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307A -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구비한 부체 설비 - Google Patents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구비한 부체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307A
KR20190070307A KR1020187006834A KR20187006834A KR20190070307A KR 20190070307 A KR20190070307 A KR 20190070307A KR 1020187006834 A KR1020187006834 A KR 1020187006834A KR 20187006834 A KR20187006834 A KR 20187006834A KR 20190070307 A KR20190070307 A KR 20190070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er
supporting
support
riser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타케무라
켄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미쯔이 이앤에스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이앤에스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이 이앤에스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0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63B3/32Web frames; Web beams
    • B63B9/065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7/00Drilling rods or pipes; Flexible drill strings; Kellies; Drill collars; Sucker rods; Cables; Casings; Tubings
    • E21B17/01Ris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7/00Drilling rods or pipes; Flexible drill strings; Kellies; Drill collars; Sucker rods; Cables; Casings; Tubings
    • E21B17/01Risers
    • E21B17/012Risers with buoyanc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외판(12)의 외측에 라이저관(R)을 지지하기 위한 라이저 지지 구조체(14)(14A, 14B)가 장착되는 FPSO 설비 등의 부체 설비(10)에 있어서, 상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A)를, 외판(12)의 외측에 장착된 설치대 구조체(22A)를 통해 외판(12)에 장착한다. 또한, 하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B)를, 외판(12)의 외측에 장착된 설치대 구조체(22B)를 통해 외판(12)에 장착한다.

Description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구비한 부체 설비
본 발명은 부체(浮體) 설비의 외판에 장착되는 라이저 지지 구조체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설비)와 긴장 계류식 플랫폼(TLP)에서는 해저와 해상시설 사이를 연결하는 라이저관(riser pipe)이 다수 설치되어, 라이저관을 통해 원유, 가스, 해수 등의 유체가 수송된다. 라이저관은 가요성을 가지며, 킬(keel) 근처의 외판(外板)에 마련되는 가이드를 통해 인입되어 수평방향으로 고정된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표 2006-519137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라이저는 바다 속에 마련된 킬 가이드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해상의 데크에 마련된 장력부여장치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지지되고 있다. 그러나, 라이저를 흘수보다 위 또는 아래의 부체 설비 외판에 마련된 라이저 지지 구조체에 의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는 구성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해저의 유정과 부체 설비 사이를 잇는 라이저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높은 강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라이저 지지 구조체는 부체 설비의 외판과 일체의 강(鋼)구조로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이저 지지 구조체의 구성은 라이저의 종류, 배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라이저의 배치가 최종적으로 결정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그 때문에, 부체 설비의 건조(建造) 개시 후에 라이저의 종류, 배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그 경우, 개조 공사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라이저 관의 종류, 배치가 결정되어 있지 않아도, 효율적으로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구비한 부체 설비를 건조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부체 설비는 외판과, 상기 외판의 외측에 장착되는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외판에 상기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장착하기 위한 설치대 구조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부체 설비는 외판의 내측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는 웨브 프레임(web frame)을 구비하며, 라이저 지지 구조체가 장착되는 위치에서 웨브 프레임이 구조 보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이저 지지 구조체는 예를 들면 라이저를 삽입 관통하여 지지 고정하는 라이저관 지지부를 구비하며, 설치대 구조체는 라이저관 지지부를 지지하는 구조체로서 구성된다. 또한, 라이저 지지 구조체는 예를 들면 라이저를 삽입 관통하여 지지 고정하는 라이저관 지지부와, 설치대 구조체를 통해 외판에 장착되어 라이저관 지지부를 지지하는 구조체로 분할하여 구성된다. 라이저관 지지부를 지지하는 구조체는 예를 들면 브라켓 부재로서 구성된다.
