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741A - 선박의 핸드 레일 - Google Patents

선박의 핸드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741A
KR20130010741A KR1020110071573A KR20110071573A KR20130010741A KR 20130010741 A KR20130010741 A KR 20130010741A KR 1020110071573 A KR1020110071573 A KR 1020110071573A KR 20110071573 A KR20110071573 A KR 20110071573A KR 20130010741 A KR20130010741 A KR 20130010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rail
support
socket body
rai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915B1 (ko
Inventor
김재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1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9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0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63B2017/045Bulwar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선박의 핸드 레일이 개시된다. 개시된 선박의 핸드 레일은 선박 데크면 상의 마운트 브라켓에 결합되며 소정 영역의 가장자리에 일정 구간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지지체와, 지지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레일 바와, 레일 바에 연결되는 안전 로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핸드 레일 {HAND RAIL OF SHIP}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상에서의 추락 방지 등 선상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 핸드 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선체 데크 상의 가장자리 또는 해치 커버가 설치된 데크 상의 개방 공간을 통한 선원 또는 작업자의 추락 방지 등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안전 핸드 레일이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 핸드 레일은 일 예로서 선체 데크에 용접 설치되는 가로바와, 가로바에 수직 방향으로 용접 설치되는 세로바와, 세로바에 연결되는 레일바로 이루어진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예를 들어 선체 블록의 제작 시, 용접 품질과 작업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선체 블록을 뒤집어서 작업(turn over)을 하고 있다. 이 때 선체 블록은 턴-오번 전 이동 시, 트랜스포트에 적재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선체 블록을 턴-오버 전 이동 시, 안전 핸드 레일로 인해 선체 블록의 트랜스포트 적재가 불가능하여 선체 블록의 도장 작업 후에 안전 핸드 레일을 설치해야만 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안전 핸드 레일을 선체 블록의 도장 작업 후, 선체 데크의 가장자리에 용접 설치함으로 인해 선체 데크의 도장 손상을 야기시킨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필요에 따라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한 포터블 구조로 이루어진 선박의 핸드 레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선박 데크면 상의 마운트 브라켓에 결합되며 소정 영역의 가장자리에 일정 구간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레일 바와, 상기 레일 바에 연결되는 안전 로프를 포함하는 선박의 핸드 레일 지지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의 핸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바의 단부는 상기 지지체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지지체와의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의 핸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바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체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의 핸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은 상기 레일 바의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의 핸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소켓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의 핸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소켓 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핀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의 핸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소켓 몸체는 외주면이 상기 마운트 브라켓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의 핸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소켓 몸체는 상기 안내홈의 내면이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의 핸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바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체의 단부와 스토핑이 이루어지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의 핸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바의 외주면에는 상기 안전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연결링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소켓 몸체의 내주면에 안내홈을 형성하고 그 소켓 몸체의 외주면이 마운트 브라켓에 용접 접합되므로, 소켓 몸체에 대한 용접 부위의 비드 불량 및 소켓 몸체의 용접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레일 바를 설치하기 위한 중공의 정도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켓 몸체에 대한 레일 바의 설치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선체의 데크에 가로바가 용접 설치되고 그 가로바에 세로바가 용접 설치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레일 바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선체 블록의 제작 시, 용접 품질과 작업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선체 블록을 뒤집어(turn over)서 작업을 하는 경우, 선체 블록의 턴-오버 전 이동 시, 트랜스포트의 적재가 용이하여 선체 블록의 도장 작업 전에 핸드 레일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선체 데크의 도장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핸드 레일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핸드 레일에 적용되는 지지체의 용접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핸드 레일에 적용되는 지지체의 비교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핸드 레일에 적용되는 지지체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핸드 레일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핸드 레일(100)은 선체 데크(1) 상의 최외측 가장자리 또는 해치 커버(HC)가 설치된 데크(1) 상의 개방 공간을 통한 선원 또는 작업자의 추락 방지 등 선상의 안전 확보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한 포터블 구조로 이루어지며, 핸드 레일의 설치 불량을 줄일 수 있고, 핸드 레일의 설치를 위한 구성품의 용접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선박의 핸드 레일(100)은 기본적으로, 지지체(10)와, 레일 바(30)와, 안전 로프(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10)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레일 바(3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소켓(socket)” 이라고도 한다.
