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278B1 - 맨홀 제조장치, 이에 의한 맨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 - Google Patents

맨홀 제조장치, 이에 의한 맨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278B1
KR101817278B1 KR1020160127649A KR20160127649A KR101817278B1 KR 101817278 B1 KR101817278 B1 KR 101817278B1 KR 1020160127649 A KR1020160127649 A KR 1020160127649A KR 20160127649 A KR20160127649 A KR 20160127649A KR 101817278 B1 KR101817278 B1 KR 101817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jig
manhole
mold
diame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달헌
Original Assignee
최달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달헌 filed Critical 최달헌
Priority to KR1020160127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2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009Shaping of pre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68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for holders or similar hollow articles, e.g. vaults, sewer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제조장치, 이에 의한 맨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맨홀의 제조장치는, 접속관이 삽입되는 맨홀의 접속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접속구의 내측을 형성하는 커넥터조립용 내측지그, 상기 내측지그와 연결되며 상기 접속구의 외측을 형성하는 커넥터조립용 외측지그 및 상기 내측지그와 상기 외측지그 사이에 삽입되어 맨홀 제조시 콘크리트가 상기 내측지그 및 외측지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조립유닛, 상기 커넥터조립유닛과 연결되며, 맨홀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몰드, 상기 내측지그와 연결되며, 맨홀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몰드 및 상기 외부몰드와 상기 커넥터 조립유닛을 결합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맨홀 제조장치, 이에 의한 맨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Manufacturing Equipment For A Manhole, Its Manufacturing Method Of A Manhole And Its Assembly Type Manhole Having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일체형 맨홀을 제조하는 장치, 상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커넥터 일체형 맨홀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맨홀 제조장치와 맨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등록특허 제10-0626836호인 맨홀의 관 결합구조에 관한 종래기술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볼트(80)의 조임력이 덧댐링(70)을 압착하며, 상기 덧댐링(70)의 압착력으로 고무패킹(60)을 맨홀(20)에 형성된 관로접속구(21)에 밀착 설치하는데 있어서, 상기 관로접속구(21) 콘크리트면의 평활도(smoothness, 平滑度)가 떨어지는 경우, 고무패킹(60)과 콘크리트 경계부의 수밀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관로접속구(21)에 매립된 앵커(50)의 나사산이 훼손되거나 정착력이 떨어지는 경우 수밀(水密)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관경이 큰 하수관을 연결하는 경우 많은 수량의 앵커(50)가 필요하므로,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앵커(50) 매입, 고무패킹(60) 설치, 볼트(80) 체결, 하수관 연결 등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맨홀 제조장치를 커넥터조립유닛, 맨홀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몰드, 맨홀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몰드 및 상기 외부몰드와 상기 커넥터 조립유닛을 결합하는 고정볼트로 구성하여 맨홀의 제조장치를 용이하게 제작하고자 하며, 상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맨홀을 성형한 후, 상기 제조장치를 용이하게 내부몰드 및 외부몰드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커넥터가 결합된 내측지그를 외측지그의 결합홀에 삽입하여, 유입방지판의 일단이 상기 커넥터의 지그삽입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접촉함으로써, 맨홀을 제작하는 경우, 내측지그 및 외측지그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제1,제2확장유도홈을 커넥터의 지그삽입부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그삽입부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접속관부터 상기 지그삽입부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의 접속관 등 다양한 크기의 접속관을 커넥터에 삽입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맨홀에 제2단턱부 및 경사부에 의한 밴드체결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체결밴드를 커넥터의 접힘부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월하게 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맨홀 제조장치는, 접속관이 삽입되는 맨홀의 접속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접속구의 내측을 형성하는 커넥터조립용 내측지그, 상기 내측지그와 연결되며 상기 접속구의 외측을 형성하는 커넥터조립용 외측지그 및 상기 내측지그와 상기 외측지그 사이에 삽입되어 맨홀 제조시 콘크리트가 상기 내측지그 및 외측지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조립유닛, 상기 커넥터조립유닛과 연결되며, 맨홀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몰드, 상기 내측지그와 연결되며, 맨홀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몰드 및 상기 외부몰드와 상기 커넥터 조립유닛을 결합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지그는 상기 내부몰드와 일면이 접하는 내부단판, 상기 내부단판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관로형성부, 상기 관로형성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커넥터고정부를 포함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부몸체 및 상기 내부단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단판지지통 및 상기 단판지지통의 상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외부단판을 포함하는 내부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고정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직경이 증가되도록 상기 단차부로부터 직각 방향을 기준으로 완만한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단판은 상기 외부단판의 중앙부 상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 상기 외부단판을 관통하도록 상기 가이드돌기의 내부에 형성된 중앙너트부 및 상기 중앙너트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된 조립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는 상기 내측지그의 커넥터고정부를 삽입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직경이 증가되는 상기 커넥터고정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지그삽입부 및 상기 지그삽입부로부터 수평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접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힘부의 외측 내주면에는 수밀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그삽입부의 외주면 내측에는 제1앵커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그삽입부의 외주면 외측에는 제2앵커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앵커돌기가 돌출된 상기 지그삽입부의 내주면에는 제1확장유도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앵커돌기가 돌출된 상기 지그삽입부의 내주면에는 제2확장유도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의 지그삽입부 내주면은 상기 커넥터고정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커넥터의 접힘부는 상기 지그삽입부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접혀서, 상기 접힘부의 내주면이 상기 커넥터고정부의 내주면을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지그는 상기 커넥터고정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커넥터의 접힘부위 및 상기 외부단판의 상면에 하면이 접촉되는 중간단판, 상기 중간단판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외측방향을 따라 직경이 증가하도록 경사방향으로 형성되는 측판 및 상기 측판의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만큼 연장형성되어, 상기 중간단판과의 사이에 결합홀을 형성하고, 일단이 상기 커넥터의 지그삽입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접촉되어, 맨홀 제조시 콘크리트가 상기 내측지그 및 외측지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단판은 상기 조립너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조립너트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조립홈부 및 상기 중앙너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중앙너트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중앙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홈부의 내경은 상기 가이드돌기의 외경에 대응될 수 있다.
