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361B1 -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 - Google Patents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361B1
KR101360361B1 KR1020110142717A KR20110142717A KR101360361B1 KR 101360361 B1 KR101360361 B1 KR 101360361B1 KR 1020110142717 A KR1020110142717 A KR 1020110142717A KR 20110142717 A KR20110142717 A KR 20110142717A KR 101360361 B1 KR101360361 B1 KR 101360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pper support
outer diameter
supporte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4591A (ko
Inventor
안호중
Original Assignee
(주)에이원알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원알폼 filed Critical (주)에이원알폼
Priority to KR1020110142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36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1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7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와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변단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상부에 연결되는 하부서포트; 상기 하부서포트의 삽입부와 결합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상부서포트;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상부서포트, 또는 이들 모두에 결합되고, 승강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하부서포트의 변단면부 또는 상기 상부서포트,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는 수평보강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부서포트의 삽입부는 상부서포트에 삽입되어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삽입부 하부에는 상부서포트와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구성된 변단면부가 구비되어 수평보강재의 도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포터의 상부구조 및/또는 하부구조의 강성을 보강하여 서포터의 내하성능을 향상시키고, 특히 수평보강재가 도입된 상태에서 서포터의 대량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거푸집 조립체의 설치해체 작업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 {SUPPORTER FOR MOLD}
본 발명은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하부서포트의 삽입부는 상부서포트에 삽입되어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삽입부 하부에는 상부서포트와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구성된 변단면부가 구비되어 수평보강재의 도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포터의 상부구조 및/또는 하부구조의 강성을 보강하여 서포터의 내하성능을 향상시키고, 특히 수평보강재가 도입된 상태에서 서포터의 대량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거푸집 조립체의 설치해체 작업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서포터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8392호(2002.08.27. 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대"가 개시되어 있고,
상기 종래기술 1은 외부관과 내부관으로 이루어지는 강관부재가 고정핀과 조절너트를 포함하는 결합수단으로 연결 구성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중간연결관을 포함하여 적어도 3개 이상의 강관부재가 연결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1의 경우에는 상부 및 하부 내부관에 연결되는 중간연결부재를 도입하여 지지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나,
내부관과 중간연결부재의 외경 사이즈가 수평방향으로 각 지지대를 연결하기 위한 보강재를 도입하기 위해 종전에 사용하던 보강재를 변형 및 변경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설령 동일한 외경 사이즈를 갖는 상부 및 하부 내부관에 보강재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도 보강재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지지대의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또 다른 종래의 서포터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2111호(2008.06.23. 이하 '종래기술 2'라 함.) "시스템 서포트"가 개시되어 있고,
상기 종래기술 2는 복수의 슬롯을 갖는 조인트가 연결되는 수직재와 상기 조인트에 연결수단으로서 수평방향에 연결되는 수평재로서 이루어지는 시스템 서포트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는 일단에 조인트에 인접되는 단차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평재가 연결수단에 의해 조인트에 연결될 때 상기 수직재에 삽입되는 다른 수직재의 단부를 수평재가 압입토록 설치되는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 2의 경우에는 다수의 수직재가 조인트에 의하여 결합되고, 연결후단에 의하여 수평재가 조입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종전에 수평재를 서포트의 상부 및 하부에 도입하는 것은 가능하나, 서포트의 높낮이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설령 각 수직재를 분리하여 제거하는 방식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겠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작업 인원과, 작업 시간의 소모가 많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부서포트의 삽입부는 상부서포트에 삽입되어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삽입부 하부에는 상부서포트와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구성된 변단면부가 구비되어 수평보강재의 도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포터의 상부구조 및/또는 하부구조의 강성을 보강하여 서포터의 내하성능을 향상시키고,
