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765Y1 - 2개의 트롤리를 가지는 크레인 - Google Patents

2개의 트롤리를 가지는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765Y1
KR200311765Y1 KR20-2003-0002492U KR20030002492U KR200311765Y1 KR 200311765 Y1 KR200311765 Y1 KR 200311765Y1 KR 20030002492 U KR20030002492 U KR 20030002492U KR 200311765 Y1 KR200311765 Y1 KR 200311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trolley
boom
lo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 태 최
Original Assignee
연 태 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 태 최 filed Critical 연 태 최
Priority to KR20-2003-0002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7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7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길다란 붐의 좌우측에 하나씩의 트롤리가 구비되어 양측에서 동시에 화물인양작업이 가능토록 하여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킨 것이고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지면에 고정되는 포스트(10)를 중심으로 장암과 단암이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붐(20)을 구비하는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장암(20a)에는 소용량의 이동식 트롤리(30)가 설치되고, 단암(20b)에는 대용량의 이동식트롤리(30)가 설치되어 한꺼번에 두개의 화물을 리프팅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임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2개의 트롤리를 가지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개의 트롤리를 가지는 크레인{a crane with two trolley}
본 고안은 크레인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본 크레인은 항만에 설치되어 크레인의 좌우로 접안되는 선박으로 동시에 화물의 선적/하역작업이 가능토록 한 것으로 이를 위해 길다란 붐의 좌우로 하나씩의 이동트롤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무게가 무거운 화물을 옮기거나 들어올려 선박등에 선적하는데 사용되며, 이뿐만 아니라 작업위치등에 따라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는 크레인들이 존재한다.
첨부되는 도1은 일반적인 크레인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설치되는 포스트(1)의 상단부에 수평하게 길다란 붐(2)이 형성된다. 포스트(1)에 대해 비대칭으로 설치되는 붐(2)에 있어서 길게 돌출된 부분에 이동되는 트롤리(3)가 설치된다. 그리고 포스트에 대해 짧게 돌출되는 부분에는 웨이트(4)가 고정된다. 상기 웨이트의 설치로 인해 트롤리에서 고하중의 화물을 리프팅할 때 붐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일반적인 크레인들은 포스트에 대해 상기 붐이 360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이러한 크레인에서는 붐의 일측에서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포스트에 설치되는 붐의 좌우 양측에 트롤리를 하나씩 설치하여 좌우에서 동시에 화물선적이나 하역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2개의 트롤리를 가지는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 일반적인 크레인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포스트 20 : 붐
20a: 장암 20b: 단암
30 : 트롤리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지면에 고정되는 포스트를 중심으로 장암과 단암이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붐을 구비하는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장암에는 소용량의 이동식 트롤리가 설치되고, 단암에는 대용량의 이동식트롤리가 설치되어 한꺼번에 두개의 화물을 리프팅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임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2개의 트롤리를 가지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기 크레인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은 특히, 항만에 설치되어 사용될때 가장 적합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즉, 크레인의 좌우로 정박되는 선박으로 동시에 화물을 선적 혹은 하역할 수 있게된다.
지면에 수직하게 포스트(10)가 설치되며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 길다란 붐(20)이 설치된다. 상기 붐(20)은 포스트(1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포스트(10)의 일측으로 길게 뻗은 부분을 장암(20a)이라하고 그 반대편으로 짧게 뻗은 부분을 단암(20b)이라 부르기로 한다.
상기 장암(20a)과 단암(20b)에는 하나씩의 이동식 트롤리(30)가 설치되며 좌우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장암측에는 소용량의 트롤리가 구비되고 단암에는 상대적으로 대용량의 트롤리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암과 단암의 길이비를 2:1로 제작하였으며 장암측의 트롤리는 최대 2톤의 용량으로 하고 단암측의 트롤리는 최대 5톤의 용량을 갖추도록 하고 있다.
그 외 상기 붐을 견고히 지지토록 하기위해 일반적인 케이블등으로서 포스트와 연결 구속되어져 있다.
이하 상기 크레인의 작동원리를 살펴보기로 한다. 크레인이 설치된 위치로 선박이 그 좌우로 정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크레인의 붐을 선박과 직교되도록 회전시키고 각 트롤리를 적정위치로 이동시킨다. 트롤리에는 상하로 이동되어 화물을 견인할 수 있는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후크를 하강시켜 화물과 체결하며 장암과 단암에 설치되는 트롤리를 동시에 작동시켜 화물을 리프팅하도록 한다. 화물을 선박으로부터 완전 들어올린 후에는 붐을 다시 선박과 평행하게 회전시키며 지상에 준비된 운반트럭으로 두개의 화물을 동시에 내려놓도록 한다.
그리고 화물을 선박으로 선적하는 경우에는 하역작업시와 반대순으로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2개의 트롤리를 가지는 크레인에 의하게 되면, 크레인의 작업능력을 두배로 늘릴수 있게되며 일반적인 크레인에서 요구되는 웨이트가 필요없게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2개의 트롤리에서 동시에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붐에 균형이 유지되어 크레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가진다.

