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680Y1 - 배관용 리프터 - Google Patents

배관용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680Y1
KR200482680Y1 KR2020160004565U KR20160004565U KR200482680Y1 KR 200482680 Y1 KR200482680 Y1 KR 200482680Y1 KR 2020160004565 U KR2020160004565 U KR 2020160004565U KR 20160004565 U KR20160004565 U KR 20160004565U KR 200482680 Y1 KR200482680 Y1 KR 200482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ing
rotating
fixed
li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중
Original Assignee
중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최정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최정중 filed Critical 중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4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6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6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경이 서로 다르고 큰 각종 배관들을 용이하게 운반하고 배관 연결작업을 위하여 운반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며 좁은 지역에서도 배관 연결이 용이하도록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배관용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 받침부(18)로 이루어지는 바디부(102)와; 상기 바디부(102)의 상부에 다수 개의 링크들이 접히고 펼쳐지도록 설치되어 상하로 인장되어 높이조절이 이루어지고 하단부는 상기 하부 받침부(18)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부는 상부 받침부(28)에 고정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108)과; 상기 링크들에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110)과; 상기 높이조절수단(108)의 상부 받침부(28)에 고정 설치되고, 배관이 안착되는 회전수단 몸체(56)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수단 몸체(56)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 배관회전수단(112)과; 상기 배관회전수단(112)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되 배관을 안착시키고 회전수단 몸체(56)와 함께 회전하는 배관받침수단(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리프터{LIFTER FOR A PIPE}
본 고안은 배관용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경이 서로 다르고 큰 각종 배관들을 용이하게 운반하고 배관 연결작업을 위하여 운반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며 좁은 지역에서도 배관 연결이 용이하도록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배관용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고소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지상과 고소위치에 따라서 높이 차이가 있으므로 물건, 화물 등을 이송, 운반, 양하역, 적재 또는 적하시키는 방법으로 크레인과 지게차를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크레인은 차량 위에 설치된 회동장치와 회동장치 위에서 경사지게 설치된 크레인용 동작암과 붐을 이용하여 물건을 이동, 운반, 적치하도록 상승 또는 하강시켜서 작업을 한다.
그리고, 지게차는 주로 낮은 높이 범위에서 화물을 하역, 운반 및 적재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그 밖에 물건을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장치로서는 리프터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리프터는 종래의 크레인과 지게차를 이용하지 못하고 중간 높이의 고소위치에 따라 작업을 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하로 물건을 승강시키기에는 용이하였으나 직경이 큰 배관 또는 직경의 크기가 서로 다른 배관들을 이동하고 운반시키며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작업을 위해 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한 회전동작을 시키는 등의 일련의 배관 연결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배관 시공시에는 크레인이나 지게차를 이용하였는바, 배관을 운반하는 작업과, 배관을 작업위치로 올리는 작업 등 장시간이 소요되었고, 배관공과 신호수 등의 작업인원이 많이 필요하였으므로 비용과 작업시간이 오래 걸렸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장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4538호(2010년 9월 24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45157호(2007년 7월 26일)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경이 큰 배관을 용이하게 운반하고 이동하여 배관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배관용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배관 직경의 크기가 서로 다른 배관들을 필요에 따라 운반하여 배관작업을 할 수 있도록 직경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호환성이 우수한 배관용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다관절 링크를 이용하여 상승 하강하도록 이루어짐과 동시에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승강수단을 구비하여 링크와 링크의 상대적인 힘을 이용하여 상승 하강시킴과 동시에 배관의 연결작업을 위해 회전동작을 시킬 수 있는 배관용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이동과 운반 및 승강동작 그리고 길이조절 및 회전동작이 하나의 장치를 통해서 모두 이루어지는 배관용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배관설비의 이동시간을 현저하게 줄이고 연료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시간을 우수하게 단축하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배관용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 받침부(18)로 이루어지는 바디부(102)와; 상기 바디부(102)의 상부에 다수 개의 링크들이 접히고 펼쳐지도록 설치되어 상하로 인장되어 높이조절이 이루어지고 하단부는 상기 하부 받침부(18)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부는 상부 받침부(28)에 고정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108)과; 상기 링크들에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110)과; 상기 높이조절수단(108)의 상부 받침부(28)에 고정 설치되고, 배관이 안착되는 회전수단 몸체(56)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수단 몸체(56)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 배관회전수단(112)과; 상기 배관회전수단(112)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되 배관을 안착시키고 회전수단 몸체(56)와 함께 회전하는 배관받침수단(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다수 개의 링크(22,23,24,25,26,27)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링크들이 서로 교차하여 설치되되, 상기 링크(23)에 승강수단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링크(27)에 승강수단의 상단부가 연결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상승 하강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수단은, 메인 실린더(32)와, 상기 메인 실린더(32)의 상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로드 실린더(34)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실린더(32)의 하단부에는 링크와 연결되는 하부 브라켓(36)이 구비되고, 상기 로드 실린더(34)의 상단부에는 링크와 연결되는 상부 브라켓(38)이 구비된다.