특히 수평보강재가 도입된 상태에서 서포터의 대량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거푸집 조립체의 설치해체 작업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하부서포트의 구성하는 변단면부와 삽입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시키되, 변단면부는 대경부와 소경부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축관을 통하여 가공되는 성형부위를 최소화하여 하부서포트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이에 의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하부서포트의 변단면부와, 수평보강재의 결합 시, 수평보강재의 고정구 상부 부분이 변단면부의 소경부에 위치하는 경우 변단면부의 소경부와 고정구 사이에는 비접촉하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이 이격공간에 링부재를 도입하여 변단면부의 소경부와 고정구가 링부재에 의하여 접촉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보강하여 결합신뢰성을 보장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는 베이스;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와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변단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상부에 연결되는 하부서포트; 상기 하부서포트의 삽입부와 결합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상부서포트;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상부서포트, 또는 이들 모두에 결합되고, 승강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하부서포트의 변단면부 또는 상기 상부서포트,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는 수평보강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부서포트의 변단면부 외경은 상기 상부서포트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서포트의 삽입부 외경은 상기 상부서포트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부서포트의 변단면부는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서포트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구성된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서포트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구성된 대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평보강재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변단면부를 감싸는 고정구와, 상기 변단면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구와 결합되는 링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변단면부의 소경부에는 상기 고정구의 상부 부분이 위치하되,
상기 변단면부의 소경부와 상기 고정구 사이에는 상호 비접촉하도록 구성된 이격공간이 더 구비되며,
상기 이격공간에는 상기 변단면부의 소경부 및 상기 고정구와 접촉되도록 구성된 링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는 하부서포트의 삽입부는 상부서포트에 삽입되어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삽입부 하부에는 상부서포트와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구성된 변단면부가 구비되어 수평보강재의 도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포터의 상부구조 및/또는 하부구조의 강성을 보강하여 서포터의 내하성능을 향상시키고,
특히 수평보강재가 도입된 상태에서 서포터의 대량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거푸집 조립체의 설치해체 작업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하여 작업 인원이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경제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하부서포트의 구성하는 변단면부와 삽입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시키되, 변단면부는 대경부와 소경부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축관을 통하여 가공되는 성형부위를 최소화하여 하부서포트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이에 의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하부서포트의 변단면부와, 수평보강재의 결합 시, 수평보강재의 고정구 상부 부분이 변단면부의 소경부에 위치하는 경우 변단면부의 소경부와 고정구 사이에는 비접촉하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이 이격공간에 링부재를 도입하여 변단면부의 소경부와 고정구가 링부재에 의하여 접촉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보강하여 결합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서포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서포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서포터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서포터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확대도,
도 5는 상기한 도 4의 거푸집용 서포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는
베이스(21); 삽입부(26)와, 상기 삽입부(26)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26)와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변단면부(27)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21) 상부에 배열되는 하부서포트(25); 상기 하부서포트(25)의 삽입부(26)와 결합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상부서포트(10); 상기 베이스(21) 또는 상기 상부서포트(10), 또는 이들 모두에 결합되고, 승하강되는 높이조절부(23); 및 상기 하부서포트(25)의 변단면부(27) 또는 상기 상부서포트(10),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는 수평보강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부서포트(10)는
거푸집 조립체(MA)의 하부에 연결되어, 거푸집 조립체(MA)를 지지하고, 거푸집 조립체(MA)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서포트(10)는 거푸집 조립체(MA)의 하면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상부서포트(10)는 상기 거푸집 조립체(MA)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2열(또는 3열 이상)로 구비되고,
각 열에는 다수의 상부서포트(10), 즉 2개소 내지 3개소 이상의 상부서포트(10)가 설치되어 상기 거푸집 조립체(MA)의 하면부를 받치게 된다.
