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7630A - 화물용 양하역 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용 양하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7630A
KR20090057630A KR1020070124292A KR20070124292A KR20090057630A KR 20090057630 A KR20090057630 A KR 20090057630A KR 1020070124292 A KR1020070124292 A KR 1020070124292A KR 20070124292 A KR20070124292 A KR 20070124292A KR 20090057630 A KR20090057630 A KR 20090057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unit
loading
link
unloa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4538B1 (ko
Inventor
김대경
신봉헌
이동훈
안철수
이재창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4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538B1/ko
Publication of KR20090057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2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 B65G15/26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xtensible,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2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 B65G2814/0241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spreading out the material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 B65G2814/0282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spreading out the material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using turn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이 있는 곳과 고소작업위치 사이에서 화물의 이송 또는 반송, 적재, 양하역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화물용 양하역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화물용 양하역 장치는 메인 실린더와 가위형 링크 장치로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리프터부를 이용하되, 상기 승강판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턴테이블부; 상기 턴테이블부에 탑재된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진행 방향과 직각을 이루어 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롤러 사이를 통과하도록 상기 턴테이블부에 탑재된 텔레스코픽부; 상기 텔레스코픽부에 의해 다단계로 전, 후진하는 마스터부; 상기 마스터부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포크부를 포함하고, 조향기능을 갖는 구동부 또는 장치 안정성을 위한 아우트리거(outrigger)를 구비한다.
포크부, 마스터부, 텔레스코픽부, 컨베이어부, 턴테이블부, 리프터부, 제어부, 에어밸런싱

Description

화물용 양하역 장치{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FREIGHTS}
본 발명은 화물용 양하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의 차량에서 고소작업위치, 또는 고소작업위치에서 지상의 차량으로와 같이, 높이 차이가 있는 작업환경에서 물건, 화물 등을 이송, 운반, 양하역, 적재 또는 적하시키는 방법은 크레인과 지게차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크레인은 차량 위에 설치된 회동장치와, 회동장치 위에서 경사지게 설치된 크레인용 작동암과 같은 것으로서 작업의 최상높이보다 더욱 높은 위치로 신장 또는 축소되는 붐(boom)과, 상기 붐을 기초로 상기 작업의 최상높이보다 더욱 높은 위치에 위치된 와이어롤러와, 와이어롤러의 끝단에 설치된 후크 또는 제반 체결도구를 갖는 것으로서, 후크 또는 제반 체결도구를 이용하여 운반하려는 화물 또는 물건과 체결된 후, 와이어롤러의 작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물건을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지게차는 주로 낮은 높이 범위 내에서 화물을 하역, 운반 및 적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종래의 고소 작업용 크레인은 회동장치에 탑재된 붐의 특성상 원추형상과 같이 높고 넓은 작동 공간을 요구함과 함께 와이어의 경로에 해당하는 수직공간에 대하여 간섭이 없어야 하는 등과 같이 공간적 제약을 받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고소 작업용 크레인은 균형을 고려하면서 후크와 물건 사이에 제반 체결도구를 체결하여 화물을 들어올릴 수 있는 준비 작업이 요구되어서,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신속한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우며, 이는 생산성 저하를 야기시킨다.
종래의 지게차는 그의 설계 특성상 화물을 고소작업위치까지 이송하기 어렵기 때문에, 선체 내부에서 중량물의 이송, 반송, 양하역 작업을 하는데 있어 기계 구조적 제약을 받는다.
또한, 지게차는 장방형 화물의 회전이 필요한 경우에 지게차와 화물 모두가 회전되어야 하나, 좁은 지상 공간상에서 지게차의 작업이 불가능한 곳이 많아 사용에 한계가 있고, 다수의 운전방향 전환을 통하여 이송할 경우 생산성 저하를 야기시킨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를 이용한 고소 작업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장치대(1)를 틸트 실린더(3) 및 차체하부(8)에 연결 구성한 것으로서, 특수 보조 작업 장치대(5)를 축으로 상승 및 하강하는 붐(9)을 특수 보조 작업 장치대(5)에 연결하고, 특수 보조 작업 장치대(5)와 붐(9) 사이에 붐 조작용 실린더(11)를 장착하며, 상기 붐(9)을 축으로 상승 및 하강하는 암(10)을 붐(9)에 연결하고, 붐(9)과 암(10) 사이에 암 조작용 실린더(12)를 장착하고, 차체에 특수 보조 작업 장치대(5)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6, 7)를 설치하고, 특수 보조 작업 장치대(5)를 조작할 때에는 상기 실린더(11, 12)를 작동시켜 작업대(1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를 이용한 고소 작업차는 작업자를 작업대(13)에 탑승시켜 상하로 이송시키는 역할만을 담당할 뿐, 지상에서 고소작업위치까지 물건 또는 화물을 이송, 양하역 등의 작업에 사용될 수 없고, 양하역 작업의 생산성 증가를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고소 작업차는 단순히 높은 위치로 작업대를 이동시키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지게차 자체의 높이 도달에 따른 기계 구조적 제약만을 해소할 뿐, 여전히 좁은 지상 공간상에서 이동 및 회전에 제약을 받는 단점을 갖는다.
