부(92)는 측면부에 성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흄관(8) 단부가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맨홀(9)은 흄관 소켓부(92)가 내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흄관(8)은 외면의 단면이 원형일 수 있는데, 흄관 소켓부(92)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또한, 흄관 소켓부(92)는 외측에 단턱부(921)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흄관 소켓부(92)는 내측 소켓부 및 외측 소켓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내측 소켓부의 외측 단부의 내경(최대 내경)과 외측 소켓부의 내측 단부의 내경(최소 외경)은, 내측 소켓부와 외측 소켓부 사이에 단턱부(921)가 형성되도록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외측 소켓부의 내측 단부의 내경이 내측 소켓부의 외측 단부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내측 소켓부 및 외측 소켓부 중 하나 이상은 외측을 향할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참고로, 도 4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맨홀(9)은 복수의 흄관 소켓부(92)가 서로 같은 스펙(내경,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맨홀(9)에 있어서, 복수의 흄관 소켓부(92)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흄관 소켓부(92)와 다른 스펙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콘크리트 맨홀(9)의 복수의 흄관 소켓부(92)에 삽입되는 흄관(8)이 서로 다른 타입(이를 테면 서로 다른 사이즈(내경)을 가질 수 있음)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거푸집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거푸집 구조체는 기초 거푸집(12)을 포함한다. 기초 거푸집(12) 상에 후술하는 외부 거푸집(11), 블록부(13), 소켓 형성부(13) 등의 배치, 콘크리트 타설과 양생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초 거푸집(12) 상에서 콘크리트 맨홀(9)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맨홀(9)이 기초부를 포함하는 경우, 기초 거푸집(12)은 콘크리트 맨홀(9)의 기초부가 형성되도록 기초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맨홀(9)이 기초부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기초 거푸집(12)은 상면이 평면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거푸집 구조체는, 외부 거푸집(11)을 포함한다. 외부 거푸집(11)은 콘크리트 맨홀(9)의 측면부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이며, 내면이 콘크리트 맨홀(9)의 측면부의 외면과 대응하게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외부 거푸집(11)의 내면은 단면이 원형일 수 있다. 이러한 외부 거푸집(11)은 콘크리트 맨홀(9)의 측면부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거푸집(11)은 기초 거푸집(12) 상에 배치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거푸집 구조체는, 외부 거푸집(11)의 내측에 구비되는 블록부(13)를 포함한다. 블록부(13)는 콘크리트 맨홀(9)의 중공부(91)에 대응한다. 외부 거푸집(11)의 내측에 블록부(13)가 배치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블록부(13)가 위치했던 부분은 콘크리트 맨홀(9)의 중공부(91)가 될 수 있다. 또한, 블록부(13)는 외면이 콘크리트 맨홀(9)의 측면부의 내면과 대응하게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거푸집 구조체는, 소켓 형성부(14)를 포함한다. 소켓 형성부(14)는 흄관 소켓부(92)에 대응한다. 소켓 형성부(14)는 외부 거푸집(11)의 내면과 블록부(13)의 외면 사이에 구비된다. 소켓 형성부(14)는 외부 거푸집(11)의 내면과 블록부(13)의 외면 사이 중 외부 거푸집(11)의 둘레 방향으로의 흄관 소켓부(92) 형성 예정 지점(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의 흄관 소켓부(92) 형성 예정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시 소켓 형성부(92)가 위치했던 부분은 흄관 소켓부(92)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소켓 형성부(14)는 내측부(141) 및 흄관 소켓부(92)의 단턱부(921)가 형성되도록 내측부(141)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외측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 형성부(14)는 흄관 소켓부(92)와 대응될 수 있는데, 내측부(141)는 흄관 소켓부(92)는 내측 소켓부와 대응되고, 외측부(142)는 흄관 소켓부(92)의 외측 소켓부와 대응되며, 내측부(141)의 내경과 외측부(142)의 내경은, 단턱부(921)가 형성되도록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켓 형성부(14)에는 외측부(142)의 내측부(141)보다 소켓 형성부(14)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 소켓부의 내측 단부의 내경이 내측 소켓부의 외측 단부의 내경보다 클 수 있고, 내측 소켓부 및 외측 소켓부 중 하나 이상은 외측을 향할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외측부의 내측 단부의 내경(이를 테면, 최소 내경)은 내측부의 외측 단부의 내경(이를 테면, 최대 내경)보다 클 수 있고, 내측부 및 외측부 중 하나 이상은 외측을 향할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소켓 형성부(14)는 콘크리트 맨홀(9)에 흄관 소켓부(92)를 내장시키기 위해서 흄관 소켓부(92)의 외부 관경 및 내부 관경에 따라 이중 구조(2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흄관 소켓부(92)는 보조 형틀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소켓 형성부(14)에는 외측으로 개구된 개구부(149)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49)는 소켓 형성부(14)의 외측부(142)의 외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되, 내측부(141)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부(142)의 외면은 개구될 수 있고, 내측부(141)의 내면은 폐쇄될 수 있다.