커넥터조립유닛은 상기 조립홈부를 관통하여 상기 조립너트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내측지그 및 상기 외측지그를 밀착결합하는 조립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몰드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고정홈을 관통하여 상기 중앙너트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외부 몰드 및 커넥터조립유닛을 밀착결합될 수 있다.
내부 몰드는 상기 내측지그의 내부단판과 연결되어 커넥터조립유닛의 외부 및 상기 내부 몰드와 외부 몰드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맨홀 제조방법은, 맨홀 제조장치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맨홀 제조장치의 커넥터조립유닛의 외부 공간 및 상기 내부 몰드와 외부 몰드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 및 상기 맨홀 제조장치를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맨홀 제조장치를 제작하는 단계는 커넥터조립유닛을 제작하는 단계, 외부몰드에 상기 커넥터조립유닛을 연결하는 단계 및 내부몰드에 상기 커넥터조립유닛의 내측지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탈형단계는 커넥조립유닛으로부터 고정볼트를 해체하는 단계, 외부몰드를 외측지그로부터 해체하는 단계, 조립볼트를 해체하는 단계, 외측지그를 내측지그로부터 해체하는 단계, 내측지그를 커넥터로부터 해체하는 단계 및 내부몰드를 맨홀로부터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탈형단계 이후에는 접속관 연결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관 연결단계는
접속관을 커넥터에 삽입하는 단계 및 체결밴드를 상기 커넥터의 접힘부 외주면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맨홀은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와 함께 접속관이 삽입되는 접속구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콘크리트부는 상기 접속구의 내측을 형성하며, 접속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1측면부, 상기 제1측면부로부터 외측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접속관의 일단과 접하는 제1단턱부, 상기 제1단턱부로부터 직각 방향을 기준으로 완만한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지그삽입부의 외주면 및 제1, 제2앵커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지그삽입부의 내주면과 함께 상기 접속구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제2측면부, 상기 커넥터의 접힘부의 시작지점과 대응되는 상기 제2측면부로부터 외측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단턱부, 외측방향으로 직경이 증가되도록 상기 제2단턱부로부터 직각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단턱부와 함께 밴드체결공간을 형성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측면부 및 상기 지그삽입부의 내측 내주면은 접속관의 내측 외주면과 접하며, 외측방향으로 내경이 증가되도록 완만한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속관의 외측 외주면과 이격거리가 완만하게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의 접힘부는 상기 지그삽입부의 끝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형성되어 접속관의 외주면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의 접힘부는 상기 제2단턱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앵커돌기는 상기 지그삽입부의 외주면을 상기 제2측면부에 밀착결합하여, 접속구 내부의 유체 누설 및 상기 지그삽입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2측면부 사이에 외부의 유체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앵커돌기는 상기 지그삽입부의 외주면 외측을 상기 제2측면부에 밀착결합하여, 상기 지그삽입부가 완만한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맨홀 제조장치, 이에 의한 맨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맨홀의 제조장치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맨홀을 성형한 후, 상기 제조장치를 용이하게 내부몰드 및 외부몰드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맨홀을 제작하는 경우, 내측지그 및 외측지그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제1,제2확장유도홈을 지그삽입부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그삽입부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접속관부터 상기 지그삽입부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의 접속관 등 다양한 크기의 접속관을 커넥터에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맨홀에 제2단턱부 및 경사부에 의해 밴드체결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결밴드를 커넥터의 접힘부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수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맨홀의 관 결합구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맨홀의 내측지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맨홀의 외측지그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맨홀의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맨홀의 내측지그와 외측지그를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맨홀의 커넥터조립유닛에 외부몰드 및 내부몰드를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맨홀을 제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맨홀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맨홀에 접속관을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맨홀을 제조하는 방법의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그 형상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 일체형 맨홀을 제조하는 장치, 상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커넥터 일체형 맨홀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맨홀 제조장치 및 맨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맨홀 제조장치 및 맨홀 제조방법을 병합적으로 설명한 후,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를 제작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상기 맨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작된 맨홀(2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는 개략적으로, 커넥터조립유닛(500), 맨홀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몰드(700), 맨홀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몰드(600) 및 상기 외부몰드(600)와 상기 커넥터조립유닛(500)을 결합하는 고정볼트(400)로 구성된다.
