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423Y1 - 관로구 방수관용 길이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관로구 방수관용 길이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423Y1
KR200372423Y1 KR20-2004-0028861U KR20040028861U KR200372423Y1 KR 200372423 Y1 KR200372423 Y1 KR 200372423Y1 KR 20040028861 U KR20040028861 U KR 20040028861U KR 200372423 Y1 KR200372423 Y1 KR 200372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topper
length
male screw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충호
Original Assignee
대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8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4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4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8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for hoses with one end terminating in a radial flange or coll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및 통신맨홀에 설치되며 합성수지 관이 연결되는 관로구용 방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나사몸통의 절단홈을 일정 길이 단위로 절단하여 구조물의 벽체 두께에 맞게 원하는 길이로 연속해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로구 방수관용 길이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나사몸통(27)의 외측으로 체결링(50, 60, 71)과 체결되는 숫나사(22)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스토퍼(23a, 23b, 23c)를 설치하며, 그 숫나사(22)의 일측에 원형으로 절단 가능하게 형성되는 절단홈(24a, 24b)과;
상기 나사몸통(27)의 일측으로 숫나사(35)와 스토퍼(34)가 형성되어 체결링(50)으로 숫나사(22)와 연결되는 파이프 수용부(30)와;
상기 나사몸통(27)의 일측으로 돌출부(26)에 숫나사(25)가 형성되어 체결링(60)으로 스토퍼(43)의 일측에서 숫나사(44)와 결합되는 관구부(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관로구 방수관용 길이조절 장치{Terminal duct length adjuster of electricity or telecommunication duct}
본 고안은 전기 및 통신맨홀에 설치되며 합성수지 관이 연결되는 관로구용 방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나사몸통의 절단홈을 이용하여 일정 길이 단위로 절단하여 구조물의 벽체 두께에 맞게 원하는 길이로 연속해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로구 방수관용 길이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 및 통신 구조물에 설치되는 관로구는 구조물 벽체와 관로구를 일체형으로 레미콘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하였고, 관로구의 구조물 벽체에서 돌출되어 있도록 한다.
관로구의 돌출된 부분을 통하여 지하 구조물 내부와 연결되므로 전기 또는 통신선을 가설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부에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아놓아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관로구에 통신·전선관을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어댑터의 일측으로 파형관부에 돌려 삽입한 후 연결테이프를 이용하여 방수되도록 감아 고정시키게 되고관로구와 연결관을 맞대기 하여 어댑터를 관로구의 외부에 삽입한 후 연결테이프로 감아놓아 방수되어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구조물 벽체는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규격으로 제공되는 것이나, 종래에는 한정된 길이의 방수관만 제공되어 구조물 벽체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관의 규격이 다양하므로 구조물 벽체의 두께에 따라서 다양한 규격의 관을 준비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그리고 다양한 규격의 관이 준비되는 경우에도 구조물 벽체의 두께에 따라서 일정한 폭으로 절단한 후 외측에서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시켜야만 하므로 관을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설사 절단한다고 해도 정확하게 절단하지 못하므로 결점이 있었다.