상기 지지체(10)는 선박의 데크(1) 상에 설치되며, 소정 영역의 가장자리에 일정 구간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영역이라 함은 해치 커버(HC)가 설치된 데크(1) 상의 개방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그 개방 공간의 가장자리단에 상기 해치 커버(HC)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0)는 데크(1) 상에서 해치 커버(HC)의 가장자리 측에 설치되는 마운트 브라켓(3)에 결합되는 바, 이 마운트 브라켓(3)은 데크 면에 수직 방향으로 직립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체(10)는 상하단이 개방된 중공을 지닌 원통 형상의 소켓 몸체(11)를 포함한다. 소켓 몸체(11)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의 외주면이 마운트 브라켓(3)의 가장자리단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소켓 몸체(11)는 양쪽 개방단이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며 마운트 브라켓(3)의 가장자리단에 용접 접합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한 쪽의 개방단을 소켓 몸체(11)의 상단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다른 한 쪽의 개방단을 소켓 몸체(11)의 하단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소켓 몸체(11)의 내주면에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결되는 안내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홈(13)은 뒤에서 더욱 설명될 레일 바(3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그 홈의 내면이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켓 몸체(11)는 레일 바(30)를 결합하기 위한 안내홈(13)을 내주면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 3에서와 같이 마운트 브라켓(3)의 가장자리단에 대하여 외주면이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소켓 몸체(11)에 대한 용접 부위의 비드 불량 및 소켓 몸체(11)의 용접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레일 바(30)를 설치하기 위한 중공의 정도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켓 몸체(11)에 대한 레일 바(30)의 설치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체(10)의 비교예로서, 도 4에서와 같이 소켓 몸체(111)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결된 슬릿(112)을 지닌 지지체(110)를 마운트 브라켓(3)에 용접하여 그 슬릿(112)으로서 레일 바(130)를 설치하기 위한 안내홈(113)을 형성하는 경우, 지지체(110)의 외주면은 물론 내주면 측에서도 마운트 브라켓(3)에 대한 용접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상기 비교예에서는 마운트 브라켓(3)에 대하여 지지체(110)의 내외주면을 용접하게 되므로, 지지체(110)에 대한 용접 부위의 비드 불량 및 지지체(110)의 용접 변형을 야기시키고, 이로 인해 레일 바(130)를 설치하기 위한 중공의 정도 불량을 초래하며, 결과적으로는 지지체(110)에 대한 레일 바(130)의 설치 불량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상기 지지체(10)는 도 5에서와 같이, 선체 데크(1) 상의 최외측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체(10)의 소켓 몸체(11)는 데크(1) 상에서 디귿(ㄷ)자 형태로 절곡된 마운트 브라켓(3)에 용접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 브라켓(3)은 디귿(ㄷ)자로 접힌 양 말단이 데크(1)의 상면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10)의 소켓 몸체(11)는 마운트 브라켓(3)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진 상태로 그 구멍의 가장자리단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체(10) 또한 내주면에 레일 바(30)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13)을 형성하며 마운트 브라켓(3)의 구멍 가장자리단에 외주면이 용접 접합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비교예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 바(30)는 선상에서 소정 영역의 가장자리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 바로서 이루어지며, 소켓 몸체(11)의 중공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착탈 가능한 포터블 레일 바로서 구비된다.
상기 레일 바(30)는 지지체(10)의 소켓 몸체(11)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회전할 수 있고, 그 회전으로서 소켓 몸체(11)와의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레일 바(30)의 소켓 몸체(11)에 끼워지는 단부(도면에서의 하단부)에는 그 소켓 몸체(11)의 관통 단부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핀(31)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핀(31)은 레일 바(30)의 하단부에 용접 접합되며, 그 레일 바(30)의 외주면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핀(31)은 레일 바(30)의 하단부가 소켓 몸체(11)의 중공에 삽입될 때, 소켓 몸체(11)의 안내홈(13)에 안내되면서 그 소켓 몸체(11)를 관통한다.