커넥터조립유닛(500)은 후술할 맨홀 제작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맨홀(20)에 접속관(800)이 삽입되는 접속구(S)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내측지그(200), 외측지그(300), 커넥터(100) 및 조립볼트(290)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내측지그(200)는 외부몸체(230) 및 상기 외부몸체(230)의 수용공간에 형성되는 내부몸체(270)로 구성된다.
외부몸체(230)에 구비된 내부단판(231)의 하면은 커넥터 일체형 맨홀을 제작하는 경우 사용되는 내부몰드(700)의 일면과 접한다.
맨홀은 외주면이 원형 또는 측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맨홀을 제작하는 경우 각각 외주면이 원형 또는 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내부몰드(700) 및 외부몰드(600)를 사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주면 및 외주면이 원형인 맨홀을 제작하기 위한 맨홀 제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지그(200)에 구비된 외부몸체(230)의 내부단판(231)은 외주면이 원형인 내부몰드(700)에 대응되도록 중앙부가 외측으로 만곡된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각형의 맨홀, 즉, 측면이 평면인 맨홀인 경우는, 외부몸체(230)의 내부단판(231)은 측면이 평면인 내부몰드(700)에 대응되도록 평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관로형성부(232)는 상기 내부단판(231)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관로형성부(232)의 직경은 접속구(S)에 삽입되는 접속관(800)의 내경에 대응된다.
단차부(233)는 상기 관로형성부(232)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단차부(233)의 너비는 접속구(S)에 삽입되는 접속관(800)의 두께에 대응된다.
커넥터고정부(234)는 상기 단차부(233)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데, 보다 정확히는, 상기 단차부(233)로부터 직각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완만한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고정부(234)의 직경은 외측방향을 따라 완만하게 증가된다.
이는, 맨홀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고정부(234)를 포함하는 내측지그(200)를 후술할 커넥터(100)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함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내측지그(200)의 내부몸체(270)는 외부몸체(230)의 수용공간에 형성된다.
상기 내부몸체(270)의 단판지지통(271)은 원통의 형상으로, 일단이 내부단판(231)의 상면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외부단판(273)은 상기 단판지지통(271)의 상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외부단판(273)의 중앙부 상면에는 가이드돌기(274)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274)의 내부에는 외부단판(273)과 관통된 중앙너트부(275)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너트부(275)의 내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너트부(275)에는 후술할 고정볼트(400)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돌기(274)는 고정볼트(400)가 중앙너트부(275)로 용이하게 안내되기 위하여 내면이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너트부(277)는 외부단판(273)의 상면에서, 중앙너트부(275)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너트부(277)의 내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너트부(277)에는 후술할 조립볼트(290)가 나사결합된다.
도 5 내지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커넥터(100)는 전술한 내측지그(200)와 후술할 외측지그(300) 사이에 삽입되어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를 이용한 맨홀을 제조하는 경우, 콘크리트(900)가 상기 내측지그(200) 및 외측지그(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커넥터(100)는 합성고무, 연질 PVC 등의 유연성 및 탄성을 가지며, 양생열에 의해 쉽게 변형이 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100)의 지그삽입부(130)에는 내측지그(200)의 커넥터고정부(234)가 삽입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고정부(234)는 단차부(233)로부터 직각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완만한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지그삽입부(130)의 내주면이 커넥터고정부(234)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지그삽입부(130)는 커넥터고정부(234)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지그삽입부(130) 역시, 길이방향을 따라 완만한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부(150)는 지그삽입부(130)의 끝단으로부터 수평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는 상기 접힘부(150)가 상기 지그삽입부(130)와 같이,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직경이 증가하면, 상기 접힘부(150)를 지그삽입부(130)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접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접힘부(150)의 원래 형태는 위와 같이 지그삽입부(130)의 끝단으로부터 수평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나, 맨홀 제조장치의 본 실시예에서는, 접힘부(150)가 지그삽입부(130)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접혀서, 상기 접힘부(150)의 내주면이 상기 커넥터고정부(234)의 내주면을 감싸게 된다.
결과적으로, 내측지그(200)에 형성된 외부몸체(230)의 커넥터고정부(234)와 커넥터(100)가 밀착결합된다.
커넥터(100)가 내측지그(200)의 커넥터고정부(234)에 삽입되는 길이는 후술할 외부몰드(600) 및 내부몰드(700) 사이의 거리에 의하여 조절된다. 커넥터(100)의 접힘부(150)에는 후술할 체결밴드(50)가 체결되어야 하는데, 접힘부(150)에 체결밴드(50)가 체결되기 위해서는 상기 접힘부(150)가 일정길이만큼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작되는 맨홀의 두께를 고려하여 커넥터(100)가 내측지그(200)의 커넥터고정부(234)에 삽입되는 삽입지점이 결정된다.
