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4677A - 차량용 하역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다연장 로켓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하역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다연장 로켓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4677A
KR20100064677A KR1020080123226A KR20080123226A KR20100064677A KR 20100064677 A KR20100064677 A KR 20100064677A KR 1020080123226 A KR1020080123226 A KR 1020080123226A KR 20080123226 A KR20080123226 A KR 20080123226A KR 20100064677 A KR20100064677 A KR 20100064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fixed
bracket
load
moving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태진
고준열
강희선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3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4677A/ko
Publication of KR20100064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6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28Wheeled-gun mountings; Endless-track gu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34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on wheeled or endless-track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물을 적재하고 지지하는 지지구조체와, 상기 적재물을 인양하며, 상기 지지구조체의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를 통해 상기 적재물을 이동시키는 이송붐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하역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다연장 로켓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하역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다연장 로켓 시스템{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vehicle and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comprising the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하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에 적재물을 싣고 내릴 수 있는 차량용 하역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다연장 로켓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적재물을 싣고 내리는 하역 작업을 위해, 여러 종류의 차량용 기중기가 개발되고 있다.
차량용 기중기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화물칸에 적재물을 싣고 내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용 기중기는 차량에 적용되는 특성상 그 자체로 무게가 적게 나가야 하고, 운용이 용이하여야 그 기능이 최대화된다.
한편, 다연장 로켓 시스템(MLRS: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은, 로켓이 배치된 포드(pod)를 적재하고 다니다가 사격지휘가 내려지면 바로 사격을 진행하는 전투 차량으로서 포드를 운반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사격 포대의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인데, 포드를 하역하기 위한 차량용 기중기를 구비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연장 로켓 시스템(10)에는 발사대(11)를 구비하고 있고, 발사대(11)에는 2개의 포드 지지대(11a)가 배치되어 있고, 포드 지지대(11a)의 상부에 포드(12)를 적재하기 위한 2개의 기중기(13)가 배치되어 있다.
그 중 기중기(13)는 차량용 하역 장치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어서, 다연장 로켓 시스템(10)에 근처에 임시로 배치된 포드(12)를 포드 지지대(11a)로 적재하거나, 사격이 완료된 포드(12)를 포드 지지대(11a)로부터 들어 올려 다연장 로켓 시스템(10)의 근처에 내려놓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중기(13)는 각각의 포드 지지대(11a)에 대응되어 배치되는데, 각각의 기중기(13)는 윈치와 케이블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윈치와 케이블을 덮는 상부 덮개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하역 장치의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다연장 로켓 시스템의 경우에는 신속성과 기동성이 성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인데, 그러한 신속성 및 기동성에 부합하는 새로운 차량용 하역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신속하고 안전하게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차량용 하역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다연장 로켓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하역 장치는, 적재물을 적재하고 지지하는 지지구조체와, 상기 적재물을 인양하며, 상기 지지구조체의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를 통해 상기 적재물을 이동시키는 이송붐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체는 상기 이송붐장치가 상기 적재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가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송붐장치는. 상기 제1 측면부를 통해 상기 적재물을 이동시키는 제1 레일과, 상기 제2 측면부를 통해 상기 적재물을 이동시키는 제2 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송붐장치는, 상기 적재물을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적재물을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제1 측면부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구조체에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제1 고정빔과, 상기 제1 고정빔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상기 지지구조체에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제2 고정빔과, 상기 제1 고정빔의 상기 관통공 내 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빔과, 상기 제2 고정빔의 상기 관통공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빔과, 상기 제1 이동빔의 일단과 상기 제2 이동빔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적재물을 인양할 수 있는 제1 인양장치를 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 볼나사와, 상기 제1 이동빔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제1 볼나사와 