도 7, 도 8,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내측부(141)의 내면(1411)에는 내측부(141)의 내면(1411)과 대향하는 블록부(13)의 외면의 일부와 대응하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블록부(13)는 외면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이므로, 내측부(141)의 내면(1411)에는 그가 접촉되는 블록부(13)의 외면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 도 8,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외측부(142)의 외면에는 외측부(142)의 외면과 대향하는 외부 거푸집(11)의 내면의 일부와 대응하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부 거푸집(11)의 내면은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이므로, 외측부(132)의 외면에는 그가 접촉되는 외부 거푸집(11)의 내면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9를 참조하면, 외측부(142)의 외면이 개구부(149)에 의해 개구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외측부(142)의 외면은 개구부(149)의 외부 거푸집(11)의 반경 방향(수평 방향 단면의 반경 방향)의 외측 단부를 감싸는 부분(1421), 다시 말해, 외측부(142)의 외면의 소켓 형성부(14)의 반경 방향으로의 테두리(1421)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외측부(142)의 외면의 소켓 형성부(14)의 반경 방향으로의 테두리(1421)는 그가 접촉되는 외부 거푸집(11)의 내면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외측부(142)의 내측부(141)보다 소켓 형성부(14)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내면(1422)에는 단턱부(921)와 대응하는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턱부(921)는 평면일 수 있다. 따라서, 단턱부(921)를 형성하는 외측부(142)의 내측부(141)보다 소켓 형성부(14)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내면(1422)은 평면일 수 있다.
또한, 소켓 형성부(14)는 외부 거푸집(11)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소켓 형성부(14)는 소켓 형성부(14)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개구부(149) 내에 구비되는 크로스바(143)를 포함할 수 있다. 크로스바(143)는 일단 및 타단 각각이 소켓 형성부(14)의 외측부(142)의 내면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켓 형성부(14)는 내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부(141)의 외면과 크로스바(143)를 연결하는 보조 연결부(143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연결부(1432)에 의해 크로스바(143)는 보조 연결부(1432)가 구비되지 않은 것 대비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보조 연결부(1432)는 일단이 내측부(141)의 외면에 용접될 수 있고, 타단이 크로스바(143)에 용접될 수 있다.
또한, 도 6,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외부 거푸집(11) 및 크로스바(143) 각각에는 나사 체결에 의해 소켓 형성부(14)를 외부 거푸집(11) 내면에 대하여 고정 가능하도록 수나사가 삽입되는 홀(112) 및 수나사가 체결되는 암나사부(1431) 각각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1을 참조하면, 외부 거푸집(11) 및 크로스바(143)는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거푸집(11)에는 수나사가 삽입되는 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크로스바(143)에는 수나사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부(14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을 참조하면, 수나사가 외부 거푸집(11)의 홀(112)을 통해 외부 거푸집(11) 내로 삽입되고 크로스바(143)의 암나사부(1431)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크로스바(143)는 외부 거푸집(11)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나사부(1431)는 수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암나사부(1431)는 크로스바(143)에 형성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나사는 너트 및 크로스바(143)의 홀에 삽입되며 너트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암나사부(1431)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나사부(143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홀(112)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켓 형성부(14)는 그가 배치되어야 하는 높이(흄관 소켓부(92)의 상하 방향으로의 형성 예정 높이)에 따라 복수 개의 홀(112) 중 하나에 대해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거푸집(11) 및 블록부(13)가 배치되고, 소켓 형성부(14)가 외부 거푸집(11)과 블록부(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소켓 형성부(14)가 정위치(설정된 둘레 방향으로의 위치 및 설정된 높이)에 배치되면, 외부 거푸집(11)의 외측에서 수나사가 홀(112)을 통해 삽입되어 크로스바(143)의 암나사부(1431)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수나사와 암나사부(1431)의 나사 조임에 따라 소켓 형성부(14)는 외부 거푸집(11)의 내면에 최대한 밀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외측부(142)의 소켓 형성부(14)의 반경 방향으로의 외측 단부(전술한 테두리(1421)) 상에는 쿠션 지지부(148)가 구비될 수 있다. 