지그삽입부(130)와 접힘부(150)의 경계부는 후술할 외측지그(300)의 중간단판(320)의 하면이 접촉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터(100)의 접힘부(150)의 외측 내주면에는 수밀돌기(155)가 형성되고, 지그삽입부(130)의 외주면 내측에는 제1앵커돌기(131) 및 제2앵커돌기(13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앵커돌기(131) 및 제2앵커돌기(132)가 돌출된 상기 지그삽입부(130)의 내주면에는 각각 제1확장유도홈(171) 및 제2확장유도홈(1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밀돌기(155), 제1,제2앵커돌기(131, 132) 및 제1,제2확장유도홈(171, 17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외측지그(300)는 내측지그(200)와 연결되며 접속관(800)이 삽입되는 접속구(S)의 외측을 형성한다.
외측지그(300)의 중간단판(320)은 전술한 내측지그(200)의 커넥터고정부(234)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중간단판(320)의 하면은, 커넥터(100)의 접힘부위 및 외부단판(273)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내측지그(200)와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단판(320)은 십자 형상에 원형의 형상이 더해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외측지그(300)와 내측지그(200)가 결합되는 구조 및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측판(350)은 상기 중간단판(320)의 외주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며, 외측방향을 따라 직경이 증가하도록 경사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판(350)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작된 맨홀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후술할 밴드체결공간(B)을 형성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측판(350)의 직경이 증가되도록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것은 측판(350)이 포함된 외측지그(300)를 상기 맨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주면 및 외주면이 원형인 맨홀을 제작하기 위한 맨홀 제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지그(300)의 측판(350)의 끝단은 내주면이 원형인 외부몰드(600)에 대응하도록 중앙부가 내측으로 만곡된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각형의 맨홀, 즉, 측면이 평면인 맨홀인 경우는, 외측지그(300)의 측판(350)은 측면이 평면인 외부몰드(600)에 대응되도록 평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입방지판(370)은 측판(350)의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만큼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중간단판(320)과 상기 유입방지판(370)의 사이에는 결합홀(37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372)에는 커넥터(100)가 결합된 내측지그(200)가 삽입된다.
상기 결합홀(372)의 직경은 내측지그(200)의 커넥터고정부(234)와 결합된 커넥터(100)의 두께 부분까지의 전체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100)가 결합된 내측지그(200)가 상기 결합홀(372)에 삽입되면, 상기 유입방지판(370)의 일단이 상기 커넥터(100)의 지그삽입부(1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접촉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을 제작하는 경우, 내측지그(200) 및 외측지그(300)의 내부로 콘크리트(900)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내측지그(200)와 외측지그(300)가 결합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도 4, 도 6 및 도7을 참조하면,
내측지그(200)의 외부단판(273)에 형성된 복수개의 조립너트부(277)와 연통될 수 있도록, 외측지그(300)의 중간단판(320)에는 상기 조립너트부(277)와 대응되는 위치에 조립홈부(327)가 형성된다.
외측지그(300)의 중간단판(320)의 하면은 내측지그(200)의 외부단판(273)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중간단판(320)에 형성된 조립홈부(327)와 상기 외부단판(273)에 형성된 조립너트부(277)는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너트부(277)의 내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립볼트(290)를 상기 조립홈부(327)를 관통하여 상기 조립너트부(277)에 나사결합을 하면, 외측지그(300)와 내측지그(200)가 결합된 커넥터조립유닛(500)이 완성된다.
그리고, 내측지그(200)의 중앙너트부(275)와 연통될 수 있도록, 외측지그(300)의 중간단판(320)에는 상기 중앙너트부(275)와 대응되는 위치에 중앙홈부(325)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홈부(325)의 내경은 가이드돌기(274)의 외경에 대응된다.
이하, 외부몰드(600), 내부몰드(700) 및 커넥터조립유닛(500)이 결합된 본 발명에 다른 맨홀의 제조장치 및 상기 맨홀의 제조장치를 제작하는 제작단계(S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우선,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조립유닛(500)을 제작한다(커넥터조립유닛 제작 단계(S11)).
외부몰드(600)에는 고정볼트(400)가 통과되는 고정홈(65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너트부(275)가 상기 고정홈(650)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외측지그(300)의 측판(350)을 상기 외부몰드(600)에 밀착시킨다.
이후, 고정볼트(400)를 고정홈(650)에 관통시켜서 중앙너트부(275)에 나사결합하면, 외부몰드(600)에 커넥터조립유닛(500)이 밀착 결합된다(외부몰드에 커넥터조립유닛을 연결하는 단계(S12)).
그리고, 내부몰드(700)에 내측지그(200)의 내부단판(231)을 밀착시킨 후, 상기 내부몰드(700)와 외부몰드(600)를 제조몰드베이스(미도시)에 볼트 등으로 결합한다(내부몰드에 커넥터조립유닛의 내측지그를 연결하는 단계(S13)).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의 제조장치가 완성된다.
도 7,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맨홀의 제조장치를 제작(S10)한 후에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S20)를 포함한다.