예를 들면, 라이저관 지지부를 지지하는 구조체가 부체 설비의 외판에 장착된 후에, 라이저관 지지부가, 라이저관 지지부를 지지하는 구조체에 장착된다. 라이저관 지지부는 라이저 2개 분량을 단위로 하는 유닛 구조를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라이저관 지지부는 라이저 1개 분량을 단위로 하는 유닛 구조를 구비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라이저관 지지부는 마감판을 구비하며, 마감판에는 2개 분량의 유닛 구조를 장착 가능하고, 길이 방향 양단이 원호형상을 띠는 개구가 형성되며, 양단의 원호형상을 띠는 부분에 각각 1개의 유닛 구조가 장착된다. 이 때, 유닛 구조는 원호형상에 적합한 절반 둘레 분량의 플랜지부를 구비한다. 라이저관 지지부는 예를 들면 흘수보다 위쪽에 배치된다. 또한, 라이저관 지지부는 흘수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부체 설비의 제조 방법은 외판과, 외판의 외측에 장착되는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구비하는 부체 설비의 제조 방법으로서, 외판에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장착하기 위한 설치대 구조체가 마련됨과 아울러, 라이저 지지 구조체가, 라이저를 삽입 관통하여 지지 고정하는 라이저관 지지부와, 설치대 구조체를 통해 외판에 장착되어 라이저관 지지부를 지지하는 구조체로 분할 구성되어, 라이저관 지지부를 지지하는 구조체를 외판에 장착한 후에, 라이저관 지지부를, 라이저관 지지부를 지지하는 구조체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이저관의 종류, 배치가 결정되어 있지 않아도, 효율적으로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구비하는 부체 설비를 건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부체 설비의 부분 횡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서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부체 설비에 장착하는 양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서 A 테두리로 둘러싼 부분의 맨홀 등의 개구부가 없는 경우의 확대도.
도 4은 도 1에서 A 테두리로 둘러싼 부분의 맨홀 등의 개구부가 있는 경우의 확대도.
도 5는 제 1 변형예에서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부체 설비에 장착하는 양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제 2 변형예에서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부체 설비에 장착하는 양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 2 실시예의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의 장착 양태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9는 제 3 실시예의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의 장착 양태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11은 제 4 실시예의 부체 설비의 부분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부체 설비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부체 설비(10)는 예를 들면 원유, 가스 등의 탄화수소를 처리하는 처리 설비를 구비하는 선박 형태를 띤 FPSO 설비이다. 부체 설비(10)는 예를 들면 길이 방향으로 블록으로 분할하여 건조되며, 최종 공정에서 각 블록을 접합하여 전체를 구성하는 블록 공법을 이용하여 건조된다. 부체 설비(10)는 건조(建造) 후, 자력 운항 또는 예인에 의해 설치 해역(수역)까지 이송되어, 같은 해역(수역)에 계류 후,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다수의 라이저관(R)이 장착된다.
라이저관(R)은 부체 설비(10)의 외판(12)을 따라 해저로 인도되며, 외판(12)의 외측에는 각 라이저관(R)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라이저 지지 구조체(14)가 장착된다. 라이저 지지 구조체(14)는 외판(12) 위쪽에서 부체 설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도 1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와, 동일 위치에서의 부체 설비(10) 외판(12)의 횡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라이저 지지 구조체(14)는 선측 외판(12) 위쪽에서 라이저관(R)을 지지 고정하는 상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A)와, 선측 외판(12) 아래쪽에서 예를 들면 흘수 아래의 빌지(Bilge) 근처에서 바다 속으로 수직으로 내려오는 라이저관(R)을 지지하는 하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B)를 구비한다. 상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A)는 라이저관(R)이 삽입 관통되며, 이를 지지 고정하는 라이저관 지지부(16)와, 부속 구조부(18, 19)와, 브라켓 부재(20)를 구비한다. 브라켓 부재(20)는 예를 들면 역 직각삼각형의 판상 구조체이며, 소정 간격으로 부체 설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판(12)의 외측에 다수 장착된다. 라이저관 지지부(16)는 브라켓 부재(20)의 정상부에서, 브라켓 부재(20)에 걸쳐 놓인다. 또한, 하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B)는, 예를 들면 라이저관(R)의 수평 방향의 운동을 규제하는 가이드 튜브로 주로 구성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상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A)의 라이저관 지지부(16), 부속 구조부(18, 19), 브라켓 부재(20)는 소정 길이를 단위로 미리 조립연결되어, 부체 설비(10)의 블록 조립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다. 도 2와 같이 일체화된 상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A)는 용접 등을 이용하여 부체 설비(10)의 외판(12) 외측에 장착된다. 또한, 하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B)도 도 2와 같이 미리 조립연결된 것이 부체 설비(10)의 블록 조립 후, 용접 등을 이용하여 부체 설비(10)의 외판(12) 외측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대 구조체(22A, 22B)를 통해 상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A), 하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B) 각각이 부체 설비(10)에 장착된다. 즉, 설치대 구조체(22A, 22B)는 각각 상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A), 하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B)의 연직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세로로 긴 부재(예를 들어 T형의 구조)이며, 각 블록 건조시에, 브라켓 부재(20)의 장착 위치 및 하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B)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여 외판(12)의 외측에 연직 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라이저 지지 구조체(14)는 상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A)의 브라켓 부재(20)를 설치대 구조체(22A)에 용접하고, 하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B)를 설치대 구조체(22B)에 용접함으로써 부체 설비(10)에 고정된다.