즉, 종래의 크레인, 단순 지게차, 지게차를 이용한 고소 작업차 등은 지상 차량화물의 고소작업위치로의 이송에 따라 발생되는 수직방향의 공간적 제약과, 체결방법의 한계, 회전제한 등에 유연성이 없어, 평행 및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화물 또는 물건을 이송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크레인은 청결 운송 차량에 해당하는 윙바디 차량의 윙 개폐 특성상, 차량의 측면의 윙이 개폐될 때 화물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윙에 의해 차량 천정이 형성되어 크레인의 후크가 접근하기 어려워, 실내 작업 환경에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이 있는 곳과 고소작업위치 사이에서 화물의 이송 또는 반송, 적재, 양하역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화물용 양하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메인 실린더와 가위형 링크 장치로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리프터부를 이용한 화물용 양하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턴테이블부; 상기 턴테이블부에 탑재된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진행 방향과 직각을 이루어 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롤러 사이를 통과하도록 상기 턴테이블부에 탑재된 텔레스코픽부; 상기 텔레스코픽부에 의해 다단계로 전, 후진하는 마스터부; 상기 마스터부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포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양하역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메인 실린더와 가위형 링크 장치로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리프터부를 이용한 화물용 양하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에 세워져 설치된 기둥부; 상기 기둥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병렬 링크 구조의 다관절 링 크와 중간 관절 및 외팔보를 구비한 링크절; 상기 링크절의 일측에 결합된 에어밸런스 실린더; 상기 링크절의 중간 관절을 기준으로 설치된 승하강 링크실린더; 상기 링크절의 외팔보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식 포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양하역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한 장소로 장치 전체가 이동하도록, 리프터부의 바닥 프레임을 기반으로 조향기능을 갖는 구동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지지력을 확장시키도록, 리프터부의 바닥 프레임을 기반으로 아우트리거(outrigger)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물용 양하역 장치에 따르면, 포크부, 마스터부, 텔레스코픽부, 컨베이어부, 턴테이블부, 리프터부의 유기적 작동관계 및 결합관계에 의해서, 기존의 장치에 비해 상부 수직방향의 공간적 제약 및 높이제한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물용 양하역 장치는 차량에서 직접 화물을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고, 화물의 받침대와 같은 표준화된 팔레트 상의 화물 또는 정형화된 구조물 등을 크레인의 후크 및 제반 체결도구를 이용한 별도의 체결작업 없이 신속하고 순차적으로 차량 센터이동, 포크부 전진 및 분리 상승, 포크부 1차 후진, 포크부 2 차 후진, 컨베이어부에 화물 안착, 리프터부 상승, 턴테이블부 회전 및 마스터부 더 후진, 화물 이송을 수행하여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실내 공간의 고소작업위치까지 화물을 안전하게 하역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물용 양하역 장치는 그의 작동 반경이 지게차보다 훨씬 커서 상부 수직방향으로의 기계 구조적 제약을 뛰어 넘고, 크레인 또는 고소 작업차에서 할 수 없던 윙바디 차량과의 협업을 통해 청결한 화물의 이송 또는 반송, 적재, 양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크레인과 같은 상부 구조물 또는 공간에 대한 제약이 없으므로 우천이나 낙설시 별도의 칸막이 아래에서 본 발명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외부환경에 의한 영향을 감쇄시켜 우천, 낙설 등에 의한 화물 오염 또는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물용 양하역 장치는 기구 타입과 에어밸런싱 타입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어서, 사용처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물용 양하역 장치에서 에어밸런싱 타입은 에어밸런스 실린더의 설치 위치와 다른 곳, 즉 링크절 중간 관절에 액추에이터기능의 승하강 링크실린더를 설치하여 상하 승강 작동시 신속한 작동을 수행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넓은 작동 반경을 제공하여 작업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공간 이동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물용 양하역 장치는 조향기능을 갖는 구동부와, 장치 안정성을 위한 아우트리거(outrigger)를 구비하여, 이동성과 안정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용 양하역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h는 도 2에 도시된 화물용 양하역 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물용 양하역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물용 양하역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물용 양하역 장치의 사시도이다.