맨홀의 제조장치가 완성되면, 커넥터조립유닛(500)의 외부 및 내부몰드(700)와 외부몰드(600) 사이에 콘크리트(900)가 타설되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공간에 콘크리트(900)를 타설하면 된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 단계(S20) 이후에는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900)를 양생(curing, 養生)한다(양생 단계(S30)). 양생은 증기양생(steam curing, 蒸氣養生) 또는 기중양생 등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양생이 이루어지면, 콘크리트(900)가 커넥터(100)의 지그삽입부(130) 외주면과 제1,제2앵커돌기(131, 132)와 함께 굳게 된다.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양생 단계(S30) 이후에는, 탈형(removal of forms, 脫型)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이하, 탈형단계(S40)라 한다.
상기 탈형단계(S40)는 맨홀의 제조장치에서 커넥터(100)가 결합된 콘크리트(900)만을 남겨 두고, 외부몰드(600), 내부몰드(700), 외측지그(300) 및 내측지그(200)를 분리하는 것을 말한다.
탈형단계(S40)는 다음과 같다.
우선, 양생이 이루어진 맨홀의 제조장치에서, 고정볼트(400)를 해체한다(고정볼트 해체 단계(S41)).
그리고, 외부몰드(600)를 외측지그(300)로부터 분리한다(외부몰드 해체단계(S42)).
그리고, 조립볼트(290)를 해체(조립볼트 해체단계(S43))하여 외측지그(300)를 내측지로부터 분리한다(외측지그 해체단계(S44)).
그리고, 내측지그(200)의 커넥터고정부(234)에 내측으로 접혀 있는 커넥터(100)의 접힘부(150)를 다시 외측으로 펼친 후에 상기 내측지그(200)를 커넥터(100)로부터 분리한다(내측지그 해체단계(S45)).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고정부(234)는 단차부(233)로부터 직각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완만한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고정부(234)를 포함하는 내측지그(200)를 커넥터(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내부몰드(700)를 맨홀(20)의 콘크리트(900)로부터 분리한다(내부몰드 해체단계(S46)).
그러면, 콘크리트(900)와 커넥터(100)가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맨홀(20)이 완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맨홀(20)의 구성 및 상기 맨홀(20)에 접속관(800)이 삽입된 경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커넥터 일체형 맨홀(20)은 전술한 커넥터(100) 및 상기 커넥터(100)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100)와 함께 접속관(800)이 삽입되는 접속구(S)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부(900)로 구성된다.
콘크리트부(900)의 제1측면부(910)는 접속구(S)의 내측을 형성하며, 상기 접속구(S)에 접속되는 접속관(800)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L1)을 가진다.
제1단턱부(920)는 상기 제1측면부(910)로부터 외측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접속관(800)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접속관(800)의 일단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단턱부(920)의 너비는 삽입되는 접속관(800)의 두께와 대응된다.
제2측면부(930)는 상기 제1단턱부(920)로부터 직각 방향을 기준으로 완만한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커넥터(100)의 지그삽입부(130) 외주면 및 제1,제2앵커돌기(131, 132)와 결합되어, 상기 지그삽입부(130)의 내주면과 함께 접속관(800)이 삽입되는 접속구(S)의 중앙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2측면부(930) 및 지그삽입부(130)의 내측 내주면은 접속관(800)의 내측 외주면과 접하며, 상기 제2측면부(930) 및 지그삽입부(130)는 외측방향을 따라 그 내경(L2)이 증가되도록 완만한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그삽입부(130)의 내주면과 접속관(800)의 외측 외주면과의 이격거리가 완만하게 증가된다.
그리고, 접힘부(150)는 상기 지그삽입부(130)의 끝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힘부(150)의 내부면과 접속관(800)의 외주면과의 이격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접힘부(150)는 제2단턱부(94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2단턱부(940)는 커넥터(100)의 접힘부(150)의 시작지점과 대응되는 제2측면부(930)로부터 외측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경사부(950)는 외측방향으로 직경이 증가되도록 상기 제2단턱부(940)로부터 직각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단턱부(940)와 함께 후술할 밴드체결공간(B)을 형성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탈형단계(S40) 이후에는, 접속관(800)을 맨홀에 연결하는 단계(접속관 연결단계(S50))를 더 포함한다.
우선, 접속관(800)을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맨홀에 삽입한다(접속관 삽입단계(S51)).
그리고, 커넥터(100)의 접힘부(150) 외주면에 체결밴드(50)를 체결볼트(70)로 고정하여 접속관(800)의 외주면과 접힘부(150)의 내주면을 밀착시킨다.
이로써, 접속구(S)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외부의 유체가 상기 접힘부(150)의 내주면과 접속관(800)의 외주면 사이로 스며드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20)에는 제2단턱부(940) 및 경사부(950)에 의해 밴드체결공간(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결밴드(50)를 커넥터(100)의 접힘부(150)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수월하다.