이에, 상기 걸림핀(31)은 소켓 몸체(11)를 관통한 상태에서 레일 바(30)가 회전됨으로써 그 소켓 몸체(11)의 관통 단부와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내홈(13)은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그 홈의 내면이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레일 바(30)의 걸림핀(31)을 더욱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레일 바(30)의 외주면에는 소켓 몸체(11)에 대한 레일 바(30)의 결합 시, 그 소켓 몸체(11)의 상단부에 대하여 스토핑이 이루어지는 스토퍼(3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35)는 레일 바(30)에 끼워질 수 있는 링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레일 바(30)의 외주면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레일 바(30)의 외주면에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안전 로프(50)를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연결링(39)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링(39)은 레일 바(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2열로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연속적으로 배치되는데, 레일 바(30)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대략 90도 각도로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로프(50)는 선상의 소정 영역을 구획하는 팬스로서,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정 간격으로 지지체(10)에 결합된 레일 바(30)의 연결링(39)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핸드 레일(100)의 설치 과정을 살펴 보면,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선체 데크(1) 상의 최외측 가장자리 또는 해치 커버(HC)가 설치된 데크(1) 상의 개방 공간 가장자리에 지지체(10)의 소켓 몸체(11)를 설치한다.
이 경우, 상기 소켓 몸체(11)는 선체 데크(1) 상의 최외측 가장자리 또는 해치 커버(HC)가 설치된 데크(1) 상의 개방 공간 가장자리에 배치된 마운트 브라켓(3)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켓 몸체(11)는 레일 바(30)를 결합하기 위한 안내홈(13)을 내주면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마운트 브라켓(3)의 가장자리단에 대하여 외주면이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소켓 몸체(111)에 슬릿(112)이 형성된 비교예(도 3 참조)와 달리, 소켓 몸체(11)에 대한 내주면의 용접 작업을 삭제할 수 있으므로, 지지체(10)의 설치 작업 공정이 단순해지고, 소켓 몸체(11)에 대한 용접 부위의 비드 불량 및 소켓 몸체(11)의 용접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 바(30)를 설치하기 위한 중공의 정도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켓 몸체(11)에 대한 레일 바(30)의 설치 불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체(10)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 바(30)를 지지체(10)의 소켓 몸체(11)에 간단한 방법으로서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 바(30)의 하단부를 소켓 몸체(11)의 중공에 삽입하는데, 레일 바(30)의 걸림핀(31)을 소켓 몸체(11)의 안내홈(13)에 일치시킨 상태로 그 레일 바(30)를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레일 바(30)의 하단부는 걸림핀(31)이 안내홈(13)에 안내되면서 소켓 몸체(11)를 관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레일 바(30)의 하단부를 소켓 몸체(11)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 바(3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걸림핀(31)이 소켓 몸체(11)의 관통 단부와 걸림이 이루어지며, 레일 바(30)는 소켓 몸체(11)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 바(30)는 소켓 몸체(11)의 중공에 끼워지는 과정에, 스토퍼(35)를 통해 소켓 몸체(11)의 상단부에 대하여 스토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레일 바(30)를 지지체(10)에 장착한 상태로, 그 레일 바(30)의 연결링(39)에 안전 로프(50)를 연결하게 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핸드 레일(100)의 설치는 완료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핸드 레일(100)을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의 과정과 역순으로서 안전 로프(50)와 레일 바(30)를 분리하면 되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핸드 레일(100)에 의하면, 레일 바(30)를 필요에 따라 지지체(10)에 설치하거나 그 지지체(1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선체의 데크(1)에 가로바, 세로 바 및 레일바가 용접 설치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레일 바(30)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므로, 선체 블록의 도장 작업 전에 핸드 레일(100)을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선체 블록의 제작 시, 용접 품질과 작업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선체 블록을 뒤집어(turn over)서 작업을 하는 경우, 선체 블록의 턴-오버 전 이동 시, 종래 기술과 달리 트랜스포트의 적재가 용이하여 선체 블록의 도장 작업 전에 핸드 레일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장 작업 전에 핸드 레일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선체 데크의 도장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데크 3... 마운트 브라켓
10... 지지체 11... 소켓 몸체
13... 안내홈 30... 레일 바
31... 걸림핀 35... 스토퍼
39... 연결링 50... 안전 로프

Claims (9)

  1. 선박 데크면 상의 마운트 브라켓에 결합되며, 소정 영역의 가장자리에 일정 구간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레일 바; 및
    상기 레일 바에 연결되는 안전 로프
    를 포함하는, 선박의 핸드 레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바의 단부는 상기 지지체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지지체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선박의 핸드 레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바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체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핀이 형성되는, 선박의 핸드 레일.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은 상기 레일 바의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선박의 핸드 레일.