쿠션 지지부(148)는 탄성 변형 가능한 실링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 지지부(148)는 고무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거푸집(11)과 블록부(13) 사이로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콘크리트가 소켓 형성부(14)와 외부 거푸집(11) 사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거푸집(11)에 소켓 형성부(14)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체결은, 쿠션 지지부(148)의 적어도 일부가 소켓 형성부(14)와 외부 거푸집(11) 사이에서 압착되도록 나사 조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홀(112)을 통해 삽입되어 암나사부(1431)에 체결되는 수나사와 암나사부(1431)의 나사 결합이 진행됨에 따라, 소켓 형성부(14)와 외부 거푸집(11)이 가까워져 소켓 형성부(14)의 외측 단부와 외부 거푸집(11)의 내면 사이의 수밀성이 증가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나사 조임에 의해, 소켓 형성부(14)의 외측 단부와 외부 거푸집(11)의 내면 사이의 탄성 변형되는 쿠션 지지부(148)가 탄성 압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어, 소켓 형성부(14)와 외부 거푸집(11) 사이로의 콘크리트의 유입을 막는 수밀성이 보다 커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에 따르면, 외측부(142)의 외면은 곡면을 형성할 수 있고, 크로스 바(143)는 직선 형태로 연장(소켓 형성부(14)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구비될 수 있는바, 크로스바(143)의 암나사부(1431)와 수나사의 나사 결합이 진행됨에 따라 소켓 형성부(14)(외측부(142))가 탄성 변형 범위 내에서 탄성 변형되며 외부 거푸집(11)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어 수밀성이 더 커질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에 따르면, 소켓 형성부(14)가 외부 거푸집(11)의 내면에 대하여 외부 거푸집(11)의 외부에서의 나사 결합 작업을 통해 부착될 수 있고, 소켓 형성부(14)의 외면 중 소켓 형성부(14)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1421)에 쿠션 지지부(이를 테면, 고무 패킹)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의 유기적 조합에 따라, 외부에서의 나사 결합의 조임 정도를 높임에 따라 소켓 형성부(14)가 외부 거푸집(11)의 내면에 밀착되는 정도가 점점 높아져 거푸집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누출(이를 테면, 소켓 형성부(14)와 외부 거푸집(11) 사이로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에 따르면, 소켓 형성부(14)가 외부 거푸집(11)의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홀 중 하나에 대하여 나사 체결되므로, 필요에 따라, 소켓 형성부(14)는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며 복수의 홀 중 하나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 오차가 최소화되거나 요구되는 규격에 맞게 소켓 형성부(14)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측부(141)와 블록부(13) 사이로 콘크리트가 유입될 경우, 본 거푸집 구조체 내로의 콘크리트 타설과 양생 및 본 거푸집 구조체를 탈형 후 내측부(141)와 블록부(13) 사이로 유입된 콘크리트 부분의 제거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내측부(141)와 블록부(13) 사이의 콘크리트 유입은 이하와 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내측부(141)는 외측부(14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내외측 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측부(142)는 내외측 방향으로 통공된 관 형태일 수 있고, 내측부(141)는 적어도 일부가 외측부(142)에 삽입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내측부(141)는 외측부(14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내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내측부(141)는 외측부(142)로부터 탈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내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외측부(142)의 내외측 방향 길이 및 내측부(141)의 외측부(142)로부터 돌출된 내외측 방향 길이의 합은 외부 거푸집(11)의 내면과 블록부(13)의 외면 사이의 간격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외부 거푸집(11), 크로스바(143) 및 내측부(141) 각각에는 나사 체결에 의해 내측부(141)를 크로스 바(143)에 대하여 고정 가능하도록, 보조 수나사가 삽입되는 홀, 보조 수나사가 삽입되는 홀 및 수나사가 체결되는 보조 암나사부(1433) 각각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부 거푸집(11)에는 보조 수나사가 삽입되는 보조 외측 홀(117)이 형성될 수 있고, 크로스 