제1실시예
먼저,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용 양하역 장치는 기구 타입의 제1실시예(100)로서 이해된다.
제1실시예(100)는 포크부(110), 마스터부(120), 텔레스코픽부(130), 컨베이어부(140), 턴테이블부(150), 리프터부(160),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100)는 차량에서 직접 화물을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고, 표준화된 팔레트 상의 화물 또는 정형화된 구조물의 양하역 작업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포크부(110)는 차량의 화물을 차량에서 분리하여 제1실시예(100)의 작업영역으로 이송시키는 도구에 해당한다.
즉, 포크부(110)는 하기에 설명할 마스터부(120)의 작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화물과 팔레트를 들어올리는 역할을 담당한다.
포크부(110)는 팔레트 측면에 형성된 팔레트 구멍에 삽입되어 들어올리는 힘을 전달하는 한 쌍의 포크와 포크베이스를 갖는 것으로서, 기존의 지게차 기술 규격에 맞게 어태치먼트(attachment) 결합으로 마스터부(1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마스터부(120)는 하역 화물이 차량에 적재된 다른 화물의 간섭 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상기 하역할 화물을 다른 화물로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런 마스터부(120)는 포크부(110)에 결합되어 차량 적재 화물로부터 하역할 해당 화물을 분리 상승시키는 상승력 또는 하강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121)와, 이런 액추에이터(121)의 실린더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지지대와, 이런 상부지지대의 양측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축부재와, 이런 가이드 축부재의 하부를 연결한 베이스축부재를 구비한 마스터 프레임(122)을 갖는다.
마스터부(120)와 텔레스코픽부(130)의 사이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틸트 작동 구조 또는 리칭 작동 구조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틸트 작동 구조는 화물의 안전한 이동을 위해 포크부(110)를 텔레스코픽부(130) 쪽으로 경사지게 기울이거나, 원래대로 수평하게 내려놓도록 복귀시키는 틸트 기능을 위한 것이다.
리칭 작동 구조는 포크부(110)를 수평 이동시켜 화물 쪽으로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정도의 스트로크 거리만큼 전후진하는 리칭 기능을 위한 것이다.
텔레스코픽부(130)는 포크부(110)와 마스터부(120)를 상대적으로 긴 수평 스트로크 거리 내에서 다단계(예 : 3단계)로 전후진 시키는 역할과, 컨베이어부(140)의 작동 직전 포크부(110)의 포크를 화물의 팔레트 구멍으로부터 빼내어 화물과 포크부(110)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마스터부(120)를 더 후진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수평 스트로크 거리란 마스터부(120)의 최초 위치로부터 컨베이어부(140) 상부를 가로질러 차량 위의 화물이 있는 팔레트까지 도달할 수 있는 범위에 해당한다.
텔레스코픽부(130)는 마스터부(120)의 후방에 연결된 끝단, 중간단, 종단이 베이스단을 기초로 중첩 가능하게 신장 또는 축소되고 컨베이어부(140)의 컨베이어롤러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된 신축사다리형 프레임(131)과, 이런 신축사다리형 프레임(131)에 연결되어 전후진력을 발생시키는 전후진장치(132)를 갖는다.
전후진장치(132)는 상기 수평 스트로크 거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축형 실린더 장치, 또는 롤러와 와이어 및 기어모터를 이용한 와이어 전후진 이송 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컨베이어부(140)는 화물을 운반 공급하되, 화물 바닥의 조건에 따라 슬라트 컨베이어 시스템, 롤러 컨베이어 시스템,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택하여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컨베이어부(140)는 복수개의 컨베이어롤러를 구비하여, 텔레스코픽 부(130)에 대해 수직한 진행 방향으로 화물을 이송 또는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베이어부(140)는 텔레스코픽부(130)의 전방을 기준으로 턴테이블부(150)의 회동판(151)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부(140)는 포크부(110)의 전후진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이격 공간을 유지하는 3개의 파트(141, 142, 143)로 구획되어 있다.