이 경우 동일 행에 위치하는 상부서포트(10)에는 횡방향으로 수평보강재(30)를 연결하여 보강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거푸집 조립체(MA)를 받치고 있는 각 상부서포트(10)가 거푸집 조립체(MA)의 하중에 의하여 좌굴이나, 휨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평보강재(30)는 상기 상부서포트(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상부서포트(10)의 상단은 거푸집 조립체(MA)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며,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서포트(10)의 길이가 연장되는 경우에는 수평보강재(30)를 더 설치하여 상부서포트(10)의 길이에 대응한 보강구조를 갖추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부서포트(10)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삽입공(11)이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서포트(10)의 중공에는 하부서포트(25)의 삽입부(26)가 삽입되고, 하부서포트(25)의 삽입부(26)에는 상기 삽입공(11)에 상응하는 대응삽입공(26a)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서포트(10)의 높이 조절 후, 결합위치에서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되는 각 삽입공(11)에 핀 또는 쐐기 형태의 고정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상부서포트(10)를 하부서포트(25)에 고정시키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강재(30)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에서, 상기 서포터의 하부구조(20)는
상기 상부서포트(10)와 연결되고,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상기 상부서포트(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포터의 하부구조(20)는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21)를 따라 승하강이 가능한 높이조절부(23)와,
그리고 상기 상부서포트(10)에 결합되는 삽입부(26)와, 상기 삽입부(26)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26)와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변단면부(27)로 구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23)가 연결되는 하부서포트(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터의 하부구조(20)의 베이스(21)는 외측면에 수나사부(21a)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21)의 하단에는 받침판(21b)이 연결되어 베이스(21)를 지지하며, 상기 받침판(21b)의 상면에는 다수의 보강살이 구비되어 베이스(21)의 하단부 외측면에 연결되어 베이스(21)와 받침판(21b)의 연결부위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포터의 하부구조(20)의 높이조절부(23)는 중공을 갖는 몸체(23a)와, 상기 몸체(23a)의 중공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21)의 수나사부(21a)에 대응하는 암나사부(23b)와,
그리고 상기 몸체(23a)의 외측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손잡이부(23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부(23)의 몸체(23a) 상단부에는 하부서포트(25)의 하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높이조절부(23)를 공회전 가능하게 하는 공회전결합부(23c)가 구비되고, 하부서포트(25)의 변단면부(27) 하단에는 상기 공회전결합부(23c)와 연결되는 대응공회전결합부(27c)가 구비되어 상기 높이조절부(23)의 공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부(23)의 손잡이부(23d)를 파지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높이조절부(23)의 암나사부(23b)가 상기 베이스(21)의 수나사부(21a)를 타고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되고,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23)는 상기 각 공회전결합부(23c)에 의하여 상기 변단면부(27)의 하단부에서 공회전하면서 상기 하부서포트(25)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나아가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상부서포트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상기 베이스와 상부서포트 모두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서포터의 하부구조(20)에서 상기 하부서포트(25)의 삽입부(26)는 상기 상부서포트(10)의 중공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26)에는 상기 상부서포트(10)의 삽입공(11)에 대응하도록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대응삽입공(26a)이 구비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가 각 삽입공(11)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서포트(10)가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서포트(25)의 변단면부(27)는 상기 삽입부(26)에 하단부에 연결되고,
특히 상기 변단면부(27)는 종래의 서포터의 하부구조와 달리 수평보강재(30)의 도입을 위한 구성이며,
상기 하부서포트(25)의 변단면부(27)는 하기할 수평보강재(30)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강재(30)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에서, 상기 수평보강재(30)는
상기 하부서포트(25)의 변단면부(27) 또는 상기 상부서포트(10),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어 서포터의 상부구조 및/또는 하부구조를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평보강재(30)는 지지바(31)와, 상기 지지바(31)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변단면부(27)를 감싸는 고정구(33)와,
그리고 상기 변단면부(27)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구(33)와 결합되는 링플레이트(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33)는 상기 지지바(31)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변단면부(27)의 외측면에 맞닿는 접촉부(33a)가 구비되며,
상기 각 접촉부(33a) 사이에는 수납홈(33b)이 구비되고,
상기 각 접촉부(33a)에는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결합공(33c)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링플레이트(35)의 중심부에는 상기 변단면부(27)가 삽입되는 장착공(35b)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35b) 주변에는 다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대략의 형상이 꽃잎 또는 톱니 형태를 갖도록 복수의 돌출수용부(35a)가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각 돌출수용부(35a)에는 상기 고정구(33)의 결합공(33c)에 상응하는 대응결합공(35c)이 형성된다.
