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729B1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729B1
KR101110729B1 KR1020100013047A KR20100013047A KR101110729B1 KR 101110729 B1 KR101110729 B1 KR 101110729B1 KR 1020100013047 A KR1020100013047 A KR 1020100013047A KR 20100013047 A KR20100013047 A KR 20100013047A KR 101110729 B1 KR101110729 B1 KR 101110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lock
ship
adjustment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3167A (ko
Inventor
최원석
정석현
김창선
전영남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3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729B1/ko
Publication of KR20110093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제작용 베이스 블록과 탑 블록의 조립시 각 블록에 설치된 배관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의하면, 서로 다른 블록에 형성되는 배관들을 용이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선박 제조 전체의 작업 공수가 감소하고, 공정 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VESSEL}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제작용 베이스 블록과 탑 블록의 조립시 각 블록에 설치된 배관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은, 작업장에서 베이스 블록, 탑 블록 등의 블록을 제작하고, 제작된 블록을 도크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이때 각 블록에는 많은 배관이 설치되고, 배관들 중 일부는 도크에서 블록 조립 시, 다른 블록에 형성된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블록에 형성되어 연결되는 배관들은 정확하게 연결되어야 하는 바, 이를 보조하기 위하여 조정관이 사용되고 있다.
상세히, 배관들을 정확하게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되는 두 배관의 위치 및 길이가 정확하게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를 정확히 맞추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따라서, 연결될 두 배관의 단부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한 후, 각 배관을 조정관으로 연결함으로써 두 배관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도 1 및 도 2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선박 조립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베이스블록과 탑블록의 조립 시 연결되는 종래의 배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박은 하측의 베이스 블록(10)과 상측의 탑 블록(20)으로 나누어 형성된 후 도크에서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블록(10)에는 다수의 하부 배관(12)들이 설치되고, 상기 탑 블록(20)에는 상기 하부 배관(12)에 연결될 다수의 상부 배관(22)들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 배관(12)과 상기 상부 배관(22)은 연결될 수 있도록 각 단부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 배관(12)과 상기 상부 배관(22)은 상기 블록(10, 20)의 제작 시 길이를 정확히 맞추기 어려우므로, 조정관(30)을 통해 상기 하부 배관(12)과 상기 상부 배관(22)이 연결된다.
상기 조정관(30)은 상기 블록(10, 20) 중 어느 하나에 가용접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필요 시 경우 떼어져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상기 하부 배관(12)과 상기 상부 배관(22)의 사이에 상기 조정관(30)을 삽입시켜 연결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조정관(30)의 삽입 길이가 짧거나 긴 경우, 용접 결합되는 배관 측은 품질 저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작업으로 서로 다른 블록에 형성되는 배관을 연결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는, 제 1 배관이 설치되는 제 1 블록; 상기 제 1 배관에 대응되는 제 2 배관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블록과 결합하는 제 2 블록; 일측 단부는 상기 제 2 배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 1 배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조정관; 및 상기 조정관의 외주면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배관과 상기 제 2 배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관에 결합되는 고정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 1 블록은 베이스 블록이고, 상기 제 2 블록은 탑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배관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고정부는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블록에는 상기 제 1 배관과 연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관의 일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정관은 상기 제 2 배관에 연결된 후, 상기 제 1 배관에 결합된 상기 고정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정관과 상기 고정부는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의하면, 서로 다른 블록에 형성되는 배관들을 용이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선박 제조 전체의 작업 공수가 감소하고, 공정 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박 조립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베이스블록과 탑블록의 조립 시 연결되는 종래의 배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블록 배관이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절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블록 배관이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블록 배관 연결용 조정관(140)은, 선박의 제 1 블록(100)에 설치된 제 1 배관(110)과 선박의 제 2 블록(120)에 설치된 제 2 배관(130)을 연결한다.