파트 사이 공간(144, 145) 또는 그 파트(141, 142, 143)의 컨베이어롤러 사이는 텔레스코픽부(130)가 연장, 배치 또는 포크부(130)의 일부가 통과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턴테이블부(150)는 포크부(110), 마스터부(120), 텔레스코픽부(130), 컨베이어부(140)가 탑재된 회동판(151)을 회전시켜서 화물 이송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턴테이블부(150)는 회동판(151)의 일측 아래에 설치되고 승강판(161)에 의해 지지되는 스러스트 베어링(152)과, 회동판(151)의 타측 아래에 설치된 유압 또는 전기 중 어느 하나의 구동 방식으로 회동하는 롤러구동장치(153)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동판(151)은 영문 T자 형상의 판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문 T자 형상을 기준으로 회동판(151)의 일측 상부에는 컨베이어부(140)가 설치되고, 회동판(151)의 일측 하부에는 스러스트 베어링(152)이 설치되며, 또한 회동판(151)의 상부에는 텔레스코픽부(130)가 컨베이어부(140)에 대해 교차되어 수 직하게 설치되고, 회동판(151)의 타측 하부에는 롤러구동장치(15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프터부(160)는 포크부(110), 마스터부(120), 텔레스코픽부(130), 컨베이어부(140), 턴테이블부(150)가 탑재된 승강판(161)을 지상으로부터 고소작업위치까지 수직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리프터부(160)는 승강판(161)을 승강시키도록 메인 실린더가 설치된 가위형 링크 장치(162), 상기 승강판(161)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163)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이드 플레이트(163)는 상기 롤러구동장치(153)의 구름롤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 및 가이드하여, 스러스트 베어링(152)을 기준으로 회동판(151)이 선회할 수 있게 유도함에 따라, 턴테이블부(150) 및 그의 탑재물의 안정된 회전 또는 전환을 유도한다.
롤러구동장치(153)는 넓은 폭의 구름롤러와, 그 구름롤러에 형성된 중심샤프트와, 중심샤프트를 지지하면서 회동판(151)의 저면에 설치된 브래킷과, 상기 중심샤프트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결합된 전기모터 또는 유압모터를 갖되, 이들이 모두 고하중 스팩을 만족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플레이트(163)도 상기 구름롤러의 폭에 대응하여 가이드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구동장치(153)와 스러스트 베어링(152)의 채용에 의해 턴테이블부(150) 및 그곳에 탑재된 탑재물 및 화물의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면서 신속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리프터부(160)는 그의 바닥 프레임(164)에 형성된 레벨러(165)와, 스토퍼 기능을 갖는 바퀴(도시 안됨)를 더 갖도록 설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포크부(110), 마스터부(120), 텔레스코픽부(130), 컨베이어부(140), 턴테이블부(150), 리프터부(160)의 제반 작동 제어에 관여하거나, 하기에 설명할 제2, 제3, 제4실시예에 대응하여 승강판 위에 탑재될 해당 장치의 제반 작동 제어에 관여하는 주지의 유압 또는 전자 제어회로와, 컨트롤러 레버와, 조작 버튼과, 계기 장치와, 전원 공급장치와, 유압 공급장치와, 작동 표시장치와, 조향 및 주행기능을 위한 구동회로와, 아우트리거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포크부(110), 마스터부(120), 텔레스코픽부(130), 컨베이어부(140), 턴테이블부(150), 리프터부(160)를 제어하여 화물차의 평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화물을 이송시킨다.
도 3a 내지 도 3h를 통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100)에 대한 작동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차량(20) 센터이동에 관한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100)에 따른 화물용 양하역 장치는 차량(20)과 고소작업위치의 통로(30) 사이를 기준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은 포크부(110)가 차량(20) 또는 화물을 향하는 것과, 턴테이블부(150)의 회전시 컨베이어부(140)의 길이 방향이 통로(30)의 연장방향에 일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치된다.
차량(20)은 윙바디 차체로서 윙 개폐를 통해 화물을 측면 또는 후면 쪽으로 하역시킬 수 있도록 적재함을 갖는다.
차량(20)은 적재함의 일측 윙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제1실시예(100)의 전면에 거의 밀착되도록 양하역 작업장의 지상에 주차된다. 이후, 화물 하역 도중 해당 화물의 팔레트가 포크부(110)를 향하도록 차량(20)은 센터이동을 수행한다.
제어부(170)는 리프터부(160)를 제어하여 승강판(161)의 높이를 조절하고, 마스터부(120)를 제어하여 포크부(110)의 레벨과 해당 화물의 팔레트의 레벨을 일치시키며, 이후의 제반 구성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3b는 포크부(110) 전진 및 분리 상승에 관한 것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부(130)의 전진작동에 따라 마스터부(120) 및 포크부(110)가 전진한다.
포크부(110)의 포크가 해당 화물의 팔레트 구멍에 체결된 후, 포크부(110)는 정지한다.
이후 주지의 지게차 방식으로 마스터부(120)가 작동하여 포크부(110)에 실린 화물을 다른 화물로부터 분리 상승시킨다.