즉 상기 링플레이트(35)는 상기 변단면부(27)가 상기 장착공(35b)에 삽입되어 변단면부(27)에 장착된 후,
상기 고정구(33)의 수납홈(33b)에 상기 링플레이트(35)의 돌출수용부(35a)를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33)의 각 결합공(33c)과, 상기 링플레이트(35)의 대응결합공(35c)의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도록 정렬한 후, 핀 또는 쐐기 형태의 고정부재를 삽입 체결하여 상기 수평보강재(30)를 상기 하부서포트(25)의 변단면부(27)에 결합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부서포트(25)의 변단면부(27)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서포터의 하부구조를 보강하기 위한 수평보강재(30)를 도입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는 서포터의 하부구조를 형성하는 종래의 서포터의 하부구조는 경우에는 수평보강재를 도입하기 어려운 구조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서포터의 하부구조가 구비된 서포터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종래의 서포터의 하부구조의 하부서포트가 상부서포트의 중공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종래의 제1례),
또는 상부서포트가 하부서포트의 중공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종래의 제2례),
또는 상부서포트와 하부서포트가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다단으로 구성되고, 상부에 구비된 서포트의 중공에 하부에 구비된 서포트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형태로 구성되거나(종래의 제3례),
또는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종래의 제1례의 경우에는 상기 상부서포트의 외경이 상기 하부서포트의 외경보다 큰 경우로서,
상부서포트간의 이격거리와 하부서포트간의 이격거리가 달라지게 되고,
따라서 상부서포트에 결합된 수평보강재와 같이 종전에 제작된 수평보강재를 하부서포트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종래의 제2례의 경우에는 상기 상부서포트의 외경이 상기 하부서포트의 외경보다 작은 경우로서,
종래의 제1례의 문제를 그대로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서포터의 높낮이 조절 시, 상부서포트에 수평보강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높낮이 조절을 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제3례의 경우에는 종래의 제1 및 제2례와 달리 상기 상부서포트와 하부서포트의 외경은 동일하나 서포터 자체에 의한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서포터의 하부구조에 의하여 높이조절은 가능하나, 통상적으로 서포터의 하부구조의 높이조절 범위는 20 ~ 50cm 정도의 제한된 범위 내에서 가능하므로 서포터의 높낮이 조절 범위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하부서포트(25)의 변단면부(27) 외경(D2)을 상부서포트(10)의 외경(D1)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구성하여 서포터의 하부구조에 수평보강재(30)를 도입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상부서포트(10)에 수평보강재(30)를 결합한 상태에서 서포터의 대량적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하부서포트(25)의 변단면부(27)에 상기 링플레이트(35)의 관통공을 통하여 연결하여 링플레이트(35)를 장착한 후,
상기 고정구(33)의 수납홈(33b)에 상기 링플레이트(35)의 돌출수용부(35a)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고정구(33)의 각 접축부는 상기 변단면부(27)의 외측면에 맞닿게 되고,
상기 각 결합공(33c)을 통하여 고정부재를 체결하여 수평보강재(30)를 변단면부(27)에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서포트(10)에 수평보강재(3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부서포트(10)와 하부서포트(25)에 의한 대량적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상기 변단면부(27)의 외경(D2)이 상기 상부서포트(10)의 외경(D1)과 동일한 외경을 갖기 때문에 상부서포트(10)에 적용된 수평보강재(30)와 같은 종전의 수평보강재(30)를 그대로 적용하여 서포터의 하부구조를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서포트(10)의 높낮이 조절 시, 특히 상부서포트(10)를 하부방향으로 내리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서포터의 하단면이 상기 변단면부(27)의 상단면에 얹히어 걸쳐짐으로써 상기 변단면부(27)의 상단면은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의 도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례로 상기 하부서포트(25)의 삽입부(26)와 변단면부(27)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이고,
이 경우에는 상기 하부서포트(25)는 상기 상부서포트(1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관을 축관하여 삽입부(26)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변단면부(27)를 성형하기 위해 원형관을 확관하는 경우에는 축관하는 경우와 달리 성형부위에 잔류응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성형부위가 취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도 3의 도시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하부서포트(25)의 변단면부(27)가 상기 삽입부(26)와 분리된 형태로 제작된 경우로서,
상기 변단면부(27)는 상기 삽입부(26)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서포트(10)의 외경(D1)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구성된 소경부(27a)와, 상기 소경부(27a)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서포트(10)의 외경(D1)과 동일한 외경(D2)을 갖도록 구성된 대경부(27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는 상기 변단면부(27)의 소경부(27a)는 그 외경이 상기 삽입부(26)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소경부(27a)의 상단부와 상기 삽입부(26)의 하단부는 상호 맞댄 상태에서 용접을 통하여 접합시키거나,
또는 상기 소경부(27a)가 상기 삽입부(26)의 중공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 제1 실시례와 같이 상기 하부서포트(25)의 삽입부(26)를 축관하여 성형하는 것을 전제로 할 때,
제1 실시례의 경우에는 축관으로 성형되는 삽입부(26)의 길이가 길어 성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와,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는데 반해,
제2 실시례와 같이 상기 변단면부(27)를 상기 삽입부(26)와 별도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축관되는 소경부(27a)의 길이가 짧아 성형 작업이 간편해지고, 제작비용 또한 절감되는 장점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삽입부(26)는 상기 소경부(27a)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중공관을 사용하게 된다.