바(143)에는 보조 수나사가 삽입되는 보조 내측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부(141)에는 보조 수나사가 나사 체결되는 보조 암나사부(1433)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암나사부(1433)는 내측부(141)의 외면 상에 구비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외측 홀(117)은 홀(11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웃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외측 홀(117)은 홀(112)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보조 외측 홀(117)은 홀(11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수나사와 보조 암나사부(1433)의 나사 체결량에 따라 내측부(141)는 내외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수나사와 보조 암나사부(1433)의 나사 체결량에 따라 내측(141)의 내외측으로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으며, 보조 수나사와 보조 암나사부(1433)는 내측부(141)가 블록부(13)에 밀착되게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소켓 형성부(14)는 블록부(13)의 외면과 밀착될 수 있고, 콘크리트의 소켓 형성부(14)와 블록부(13) 사이로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에 따르면, 외부 거푸집(11) 및 블록부(13)가 배치되고, 소켓 형성부(14)가 외부 거푸집(11)과 블록부(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소켓 형성부(14)가 정위치에 배치되면, 외부 거푸집(11)의 외측에서 수나사가 홀(112)을 통해 삽입되어 크로스바(143)의 암나사부(1431)에 나사 체결될 수 있고, 이 때, 수나사와 암나사부(1431)의 나사 조임에 따라 소켓 형성부(14)가 외부 거푸집(11)의 내면에 최대한 밀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거푸집(11)의 외측에서 보조 수나사가 보조 외측 홀(117) 및 보조 내측 홀을 통해 삽입되어 보조 암나사부(1433)에 나사 체결될 수 있으며, 보조 수나사와 보조 암나사부(1433)의 나사 체결량에 따라 내측(141)의 내외측으로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때 보조 수나사와 보조 암나사부(1433)는 내측부(141)가 블록부(13)에 밀착되게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켓 형성부(14)는 외부 거푸집(11)의 내면 및 블록부(13)의 외면 각각에 밀착되도록 외부 거푸집(11)과 블록부(13)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외부 거푸집(11)과 소켓 형성부(14) 사이로의 유입 및 소켓 형성부(14)와 블록부(13) 사이로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소켓 형성부(14)는 내측부(141)와 외측부(142) 사이로의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는 수밀 부재(14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밀 부재(146)는 고무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외부 거푸집(11)은 둘레 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복수 개의 블록(11a, 11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블록(11a, 11b) 각각은 둘레 방향으로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이 이웃하는 블록(11a, 11b)의 둘레 방향으로의 타단 및 일단 각각과 탈착(장착 및 탈거) 가능하게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블록(11a, 11b) 각각의 둘레 방향으로의 일단 및 타단은 외측으로 절곡되는 날개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블록(11a, 11b)은 서로 대향하는 날개에 체결을 위한 체결 홀(111)이 형성되며, 도 7을 참조하면, 체결 홀(111)에 체결부가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의 체결에 의해 복수 개의 블록(11a, 11b)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는 체결 홀(111)에 삽입되는 수나사(이를 테면 볼트) 및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이를 테면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거푸집(11)은 본 거푸집 구조체 내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성 후 본 거푸집 구조체가 해체될 때, 체결 홀(111)에 대한 체결부의 체결이 해제되어 복수 개의 블록(11a, 11b)이 분리됨으로써 해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거푸집 구조체의 해체는, 소켓 형성부(14)가 장착된 상태로 복수 개의 블록(11a, 11b)의 상호 체결이 해제되어 분리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르면, 별도로 소켓 형성부(14)를 해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 거푸집 구조체의 해체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구조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이하 '본 제조 방법'이라 함)에 관해 설명한다. 다만, 본 제조 방법은 전술한 본 거푸집 구조체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본 거푸집 구조체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 및 구성을 공유한다. 