도 3c는 포크부(110) 1차 후진에 관한 것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부(130)의 후진작동에 따라, 텔레스코픽부(130)에서 끝단이 중간단 쪽으로 중첩되어, 마스터부(120), 포크부(110), 화물 모두가 후진된다.
도 3d는 포크부(110) 2차 후진에 관한 것이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부(130)의 계속된 후진작동에 따라, 텔레스코픽부(130)의 중첩된 끝단 및 중간단이 끝단 쪽으로 중첩되어, 마스터부(120), 포크부(110) 및 화물 모두가 차량(20)의 적재함으로부터 빠져 나온다.
도 3e는 컨베이어부(140)에 화물 안착에 관한 것이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부(130)의 후진작동이 끝날 경우, 텔레스코픽부(130)의 삼중첩된 끝단, 중간단, 종단이 베이스단 쪽으로 이동하여, 마스터부(120), 포크부(110) 및 화물 모두가 리프터부(160)의 승강판(161) 위쪽으로 인입되도록 한다.
화물은 컨베이어부(140)의 연직 상방에서 포크부(110)에 의해 부상된 상태로 정지된다.
이후, 마스터부(120)는 포크부(110)를 하강시켜 화물이 컨베이어부(140) 상에 안착되도록 한다.
도 3f는 리프터부(160) 상승에 관한 것이다.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부(160)는 메인 실린더 및 가위형 링크 장치(162)를 작동시켜서, 승강판(161)을 고소작업위치의 통로(30)까지 상승시킨다.
통로(30)는 고소 작업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통로(30)를 고소 위치에 지지하기 위해서는 통로 지지 와이어(31)가 설치 및 사용되며, 이로 인하여 기존의 크레인 등의 고소 작업용 하역 장비가 접근 또는 사용하기 어려웠었다.
이런 점을 해결한 본 발명의 승강판(161)과 함께 턴테이블부(150), 컨베이어 부(140), 텔레스코픽부(130), 마스터부(120), 포크부(110)는 화물을 탑재한 상태로 상승되어, 화물의 레벨이 통로(30)의 레벨과 유사 또는 동일하게 된다.
도 3g는 턴테이블부(150) 회전 및 마스터부 더 후진에 관한 것이다.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부(150)는 그의 롤러구동장치의 작동에 대응하게 스러스트 베어링을 기준으로 컨베이어부(140), 텔레스코픽부, 마스터부, 포크부의 설치 기반에 해당하는 회동판(151)을 회전시켜서, 결국 화물 이송 방향을 고소작업위치의 통로(30) 쪽으로 일치되도록 전환시킨다.
이와 함께, 텔레스코픽부는 삼중첩된 끝단, 중간단, 종단을 베이스단의 후방쪽으로 더 이동시킨다. 이런 경우, 마스터부 및 포크부가 더 후진되고, 그 결과, 포크부의 포크가 팔레트 구멍으로부터 빠져 나온다.
만일, 마스터부와 포크부 사이에 리칭 작동 구조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경우, 리칭 기능을 이용하여 포크부의 포크가 팔레트 구멍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h는 화물 이송에 관한 것이다.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부(140)의 작동이 진행되어서, 화물은 고소작업위치의 통로(30) 쪽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모든 화물을 고소작업위치로 이송할 수 있고, 또한 이와 같은 과정을 반대로 수행할 경우, 화물의 하역 뿐만 아니라 양역(loading) 또는 적재, 적하에도 본 발명이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실시예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용 양하역 장치는 기구 타입이면서 구동부(180)과 아우트리거(190 : outrigger)를 갖는 제2실시예(100a)로서 이해된다.
여기에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고, 제2실시예(100a)의 핵심 내용의 간결하고도 명확한 설명을 위해 앞서 제1실시예에서 언급 및 상세히 설명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구동부(180)는 필요한 장소로 장치 전체가 이동하도록, 리프터부(160)의 바닥 프레임(164)을 기반으로 조향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구동부(180)는 외부로 표출되어 회동 방식으로 조작되는 조향레버(181)를 갖는다.
조향레버(181)는 토크센서, 포텐시오미터, 또는 조향각도감지센서 등을 이용하여 조향각도에 대응한 조작신호를 제어부(170)에게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170)는 구동부(180)의 외장케이스 내부에 설치된다.
제어부(170)는 앞서 언급한 주지의 조향 및 주행기능을 위한 구동회로와, 구동부(180)의 외장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충전식 배터리 셀(도시 안됨)을 이용하여, 구동부(180)의 전동모터(도시 안됨)의 작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전동모터는 구동부(180)의 외장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외장케이스 하부에 표출되게 설치된 구동 휠(182)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주지의 동력전달기구를 이용하여 구동 휠(182)과 결합된다.