Claims (1)

  1. 지면에 고정되는 포스트(10)를 중심으로 장암과 단암이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붐(20)을 구비하는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장암(20a)에는 소용량의 이동식 트롤리(30)가 설치되고, 단암(20b)에는 대용량의 이동식트롤리(30)가 설치되어 한꺼번에 두개의 화물을 리프팅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트롤리를 가지는 크레인.
KR20-2003-0002492U 2003-01-27 2003-01-27 2개의 트롤리를 가지는 크레인 KR200311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492U KR200311765Y1 (ko) 2003-01-27 2003-01-27 2개의 트롤리를 가지는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492U KR200311765Y1 (ko) 2003-01-27 2003-01-27 2개의 트롤리를 가지는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765Y1 true KR200311765Y1 (ko) 2003-05-09

Family

ID=4940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492U KR200311765Y1 (ko) 2003-01-27 2003-01-27 2개의 트롤리를 가지는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7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866B1 (ko) 2006-08-03 2010-04-13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크레인 및 크레인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866B1 (ko) 2006-08-03 2010-04-13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크레인 및 크레인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98440A (en) Rotatable container-hoisting apparatus
US7878750B2 (en) Rotatable and articulated material handling apparatus
KR20090057630A (ko) 화물용 양하역 장치
US7621410B1 (en) Removable externally mounted bridge crane for shipping containers
CN102431913A (zh) 起重机及其超起装置
EP3272694B1 (en) Jib connection structure
CN105565184A (zh) 一种复合式臂架整装整卸车
JPH10203783A (ja) 搬送式クレーン
CN102701086A (zh) 提高臂架侧向载荷能力的方法、装置和起重机
KR200311765Y1 (ko) 2개의 트롤리를 가지는 크레인
KR20090022045A (ko) 대형블럭의 플로팅도크 탑재방법 및 이를 이용한해상건조공법
EP2377801A1 (en) Method of serving a complex including two and more mobile wharf boom cranes
KR101132621B1 (ko) 양현 하역 선박
US4898289A (en) Method of handling a load with a crane vessel having movable load supports
CN210260912U (zh) 带有伸缩臂结构的侧面起重机
FI79075C (fi) Kran foer tunga laster, speciellt en havskran och foerfarande foer foerankrande av denna.
CN102674134A (zh) 门机用可旋转吊梁
KR20100064677A (ko) 차량용 하역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다연장 로켓 시스템
CA2267751A1 (en) Improved crane mechanism
KR200395319Y1 (ko) 크레인이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어 있는 크레인 차량
US3317057A (en) Derricks
CN203653073U (zh) 一种新型组合式伸缩吊架装置
JP3436360B2 (ja) 岸壁クレーン
US20220282447A1 (en) Material handler skip pan
CN101190775B (zh) 一种可伸缩臂式堆高装卸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