따라서, 전술한 본 거푸집 구조체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며,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제조 방법은, 전술한 본 거푸집 구조체를 조립하는 단계(제1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단계는 기초 거푸집(12)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계는 기초 거푸집(12) 상에 외부 거푸집(11)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계는 외부 거푸집(11)의 내부에 블록부(13)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계는 소켓 형성부(14)를 배치할 수 있다. 다만, 제1 단계에서, 외부 거푸집(11), 블록부(13), 소켓 형성부(14) 배치는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테면, 기초 거푸집(11) 상에 블록부(13)가 배치되고, 블록부(13)를 둘러싸도록 복수 개의 블록(11a, 11b)가 조리됨으로써 외부 거푸집(11)이 조립될 수 있고, 이 후, 소켓 형성부(14)를 외부 거푸집(11)과 블록부(13) 사이에 배치하되, 흄관 소켓부(92)가 형성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기초 거푸집(12) 상에 블록부(13)가 배치되고, 흄관 소켓부(14)가 그가 배치되어야 하는 위치에 대응되게 장착된 상태의 복수 개의 블록(11a, 11b)이 배치되며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거푸집(11), 블록부(13), 소켓 형성부(14) 배치는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소켓 형성부(14)는 외부 거푸집(11)과 나사 결합될 수 있는데, 소켓 형성부(14)와 외부 거푸집(11)을 연결하는 나사가 삽입되는 외부 거푸집(11)의 홀(112)은 외부 거푸집(11)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켓 형성부(14)는 그가 배치되어야 하는 높이(흄관 소켓부(92)의 상하 방향으로의 형성 예정 높이)에 따라 복수 개의 홀(112) 중 하나에 삽입되어 크로스바(143)의 암나사부(1431)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수나사와 암나사부(1431)의 나사 조임에 따라 소켓 형성부(14)는 외부 거푸집(11)의 내면에 최대한 밀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내측부(141)과 외측부(14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내외측 방향 이동이 가능한 경우, 소켓 형성부(14)가 정위치에 배치되면, 외부 거푸집(11)의 외측에서 수나사가 홀(112)을 통해 삽입되어 크로스바(143)의 암나사부(1431)에 나사 체결될 수 있고, 이 때, 수나사와 암나사부(1431)의 나사 조임에 따라 소켓 형성부(14)(외측부(142))가 외부 거푸집(11)의 내면에 최대한 밀착되는 상태가 될 수 있고, 외부 거푸집(11)의 외측에서 보조 수나사가 보조 외측 홀(117) 및 보조 내측 홀을 통해 삽입되어 보조 암나사부(1433)에 나사 체결될 수 있으며, 보조 수나사와 보조 암나사부(1433)의 나사 체결량에 따라 내측(141)의 내외측으로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때 보조 수나사와 보조 암나사부(1433)는 내측부(141)가 블록부(13)에 밀착되게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제조 방법은 거푸집 구조체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제2 단계)를 포함한다. 제2 단계는 외부 거푸집(11)과 블록부(13)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제2 단계에서 외부 거푸집(11)과 블록부(13) 사이에 철근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제조 방법은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구조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콘크리트 맨홀(이하 '본 콘크리트 맨홀'이라 함)(9)에 관해 설명한다. 다만, 본 콘크리트 맨홀은 전술한 본 거푸집 구조체 및 본 제조 방법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본 거푸집 구조체 및 본 콘크리트 맨홀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 및 구성을 공유한다. 따라서, 전술한 본 거푸집 구조체 및 본 제조 방법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며,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콘크리트 맨홀(9)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중공부(91)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 콘크리트 맨홀(9)은 기초부(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필요할 경우, 본 콘크리트 맨홀(9)은 하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를 테면, 본 콘크리트 맨홀(9)이 시공될 시공 장소에서 기초부가 형성되고, 기초부 상에 상하측으로 개구된 중공부(91)가 형성된 본 콘크리트 맨홀(9)이 거치될 수 있다. 즉, 본 콘크리트 맨홀(9)은 기초부를 포함하는 타입으로 제작장에서 일괄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본 콘크리트 맨홀(9)은 상하측으로 개구된 중공부(91)를 포함하며 기초부를 포함하지 않게 제작장에서 형성되고, 기초부는 별도의 시공 장소에서 시공되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콘크리트 맨홀(9)의 중공부(91)를 감싸는 측면부의 내면 및 외면 각각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이 형성된다. 즉, 본 콘크리트 맨홀(9)은 측면부의 외면이 원형인 원형 맨홀 타입일 수 있다.