구동 휠(182)은 구동부(180)의 외장케이스를 기반으로 설치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휠 브래킷, 너클, 허브 어셈블리 등과 같은 현가장치(183)에 결합되어 있다.
조향레버(181)와 현가장치(183)는 직접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EPS(Electrical Power Steering or Electronic Control Power Steering)와 같은 전기식 조향장치(도시 안됨)를 개재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전기식 조향장치는 사용자의 수고로움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피동 휠(184)은 구동 휠(182)의 반대쪽 위치에 해당하는 리프터부(160)의 바닥 프레임(164) 후방 양측에 한 쌍을 이루면서, 자체 동력 없이 상기 구동 휠(182)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아우트리거(190)는 장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지지력을 확장시키도록, 리프터부(160)의 바닥 프레임(164)을 기반으로, 더욱 상세하게 바닥 프레임(164)의 코너에서 각각 대각 방향으로 확장된 후 상하로 지지축부재를 승하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아우트리거(190)는 유압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예
이 실시예는 제1,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크레인의 공간적 제약을 없애면서 협소한 작업 공간내에서 지상의 화물, 또는 차량의 화물을 고소작업위치로 이송 또는 하역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동일하게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용 양하역 장치는 에어밸런싱 타입의 제3실시예(200)로서 이해된다.
제3실시예(200)는 회전식 포크부(210)와, 링크절(220)과, 이런 링크절(220) 중간 관절에서 액추에이터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된 승하강 링크실린더(230)와, 상기 링크절(220)의 일측에 해당하는 끝단 관절에 설치된 에어밸런스 실린더(240)와, 상기 링크절(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둥부(250)와, 기둥부(250)가 세워져 설치된 승강판(161)을 갖는 리프터부(160)와,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회전식 포크부(210)는 한 쌍의 포크의 상부에 힌지구조, 피봇구조, 구동모터구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링크절(220)의 외팔보(221)를 축으로 회전(r1)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모터구조는 제어부(170)에 연결된 전기모터 또는 유압모터 중 어느 하나가 사용 가능하다.
링크절(220)은 외팔보(221)와 병렬 링크 구조의 다관절 링크(223) 사이에 중간 관절을 형성하고, 그 중간 관절 상부에 실린더 장착대(222)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중간 관절은 힌지구조, 피봇구조, 구동모터구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실린더 장착대(222) 하부에 구성되며, 외팔보(221)로 하여금 실린더 장착대(222)를 축으로 회전(r2) 가능케 해준다.
실린더 장착대(222)에는 승하강 링크실린더(230)의 실린더하우징이 결합되고, 승하강 링크실린더(230)의 작동암이 하향으로 배열되어 다관절 링크(223)의 일측 끝단을 가동시키도록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승하강 링크실린더(230)의 작동에 따라 회전식 포크부(210), 외팔보(221) 등이 상하 승강(m) 작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관절 링크(223)의 타측에 해당하는 링크절(220)의 끝단 관절도 역시 힌지구조, 피봇구조, 구동모터구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되어서, 기둥부(250)를 축으로 회전(r3) 가능하게 형성된다.
기둥부(250)의 하부는 리프터부(160)의 승강판(161) 중앙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리프터부(160)는 회전식 포크부(210), 링크절(220), 승하강 링크실린더(230), 에어밸런스 실린더(240), 기둥부(250) 및 승강판(161)을 지상으로부터 고소작업위치까지 수직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어부(170)는 에어밸런스 실린더(240)와 각종 하중 센서, 접촉 센서(도시 안됨)와 연결되고, 미리 설정된 에어밸런싱 프로세스에 따라 에어밸런싱 역할을 수행하면서 전체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제어 회로를 더 갖는다.
이런 제3실시예(200)는 화물 및 그의 팔레트를 포크부(110)로 체결한 후 링크절(220)과 승하강 링크실린더(230) 및 에어밸런스 실린더(240)에 의해 1차 목적 지점으로 이동시키고, 리프터부(160)를 이용하여 고소작업위치 또는 그곳의 통로로 이동하여 높이를 조절한 후, 다시 링크절(220)과 승하강 링크실린더(230) 및 에어밸런스 실린더(240)에 의해 2차 목적 지점으로 이동한다.
제4실시예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용 양하역 장치는 에어밸런싱 타입이면서 구동부(180)와 아우트리거(190 : outrigger)를 갖는 제4실시예(200a)로서 이해된다.