이어, 도 3,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웨브 프레임(web frame)의 보강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3, 도 4는 도 1에서 A 테두리로 둘러싼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웨브 프레임에 맨홀 등의 개구가 없는 경우, 도 4는 웨브 프레임에 맨홀 등의 개구가 있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체 설비(10)의 외판(12) 내측에는 다수의 종통 방요재(縱通防撓材, longitudinal stiffener)(24)가 마련되고, 라이저 지지 구조체(14)가 마련되는 위치에는 횡단면을 따라 연장되는 웨브 프레임(26)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라이저 지지 구조체(14)가 장착되는 부분(설치대 구조체(22A) 및/또는 설치대 구조체(22B))의 최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웨브 프레임(26)을, 소정 범위(예를 들면 가로세로가 종통 방요재(24)의 장착 간격의 0.5배~1.5배 정도에 해당하는 크기)에 걸쳐 다른 곳보다도 두께가 두꺼운 보강재(예를 들면 +5mm~+15mm 두께)로 미리 치환한다. 예를 들면, 도 3, 도 4에서는 설치대 구조체(22A)의 최상단부가 종통 방요재(24A, 24B)의 위치와 일치하며, 종통 방요재(24A, 24B) 주위의 웨브 프레임(26)이 보강재(28A, 28B)로 치환되고, 용접에 의해 주위의 웨브 프레임(26)에 장착된다. 또한, 통상 종통 방요재(24)에 웨브 프레임(26)의 판재를 조립연결할 때의 필요성 때문에, 종통 방요재(24)의 한쪽편(도 3, 도 4에서는 하측)과 웨브 프레임(web frame)(26) 사이에는 틈새(12A)가 존재하는 일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틈새(12A)에 보강재(30A, 30B)(보강재(28A, 28B)와 거의 동일한 재료, 두께의 판재)를 끼워 넣어, 통상 종통 방요재(24)와 웨브 프레임(26)에 용접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통 방요재의 웨브 또는 틈새(12A)의 폭이 보강재의 상기 소정 범위와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큰 경우, 보강재가 상하로 분할되는 일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종통 방요재 대신에 사이드 스트링거(side stringer)를 마련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보강재(28A, 28B, 30A, 30B)에 의한 구조 보강은 예상되는 가장 무거운 상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A)(또는 하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B))에 대응하여 설계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개구(32)는 맨홀이며, 종통 방요재(24B)는 바닥면을 겸한다.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외판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설치대 구조체를 마련함으로써, 예를 들면 외판의 내측을 도장한 후에,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장착하기 위한 용접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부체 설비 완성 후에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라이저의 종류, 배치가 결정되어 있지 않아도, 부체 설비의 라이저 지지 구조체 장착 위치에 최대 하중을 상정한 보강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블록 조립 후에 라이저의 종류나 배치가 결정되어도, 다시 라이저 지지 구조체 장착 위치 주변을 개조할 필요가 없어, 건조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고 및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이어,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의 제 1, 제 2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제 2 변형예는 라이저 지지 구조체의 유닛화 방법의 차이에 있다. 또한, 기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는 모든 구성 부품을 조립연결하고 나서 부체 설비(10)의 외판(12) 외측에 장착되었다. 그러나, 라이저의 종류나 배치에 따라 변경이 되는 구조는 라이저 지지 구조체의 일부이다. 따라서, 제 1, 제 2 변형예에서는 라이저의 종류나 배치에 따라 변경이 되는 구성 이외를 표준화함으로써, 예를 들면 블록 상태에서의 부체 설비(10)에 미리 장착해 두고, 동일 구성 이외의 부재를 블록 조립 후에 장착 가능하게 한다. 도 5의 제 1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면 브라켓 부재(20A)를 표준화하고, 미리 각 블록 건조단계에서 외판(12)의 외측에 장착하며, 라이저관 지지부(16), 부속 구조부(18, 19)를 블록 조립 후(라이저의 종류나 배치 결정 후)에, 브라켓 부재(20A)에 장착한다. 한편, 도 6의 제 2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면 브라켓 부재(20A)와 부속 구조부(9)를 표준화하고, 이들만을 미리 각 블록 건조 단계에서 외판(12)의 외측에 장착하며, 라이저관 지지부(16), 부속 구조부(18)를 블록 조립 후(라이저의 종류나 배치 결정 후)에, 브라켓 부재(20A)에 장착한다.
