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943U - 선박용 러그 - Google Patents

선박용 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943U
KR20150000943U KR2020130007093U KR20130007093U KR20150000943U KR 20150000943 U KR20150000943 U KR 20150000943U KR 2020130007093 U KR2020130007093 U KR 2020130007093U KR 20130007093 U KR20130007093 U KR 20130007093U KR 20150000943 U KR20150000943 U KR 201500009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marine
main
block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riority to KR2020130007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943U/ko
Publication of KR20150000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9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 블럭에 장착되는 러그의 개수를 감소시켜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러그의 파손에 의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선박용 러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선박 블럭에 용접되어 결합되며, 중앙부에 메인고리걸림공이 형성되는 메인플레이트;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수직되게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선박블럭과 용접되어 결합되고, 측면고리걸림공이 형성되는 측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선박용 러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용 러그{LUG FOR A SHIP}
본 고안은 선박용 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선박용 러그의 구조를 개선하여 러그 절단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선박용 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의 선박건조방법은, 선박 전체를 여러 개의 대형 블럭으로 나누어 제작한 후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선박을 완성한다. 이 경우 블럭을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하여 블럭에는 복수개의 러그(LUG)가 설치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132034호를 참조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건조 시 상기 블럭을 이송시키는 종래의 선박용 러그(1)는, 종래의 선박용 러그(1)는 상부에 크레인의 훅을 삽입 걸림하기 위한 걸림공(2)이 마련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만약에, 선박의 블럭 부착면에 러그(1)를 직각상태가 아닌 θ범위로 기울어지게 설치할 경우, 즉 러그(1)의 블럭 지지하중 방향이 상기 러그(1)의 연직 상방을 향하지 않고, 경사지게 작용되는데, 이러한 경우 도 2와 같이 러그(1)를 기울어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러그(1)의 양면에 복수개의 리브(3)를 추가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리브(3)를 추가할 경우에는, 각 상기 리브(3)의 단부를 러그(1) 및 선박의 블럭에 용접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선박용 러그(1)는 상기 리브(3)를 추가할 경우, 각 상기 리브(3)를 러그(1) 및 블럭에 용접 결합함으로 인해, 러그(1)와 리브(3) 블럭 모두 용접열에 의한 금속조직 변화로 인하여 강도 약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리브(3)로 인한 상기 러그(1) 전체의 블럭에 대한 용접작업이 번거로워 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블럭 하역 시와 블럭을 작업대에 세팅하는 경우 상기 러그에 작용하는 힘의 각도는 90도 정도 차이가 나게 된다. 이에 따라 하역시 러그의 측면으로 힘이 발생하므로 상기 러그가 파단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하역용 러그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선박용 러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 블럭에 장착되는 러그의 개수를 감소시켜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러그의 파손에 의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선박용 러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단이 선박 블럭에 용접되어 결합되며, 중앙부에 메인고리걸림공이 형성되는 메인플레이트;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수직되게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선박블럭과 용접되어 결합되고, 측면고리걸림공이 형성되는 측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선박용 러그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메인고리걸림공 또는 상기 측면고리걸림공의 주연부에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보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선박용 러그에 따르면, 메인플레이트 및 측면플레이트에 각각 메인고리걸림공 및 측면고리걸림공을 형성하여 다양한 방향의 외력에 대하여 적절하게 선박용 러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용 러그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추가적인 러그의 설치를 하지 않게 함으로써 자재비 절감 및 설치제거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선박용 러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러그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러그(100)는, 메인플레이트(110) 및 측면플레이트(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10)는 선박블럭에 일단이 용접되어 결합되며, 중앙부에 메인고리걸림공(111)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선박블럭을 작업대에 세팅하는 경우 상기 메인고리걸림공(111)에는 크레인의 훅(미도시)이 삽입되어 상기 선박블럭을 작업대로 이송시킨다. 이 경우 크레인의 훅에 의하여 상기 선박용 러그(100)에는 "A"방향의 힘이 인가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12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와 결합되며, 중앙부에 측면고리걸림공(121)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120)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10)를 중심으로 상하측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하측에 각각 측면고리걸림공(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플레이트(120)의 일단은 상기 선박블럭의 측면과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선박블럭을 하역 또는 리프팅 하는 경우에는 상기 선박용 러그(100)에는 "B"방향의 힘이 인가되는데, 이 경우 작업대에 세팅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메인고리걸림공(111)에 크레인의 훅을 걸어 작업을 하면 선박용 러그(100)에 측면방향의 힘이 인가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선박용 러그(100)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선박용 러그(100)는, 선박블럭을 하역 또는 리프팅하는 경우에는 크레인의 훅을 상기 측면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측면고리걸림공(121)에 삽입하여 걸어 작업을 함으로써 상기 선박용 러그(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메인고리걸림공(111) 또는 상기 측면고리걸림공(121)의 주연부에는, 고리형상의 보강편(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편(130)은 상기 메인고리걸림공(111) 및 상기 측면고리걸림공(121)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고리걸림공(111) 또는 상기 측면고리걸림공(121)의 주연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상기 메인고리걸림공(111) 또는 상기 측면고리걸림공(121)에 크레인의 후크를 걸어 작업하는 경우 상기 메인고리걸림공(111) 또는 상기 측면고리걸림공(121)의 주연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러그(100)의 작동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선박블럭을 포트 베이스(PORT BASE)로 하역하는 경우, 상기 측면플레이트(120)의 측면고리걸림공(121)에 크레인의 훅을 삽입하여 걸림고정하고, 크레인을 작동하여 상기 선박블럭을 포트베이스로 하역시킨다. 이 경우, 상기 측면플레이트(120)에 걸리는 "B"방향의 힘은 상기 측면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의 힘이므로, 상기 측면플레이트(120)에는 측방향의 힘이 걸리지 않아 굽힘모멘트가 걸리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측면플레이트(120)의 파손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선박블럭을 작업대에 세팅하여 조립하는 경우 상기 크레인의 혹은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의 메인고리걸림공(111)에 삽입하여 걸림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에는 "A"방향의 힘이 걸리게 되는데, 상기 "A"방향의 힘은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의 힘이므로,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에는 모멘트가 걸리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의 파손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러그(100)는, 작업 상태에 따라 인가되는 외력의 방향에 따라 메인고리걸림공(111) 또는 측면고리걸림공(121)에 상기 크레인의 훅이 선택적으로 걸림고정되고 작업이 수행됨으로써, 선박용 러그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선박용 러그 110 : 메인플레이트
111 : 메인고리걸림공 120 : 측면플레이트
121 : 측면고리걸림공 130 : 보강편