맞물리는 제1 볼너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구동부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 볼나사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불너트와 고정된 상기 제1 이동빔과 상기 제1 지지대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빔과 연결되는 제2 이동빔이 각각 상기 제1 고정빔과 상기 제2 고정빔 내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너트가 내장되며 상기 제1 이동빔에 고정 배치되는 제1 브래킷과, 상기 제1 브래킷과 이격되어 상기 제1 이동빔에 고정 배치되는 제2 브래킷과, 상기 제1 브래킷과 상기 제2 브래킷 사이에서 고정되며, 상기 제1 이동빔이 상기 제1 고정빔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볼나사를 덮을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지지봉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일은, 상기 제2 측면부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구조체에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제3 고정빔과, 상기 제1 고정빔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상기 지지구조체에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제4 고정빔과, 상기 제3 고정빔의 상기 관통공 내 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이동빔과, 상기 제4 고정빔의 상기 관통공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4 이동빔과, 상기 제3 이동빔의 일단과 상기 제4 이동빔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적재물을 인양할 수 있는 제2 인양장치를 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2 볼나사와, 상기 제3 이동빔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제2 볼나사와 맞물리는 제2 볼너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2 볼나사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2 불너트와 고정된 상기 제3 이동빔과 상기 제2 지지대에 의해 상기 제3 이동빔과 연결되는 상기 제4 이동빔이 각각 상기 제3 고정빔과 상기 제4 고정빔 내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너트가 내장되며 상기 제3 이동빔에 고정 배치되는 제3 브래킷과, 상기 제3 브래킷과 이격되어 상기 제3 이동빔에 고정 배치되는 제4 브래킷과, 상기 제3 브래킷과 상기 제4 브래킷 사이에서 고정되며, 상기 제3 이동빔이 상기 제3 고정빔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볼나사를 덮을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제2 지지봉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연장 로켓 시스템은 상기 차량용 하역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신속하고 정확하게 적재물을 인양하고 하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밖에도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역 장치(100)가 구비된 다연장 로켓 시스템(2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연장 로켓 시스템(200)은 차량용 하역 장치(100)와 이를 장착하여 운반하는 차량(140)으로 이루어진다. 차량용 하역 장치(100)는 차량(140)의 적재부에 장착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40)의 적재부에 장착된 선회/고저 구동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선회/고저 구동부(130)는 차량(140)에 고정 설치되며, 차량용 하역 장치(100)는 선회/고저 구동부(130) 상에 배치된다. 선회/고저 구동부(130)는 차량용 하역 장치(100)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선회/고저 구동부(130)는 로켓 파드(120)가 장착된 차량용 하역 장치(100)의 방위각과 고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하역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하역 장치(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하역 장치(1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역 장치(100)는 적재물(120, 121)를 적재하고 지지할 수 있는 지지구조체(110)와, 적재물(120, 121)을 인양하며 지지구조체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부들(111, 112) 각각을 통해 적재물(120, 121)을 이동시키는 이송붐장치(150)를 구비한다.
지지구조체(110)는 이송붐장치(150)에 의해 인양된 적재물(120, 121)을 적재할 수 있다. 지지구조체(110)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부(111)와 제2 측면부(112)가 있으며, 제1 측면부(111)와 제2 측면부(112)는 개폐가 가능하다. 제1 측면부(111)와 제2 측면부(112)는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향한다. 제1 측면부(111)와 제2 측면부(112)가 개방되면 이를 통해 적재물(120, 121)은 지지구조체(110) 내부로 이동되어 적재되거나 지지구조체(110)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된다. 이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이송붐장치(150)는 제1 측면부(111)의 개방을 통해 적재물(120)을 이동시키는 제1 레일(160)과, 제2 측면부(112)의 개방을 통해 적재물(121)을 이동시키는 제2 레일(170)을 구비한다. 또한, 이송붐장치(150)는 적재물(120)을 제1 레일(160)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180)와, 적재물(121)을 제2 레일(170)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1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80)와 제2 구동부(190)는 제1 볼나사(165)와 제2 볼나사(175)를 회전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제1 레일(160)은 제1 고정빔(161a), 제2 고정빔(161b), 제1 이동빔(162a), 제2 이동비(162b), 및 제1 지지대(16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고정빔(161a)과 제2 고정빔(161b)는 서로 평행하게 지지구조체(110) 내부에 배치되며, 제1 고정빔(161a)과 제2 고정빔(161b)의 길이 방향은 제1 측면부(111)에 수직한 방향이다. 제1 고정빔(161a)과 제2 고정빔(161b)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빔(161a)에 형성된 관통공에는 제1 이동빔(162a)이 배치되며, 제2 고정빔(161b)에 형성된 관통공에는 제2 이동빔(162b)이 배치된다. 제1 이동비(162a)과 제2 이동빔(162b) 각각은 제1 고정빔(161a)과 제2 고정빔(161b)의 각각의 관통공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이동빔(162a)의 일단과 제2 이동빔(162b)의 일단 사이에는 제1 지지대(163)가 배치된다. 제1 지지대(163)에는 적재물(120)을 인양할 수 있는 제1 인양장치(164)가 배치된다. 제1 인양장치(164)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적재물(120)을 인양할 수 있는 윈치일 수 있다.