제4 실시예(200a)에서는 승강판(161) 위에 회전식 포크부(210), 링크절(220), 승하강 링크실린더(230), 에어밸런스 실린더(240), 기둥부(250)를 탑재하고 있는 리프터부(160)를 기반으로 구동부(180)가 결합되어서, 주행 및 조향 성능이 더 제공되어 생산성과 작업성을 극대화시키고, 또한 아우트리거(190)를 구비하여 안전성을 극대화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를 이용한 고소 작업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용 양하역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h는 도 2에 도시된 화물용 양하역 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물용 양하역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물용 양하역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물용 양하역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제1실시예 100a : 제2실시예
110 : 포크부 120 : 마스터부
130 : 텔레스코픽부 140 : 컨베이어부
150 : 턴테이블부 160 : 리프터부
170 : 제어부 180 : 구동부
190 : 아우트리거 200 : 제3실시예
200a : 제4실시예 210 : 회전식 포크부
220 : 링크절 230 : 승하강 링크실린더
240 : 에어밸런스 실린더 250 : 기둥부

Claims (10)

  1. 메인 실린더와 가위형 링크 장치로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리프터부를 이용한 화물용 양하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턴테이블부;
    상기 턴테이블부에 탑재된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진행 방향과 직각을 이루어 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롤러 사이를 통과하도록 상기 턴테이블부에 탑재된 텔레스코픽부;
    상기 텔레스코픽부에 의해 다단계로 전, 후진하는 마스터부;
    상기 마스터부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포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양하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부와 상기 텔레스코픽부의 사이에는,
    상기 포크부를 상기 텔레스코픽부 쪽으로 경사지게 기울이거나 복귀시키는 틸트 기능용 틸트 작동 구조, 또는 상기 포크부를 수평 이동시켜 화물 쪽으로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정도의 스트로크 거리만큼 전후진하는 리칭 기능용 리칭 작동 구조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양하역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부는,
    상기 마스터부의 후방에 연결된 끝단, 중간단, 종단이 베이스단을 기초로 중첩 가능하게 신장 또는 축소되는 신축사다리형 프레임;
    상기 신축사다리형 프레임에 연결되어 전후진력을 발생시키는 전후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진장치가 수평 스트로크 거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축형 실린더 장치, 또는 롤러와 와이어 및 기어모터를 이용한 와이어 전후진 이송 장치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양하역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는,
    화물 바닥의 조건에 따라 슬라트 컨베이어 시스템, 롤러 컨베이어 시스템,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양하역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와 상기 텔레스코픽부가 설치된 회동판;
    상기 회동판의 일측 아래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판에 의해 지지되는 스러스트 베어링;
    상기 회동판의 타측 아래에 설치된 유압 또는 전기 중 어느 하나의 구동 방식으로 회동하는 롤러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양하역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구동장치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리프터부의 승강판 상에 가이드 플레이트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양하역 장치.
  7. 메인 실린더와 가위형 링크 장치로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리프터부를 이용한 화물용 양하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에 세워져 설치된 기둥부;
    상기 기둥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병렬 링크 구조의 다관절 링크와 중간 관절 및 외팔보를 구비한 링크절;
    상기 링크절의 일측에 결합된 에어밸런스 실린더;
    상기 링크절의 중간 관절을 기준으로 설치된 승하강 링크실린더;
    상기 링크절의 외팔보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식 포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양하역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절에서 중간 관절의 상부에는 승하강 링크실린더를 장착하기 위한 실린더 장착대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양하역 장치.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필요한 장소로 장치 전체가 이동하도록, 리프터부의 바닥 프레임을 기반으로 조향기능을 갖는 구동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양하역 장치.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장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지지력을 확장시키도록, 리프터부의 바닥 프레임을 기반으로 아우트리거(outrigger)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양하역 장치.