이상과 같이, 제 1, 제 2 변형예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변형예에서는 라이저의 종류, 배치와 관계없는 구성부를 표준화함으로써, 선행하여 이들 구성부를 장착 가능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부체 설비의 건조(建造)가 가능해진다.
이어, 도 7, 도 8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의 부체 설비에 적용되는 라이저 지지 구조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의 차이는 라이저관 지지부의 구성 차이뿐이며, 기타 구성은 제 1 실시예나 제 1, 제 2 변형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예는 직경이 다른 2종류의 라이저관만이 사용되는 것이 분명한 경우에 적용되는 실시예이다. 이러한 경우, 라이저관 지지부를 라이저 2개 분량을 단위로 하여 유닛화하면, 큰 직경과 작은 직경의 순열 조합으로 그 종류는 4종류만이 된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서는 라이저관 지지부를 라이저 2개 분량을 단위로 하는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160)으로서 구성한다.
도 7은 그 중 1종류의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160A)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160A)은 라이저관이 각각 삽입 관통되는 라이저관 삽입관통공을 형성하는 크고 작은 다른 직경의 2개의 원통부재(161, 162)와, 원통부재(161, 162)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한쌍의 마감판(163, 164)과, 원통부재(161, 162)의 측면을 4방향에서 지지하고 유닛 전체의 강도를 유지하는 판부재(165)로 구성된다.
도 7의 예에서는 직경이 다른 원통부재(161, 162)을 쌍(pair)으로 하고 있는데, 그 이외의 유닛으로서는 2개의 큰 직경의 원통부재(161)를 쌍으로 하는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160B, 160A)의 원통부재(161, 162)의 배치를 반대로 한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160C), 2개의 작은 직경의 원통부재(162)를 쌍으로 하는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160D)이 형성된다(도 8 참조).
도 8은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160)과, 부속 구조물(18, 19)의 조립체인 부속 구조부 조립체(180, 190)의 평면도로, 도 8(a)는 조립 후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8(b)는 조립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라이저관의 종류가 특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조합에 대응하는 수 종류의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을 미리 준비해 둠으로써, 라이저관의 배치 결정 후, 이들을 결정된 라이저관의 배치에 맞춰 조합하여 장착함(용접)으로써 조립부착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어,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의 부체 설비에 적용되는 라이저 지지 구조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제 2 실시예와 제 3 실시예의 차이는 라이저관 지지부의 구성의 차이뿐이며, 기타 구성은 제 1, 제 2 실시예나 제 1, 제 2 변형예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라이저관 지지부를, 라이저 1개 분량을 단위로 하는 유닛으로서 구성한다. 도 9, 도 10에는 예를 들면 큰 직경, 작은 직경의 2종류의 라이저관이 사용되는 경우의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170, 171)이 도시된다.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170)은 큰 직경의 원통부재(172)로 주로 구성되며,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171)은 작은 직경의 원통부재(173)로 주로 구성된다. 각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170, 171)의 상하 개구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74, 175)가 마련된다. 플랜지부(174, 175)는 원통부재(172, 173)의 절반둘레부의 원호 형상을 띠며, 부속 구조부 조립체(180, 190)를 조립한 후에 상방으로부터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측의 플랜지부는 상측의 플랜지부보다도 그 폭이 약간 좁게 구성된다. 상하 플랜지부(174) 사이에는 원통부재(172)의 모선을 따라 연장되는 3장의 판재(176)가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원통부재(172), 플랜지부(174, 174)의 구조를 보강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하 플랜지부(175) 사이에는 원통부재(173)의 모선을 따라 연장되는 3장의 판재(177)가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원통부재(173), 플랜지부(175, 175)의 구조를 보강하고 있다. 또한, 판재(176, 177)의 상하 폭은 상하 플랜지부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10은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170, 171)과, 부속 구조물(18, 19)의 조립체인 부속 구조부 조립체(180, 190)의 평면도로, 도 10(a)는 조립 후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10(b)는 조립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제 3 실시예에서는 부속 구조부 조립체(180, 190) 사이에,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170, 171)을 장착하기 위한 상하 한쌍의 마감판(200)이 마련된다. 마감판(200)에는 부체 설비(10)의 길이 방향으로 장축을 갖는 대략 긴 원형의 개구부(202)가 다수 형성된다. 개구부(202)는 예를 들면 1세트의 브라켓 부재(20) 사이에 1개씩 형성된다.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170, 171)의 플랜지부(174, 175)의 크기는 각 개구부(202)의 양단의 원호부 지름에 적합하게 되어 있으며,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170, 171)의 플랜지부(174, 175)는 각각 결정된 라이저관의 배치에 따라 각 개구부(202)의 양단의 원호부에 용접된다. 또한, 이 때, 판부재(176, 177)도 상하 마감판(200) 사이에 마련되는 판부재에 용접된다.
