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555U -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555U
KR20140005555U KR2020130003009U KR20130003009U KR20140005555U KR 20140005555 U KR20140005555 U KR 20140005555U KR 2020130003009 U KR2020130003009 U KR 2020130003009U KR 20130003009 U KR20130003009 U KR 20130003009U KR 20140005555 U KR20140005555 U KR 201400055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ship block
cell guide
block
transverse bulk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철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3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555U/ko
Publication of KR201400055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55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테이너 선박 블록 횡격벽(T-BHD, trans bulkhead)의 셀 가이드가 선박 블록의 버텀 하부까지 형성되는 선박 블록의 구조에 대하여 셀 가이드가 인접된 하단 부위의 횡격벽에 셀 가이드의 절단 공정이 필요 없이 러그 설치공간을 확보하여 러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는, 컨테이너 선박 블록의 셀 가이드가 형성된 부위에 설치되는 러그에 있어서, 상기 셀 가이드(C)가 인접하는 하단 부위의 횡격벽(20)에 상기 횡격벽(20)의 폭(W) 보다 부분적으로 넓게 일체로 형성되는 확장부(210); 상기 확장부(210) 상면에 하단부가 용접을 통해서 고정되며 크레인의 훅이 결합되는 체결공(120)이 상측에 관통 형성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전후 양측에 수평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횡격벽(20)의 확장부(210) 상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수평 리브(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for moving lug of container ship the block}
본 고안은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선박 블록 횡격벽(T-BHD, trans bulkhead)의 셀 가이드가 선박 블록의 버텀 하부까지 형성되는 선박 블록의 구조에 대하여 셀 가이드가 인접하는 하단 부위의 횡격벽에 셀 가이드의 절단 공정이 필요 없이 러그 설치공간을 확보하여 러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선박은 화물창과 상갑판 위에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운송하는 선박으로, 컨테이너를 적재, 배열,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다수의 셀 가이드가 화물창의 횡격벽(T-BHD, trans bulkhead) 또는 웨브 프레임(web frame)(이하, '횡격벽'으로 통칭한다.)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컨테이너 선박 건조 과정은 선박 전체를 여러 개의 대형 블록으로 나누어 제작한 후 이들을 쌓고 연결하는 탑재 과정을 거쳐 선박을 완성하게 되며, 이러한 대형 블록의 탑재 공정에서는 대형 크레인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블록을 대형 크레인으로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블록에 크레인을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는 부분이 필요하게 된다.
즉, 연결 부분을 만들기 위해 선박 블록 상측에는 적절한 위치에 필요한 수만큼의 러그(lug)를 설치하게 되고, 러그는 별도로 제작하여 필요한 부위에 용접한 후 이 부분에 크레인의 훅을 걸어 블록을 운반하게 된다.
종래의 러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크레인의 훅을 삽입하기 위한 체결공(2)이 형성되며, 양면에는 러그(1)가 선박의 하중에 의해 블록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 개의 리브(3)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러그(1)는 블록의 탑재과정을 모두 끝마친 후에는 블록의 손상 방지 및 높게 돌출됨으로 작업자들이 걸리면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럭에서 다시 제거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블록에 용접된 러그(1)의 하단부로부터 15mm를 남기고 산소용접기로 절단하는 공정을 거치거나 블록에 용접된 러그(1)의 하단부로부터 15mm~30mm를 남기고 산소용접기로 절단하는 공정을 거치고, 필요에 따라 남은 러그(1)의 하단부를 가공하는 밀링 과정, 절삭유 및 칩의 제거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마무리 공정이 요구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선박은 별도로 제작된 선박 블록(10)을 크레인을 통해서 이동시켜서 용접을 통해서 결합하여 제작하게 되고, 컨테이너를 수납하는 화물창(B)을 형성하는 선박 블록의 횡격벽(20)에는 상기 컨테이너를 안내하여 적재하기 위한 셀(cell) 가이드(C)가 수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크레인을 통해서 상기 선박 블록(10)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선박 블록의 상측에 설치되는 러그 이외에도 상기 셀 가이드(C)가 형성된 부위에도 러그(1)가 설치되어야 하나, 컨테이너 선박 블록 횡격벽(20)의 셀 가이드가 선박 블록(10)의 버텀 하부까지 형성되는 구조는 러그(1)의 설치 공간이 없으므로, 상기 선박 블록(B)을 세우기 위해 셀 가이드(C)를 절단하고 고박한 다음 러그(1)를 설치해야 하고, 선박 블록(10)을 탑재한 후 도크(dock)장 본선에서 상기 절단된 부위의 셀 가이드(C)를 재설치해야 하므로 컨테이너 선박의 건조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박 블록은 그 조립되는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를 갖추게 되고, 그 무게 중심 등이 다르므로 각 선박 블록에 맞게 러그의 위치 및 형태가 결정된다.