도 4 및 도 5의 도시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변단면부(27)와 수평보강재(30)의 결합 시, 결합부위를 보강하기 위해 링부재(40)가 도입된 경우이다.
우선 상기 수평보강재(30)는 상기한 바와 같인 지지바(31), 고정구(33) 및 링플레이트(35)로 구성되고,
이 경우 상기 링플레이트(35)는 상기 변단면부(27) 상단에 걸쳐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구(33)의 수납홈(33b)에 상기 링플레이트(35)의 돌출수용부(35a)를 끼우게 되면 상기 고정구(33)의 하부 접촉부(33a)는 상기 변단면부(27)의 외측면에 맞닿게 되나,
상기 고정구(33)의 상부 접촉부(33a)는 상기 삽입부(26)(제1 실시례의 경우로 도 4의 "B" 참조) 또는 상기 소경부(27a)(제2 실시례의 경우로 도 4의 "A" 참조) 각 외측면과 비접촉하게 되고, 그 비접촉 공간에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이격공간에 의하여 상기 변단면부(27)에 결합되는 수평보강재(30)는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링부재(40)를 상기 이격공간에 삽입하여 상기 링부재(40)의 내측면은 상기 삽입부(26) 또는 소경부(27a)의 외측면과 면접하고, 동시에 상기 링부재(40)의 외측면은 상기 고정구(33)의 상부 접촉부(33a)와 면접하여 수평보강재(30)가 변단면부(27)에 결합된 후, 안정이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링부재(40)가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보다 완전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 외경이 상기 상부서포트(10) 및 변단면부(27)(또는 대경부(27b))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3 실시례를 제외하고, 제1 및 제2 실시례의 경우에는 상기 변단면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링플레이트가 장착된 후, 링플레이트가 하부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형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동일 원주상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23)의 공회전결합부(23c)는 높이조절부(23)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환형의 결합홈이며,
상기 변단면부(27)의 대응공회전결합부(27c)는 상기 변단면부(27)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의 결합돌기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높이조절부(23)의 공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변단면부(27)의 하단면을 상기 결합돌기의 상면에 맞댄 상태에서 맞댄 부위를 용접하여 일체로 제작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부서포트(10) 및 하부서포트(25)의 각 구성은 중공을 갖는 원형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각형, 타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성의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부서포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평보강재는 변단면부에 결합되는 수평보강재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결합관계나,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보강재는 하부서포트의 변단면부 또는 상부서포트,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 따른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부서포터의 변단면부와, 상기 상부서포트 모두에 상기 수평보강재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아울러 첨부된 도 4는 상부서포트와 하부서포트에 의하여 거푸집 조립체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a는 거푸집 조립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구조물을 성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구조물을 성형한 후, 거푸집 조립체를 하부로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b에 도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서포트(10)가 하강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서포트(10)의 하단면이 상기 변단면부(27), 보다 자세하게는 대경부(27b)의 상단면에 걸쳐져 지지되고,
상기 변단면부(27)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하부서포트(25)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서포트(10)의 하단면이 상기 변단면부(27)의 상단면에 걸쳐지는 형태로 배열되어 지지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A : 거푸집 조립체 S : 이격공간
1 : 고정부재
10 : 상부서포트 11 : 삽입공
13 : 중공
20 : 하부구조 21 : 베이스
21a : 수나사부 21b : 받침판
23 : 높이조절부 23a : 몸체
23b : 암나사부 23c : 공회전결합부(결합홈)
23d : 손잡이부 25 : 하부서포트
26 : 삽입부 26a : 대응삽입공
27 : 변단면부 27a : 소경부
27b : 대경부 27c : 대응공회전결합부(결합돌기)
30 : 수평보강재 31 : 지지바
33 : 고정구 33a : 접촉부
33b : 수납홈 33c : 결합공
35 : 링플레이트 35a : 돌출수용부
35b : 장착공 35c : 대응결합공
40 : 링부재

Claims (4)

  1. 삭제
  2. 베이스;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와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변단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상부에 연결되는 하부서포트;