이상과 같이, 제 3 실시예에서도 제 2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 3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불필요한 유닛의 발생이 보다 억제되어 비용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도 11은 제 4 실시예의 라이저 지지 구조체의 구성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제 1~제 3 실시예의 라이저 지지 구조체에서는 상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A)로 라이저 튜브를 지지 고정하였었는데, 제 4 실시예의 라이저 지지 구조체에서는 하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5)로 부체 설비에 라이저관을 지지 고정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의 하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5)는 라이저관(R)의 운동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규제하는 라이저관 지지부(15A)를 구비한다. 하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5)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설치대 구조체(22B)에 용접된다. 또한, 라이저관 지지부(15A)에 장착된 라이저관(R)에는, 상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4A)를 통해 삽입 관통하는 또 다른 라이저관(미도시)이 연결된다. 또한, 기타 구성에 관하여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구조 보강의 구성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설치대 구조체(22B)의 최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웨브 프레임(26)이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강되어도 좋다. 또한, 하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15)에 마련되는 라이저관 지지부(15A)는 제 2, 제 3 실시예의 라이저관 지지부(16)와 같이, 소정 수의 라이저관을 단위로 한, 복수의 분할된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제 4 실시예에서도 제 1~제 3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제 4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블록 단계에서 미리 브라켓 부재(20)를 외판(12)에 직접 장착해 두고, 블록 연결 후에 라이저관 지지부(16)나 부속 구조부(18, 19)를 이 브라켓 부재(20)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브라켓 부재(20)는 설치대 구조체로서 구성되며, 상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구조 보강은 보강재로 웨브 프레임을 치환하는 구성 이외일 수도 있다.
10 : 부체 설비
12 : 외판
14 : 라이저 지지 구조체
14A : 상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
14B, 15 : 하부 라이저 지지 구조체
15A, 16 : 라이저관 지지부
18, 19 : 부속 구조부
20 : 브라켓 부재
22A, 22B : 설치대 구조체
26 : 웨브 프레임
28A, 28B, 30A, 30B : 보강재
160, 160A~160D :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
161, 162 : 원통부재
170, 171 : 라이저관 지지부 유닛
172, 173 : 원통부재
174, 175 : 플랜지부
200 : 마감판
202 : 개구부
R : 라이저관

Claims (13)

  1. 외판과, 상기 외판의 외측에 장착되는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외판에 상기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장착하기 위한 설치대 구조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외판의 내측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는 웨브 프레임을 구비하며, 라이저 지지 구조체가 장착되는 위치에서 상기 웨브 프레임이 구조 보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 지지 구조체는 라이저를 삽입 관통하여 지지 고정하는 라이저관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설치대 구조체는 상기 라이저관 지지부를 지지하는 구조체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 지지 구조체는 라이저를 삽입 관통하여 지지 고정하는 라이저관 지지부와, 상기 설치대 구조체를 통해 상기 외판에 장착되어 상기 라이저관 지지부를 지지하는 구조체로 분할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관 지지부를 지지하는 구조체가 브라켓 부재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관 지지부를 지지하는 구조체가 상기 부체 설비의 상기 외판에 장착된 후에, 상기 라이저관 지지부가 상기 라이저관 지지부를 지지하는 구조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관 지지부는 라이저 2개 분량을 단위로 하는 유닛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8.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관 지지부는 라이저 1개 분량을 단위로 하는 유닛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관 지지부가 마감판을 구비하며, 상기 마감판에는 2개 분량의 상기 유닛 구조를 장착 가능하고, 길이 방향 양단이 원호형상을 띠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양단의 원호형상을 띠는 부분에 각각 1개의 상기 유닛 구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구조는 상기 원호형상에 적합한 절반 둘레 분량의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11.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관 지지부가 흘수보다도 위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12.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관 지지부가 흘수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13. 외판과, 상기 외판의 외측에 장착되는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구비하는 부체 설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외판에 상기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장착하기 위한 설치대 구조체가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라이저 지지 구조체가, 라이저를 삽입 관통하여 지지 고정하는 라이저관 지지부와, 상기 설치대 구조체를 통해 상기 외판에 장착되어 상기 라이저관 지지부를 지지하는 구조체로 분할 구성되어,
    상기 라이저관 지지부를 지지하는 구조체를 상기 외판에 장착한 후에, 상기 라이저관 지지부를, 상기 라이저관 지지부를 지지하는 구조체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의 제조방법.