도 5,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접힘부(150)의 외측 내주면에는 수밀돌기(15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밀돌기(155)는 접속관(8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밴드(50)로 접속관(800)과 커넥터(100)의 접힘부(150)를 밀착시키면, 상기 수밀돌기(155)에 의해 접속구(S)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외부의 유체가 상기 접힘부(150)의 내주면과 접속관(800)의 외주면 사이로 스며드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지그삽입부(130)의 외주면 내측에는 제1앵커돌기(131)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그삽입부(130)의 외주면 외측에는 제2앵커돌기(13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제1앵커돌기(131)는 지그삽입부(130)의 외주면 내측, 즉, 상기 제1앵커돌기(131)가 위치한 지그삽입부(130)의 외주면 부분을 제2측면부(930)에 밀착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지그삽입부(130)의 외주면과 상기 제2측면부(930) 사이에 외부의 유체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접속구(S)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
제2앵커돌기(132)는 지그삽입부(130)의 외주면 외측, 즉, 상기 제2앵커돌기(132)가 위치한 지그삽입부(130)의 외주면 부분을 제2측면부(930)에 밀착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앵커돌기(131)와 마찬가지로 수밀효과 및 유체 유입방지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위와 같이, 제2앵커돌기(132)는 지그삽입부(130)의 외주면 외측을 제2측면부(930)에 밀착결합시키므로, 지그삽입부(130)가 완만한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 또한 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앵커돌기(131)가 돌출된 지그삽입부(130)의 내주면에는 제1확장유도홈(171)이 형성되어 있고, 제2앵커돌기(132)가 돌출된 상기 지그삽입부(130)의 내주면에는 제2확장유도홈(172)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100)에 삽입되는 접속관(800)은 그 종류가 PVC관, PE관, PVC이중벽관, 흄관(hume pipe) 등으로 다양하고, 상기 접속관(800)들은 그 두께 및 직경이 다양하므로, 동일한 규격의 커넥터(100)에 상기 접속관(800)들을 삽입하는 경우, 그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커넥터(100)에 상기 제1,제2확장유도홈(171, 172)이 없는 경우, 상기 커넥터(100)의 지그삽입부(130)의 직경(D1)보다 약간 큰 직경(D2)의 접속관(800)을 삽입하는 경우, 돌출된 제1,제2앵커돌기(131, 132)에 의해 상기 제1,제2앵커돌기(131, 132)가 위치한 커넥터(100)의 지그삽입부(130)의 내경이 늘어나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 제1,제2확장유도홈(171, 172)을 지그삽입부(130)에 형성하여, 상기 지그삽입부(130)가 늘어나는 것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지그삽입부(130)의 직경(D1)보다 약간 큰 직경(D2)의 접속관(800)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국, 상기 제1,제2확장유도홈(171, 172)을 지그삽입부(130)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그삽입부(130)의 직경(D1)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접속관(800)부터 상기 지그삽입부(130)의 직경(D1)보다 약간 큰 직경의 접속관(800) 등 다양한 크기의 접속관(800)을 커넥터(100)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직경(D2)보다도 더 큰 직경의 접속관(800)을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는,
전술한 맨홀 제조장치 제작 단계(S10)에서, 내측지그(200)의 외부몸체(230)에 형성된 커넥터고정부(234)의 외경을 상기 접속관(80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형성하고,
커넥터(100)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졌으므로, 상기 커넥터(100)를 커넥터고정부(234)에 결합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 및 콘크리트부(900)로 구성된 맨홀(20)을 제작하면,
상기 D2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접속관(800)을 상기 맨홀(20)에 구비된 커넥터(100)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즉, 커넥터고정부(234)의 외경을 직경이 큰 접속관(80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고정부(234)에 신축성이 있는 커넥터(100)를 삽입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맨홀(20)을 제작함으로써, 동일한 규격의 커넥터(100)에 다양한 크기의 접속관(800)을 삽입할 수 있는 호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접힘부(150)의 외측 내주면에는 수밀돌기(15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밀돌기(155)는 접속관(8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밴드(50)로 접속관(800)과 커넥터(100)의 접힘부(150)를 밀착시키면, 상기 수밀돌기(155)에 의해 접속구(S)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외부의 유체가 상기 접힘부(150)의 내주면과 접속관(800)의 외주면 사이로 스며드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20: 맨홀 50: 체결밴드
70: 체결볼트 100: 커넥터
130: 지그삽입부 131: 제1앵커돌기
132: 제2앵커돌기 150: 접힘부
155: 수밀돌기 171: 제1확장유도홈
172: 제2확장유도홈 200: 내측지그
230: 외부몸체 231: 내부단판
232: 관로형성부 233: 단차부
234: 커넥터고정부 270: 내부몸체
271: 단판지지통 273: 외부단판
274: 가이드돌기 275: 중앙너트부
277: 조립너트부 290: 조립볼트
300: 외측지그 320: 중간단판
325: 중앙홈부 327: 조립홈부
350: 측판 370: 유입방지판
372: 결합홀 400: 고정볼트
500: 커넥터조립유닛 600: 외부몰드
650: 고정홈 700: 내부몰드
800: 접속관 900: 콘크리트
910: 제1측면부 920: 제1단턱부
930: 제2측면부 940: 제2단턱부
950: 경사부 B: 밴드체결공간
S: 접속구

Claims (28)

  1. 접속관이 삽입되는 맨홀의 접속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접속구의 내측을 형성하는 커넥터조립용 내측지그, 상기 내측지그와 연결되며 상기 접속구의 외측을 형성하는 커넥터조립용 외측지그 및 상기 내측지그와 상기 외측지그 사이에 삽입되어 맨홀 제조시 콘크리트가 상기 내측지그 및 외측지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조립유닛;
    상기 커넥터조립유닛과 연결되며, 맨홀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몰드;
    상기 내측지그와 연결되며, 맨홀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몰드; 및