여기서 선박은 미도시 되었지만, 일반적인 대형 선박 또는 드릴쉽(drill ship) 또는 천연가스 저장 및 생산설비선(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등의 해상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제 1 블록(100)과 상기 제 2 블록(120)은 선박을 구성하는 서로 별개의 블록이며, 상기 제 1 블록(100)은 베이스 블록일 수 있고, 상기 제 2 블록(120)은 탑 블록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배관(110)은 하부 배관일 수 있고, 상기 제 2 배관(130)은 상부 배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블록(100)은 베이스 블록이고, 제 2 블록(120)은 탑 블록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겠다.
상기 제 1 블록(100)과 상기 제 2 블록(120)은 각각 작업장에서 별도로 제작된 후에 도크에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 1 블록(100)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블록(120)은 상기 제 1 블록(100)의 상측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1 배관(110)과 상기 제 2 배관(130)은 파이프의 개구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배관(110)은 상기 조정관(14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정관(140)의 일부가 상기 제 1 배관(1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블록(100)에 천공 형성되며, 상기 제 1 배관(110)과 연결되는 관통공(102)도 상기 제 1 배관(110)과 마찬가지로 상기 조정관(140)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정관(140)의 길이가 긴 경우, 상기 조정관(140)의 일부는 상기 제 1 배관(110)을 지나 상기 관통공(102)을 통과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배관(110)은 상기 제 1 블록(10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단부에는 플랜지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배관(130)은 상기 제 1 배관(110)에 대응되도록 하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가 상기 제 1 배관(110)의 개구부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관(130)의 단부는 상기 조정관(140)과의 결합을 위해 플랜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정관(140)은 파이프 몸체(141), 및 고정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몸체(141)의 일측은 상기 제 2 배관(130)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1 배관(110)측으로 삽입된다.
상세히, 상기 조정관(14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 2 배관(130)의 단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볼트 등의 체결 수단으로 상기 제 2 배관(13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정관(140)의 외경은 상기 제 1 배관(110)의 내경 및 상기 관통공(10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정관(140)의 길이는 상기 제 1 배관(110)과 상기 제 2 배관(130)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정관(140)의 일부가 상기 제 1 배관(1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정관(140)의 길이 수정 작업이 불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조정관(140)의 외주면에는 고정부(142)가 용접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42)는 상기 플랜지부(112)에 안착될 수 있는 형태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배관(110)과 상기 제 2 배관(130) 사이에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42)에는 상기 조정관(140)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조정관(140)이 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42)는 상기 플랜지부(1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112)에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 수단(1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정관(140) 및 상기 고정부(142)는 상기 제 1 블록(100) 또는 상기 제 2 블록(120)에 가용접되어 고정되고, 필요 시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조정관(140)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배관(110)과 상기 제 2 배관(130)을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겠다.
상기 제 2 블럭(120)을 상기 제 1 블럭(100)에 조립 시, 상기 조정관(140)의 일측을 상기 제 2 배관(130)에 연결한다. 상기 조정관(140)으로는 상기 제 1 배관(110)의 상단부와 상기 제 2 배관(120)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배관(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112)에 상기 고정부(142)를 안착시키고, 상기 체결 수단(150)으로 상기 고정부(142)를 상기 제 1 배관(11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조정관(140)이 상기 고정부(142)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제 2 블럭(120)과 상기 제 1 블럭(100)을 조립한다. 상기 제 1 배관(110) 및 상기 관통공(102)은 상기 조정관(140)의 외경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는 바, 상기 조정관(140)은 상기 제 1 배관(110) 및 상기 관통공(10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조정관(140)의 외면과, 상기 고정부(142)를 용접함으로써, 상기 제 1 배관(110)과 상기 제 2 배관(130)의 연결이 종료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조정관(140)의 연결 방법은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142)를 상기 조정관(140)에 먼저 용접 고정시킨 후, 상기 조정관(140)을 상기 제 2 배관(130)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의하면, 상기 제 1 배관(110)의 내경을 상기 조정관(14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정관(140)이 길게 형성되더라도 용이하게 상기 제 1 배관(110)과 상기 제 2 배관(130)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정관(140)의 길이 조정에 소요되는 공정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제조에 필요한 작업 공수가 줄고, 전체 공정 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관(140)의 길이를 일정 길이 이상으로 형성하기만 하면, 상기 제 1 배관(110) 및 상기 제 2 배관(130) 사이의 거리에 무관하게 동일한 조정관(140)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길이의 조정관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 : 베이스블록 102 : 관통공