특히, 컨테이너 선박 블록은 컨테이너의 적재를 위한 셀 가이드(C)가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므로 이러한 부위에 러그를 설치한 경우에는 견인과정에서 간섭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컨테이너 선박 블록 횡격벽(T-BHD, trans bulkhead)의 셀 가이드가 선박 블록의 버텀 하부까지 형성되는 선박 블록의 구조에 대하여 셀 가이드가 인접하는 하단 부위의 횡격벽에 셀 가이드의 절단 공정이 필요 없이 러그 설치공간을 확보하여 러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는, 컨테이너 선박 블록의 셀 가이드가 형성된 부위에 설치되는 러그에 있어서, 상기 셀 가이드가 인접하는 하단 부위의 횡격벽에 상기 횡격벽의 폭 보다 부분적으로 넓게 일체로 형성되는 확장부; 상기 확장부 상면에 하단부가 용접을 통해서 고정되며 크레인의 훅이 결합되는 체결공이 상측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이 상기 셀 가이드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후 양측에 수평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횡격벽의 확장부 상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수평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공은 상기 셀 가이드가 설치된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횡격벽의 확장부는 상기 횡격벽의 폭 양단으로부터 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에 의하면, 컨테이너 선박 블록 횡격벽(T-BHD, trans bulkhead)의 셀 가이드가 선박 블록의 버텀 하부까지 형성되는 선박 블록의 구조에 대하여 셀 가이드가 인접하는 하단 부위의 횡격벽에 셀 가이드의 절단 공정이 필요 없이 러그 설치공간을 확보하여 러그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컨테이너선 선박 블록의 셀 가이드가 인접하는 부위에 설치되더라도 셀 가이드와 간섭을 피하면서도 안전하게 선박 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고, 셀 가이드의 절단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컨테이너 선박의 건조기간을 단축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발췌 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기하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발췌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발췌 횡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선박 블록(10) 횡격벽(10)의 셀 가이드(C)가 선박 블록의 버텀 하부까지 형성되는 선박 블록(10)의 구조에 대하여, 셀 가이드(C)가 인접하는 하단 부위의 횡격벽(20)에 상기 횡격벽(20)의 폭(W) 보다 부분적으로 넓게 일체로 형성되는 확장부(210); 상기 확장부(210) 상면에 하단부가 용접을 통해서 고정되며 크레인의 훅이 결합되는 체결공(120)이 상측에 관통 형성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전후 양측에 수평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횡격벽(20)의 확장부(210) 상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수평 리브(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공(120)은 상기 셀 가이드(C)가 설치된 높이(h)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H)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횡격벽(20)의 확장부(210)는 상기 횡격벽(20)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확장부(210)를 별개로 제작하여 횡격벽(20)에 용접으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횡격벽(20)의 확장부(210)는 상기 횡격벽(20)의 폭(W) 양단으로부터 호형으로 형성되어, 일측단부(211)가 셀 가이드(C) 하부의 브라켓(30)과 용접으로 고정된다. 이는 상기 러그(100)의 설치공간을 최소로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100)는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상기 몸체(110)의 상측에 형성된 체결공(120)에는 핀이 결합되고, 상기 핀은 샤클에 연결되며, 상기 샤클을 통해서 크레인에 연결된다.