또한 절단한 관을 이용하여 연결작업을 마무리하는 경우에도 연결구에 양측이 정확한 길이로 절단되지 않은 관이 삽입되므로 나사식 조임만으로는 누수를 방지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물 벽체의 두께에 따라서 다양한 규격의 길이(폭)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구조물 벽체의 두께에 따라서 폭이 조절될 때 정확한 치수로 절단되도록 절단홈을 표시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체결링에 의하여 양측이 나사식으로 조임 연결될 때 스토퍼에 의하여 일정한 길이가 연결되어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므로 양측에서 정확한 길이가 조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스토퍼가 나사몸통 , 관구부 및 파이프 수용부에 설치되어 스토퍼와 체결링이 만나는 부분을 융착하여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나사몸통의 외측으로 체결링과 체결되는 숫나사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스토퍼를 설치하며, 그 숫나사와 돌출부의 일측에 원형으로 절단 가능하게 형성되는 절단홈과;
상기 나사몸통의 일측으로 숫나사와 스토퍼가 형성되어 체결링으로 숫나사와 연결되는 파이프 수용부와;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돌출부에 숫나사가 형성되어 체결링으로 스토퍼의 일측에서 숫나사와 결합되는 관구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반단면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수관 20 : 연결이음 장치
21 : 걸림턱 22, 25, 44 : 숫나사
23a, 23b, 23c, 34, 43 : 스토퍼
24a, 24b, : 절단홈
26 : 돌출부 27 : 나사몸통
28 : 삽입형 방수장치 수용부 29 : 파이프 안착부
30 : 파이프 수용부 31 : 파이프 수용부 몸체
32 : 파이프 수용부 마개 41 : 관구부 마개
33 : 파이프 수용부 방수용 패킹 42 : 관구부 누수 방지용 패킹
36 : 경사면 40 : 관구부
50, 60 : 체결링 51, 61 : 암나사
본 고안은 방수관(10)을 도 1 내지 도 3 과 같이 규격품으로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방수관(10)은 통상적인 구조물의 내부를 향하여 위치하는 관구부(40)와 외부에서 통상적인 관 또는 어댑터가 연결되는 파이프 수용부(30)가 설치되며, 이 관구부(40)와 파이프 수용부(30)의 사이에 연결이음 장치(20)를 설치하여 필요한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방수관(10)의 규격품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이음 장치(20)의 나사몸통(27)의 내부에 걸림턱(21)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삽입되는 관 또는 어댑터가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하고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나사몸통(27)은 내부에는 걸림턱(21)을 경계로 직경이 서로 다른 동축 구멍이 일체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직경이 큰쪽은 파이프 안착부(29)로 사용되며 직경이 작은 쪽은 관구부 마개(41)의 내경과 일직선상에 조립이 되어 삽입형 방수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 즉, 삽입형 방수장치 수용부(28)로 사용이 된다.
상기의 나사몸통(27)의 삽입형 방수장치 수용부(28)의 길이는 구조물의 벽체 길이에 맞게 방수관(10)의 길이가 변경될지라도 상관없이 항상 같은 길이를 유지하여 삽입형 방수장치 설치공간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나사몸통(27)의 외측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스토퍼(23a, 23b)가 두 곳에 돌출되어 있으며, 그 스토퍼(23a, 23b)의 양측에는 숫나사(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숫나사(22)가 돌출된 스토퍼(23a, 23b)의 중앙과 일측 선단인 걸림턱(21)의 외측부분에는 일직선상으로 절단홈(24a, 24b)을 각각 형성하여 길이 조절시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나사몸통(27)의 걸림턱(21) 우측으로 지름을 작게 형성하여 그 내부 외측으로 돌출부(26)가 돌출되고 그 돌출부(26)에는 숫나사(24)와 스토퍼(23c)가 설치되어 있으며 숫나사(24)는 숫나사(22)와 지름이 동일하도록 성형한다.
상기 나사몸통(27)의 돌출부(26) 우측으로 관구부 누수 방지용 패킹(42)이 설치되고 그 우측으로 관구부 마개(41)를 연결하되, 외측에는 관구부 몸체(40')이 결합된다.
관구부 몸체(40')은 좌측으로 숫나사(44)가 설치되어 나사몸통(27)의 숫나사(44)에 조립된 체결링(60)의 암나사(61)에 나사식으로 조립하면 나사몸통(27)의 외경으로 조립되므로 돌출부(26)의 스토퍼(23c) 일측에서 걸려 정지되어 체결링(60)를 통하여 나사몸통(27)과 관구부 몸체(40')가 조립되도록 한다.
관구부 몸체(40')의 우측 내경으로 관구부 마개(41)를 결합시키면 관구부 마개(41)가 관구부 몸체(40')와 결합되면서 관구부 누수 방지용 패킹(42)을 통하여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나사몸통(27)의 좌측에는 내부에 암나사(51)가 형성된 체결링(50)과 숫나사(22)가 결합되는 것이며, 스토퍼(23)를 통하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다.
체결링(50)의 좌측에는 파이프 수용부(30)의 파이프 수용부 몸체(31)가 나사식 결합되는 것으로, 스토퍼(34)의 우측에 형성된 숫나사(35)를 체결링(50)의 암나사(51)와 결합시켜 연결시키는 것이다.