Claims (2)

  1. 일단이 선박 블럭에 용접되어 결합되며, 중앙부에 메인고리걸림공이 형성되는 메인플레이트;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수직되게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선박블럭과 용접되어 결합되고, 측면고리걸림공이 형성되는 측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선박용 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고리걸림공 또는 상기 측면고리걸림공의 주연부에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보강편을 더 포함하는 선박용 러그.
KR2020130007093U 2013-08-23 2013-08-23 선박용 러그 KR201500009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093U KR20150000943U (ko) 2013-08-23 2013-08-23 선박용 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093U KR20150000943U (ko) 2013-08-23 2013-08-23 선박용 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943U true KR20150000943U (ko) 2015-03-04

Family

ID=5304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093U KR20150000943U (ko) 2013-08-23 2013-08-23 선박용 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94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3195A (zh) * 2018-10-24 2019-03-29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肋板加强圈安装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3195A (zh) * 2018-10-24 2019-03-29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肋板加强圈安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325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
KR20150000943U (ko) 선박용 러그
CN104803293A (zh) 桥式起重机的吊梁
KR101185967B1 (ko) 블록 지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KR20150001390U (ko) 리프팅 러그
KR20150060071A (ko) 삽입형 핀 지그
KR20140052494A (ko) 로로선의 리프터블 카 데크 설치방법
KR100830188B1 (ko) 선박용 러그
KR20140005555U (ko)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
CN204915438U (zh) 防倾翻机构及运输车
KR200283392Y1 (ko) 기중기로 컨테이너를 운반하기 위한 아이 보울트 고정판설치 구조
CN211310539U (zh) 一种总装吊耳
EP2853512B1 (en) Device to connect a lifting means, such as a crane, to an object that shall be lifted
CN215047999U (zh) 一种安装于型材上的起重小吊钩
CN210393394U (zh) 适用于反顶钢构件吊装工装
KR200466983Y1 (ko) 선박의 작업자 이동용 플랫폼
KR102007741B1 (ko) 리프팅 지그 복합체
KR200311765Y1 (ko) 2개의 트롤리를 가지는 크레인
KR20170119049A (ko) 가이드 스토퍼
KR200477040Y1 (ko) 크레인의 후크 컴바이너
CN205397866U (zh) 一种起吊工装
KR20100133701A (ko)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JP4291725B2 (ja) 搬送用金具
KR20140036562A (ko) 복수의 용접부를 갖는 리프팅 러그
KR100569416B1 (ko) 자동차용 엔진의 행거브라켓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