KR1020070124292A 2007-12-03 2007-12-03 화물용 양하역 장치 KR100984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292A KR100984538B1 (ko) 2007-12-03 2007-12-03 화물용 양하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292A KR100984538B1 (ko) 2007-12-03 2007-12-03 화물용 양하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630A true KR20090057630A (ko) 2009-06-08
KR100984538B1 KR100984538B1 (ko) 2010-10-01

Family

ID=40988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292A KR100984538B1 (ko) 2007-12-03 2007-12-03 화물용 양하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53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249B1 (ko) * 2011-07-15 2013-07-24 김대진 자동창고
CN105293371A (zh) * 2015-11-30 2016-02-03 杭州西湖电子研究所 一种检测小车机动上、下母车的方法
KR101713163B1 (ko) * 2016-06-14 2017-03-07 김재석 벨트 컨베이어 상의 포대 90도 회전장치
CN108792414A (zh) * 2018-07-28 2018-11-13 惠州市成泰自动化科技有限公司 电芯自动供料装置
CN110435743A (zh) * 2019-09-03 2019-11-12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消防救援物资运输装置
CN114426173A (zh) * 2022-03-03 2022-05-03 永州八湘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用材料运输装置
CN114476461A (zh) * 2022-01-29 2022-05-13 北京极智嘉科技股份有限公司 搬运机器人和仓储系统
CN114701877A (zh) * 2022-04-02 2022-07-05 大连海事大学 一种冷藏船辅助卸货小车及卸货方法
CN114852733A (zh) * 2022-06-20 2022-08-05 日照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物流运输用的消毒装卸设备
CN116513816A (zh) * 2023-04-18 2023-08-01 南通明途通信服务有限公司 一种用于智慧工厂的码垛流水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2757B (zh) * 2014-09-28 2016-06-15 苏州市汉诺威升降台有限公司 一种载人旋转升降装置
KR200482680Y1 (ko) 2016-08-08 2017-02-22 중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배관용 리프터
CN106915584B (zh) * 2017-02-04 2019-01-08 徐州圣旺达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三级伸缩导轨的仓储运载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5192B2 (ja) * 1992-10-28 1998-04-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高所作業車
JP2808429B2 (ja) * 1996-02-08 1998-10-08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板状体の吊り上げ台車
KR200144030Y1 (ko) * 1997-05-03 1999-06-15 서정도 화물용 리프트
KR100306004B1 (ko) * 2000-03-28 2001-09-24 김봉헌 건축자재용 합성수지 제조방법
KR20030036343A (ko) * 2003-03-08 2003-05-09 이정민 음료용기의 스트로 결합구조
KR200336343Y1 (ko) * 2003-09-30 2003-12-1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이송 카트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249B1 (ko) * 2011-07-15 2013-07-24 김대진 자동창고
CN105293371A (zh) * 2015-11-30 2016-02-03 杭州西湖电子研究所 一种检测小车机动上、下母车的方法
KR101713163B1 (ko) * 2016-06-14 2017-03-07 김재석 벨트 컨베이어 상의 포대 90도 회전장치
CN108792414A (zh) * 2018-07-28 2018-11-13 惠州市成泰自动化科技有限公司 电芯自动供料装置
CN110435743A (zh) * 2019-09-03 2019-11-12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消防救援物资运输装置
CN114476461A (zh) * 2022-01-29 2022-05-13 北京极智嘉科技股份有限公司 搬运机器人和仓储系统
CN114426173A (zh) * 2022-03-03 2022-05-03 永州八湘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用材料运输装置
CN114426173B (zh) * 2022-03-03 2024-04-16 永州八湘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用材料运输装置
CN114701877A (zh) * 2022-04-02 2022-07-05 大连海事大学 一种冷藏船辅助卸货小车及卸货方法
CN114701877B (zh) * 2022-04-02 2024-05-14 大连海事大学 一种冷藏船辅助卸货小车及卸货方法
CN114852733A (zh) * 2022-06-20 2022-08-05 日照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物流运输用的消毒装卸设备
CN116513816A (zh) * 2023-04-18 2023-08-01 南通明途通信服务有限公司 一种用于智慧工厂的码垛流水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4538B1 (ko) 201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538B1 (ko) 화물용 양하역 장치
US5829948A (en) Multipurpose lift apparatus and method
EP1855982B1 (en) Lifting and positioning apparatus
US6571913B2 (en) Multipurpose machine
US6478172B2 (en) Portable lifting device
US3172501A (en) Portable lift
US6378652B1 (en) Lateral jib for vertical mast mobile elevating work platform
KR200482680Y1 (ko) 배관용 리프터
EP3668813B1 (en) Laterally operating payload handling device
JP3193459U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EP3962795B1 (en) Pallet truck
US11124391B2 (en) Lifting shipping containers
KR101347865B1 (ko) 고소 리프팅 작업차
JPH07267091A (ja) 荷役車両
KR200322579Y1 (ko) 크레인 리프트 트럭
GB2375095A (en) Goods handling apparatus
US3529739A (en) Lift truck with a mast mounted on a wheeled horizontal and vertically pivoted support
CN114920172B (zh) 可变轮距的多功能转载装卸车
KR102468543B1 (ko) 중소형 화물 이동용 지게차
CN111688564B (zh) 一种自卸装填车
CN219689277U (zh) 高空作业车及其控制系统
JP3237565U (ja) 積荷移動台車
CN113233389B (zh) 一种叉车调整装置
KR102469180B1 (ko) 건물의 층간 설치형 크레인
EP4303170A1 (en) Mobility m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