상기 러그(100)의 체결공(120)은 상기 셀 가이드(C)가 횡격벽(20)의 상면에 결합된 브라켓(30)의 상측에 결합되므로, 상기 체결공(120)에 핀 결합시 상기 셀 가이드(C)와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는 셀 가이드(C)가 설치된 높이(h)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H)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러그(100)는 선박 블록(10)의 탑재과정을 모두 끝마친 후에는 선박 블록(10)의 손상 방지 및 높게 돌출됨으로 작업자들이 걸리면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횡격벽(20)에서 제거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횡격벽(20)의 확장부(210) 상면에 용접된 러그(100)를 상기 셀 가이드(C)의 상단 높이보다 낮게 산소용접기로 절단하게 된다. 따라서, 선박 블록(10)을 세웠을 때 선박 블록(10)의 손상이 방지되고, 작업자들이 러그(100)에 걸리면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남은 러그(100)의 하단부를 가공하는 밀링 과정, 절삭유 및 칩의 제거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마무리 공정이 필요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러그(100)가 셀 가이드(C)에 인접하는 횡격벽(20)의 확장부(2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러그(100)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셀 가이드(C)를 절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선박 건조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선박 블록 20 : 횡격벽
30 : 브라켓
100 : 러그 110 : 몸체
120 : 체결공 130 : 수평 리브
210 : 확장부
B : 화물창 C : 셀 가이드
W : 폭

Claims (3)

  1. 컨테이너 선박 블록의 셀 가이드가 형성된 부위에 설치되는 러그에 있어서,
    상기 셀 가이드(C)가 인접하는 하단 부위의 횡격벽(20)에 상기 횡격벽(20)의 폭(W) 보다 부분적으로 넓게 일체로 형성되는 확장부(210);
    상기 확장부(210) 상면에 하단부가 용접을 통해서 고정되며 크레인의 훅이 결합되는 체결공(120)이 상측에 관통 형성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전후 양측에 수평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횡격벽(20)의 확장부(210) 상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수평 리브(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120)은 상기 셀 가이드(C)가 설치된 높이(h)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H)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격벽(20)의 확장부(210)는 상기 횡격벽(20)의 폭(W) 양단으로부터 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
KR2020130003009U 2013-04-18 2013-04-18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 KR201400055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009U KR20140005555U (ko) 2013-04-18 2013-04-18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009U KR20140005555U (ko) 2013-04-18 2013-04-18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555U true KR20140005555U (ko) 2014-10-28

Family

ID=5245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009U KR20140005555U (ko) 2013-04-18 2013-04-18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55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144A (ko) 2015-08-17 2017-02-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용 라이프 라인 스탠션 및 라이프 라인 스탠션을 갖는 선박
CN107685960A (zh) * 2016-08-04 2018-02-13 广东新会中集特种运输设备有限公司 用于a型架的吊环组件、托盘和集装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144A (ko) 2015-08-17 2017-02-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용 라이프 라인 스탠션 및 라이프 라인 스탠션을 갖는 선박
CN107685960A (zh) * 2016-08-04 2018-02-13 广东新会中集特种运输设备有限公司 用于a型架的吊环组件、托盘和集装箱
CN107685960B (zh) * 2016-08-04 2024-04-23 广东新会中集特种运输设备有限公司 用于a型架的吊环组件、托盘和集装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5555U (ko)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
US20170130425A1 (en) Guardrail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101507426B1 (ko)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KR200470190Y1 (ko) 해양 구조물
CN205203885U (zh) 罐式集装箱及其端框
KR20150001390U (ko) 리프팅 러그
KR20140070775A (ko) 영구접근 조립체가 설치된 액화가스운반선
KR20150026410A (ko) 최적형상의 레이더 마스트 및 그 레이더 마스트의 보강구조
KR101497535B1 (ko)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KR20140052494A (ko) 로로선의 리프터블 카 데크 설치방법
KR200477880Y1 (ko) 선박용 러그 구조체
KR101716328B1 (ko) 컨테이너 가이드 설치방법 및 구조
KR101417954B1 (ko) 선박용 카 데크
KR20120007429U (ko) 컨테이너선의 셀 가이드 지그
KR20140065223A (ko) 셀 가이드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운반선
KR20070021716A (ko) 화물트럭의 트럭 데크
KR101372868B1 (ko) 컨테이너 선박의 선체 구조물 손상방지 시스템
KR101426147B1 (ko) 컨테이너 스툴
KR101786030B1 (ko) 컨테이너선의 가이드 구조
KR20150007089A (ko) 선박용 사다리
KR200283392Y1 (ko) 기중기로 컨테이너를 운반하기 위한 아이 보울트 고정판설치 구조
KR20150000943U (ko) 선박용 러그
KR200465246Y1 (ko) 작업자의 충분한 작업공간 확보를 위한 발판치구
KR20130051117A (ko) 선박의 착탈식 방현장치
KR20140005515U (ko) 파렛트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