    상기 외부몰드와 상기 커넥터 조립유닛을 결합하는 고정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지그는
    상기 내부몰드와 일면이 접하는 내부단판, 상기 내부단판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관로형성부, 상기 관로형성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커넥터고정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부몸체를 포함하는 맨홀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지그는
    상기 내부단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단판지지통 및 상기 단판지지통의 상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외부단판을 구비하는 내부몸체를 포함하는 맨홀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고정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직경이 증가되도록 상기 단차부로부터 직각 방향을 기준으로 완만한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맨홀 제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단판은
    상기 외부단판의 중앙부 상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
    상기 외부단판을 관통하도록 상기 가이드돌기의 내부에 형성된 중앙너트부; 및
    상기 중앙너트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된 조립너트부;
    를 포함하는 맨홀 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맨홀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내측지그의 커넥터고정부를 삽입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직경이 증가되는 상기 커넥터고정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지그삽입부; 및
    상기 지그삽입부로부터 수평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접힘부;
    를 포함하는 맨홀 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의 외측 내주면에는 수밀돌기가 형성되는 맨홀 제조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삽입부의 외주면 내측에는 제1앵커돌기가 돌출형성된 맨홀 제조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삽입부의 외주면 외측에는 제2앵커돌기가 돌출형성된 맨홀 제조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앵커돌기가 돌출된 상기 지그삽입부의 내주면에는 제1확장유도홈이 형성되는 맨홀 제조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앵커돌기가 돌출된 상기 지그삽입부의 내주면에는 제2확장유도홈이 형성되는 맨홀 제조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지그삽입부 내주면은 상기 커넥터고정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커넥터의 접힘부는 상기 지그삽입부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접혀서, 상기 접힘부의 내주면이 상기 커넥터고정부의 내주면을 감싸는 맨홀 제조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그는
    상기 커넥터고정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커넥터의 접힘부위 및 상기 외부단판의 상면에 하면이 접촉되는 중간단판;
    상기 중간단판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외측방향을 따라 직경이 증가하도록 경사방향으로 형성되는 측판; 및
    상기 측판의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만큼 연장형성되어, 상기 중간단판과의 사이에 결합홀을 형성하고, 일단이 상기 커넥터의 지그삽입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접촉되어, 맨홀 제조시 콘크리트가 상기 내측지그 및 외측지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판;
    을 포함하는 맨홀 제조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단판은
    상기 조립너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조립너트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조립홈부; 및
    상기 중앙너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중앙너트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중앙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홈부의 내경은 상기 가이드돌기의 외경에 대응되는 맨홀 제조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조립유닛은
    상기 조립홈부를 관통하여 상기 조립너트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내측지그 및 상기 외측지그를 밀착결합하는 조립볼트를 포함하는 맨홀 제조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몰드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고정홈을 관통하여 상기 중앙너트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외부 몰드 및 커넥터조립유닛을 밀착결합하는 맨홀 제조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몰드는 상기 내측지그의 내부단판과 연결되어 커넥터조립유닛의 외부 및 상기 내부 몰드와 외부 몰드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맨홀 제조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맨홀 제조장치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맨홀 제조장치의 커넥터조립유닛의 외부 공간 및 상기 내부 몰드와 외부 몰드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 및
    상기 맨홀 제조장치를 탈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맨홀 제조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제조장치를 제작하는 단계는
    커넥터조립유닛을 제작하는 단계;
    외부몰드에 상기 커넥터조립유닛을 연결하는 단계; 및
    내부몰드에 상기 커넥터조립유닛의 내측지그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맨홀 제조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탈형하는 단계는
    커넥조립유닛으로부터 고정볼트를 해체하는 단계;
    외부몰드를 외측지그로부터 해체하는 단계;
    조립볼트를 해체하는 단계;
    외측지그를 내측지그로부터 해체하는 단계;
    내측지그를 커넥터로부터 해체하는 단계; 및
    내부몰드를 맨홀로부터 해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맨홀 제조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탈형하는 단계 이후에는 접속관 연결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관 연결단계는
    접속관을 커넥터에 삽입하는 단계; 및
    체결밴드를 상기 커넥터의 접힘부 외주면에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맨홀 제조방법.