  5.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소켓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 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핀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선박의 핸드 레일.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몸체는 외주면이 상기 마운트 브라켓에 용접 접합되는, 선박의 핸드 레일.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몸체는 상기 안내홈의 내면이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선박의 핸드 레일.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바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체의 단부와 스토핑이 이루어지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선박의 핸드 레일.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바의 외주면에는 상기 안전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연결링이 설치되는, 선박의 핸드 레일.
KR1020110071573A 2011-07-19 2011-07-19 선박의 핸드 레일 KR101304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573A KR101304915B1 (ko) 2011-07-19 2011-07-19 선박의 핸드 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573A KR101304915B1 (ko) 2011-07-19 2011-07-19 선박의 핸드 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741A true KR20130010741A (ko) 2013-01-29
KR101304915B1 KR101304915B1 (ko) 2013-09-05

Family

ID=47839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573A KR101304915B1 (ko) 2011-07-19 2011-07-19 선박의 핸드 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9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63Y1 (ko) * 2013-07-25 2015-02-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휴대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CN106585876A (zh) * 2016-12-16 2017-04-26 江龙船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卸栏杆
KR20170002069U (ko) 2015-12-03 2017-06-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임시 설치용 핸드레일 설치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선박
CN111674504A (zh) * 2020-05-12 2020-09-18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船舶主甲板舷边栏杆连接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071U (ko) * 2006-12-19 2008-06-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특수족장설비의 안전용 핸드레일 설치구조
KR200440869Y1 (ko) * 2007-03-23 2008-07-04 인재훈 핸드레일용 포스트
KR20110080777A (ko) * 2010-01-07 2011-07-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핸드레일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63Y1 (ko) * 2013-07-25 2015-02-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휴대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KR20170002069U (ko) 2015-12-03 2017-06-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임시 설치용 핸드레일 설치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선박
CN106585876A (zh) * 2016-12-16 2017-04-26 江龙船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拆卸栏杆
CN111674504A (zh) * 2020-05-12 2020-09-18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船舶主甲板舷边栏杆连接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915B1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915B1 (ko) 선박의 핸드 레일
KR20140012435A (ko) 선박의 해치 커버 설치 방법
KR20170002799U (ko) 비계 장치의 코너 구조물
KR20210013450A (ko) 족장 피스
KR20130005346A (ko) 탱커선의 제1 화물창의 종격벽을 제외한 구조설계 방법
KR20150060071A (ko) 삽입형 핀 지그
JP3152426U (ja) 船艙またはバラストタンクの足場用ブラケットの構造
KR20190070307A (ko) 라이저 지지 구조체를 구비한 부체 설비
KR20130061890A (ko) 서비스 타워의 프레임 결합구조
KR101517438B1 (ko) 선박의 텐션 링 및 라이저 텐셔너에 와이어를 설치하는 방법
KR101556302B1 (ko) 헬리데크의 리프팅 러그
KR101690752B1 (ko) 크레인 붐 레스트
KR200476263Y1 (ko) 선박의 휴대용 핸드레일 고정장치
KR20150001713U (ko)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버티컬 베슬 지지 구조
KR20160002060U (ko) 선박 위성 안테나 고정용 포스트
KR101716328B1 (ko) 컨테이너 가이드 설치방법 및 구조
KR20140036689A (ko) 선박 묘쇄공 설치용 사다리
KR20140005555U (ko)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
KR200486424Y1 (ko)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리세스타입 버티컬 베슬 지지 구조
KR20130012806A (ko) 벌크선의 그레인 피딩 홀을 이용한 발판치구
KR102027288B1 (ko) 발판 지지 장치
KR102007741B1 (ko) 리프팅 지그 복합체
KR20140006027U (ko) 사다리 수직상태 고정지그
KR101487610B1 (ko) 컨테이너
KR20160083545A (ko) 선박용 엔진 리프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