파이프 수용부 몸체(31)에는 내부에 파이프 수용부 방수용 패킹(33)이 설치되고 경사면(36)이 형성되어 있으며 파이프 수용부 방수용 패킹(33)의 외측에서 파이프 수용부 마개(32)을 결합하여 파이프 수용부 방수용 패킹(33)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파이프 수용부 마개(32)와 관구부 마개(41)는 내부에 마개판이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침출수나 이물질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며 구조물 제작시 콘크리트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격하여 원주방향으로 절단, 제거해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격품으로 생산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나사몸통(27)의 우측에 형성된 돌출부(26)의 숫나사(25)에 체결링(60)을 결합하고 그 우측으로 관구부 몸체(40')의 숫나사(44)를 결합하고, 나사몸통(27)의 좌측에는 체결링(50)의 암나사(51)를 숫나사(22)에 결합시킨 후 파이프 수용부 몸체(31)의 숫나사(35)를 체결링(50)의 암나사(51)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구조물 벽체의 두께가 변경되어 규격품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구조물의 벽체 두께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표준규격에서 일정 단위의 길이를 연장, 연결할 경우에는 원형톱 또는 일자형 톱날을 이용하여 절단홈(24a) 또는 (24b)을 절단하면 길이 조절구(70)가 성형된다.
절단된 길이 조절구(70)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링(50)의 암나사(51)에 나사식 결합하여 좌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길이 조절구(70)의 우측으로 체결링(71)을 나사식 결합하여 스토퍼(23)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후 체결링(71)의 좌측으로 파이프 수용부 몸체(31)의 숫나사(35)를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할 때까지 회전시키면 스토퍼(34)에 걸려 고정된다.
이와 같이 결합이 완료되면 도 3 의 표준규격 보다 일정 단위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길이(폭)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표준규격에서 길이를 길이 조절구(70)의 1/2의 길이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원형톱 또는 일자형 톱날을 이용하여 절단홈(24a)을 절단하여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하여 표준규격에서 길이 조절구(70)의 1/2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길이(폭)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표준규격이나 원하는 길이로 조절하는 경우에는 체결링(50, 60, 71)의 양측으로 스토퍼(23a, 23b, 23c, 34, 43)가 위치하게 되므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아서 정확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길이가 조절된 이후에는 체결링(50, 60, 71)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스토퍼(23a, 23b, 23c, 34, 43)와의 사이를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일체형이 되도록 융착시켜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나사몸통(27)과 체결링(50, 60, 71)을 이용하여 연속해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원하는 길이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정 단위의 길이 외의 세밀한 길이를 조정할 경우에는 파이프 수용부 몸체(31)를 체결링(50)에서 돌려가며 세밀한 길이조절도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지하 구조물 벽체의 두께에 따라서 나사몸통을 일정 단위의 길이를 연속해서 연결하는 것과 파이프 수용부 몸체를 체결링에서 돌려가며 세밀한 길이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규격의 길이(폭)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지하 구조물 벽체의 두께에 따라서 폭이 조절됨에 상관없이 삽입형 방수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언제나 균일한 설치 공간을 확보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지하 구조물 벽체의 두께에 따라서 폭이 조절될 때 정확한 치수로 절단되도록 절단홈을 원형으로 표시하여 원주방향에서 정확하고 편리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체결링에 의하여 양측이 나사식으로 조임 연결될 때 스토퍼에 의하여 일정한 길이가 조임되어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므로 양측에서 정확한 길이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스토퍼가 체결링의 양측에 설치되어 정확한 위치에서 멈추도록 하고, 스토퍼와 체결링가 만나는 부분을 융착하여 방수관의 길이 조절에도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3)

  1. 걸림턱(21)을 중심으로 파이프 안착부(29)과 삽입형 방수장치 수용부(28)가 내부에 형성되고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몸통(27)의 좌측으로 파이프 수용부 마개(32)와 파이프 수용부 방수용 패킹(33)이 내부에 설치되는 파이프 수용부(30)와, 상기 나사몸통(27)의 우측으로 관구부 누수 방지용 패킹(42)과 관구부 마개(41)가 내부에 설치되는 관구부 몸체(40)로 이루어진 방수관(10)에 있어서,
    상기 나사몸통(27)의 외측으로 체결링(50, 60, 71)과 체결되는 숫나사(22)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스토퍼(23a, 23b, 23c)를 설치하며, 그 숫나사(22)와 돌출부(26)의 일측에 원형으로 절단 가능하게 형성되는 절단홈(24a, 24b)과;
    상기 나사몸통(27)의 일측으로 숫나사(35)와 스토퍼(34)가 형성되어 체결링(50)으로 숫나사(22)와 연결되는 파이프 수용부(31)와;
    상기 나사몸통(27)의 일측으로 돌출부(26)에 숫나사(25)와 스토퍼(23c)가 형성되어 체결링(60)으로 스토퍼(43)의 일측에서 숫나사(44)와 결합되는 관구부(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관용 길이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나사몸통(27)에 일정 단위의 길이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절단홈(24a, 24b)을 선택적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길이 조절구(70)로 연속해서 연결이 가능함으로서 구조물의 벽체 두께에 맞게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관용 길이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나사몸통(27)에 일정 단위의 길이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23a, 23b, 23c)간의 간격이 체결링(50, 60, 71)의 길이와 일치하여 조립시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일정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관용 길이조절 장치.