  22.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와 함께 접속관이 삽입되는 접속구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부;
    를 포함하는 커넥터 일체형 맨홀.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부는
    상기 접속구의 내측을 형성하며, 접속관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1측면부;
    상기 제1측면부로부터 외측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접속관의 일단과 접하는 제1단턱부;
    상기 제1단턱부로부터 직각 방향을 기준으로 완만한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지그삽입부의 외주면 및 제1, 제2앵커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지그삽입부의 내주면과 함께 상기 접속구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제2측면부;
    상기 커넥터의 접힘부의 시작지점과 대응되는 상기 제2측면부로부터 외측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단턱부;
    외측방향으로 직경이 증가되도록 상기 제2단턱부로부터 직각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단턱부와 함께 밴드체결공간을 형성하는 경사부;
    를 포함하는 커넥터 일체형 맨홀.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부 및 상기 지그삽입부의 내측 내주면은 접속관의 내측 외주면과 접하며, 외측방향으로 내경이 증가되도록 완만한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속관의 외측 외주면과 이격거리가 완만하게 증가되는 커넥터 일체형 맨홀.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접힘부는 상기 지그삽입부의 끝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형성되어 접속관의 외주면과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는 커넥터 일체형 맨홀.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접힘부는 상기 제2단턱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장형성되는 커넥터 일체형 맨홀.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앵커돌기는 상기 지그삽입부의 외주면을 상기 제2측면부에 밀착결합하여, 접속구 내부의 유체 누설 및 상기 지그삽입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2측면부 사이에 외부의 유체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 일체형 맨홀.
  28.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앵커돌기는 상기 지그삽입부의 외주면 외측을 상기 제2측면부에 밀착결합하여, 상기 지그삽입부가 완만한 경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커넥터 일체형 맨홀.
KR1020160127649A 2016-10-04 2016-10-04 맨홀 제조장치, 이에 의한 맨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 Active KR101817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649A KR101817278B1 (ko) 2016-10-04 2016-10-04 맨홀 제조장치, 이에 의한 맨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649A KR101817278B1 (ko) 2016-10-04 2016-10-04 맨홀 제조장치, 이에 의한 맨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278B1 true KR101817278B1 (ko) 2018-01-11

Family

ID=61004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649A Active KR101817278B1 (ko) 2016-10-04 2016-10-04 맨홀 제조장치, 이에 의한 맨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2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400B1 (ko) * 2018-06-28 2018-10-05 김현종 수밀성이 향상된 맨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41474B1 (ko) 2019-06-25 2019-11-06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흄관과 맨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KR102292000B1 (ko) * 2021-02-23 2021-08-19 박민영 하수맨홀 제작용 부재
KR20220059183A (ko) * 2020-11-02 2022-05-10 스페이스산업 주식회사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
KR20220158974A (ko) * 2021-05-25 2022-12-02 이상섭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맨홀 및, 이 맨홀의 시공구조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400B1 (ko) * 2018-06-28 2018-10-05 김현종 수밀성이 향상된 맨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41474B1 (ko) 2019-06-25 2019-11-06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흄관과 맨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KR20220059183A (ko) * 2020-11-02 2022-05-10 스페이스산업 주식회사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
KR102477764B1 (ko) * 2020-11-02 2022-12-15 스페이스산업 주식회사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
KR102292000B1 (ko) * 2021-02-23 2021-08-19 박민영 하수맨홀 제작용 부재
KR20220158974A (ko) * 2021-05-25 2022-12-02 이상섭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맨홀 및, 이 맨홀의 시공구조물
KR102497786B1 (ko) 2021-05-25 2023-02-07 이상섭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맨홀 및, 이 맨홀의 시공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278B1 (ko) 맨홀 제조장치, 이에 의한 맨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
KR100981919B1 (ko) 수밀성이 향상된 일체형 파형강관
US6676136B2 (en) Flexible waterstop ring
KR101035206B1 (ko)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
KR101715842B1 (ko) 접속관 제조장치, 이에 의한 접속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접속관
KR101566229B1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200471167Y1 (ko)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20150029421A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KR200462907Y1 (ko) 바닥 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20080033131A (ko) 분기관 연결구
KR101658738B1 (ko) 지하구조물의 라이닝 보수를 위한 보강공법
KR200448880Y1 (ko) 맨홀과 지수단관의 고정 장치
KR101937478B1 (ko) 접속관 제조장치, 이에 의한 접속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접속관
JP6611314B2 (ja) 注入構造及び注入方法
KR100839353B1 (ko) 맨홀의 흄관연결 구조물
JP5485339B2 (ja) ハンドホールのケーブル支持管接続工法及びケーブル支持管接続構造
KR200348065Y1 (ko) 벽체 수도관 지지구조
KR102518907B1 (ko) 하천 또는 하수도용 콘크리트 맨홀 구조체 및 제조방법
KR100700414B1 (ko) 상수도 제수변 맨홀용 합성수지관 조립체
KR102745276B1 (ko) 쐐기 고무커넥터를 구비한 맨홀 및 이 맨홀의 제조방법
KR20150002706U (ko) 구체연결부 보강식 조립식 맨홀
KR200345670Y1 (ko) 관로구용 방수 덮개구조
KR100689054B1 (ko) 맨홀과 관의 결합구조
KR100683911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KR20160132163A (ko) 포스트텐션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