    상기 하부서포트의 삽입부와 결합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상부서포트;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상부서포트, 또는 이들 모두에 결합되고, 승강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하부서포트의 변단면부 또는 상기 상부서포트,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되는 수평보강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서포트(25)의 변단면부(27) 외경은 상기 상부서포트(1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서포트(25)의 삽입부 외경은 상기 상부서포트(10)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며,

    상기 수평보강재(30)는 지지바(31), 고정구(33) 및 링플레이트(35)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보강재(30)가 상기 변단면부(27)에 결합된 후, 상기 수평보강재(30)와 변단면부(27) 사이의 이격 공간에 링부재(4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서포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40)를 이격공간에 삽입하여 상기 링부재(40)의 내측면은 상기 삽입부(26) 또는 소경부(27a)의 외측면과 면접하고,
    동시에 상기 링부재(40)의 외측면은 상기 고정구(33)의 상부 접촉부(33a)와 면접하여 수평보강재(30)가 변단면부(27)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서포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40)의 외경은 상기 상부서포트(10) 및 변단면부(27)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서포터.
KR1020110142717A 2011-12-26 2011-12-26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 KR101360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717A KR101360361B1 (ko) 2011-12-26 2011-12-26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717A KR101360361B1 (ko) 2011-12-26 2011-12-26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404A Division KR101310848B1 (ko) 2013-03-12 2013-03-12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591A KR20130074591A (ko) 2013-07-04
KR101360361B1 true KR101360361B1 (ko) 2014-02-07

Family

ID=4898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717A KR101360361B1 (ko) 2011-12-26 2011-12-26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3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90070A (zh) * 2021-05-17 2021-07-09 中建八局第四建设有限公司 一种钢结构临时支撑的顶部基座及其安装调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070A (ko) * 2008-12-30 2010-07-08 (주)알루텍 슬라브 거푸집 지지용 서포터
KR101020061B1 (ko) * 2010-08-06 2011-03-11 주식회사 창건 파이프 서포트용 수평재 연결캡
KR20110103773A (ko) * 2010-03-15 2011-09-21 신성스틸(주)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070A (ko) * 2008-12-30 2010-07-08 (주)알루텍 슬라브 거푸집 지지용 서포터
KR20110103773A (ko) * 2010-03-15 2011-09-21 신성스틸(주)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
KR101020061B1 (ko) * 2010-08-06 2011-03-11 주식회사 창건 파이프 서포트용 수평재 연결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591A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243B1 (ko)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101360361B1 (ko)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
CN109702387B (zh) 一种斜拉桥塔柱内衬钢结构制作方法
CN215482906U (zh) 一种锁合件、连接构件、预制桩及预制桩组合
KR100843509B1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
KR101310848B1 (ko)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
KR20170089239A (ko) 스페이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KR101458435B1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CN110145113B (zh) 一种方便组装的建筑模板
KR102079030B1 (ko) 트러스형 거푸집 서포트 어셈블리
KR101621503B1 (ko) 철근 연결용 거치대
KR20110026297A (ko) 헤드철근을 위한 철근연결장치
CN114075871A (zh) 一种滑模用三角式悬挑支撑底座
CN211074054U (zh) 预制楼梯预留孔定位装置
JP4986574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据付構造
JP2007154536A (ja)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柱を用いた柱梁架構
KR101894169B1 (ko) 건축용 서포트의 클램프
KR101806000B1 (ko) 서포트 길이 연장용 익스텐더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KR20180066674A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터의 외관
CN216516828U (zh) 一种滑模用三角式悬挑支撑底座
CN220246894U (zh) 一种竹节式预制方桩
KR102423432B1 (ko)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중공슬래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