제1 레일(160)은 또한 제1 볼나사(165), 제1 볼너트(미도시), 제1 브래킷(166a), 제2 브래킷(166b), 및 제1 지지봉(16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볼나사(165)는 그 일단이 제1 구동부(180)에 연결되며, 제1 구동부(180)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제1 볼나사(165)는 제1 볼너트(미도시)와 치합되며, 제1 볼너트(미도시)는 제1 이동빔(162a)에 고정 배치된다. 제1 볼너트는 제1 이동빔(162a)에 고정 배치된 제1 브래킷(166a) 내에 배치된다.
제1 구동부(180)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력(회전력)에 의해 제1 볼나사(165)가 회전하면서 제1 볼너트와 고정된 제1 이동빔(162a)과, 제1 지지대(163)에 의해 제1 이동빔(162a)과 연결되는 제2 이동빔(162b)이 각각 제1 고정빔(161a)의 관통공과 제2 고정빔(162b)의 관통공을 따라 이동된다.
제1 브래킷(166a)과 제2 브래킷(166b)은 서로 이격되어 제1 이동빔(162a)에 고정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래킷(166a)과 제2 브래킷(166b)은 제1 이동빔(162a)의 양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래킷(166a) 내부에는 제1 볼너트(미도시)가 고정 배치된다.
제1 브래킷(166a)과 제2 브래킷(166b) 사이에는 제1 지지봉(167)이 배치된다. 제1 지지봉(167)은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다. 제1 이동빔(162a)이 제1 고정빔(161a)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제1 볼나사(165)는 제1 지지봉(167)의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들어가게 되어 제1 지지봉(167)은 제1 볼나사(165)를 보호한다.
제2 레일(170)은 제3 고정빔(171a), 제4 고정빔(171b), 제3 이동빔(172a), 제4 이동빔(172b), 및 제2 지지대(173)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고정빔(171a)과 제4 고정빔(171b)는 서로 평행하게 지지구조체(110) 내부에 배치되며, 제3 고정빔(171a)과 제4 고정빔(171b)의 길이 방향은 제2 측면부(112)에 수직한 방향이다. 제3 고정빔(171a)과 제4 고정빔(171b)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3 고정빔(171a)에 형성된 관통공에는 제3 이동빔(172a)이 배치되며, 제4 고정빔(171b)에 형성된 관통공에는 제2 이동빔(162b)이 배치된다. 제3 이동 빔(172a)과 제4 이동빔(172b) 각각은 제3 고정빔(171a)과 제4 고정빔(171b)의 각각의 관통공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3 이동빔(172a)의 일단과 제4 이동빔(172b)의 일단 사이에는 제2 지지대(173)가 배치된다. 제2 지지대(173)에는 적재물(121)을 인양할 수 있는 제2 인양장치(174)가 배치된다. 제2 인양장치(174)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적재물(121)을 인양할 수 있는 윈치일 수 있다.
제2 레일(170)은 또한 제2 볼나사(175), 제2 볼너트(미도시), 제3 브래킷(176a), 제4 브래킷(176b), 및 제2 지지봉(17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볼나사(175)는 그 일단이 제2 구동부(190)에 연결되며, 제2 구동부(190)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제2 볼나사(175)는 제2 볼너트(미도시)와 치합되며, 제2 볼너트(미도시)는 제3 이동빔(172a)에 고정 배치된다. 제2 볼너트는 제3 이동빔(172a)에 고정 배치된 제3 브래킷(176a) 내에 배치된다.
제2 구동부(190)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력(회전력)에 의해 제2 볼나사(175)가 회전하면서 제2 볼너트와 고정된 제3 이동빔(172a)과, 제2 지지대(173)에 의해 제3 이동빔(172a)과 연결되는 제4 이동빔(172b)이 각각 제3 고정빔(171a)의 관통공과 제2 고정빔(162b)의 관통공을 따라 이동된다.