KR20-2004-0028861U 2004-10-12 2004-10-12 관로구 방수관용 길이조절 장치 KR200372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861U KR200372423Y1 (ko) 2004-10-12 2004-10-12 관로구 방수관용 길이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861U KR200372423Y1 (ko) 2004-10-12 2004-10-12 관로구 방수관용 길이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423Y1 true KR200372423Y1 (ko) 2005-01-15

Family

ID=49444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861U KR200372423Y1 (ko) 2004-10-12 2004-10-12 관로구 방수관용 길이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42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936B1 (ko) 2007-05-16 2009-06-08 대실종합건설 주식회사 송,배전용 관로구 방수장치
KR102053216B1 (ko) 2019-02-20 2019-12-06 주식회사 연아 맨홀용 관로구 방수관체
KR102053218B1 (ko) 2019-02-20 2019-12-06 주식회사 연아 맨홀 관로구용 확장형 방수관체
KR20220059183A (ko) * 2020-11-02 2022-05-10 스페이스산업 주식회사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936B1 (ko) 2007-05-16 2009-06-08 대실종합건설 주식회사 송,배전용 관로구 방수장치
KR102053216B1 (ko) 2019-02-20 2019-12-06 주식회사 연아 맨홀용 관로구 방수관체
KR102053218B1 (ko) 2019-02-20 2019-12-06 주식회사 연아 맨홀 관로구용 확장형 방수관체
KR20220059183A (ko) * 2020-11-02 2022-05-10 스페이스산업 주식회사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
KR102477764B1 (ko) * 2020-11-02 2022-12-15 스페이스산업 주식회사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4021B2 (en) Rotatable liquid-tight conduit connector assembly
US20150225931A1 (en) Plumbing supply boxes
JPH11266519A (ja) 壁体への螺旋管体取付け用コネクタ
CA2592796C (en) Lateral pipe connection assembly
KR200372423Y1 (ko) 관로구 방수관용 길이조절 장치
JP2011179660A (ja) 両挿しチーズ継手とこれを用いた回転ヘッダー並びにメータユニット用の分岐継手
US6547285B1 (en) Fixing arrangement for sanitary components
KR101509645B1 (ko) 수전 연결기구 및 이를 갖는 수전 연결기구 어셈블리
KR102247975B1 (ko) 수전박스
JPH11131538A (ja) 量水器の支持装置
KR101962473B1 (ko)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JP3502816B2 (ja) 止め座付継手
KR100779702B1 (ko) 길이 조정가능한 배관 연결장치
US20040061334A1 (en) Plug-in connector for plumbing fixtures
KR100831560B1 (ko) 배관용 관이음 장치
JP4033254B2 (ja) 管路連結構造
JP2002115283A (ja) 給水設備における壁付機器の施工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継手管
KR200409780Y1 (ko) 배관 연결구
RU2407926C2 (ru) Модульная поворотн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с отдельными блокирующими частями и способ ее сборки
KR100894896B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구조
KR200351485Y1 (ko) 어댑터 이탈방지 장치
JP4360611B2 (ja) 水栓部品の取付構造
WO2015001332A1 (en) An improved cable transfer system
CN112728222B (zh) 一种入墙式龙头组件及其安装方法
JP2000161564A (ja) 波付き管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