또한, 본 콘크리트 맨홀(9)은 흄관(8)이 삽입되도록 본 콘크리트 맨홀(9)의 측면부에 내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흄관 소켓부(92)가 형성된다. 흄관 소켓부(91)에는 흄관(8)으로 이루어진 유입관 또는 유출관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흄관 소켓부(92)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는데, 복수 개의 흄관 소켓부(92) 중 하나에는 흄관(8)(흄관(8)으로 이루어진 유입관)의 단부가 삽입되고, 복수 개의 흄관 소켓부(92) 중 다른 하나에는 흄관(8)(휸관(8)으로 이루어진 유출관)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흄관 소켓부(92)는 측면부에 성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흄관(8) 단부가 밀착되어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콘크리트 맨홀(9)은 흄관 소켓부(92)가 내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흄관(8)은 외면의 단면이 원형일 수 있는데, 흄관 소켓부(92)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흄관 소켓부(92)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내장되는, 다시 말해, 측면부(벽체) 내부에 성형된 본 콘크리트 블록(9)이 구현될 수 있다. 흄관 소켓부(92)는 본 콘크리트 블록(9)과 흄관(8)의 결합시, 흄관(8)끼리 결합하는 것과 대응(동일)되는 방법으로 본 콘크리트 블록(9)과 흄관(8)을 연결구에 결합시켜 누수를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콘크리트 블록(9)에 흄관 소켓부(92)가 성형되어 본 콘크리트 블록(9)과 흄관(8)의 결합이 흄관(8)끼리 연결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콘크리트 맨홀의 생산, 야적 운반 방법을 동일한 방법으로 유지하면서도 불필요한 공간이나 별도의 생산 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흄관 소켓부(92)는 외측에 단턱부(921)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흄관 소켓부(92)는 내측 소켓부 및 외측 소켓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내측 소켓부의 외측 단부의 내경(최대 내경)과 외측 소켓부의 내측 단부의 내경(최소 외경)은, 내측 소켓부와 외측 소켓부 사이에 단턱부(921)가 형성되도록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외측 소켓부의 내측 단부의 내경이 내측 소켓부의 외측 단부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내측 소켓부 및 외측 소켓부 중 하나 이상은 외측을 향할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참고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콘크리트 맨홀(9)은 복수의 흄관 소켓부(92)가 서로 같은 스펙(내경,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를 참조하면, 본 콘크리트 맨홀(9)에 있어서, 복수의 흄관 소켓부(92)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흄관 소켓부(92)와 다른 스펙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본 콘크리트 맨홀(9)의 복수의 흄관 소켓부(92)에 삽입되는 흄관(8)이 서로 다른 타입(이를 테면 서로 다른 사이즈(내경)을 가질 수 있음)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외부 거푸집
111: 체결 홀
112: 홀
12: 기초 거푸집
13: 블록부
14: 소켓 형성부
141: 내측부
1411: 내면
142: 외측부
1421: 외측부의 외면의 소켓 형성부의 반경 방향으로의 테두리(외측 단부)
1422: 외측부의 내측부보다 소켓 형성부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내면
143: 크로스바
1431: 암나사부
1432: 보조 연결부
1433: 암나사부
8: 흄관
9: 콘크리트 맨홀
91: 중공부
92: 흄관 소켓부
921: 단턱부

Claims (6)

  1. 흄관이 연결되는 콘크리트 맨홀 제조를 위한 거푸집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맨홀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를 감싸는 측면부의 내면 및 외면 각각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흄관이 삽입되도록 측면부에 내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되 외측에 단턱부를 갖는 흄관 소켓부가 형성되는 맨홀이고,
    상기 거푸집 구조체는,
    기초 거푸집;
    상기 측면부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이며, 내면이 상기 측면부의 외면과 대응하게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초 거푸집 상에 배치되는 외부 거푸집;
    상기 외부 거푸집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콘크리트 맨홀의 중공부에 대응하며, 외면이 상기 측면부의 내면과 대응하게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블록부; 및
    상기 흄관 소켓부에 대응하며, 상기 외부 거푸집의 내면과 상기 블록부의 외면 사이에 구비되는 소켓 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켓 형성부는,
    내측부 및 상기 흄관 소켓부의 단턱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외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부의 내면에는 그와 대향하는 상기 블록부의 외면의 일부와 대응하는 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부의 외면에는 그와 대향하는 상기 외부 거푸집의 내면의 일부와 대응하는 곡면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의 상기 내측부보다 상기 소켓 형성부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내면에는 상기 단턱부와 대응하는 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 형성부에는 외측으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 형성부는 상기 소켓 형성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개구부 내에 구비되는 크로스 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거푸집 및 상기 크로스 바 각각에는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소켓 형성부를 상기 외부 거푸집 내면에 대하여 고정 가능하도록 수나사가 삽입되는 홀 및 수나사가 체결되는 암나사부 각각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의 상기 소켓 형성부의 반경 방향으로의 외측 단부 상에는 쿠션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 거푸집에 상기 소켓 형성부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체결은, 상기 쿠션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소켓 형성부와 상기 외부 거푸집 사이에서 압착되도록 나사 조임이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부는 상기 외측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내외측 방향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외부 거푸집, 상기 크로스바 및 상기 내측부 각각에는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내측부를 상기 크로스 바에 대하여 고정 가능하도록, 보조 수나사가 삽입되는 보조 외측 홀, 보조 수나사가 삽입되는 보조 내측 홀 및 보조 수나사가 체결되는 보조 암나사부 각각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수나사와 상기 보조 암나사의 나사 체결량에 따라 상기 내측부는 내외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소켓 형성부는 상기 외측부의 상기 내측부보다 상기 소켓 형성부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내면과 상기 내측부 사이로의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는 수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거푸집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따른 거푸집 구조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으로서,
    (a) 상기 거푸집 구조체를 조립하는 단계; 및
    (b) 상기 거푸집 구조체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거푸집 구조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6. 제5 항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콘크리트 맨홀로서,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를 감싸는 측면부의 내면 및 외면 각각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흄관이 삽입되도록 측면부에 내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되 외측에 단턱부를 갖는 흄관 소켓부가 형성되는 콘크리트 맨홀.