제3 브래킷(176a)과 제4 브래킷(176b)은 서로 이격되어 제3 이동빔(172a)에 고정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브래킷(176a)과 제4 브래킷(176b)은 제3 이동빔(172a)의 양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브래킷(176a) 내부에는 제2 볼너트(미도시)가 고정 배치된다.
제3 브래킷(176a)과 제4 브래킷(176b) 사이에는 제2 지지봉(177)이 배치된다. 제2 지지봉(177)은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다. 제3 이동빔(172a)이 제3 고정빔(171a)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제2 볼나사(175)는 제2 지지봉(177)의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들어가게 되어 제2 지지봉(177)은 제2 볼나사(175)를 보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연장 로켓 시스템(200)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연장 로켓 시스템(200)의 하역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6의 (a)는 적재물(120, 121)가 지지구조체(110) 내에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1 측면부(111)와 제2 측면부(112)는 모두 덮여있다.
이후, 적재물(120, 121)을 하역하는 경우, 도 11의 (b)에서와 같이 제1 측면부(111)와 제2 측면부(112)는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다.
다음으로,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120, 121) 각각은 이송붐장치(150)에 의해 지지구조체(110) 외부로 이동된다. 즉, 적재물(120)은 제1 지지대(163)에 의해 지지되어 제1 이동빔(162a)과 제2 이동빔(162b)이 외부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되며, 적재물(121)은 제2 지지대(173)에 의해 지지되어 제3 이동빔(172a)과 제4 이동빔(172b)이 외부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된다.
제1 이동빔(162a)과 제2 이동빔(162b), 그리고 제3 이동빔(172a)과 제4 이동빔(172b)이 완전히 신장된 후에는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163)의 제1 인양장치(164)와 제2 지지대(173)의 제2 인양장치(174)에 의해 적재물(120, 121) 각각이 지면에 놓여 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적재물(120, 121), 예를 들면 로켓 파드를 지지구조체(110)의 윈치를 이용하여 지면에서 들어올려 지지대(164, 174))로 지지하고 이송붐장치(150)에 의해 지지구조체(110)로 이동되어 적재되므로 로켓 파드를 적재하기 위해 별도의 크레인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며,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로켓 파드(적재물)를 인양하여 적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다연장 로켓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역 장치가 구비된 다연장 로켓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하역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하역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하역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연장 로켓 시스템(200)의 하역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량용 하역 장치 110: 지지구조체
120, 121: 적재물 130: 선회/고저 구동부
140: 차량 150: 이송붐장치
160: 제1 레일 170: 제2 레일

Claims (13)

  1. 적재물을 적재하고 지지하는 지지구조체; 및
    상기 적재물을 인양하며, 상기 지지구조체의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를 통해 상기 적재물을 이동시키는 이송붐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체는 상기 이송붐장치가 상기 적재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역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붐장치는.
    상기 제1 측면부를 통해 상기 적재물을 이동시키는 제1 레일; 및
    상기 제2 측면부를 통해 상기 적재물을 이동시키는 제2 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역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붐장치는,
    상기 적재물을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적재물을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역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제1 측면부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구조체에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제1 고정빔;
    상기 제1 고정빔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상기 지지구조체에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제2 고정빔;
    상기 제1 고정빔의 상기 관통공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빔;
    상기 제2 고정빔의 상기 관통공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빔; 및
    상기 제1 이동빔의 일단과 상기 제2 이동빔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지지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역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적재물을 인양할 수 있는 제1 인양장치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역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 볼나사; 및
    상기 제1 이동빔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제1 볼나사와 맞물리는 제1 볼너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구동부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 볼나사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불너트와 고정된 상기 제1 이동빔과 상기 제1 지지대에 의해 상기 제1 이동빔과 연결되는 제2 이동빔이 각각 상기 제1 고정빔과 상기 제2 고정빔 내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역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너트가 내장되며 상기 제1 이동빔에 고정 배치되는 제1 브래킷;
    상기 제1 브래킷과 이격되어 상기 제1 이동빔에 고정 배치되는 제2 브래킷; 및
    상기 제1 브래킷과 상기 제2 브래킷 사이에서 고정되며, 상기 제1 이동빔이 상기 제1 고정빔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볼나사를 덮을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지지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역 장치.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일은,
    상기 제2 측면부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구조체에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제3 고정빔;
    상기 제1 고정빔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상기 지지구조체에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제4 고정빔;
    상기 제3 고정빔의 상기 관통공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이동빔;
    상기 제4 고정빔의 상기 관통공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4 이동빔; 및
    상기 제3 이동빔의 일단과 상기 제4 이동빔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지지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역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적재물을 인양할 수 있는 제2 인양장치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역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2 볼나사; 및
    상기 제3 이동빔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제2 볼나사와 맞물리는 제2 볼너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2 볼나사가 회전하 면서 상기 제2 불너트와 고정된 상기 제3 이동빔과 상기 제2 지지대에 의해 상기 제3 이동빔과 연결되는 상기 제4 이동빔이 각각 상기 제3 고정빔과 상기 제4 고정빔 내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역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볼너트가 내장되며 상기 제3 이동빔에 고정 배치되는 제3 브래킷;
    상기 제3 브래킷과 이격되어 상기 제3 이동빔에 고정 배치되는 제4 브래킷; 및
    상기 제3 브래킷과 상기 제4 브래킷 사이에서 고정되며, 상기 제3 이동빔이 상기 제3 고정빔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볼나사를 덮을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제2 지지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역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차량용 하역 장치를 구비한 다연장 로켓 시스템.