110 : 하부배관 112 : 플랜지부
120 : 탑블록 130 : 상부배관
140 : 조정관 142 : 고정부
150 : 체결수단

Claims (7)

  1. 제 1 배관이 설치되는 제 1 블록;
    상기 제 1 배관에 대응되는 제 2 배관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블록과 결합하는 제 2 블록;
    일측 단부는 상기 제 2 배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 1 배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조정관; 및
    상기 조정관의 외주면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배관과 상기 제 2 배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관에 결합되는 고정부가 포함되는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록은 베이스 블록이고, 상기 제 2 블록은 탑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관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고정부는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록에는 상기 제 1 배관과 연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관의 일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관은 상기 제 2 배관에 연결된 후, 상기 제 1 배관에 결합된 상기 고정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관과 상기 고정부는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00013047A 2010-02-11 2010-02-11 선박 KR101110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47A KR101110729B1 (ko) 2010-02-11 2010-02-11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47A KR101110729B1 (ko) 2010-02-11 2010-02-11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167A KR20110093167A (ko) 2011-08-18
KR101110729B1 true KR101110729B1 (ko) 2012-03-05

Family

ID=4492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047A KR101110729B1 (ko) 2010-02-11 2010-02-11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7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849B1 (ko) 2013-02-01 2014-10-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연결 플랜지 셋팅용 지그 장치
KR101473669B1 (ko) 2013-05-06 2014-12-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하스텔로이 피복 탄소강 케이슨의 티탄늄 파이프 관통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KR101540396B1 (ko) * 2013-10-31 2015-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330B1 (ko) * 2014-01-29 2015-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원통형 구조물의 정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060B1 (ko) 2007-04-16 2009-03-17 신상훈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060B1 (ko) 2007-04-16 2009-03-17 신상훈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849B1 (ko) 2013-02-01 2014-10-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연결 플랜지 셋팅용 지그 장치
KR101473669B1 (ko) 2013-05-06 2014-12-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하스텔로이 피복 탄소강 케이슨의 티탄늄 파이프 관통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KR101540396B1 (ko) * 2013-10-31 2015-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167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729B1 (ko) 선박
JP6142427B2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EP2032886A1 (en) Pipe fixing system and pipe fastening device
MX2014012367A (es) Junta de esfuerzo modular y métodos para compensar fuerzas aplicadas a una prolongación de tubería de revestimiento submarina.
KR101945369B1 (ko) Phc 말뚝 연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1973A (ko) 선박용 배관 위치고정장치
KR101160145B1 (ko) 선박의 블록 배관 연결 방법
KR20120000160U (ko) 선박용 스파이럴 덕트형 케이블 트레이
CN102562735B (zh) 平面自锁连接装置
CN205591375U (zh) 一种屈曲约束支撑的套筒构件以及屈曲约束支撑
KR101455923B1 (ko) 맨홀제작용 거푸집 제조방법
KR101259987B1 (ko) 연결 이음 콘크리트 전주
KR101378840B1 (ko) 블록형 터릿 조립구조 및 블록형 터릿 조립방법
CN210050404U (zh) 一种抗压不锈钢单壁波纹管
JP2010019408A (ja) 電蝕防止用のステンレス鋼管継手、及び、電蝕防止用のステンレス鋼管継手の絶縁スペーサー
KR20130061890A (ko) 서비스 타워의 프레임 결합구조
KR101706207B1 (ko) 선박 또는 해양 플랜트용 의장 설치 방법
KR20190070307A (ko)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구비한 부체 설비
US11007867B2 (en) Tube support assembly
KR101011395B1 (ko) 선박 내의 파이프 체결구조 및 그 체결방법
KR102477764B1 (ko)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
KR20120133501A (ko) 클립훅 체결 구조를 가진 관 이음용 플랜지 조립체
KR200424654Y1 (ko) 강관주
KR200468365Y1 (ko) 선체용 파이프모듈
KR101607942B1 (ko) 라이저 가이드관 탑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