KR1020200144465A 2020-11-02 2020-11-02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 KR102477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465A KR102477764B1 (ko) 2020-11-02 2020-11-02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465A KR102477764B1 (ko) 2020-11-02 2020-11-02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183A KR20220059183A (ko) 2022-05-10
KR102477764B1 true KR102477764B1 (ko) 2022-12-15

Family

ID=8159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465A KR102477764B1 (ko) 2020-11-02 2020-11-02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7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597Y1 (ko) * 2001-12-17 2002-04-12 (주)엔포텍워터 맨홀의 관로접속구 및 관로접속구 형성용 거푸집
KR200372423Y1 (ko) * 2004-10-12 2005-01-15 대주산업 주식회사 관로구 방수관용 길이조절 장치
KR101817278B1 (ko) * 2016-10-04 2018-01-11 최달헌 맨홀 제조장치, 이에 의한 맨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923B1 (ko) * 2013-03-26 2014-10-31 최홍규 맨홀제작용 거푸집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597Y1 (ko) * 2001-12-17 2002-04-12 (주)엔포텍워터 맨홀의 관로접속구 및 관로접속구 형성용 거푸집
KR200372423Y1 (ko) * 2004-10-12 2005-01-15 대주산업 주식회사 관로구 방수관용 길이조절 장치
KR101817278B1 (ko) * 2016-10-04 2018-01-11 최달헌 맨홀 제조장치, 이에 의한 맨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183A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48442A1 (en) Rainwater storage and infiltration facility
KR100639359B1 (ko) 조립식 맨홀
KR100890825B1 (ko) 관 일체형 조립식 콘크리트 맨홀블럭의 성형몰드 및 이를이용한 맨홀블럭 제조방법
JP6526447B2 (ja) 弁体撤去装置
US12037761B2 (en) Strut connector
KR102477764B1 (ko)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
KR100749823B1 (ko)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연결방법
KR101566229B1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101110729B1 (ko) 선박
KR100665210B1 (ko) 맨홀 제작용 콘크리트 거푸집
KR101455923B1 (ko) 맨홀제작용 거푸집 제조방법
KR101330998B1 (ko) 지수단관 연결접속관 일체형 맨홀 제조장치
KR200345860Y1 (ko) 흄관 연결 구조물
KR20090078316A (ko)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JP6471043B2 (ja) 筒部の補修部材、それを備えた地下排水施設、および筒部の補修方法
KR102257516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보강용 콘크리트 블록 연결구조체
KR101856810B1 (ko) 터널 내부 라이닝 시공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체결박스, 그 체결박스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및 터널 내부 라이닝 시공방법
KR200414288Y1 (ko) 유체이송관 분기용 내측와셔
CN102416667B (zh) 承插式钢筋砼管的制造方法
KR20080058295A (ko)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연결방법
KR20150002706U (ko) 구체연결부 보강식 조립식 맨홀
KR100733583B1 (ko) 맨홀거푸집
KR101304987B1 (ko) 소켓 및 커넥터 일체형 조립식 pc맨홀
KR101496635B1 (ko) 소켓 및 커넥터 일체형 조립식 pc맨홀의 제작방법
KR101616117B1 (ko)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