KR1020187006834A 2015-09-11 2016-08-24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구비한 부체 설비 KR201900703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79440A JP2017052469A (ja) 2015-09-11 2015-09-11 ライザー支持構造体を備える浮体設備
JPJP-P-2015-179440 2015-09-11
PCT/JP2016/074641 WO2017043315A1 (ja) 2015-09-11 2016-08-24 ライザー支持構造体を備える浮体設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307A true KR20190070307A (ko) 2019-06-20

Family

ID=58239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834A KR20190070307A (ko) 2015-09-11 2016-08-24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구비한 부체 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7052469A (ko)
KR (1) KR20190070307A (ko)
CN (1) CN108137140A (ko)
SG (1) SG11201801997VA (ko)
WO (1) WO2017043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4194A1 (ja) * 2017-08-31 2019-03-07 三井E&S造船株式会社 ライザー管支持構造
GB2580328B (en) 2018-12-28 2021-01-20 Subsea 7 Ltd Installing subsea ris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9137A (ja) 2003-02-28 2006-08-24 モデク・インターナショナル・エルエルシー ライザー・パイプの支持システムおよび支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9804B1 (en) * 1999-04-21 2004-05-25 Ope, Inc. SCR top connector
US20030206772A1 (en) * 2001-02-22 2003-11-06 Horne Earl Wils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floating platform buoyanc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9137A (ja) 2003-02-28 2006-08-24 モデク・インターナショナル・エルエルシー ライザー・パイプの支持システムおよび支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43315A1 (ja) 2017-03-16
CN108137140A (zh) 2018-06-08
JP2017052469A (ja) 2017-03-16
SG11201801997VA (en)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5679A (ko) 격벽 관통 파이프 설치구조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335261B1 (ko) 탑 사이드 모듈을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의 건조방법
KR20190070307A (ko)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구비한 부체 설비
JP2020033009A (ja) 浮体式炭化水素貯蔵プラントおよび/または浮体式炭化水素処理プラントの外殻として用いる船体、同船体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同船体を備える船舶、ならびに同船体を有する同船舶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BR112019018473A2 (pt) interface superior do riser de catenária em aço
WO2019044194A1 (ja) ライザー管支持構造
KR20140055306A (ko) 해양 구조물 탑사이드의 보조 모듈 설치구조와 그 방법
KR20140035588A (ko) 불연속 선저부를 가지는 부양식 선체 및 그 조립방법
JP7088452B2 (ja) 洋上浮体構造物
KR20110093167A (ko) 선박
KR20130010741A (ko) 선박의 핸드 레일
KR20140003123A (ko) 블록형 터릿 조립구조 및 블록형 터릿 조립방법
JP2019043525A (ja) ライザー管支持構造
KR101607942B1 (ko) 라이저 가이드관 탑재 방법
KR20200029813A (ko) 레그 파이프 설치방법 및 레그 파이프 설치기구
JP7252281B2 (ja) 波形隔壁タンク上部スツール内配管構造
KR101010768B1 (ko) 선박 화물창의 사이드 통로 제작 방법 및 그 설치구조
KR20150000771U (ko) 해양구조물의 파이프 설치 조립체
KR102122093B1 (ko) 라이져와 케이슨의 탑재방법, 탑재구조
CN217539882U (zh) 一种海上平台立管安装限位结构
CN213598709U (zh) 立管支撑管卡和立管系统
WO2015126811A1 (en) Tension leg platform (tlp) having offset top tension riser (ttr) guides
JP2019027086A (ja) 容器の補強方法及び容器の支持構造
KR20120134772A (ko) 덕트 킬을 포함하는 선박의 탱크 탑 베이스 중조립 블록 제작방법
KR101784946B1 (ko) 해양 구조물 지지 장치 및 상기 해양 구조물 지지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