KR1020080123226A 2008-12-05 2008-12-05 차량용 하역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다연장 로켓 시스템 KR201000646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226A KR20100064677A (ko) 2008-12-05 2008-12-05 차량용 하역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다연장 로켓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226A KR20100064677A (ko) 2008-12-05 2008-12-05 차량용 하역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다연장 로켓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677A true KR20100064677A (ko) 2010-06-15

Family

ID=42364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226A KR20100064677A (ko) 2008-12-05 2008-12-05 차량용 하역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다연장 로켓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46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460A (ko) 2014-12-05 2016-06-1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다연장 발사장치
WO2019033182A1 (pt) * 2017-08-17 2019-02-21 Mac Jee Indústria Comério E Representação Comercial Ltda. Módulo de lançamento de foguetes e veiculo de lançamento de foguetes
KR20240063424A (ko) 2022-11-03 2024-05-10 주식회사 다인경금속 다연장 로켓 발사대용 레일의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460A (ko) 2014-12-05 2016-06-1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다연장 발사장치
WO2019033182A1 (pt) * 2017-08-17 2019-02-21 Mac Jee Indústria Comério E Representação Comercial Ltda. Módulo de lançamento de foguetes e veiculo de lançamento de foguetes
US11131521B2 (en) 2017-08-17 2021-09-28 Mac Jee Industria De Defesa Ltda. Rocket launch module and rocket launch vehicle
KR20240063424A (ko) 2022-11-03 2024-05-10 주식회사 다인경금속 다연장 로켓 발사대용 레일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3746C2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в особенности буровая, машина
US11247878B2 (en) Operating method of a wind power jib of a crane and crane
KR20100064677A (ko) 차량용 하역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다연장 로켓 시스템
KR20180074859A (ko) 향상된 제진성능을 가지는 항만 컨테이너 크레인
KR20100056819A (ko) 차량용 하역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다연장 로켓 시스템
CN103476670B (zh) 包括起重机的船只
EP3272694B1 (en) Jib connection structure
WO2010041946A2 (en) Trailer for the transportation by road of containers
CN102259803A (zh) 移动式起重机,特别是移动式建筑起重机
CN207417106U (zh) 一种带囊体箱自卸功能的锚泊车
JP5454308B2 (ja) クレーン
EP2711330A1 (en) Lifting or hoisting system and method of stabilizing a mobile elevating work platform
EP3480158A1 (en) Load transporter
KR100600629B1 (ko) 차량에 장착되는 상하차용 미니 크레인
JP2002087376A (ja) ダビット式揚挺装置
JPS61114998A (ja) リフト装置
JP2004051328A (ja) クレーンのジブ起伏方法及びクレーン
JP4121023B2 (ja) ステップ一体型荷受台昇降装置
CN102653377A (zh) 随车起重机和随车起重运输车
KR200311765Y1 (ko) 2개의 트롤리를 가지는 크레인
JPH0376250B2 (ko)
JP2002090091A (ja) キャニスタ装填装置
RU2038229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еревозки контейнеров
KR100304342B1 (ko) 능동적 붐래치 시스템
JP2024068976A (ja) 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