상기 배관회전수단(112)은, 상부 받침부(28)에 고정되는 모터 고정축(54)과;
상기 모터 고정축(54)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구동기어 및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모터(52)와; 상기 모터에 구비된 회전부재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기어를 구비한 회전축(44)을 구비한다.
상기 배관받침수단은, 회전수단 몸체(56)와; 상기 회전수단 몸체(56)의 좌측 상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60)와; 상기 회전수단 몸체(56)의 우측 상부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61)와; 상기 고정부(60)와 이동부(61)에 체결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61)를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거리조절부재(62)를 포함한다.
상기 배관받침수단은, 배관회전수단(112)의 고정 설치되어 배관을 하부에서 받쳐주도록 설치되는 브라켓 몸체부(124)와; 상기 브라켓 몸체부(124)의 상부에서 덮여지도록 고정 설치되는 고정 덮개부(126)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직경의 크기가 서로 다른 배관을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배관연결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서 시공이 빠르며 공기를 단축시켜서 작업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이동과 운반 및 승강동작 그리고 회전동작이 하나의 장치를 통해서 모두 이루어짐으로써 장비를 조달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비용에 대하여 생산성이 우수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장비의 이동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시공시간이 단축됨으로써 공기가 단축되어 비용을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각종 장비비 및 인건비도 절감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기존의 장비에 비하여 다루기가 용이하게 편리하여 작업장에서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관용 리프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승강동작을 보여주는 동작도
도 6은 본 고안의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배관용 리프터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배관용 리프터의 배관받침수단을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9는 도 8의 일부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하기의 본 고안에 대한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용도와 목적에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을 미리 밝힌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관용 리프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승강동작을 보여주는 동작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관용 리프터(100)는 바디부(102), 구동휠(104), 아웃트 리거(106), 높이조절수단(108), 승강수단(110), 배관회전수단(112), 거리조절을 위한 배관받침수단(114) 및 운반수단(116)을 포함한다.
바디부(102)는 상기 높이조절수단(108)를 받쳐주도록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디부(102)의 하부에는 구름이동이 가능하게 구동휠(104)이 설치되어 있다.
바디부(102)는 사각 평판형상으로 몸체(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구동휠(104)이 설치되며, 상기 몸체(10)의 좌측과 우측부에는 바디부(102)가 높이조절수단 및 배관회전수단을 견고하게 받침과 동시에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아웃트 리거(10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웃트 리거(106)는 좌우 양측부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바디부의 수평 균형을 잡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휠(10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하부에 바퀴(12)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바람직하기로는 바디부(102)의 우측하부에만 설치한다.
왜냐하면, 상기 바디부(102)의 좌측 하부에는 운반수단(116)이 결합 설치되어 상기 바디부(102)를 운반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아웃트 리거(106)는 상기 배관용 리프터(100)의 동작시 좌우 흔들림이나 배관의 무게로 인한 전도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지는 높이조절수단(10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08)은 다수 개의 링크들(22,23,24,25,26,27)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링크들은 서로 교체되면서 엇갈리도록 설치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면서 설치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08)의 링크에는 승강수단(110)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수단(110)은 유압 실린더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수단(110)의 동작에 의해 상방향으로 늘어나고 줄어들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승강 수단의 동작시 간섭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08)의 상부에는 배관회전수단(11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관회전수단(112)은 모터(52)의 구동에 의해 360도 회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08)은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대형의 배관 즉, 2-6톤(TON)의 배관을 들어올리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관회전수단(112)의 상부에는 배관받침수단(1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관받침수단(114)은 좌우로 길이가 조절되고 배관(200)의 직경에 맞추어서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2)의 좌측부에는 운반수단(116)이 연결 설치되는바, 상기 운반수단(116)은 운반수단 구동부(122)에 의해 동작되고 상기 바디부(102)를 배관작업이 용이한 곳으로 손쉽게 이동시킨다.
이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바디부(102)는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구름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좌우 양측부에는 바디부(102)를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아웃트 리거(106)가 설치되는바, 상기 아웃트 리거(106)는, 몸체(10)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들어가고 나오는 인출입이 자유자재하게 아웃트 리거 붐대(1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아웃트 리거 붐대(14)의 끝단부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하향 작동하여 바닥면과 접촉하여 바디부(102)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바닥 고정구(16)가 고정된다.
상기 아웃트 리거(106)는 유압을 이용하여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하부 받침부(18)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하부 받침부(18)에는 전술된 높이조절수단(108)의 하단부가 연결 고정된다.
상기 바디부(102)의 상부에는 높이조절수단(108)이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높은 위치에 있는 배관을 연결 설치하는 고소작업을 하기 위하여 상승시키기 위해 다수 개의 링크들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링크들은 링크 고정구(20)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바디부(102)의 몸체(10) 상부면에는 하부 받침부(1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받침부(18)에는 상기 높이조절수단(108)의 하단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08)은 상기 다수 개의 링크들(22,23,24,25,26,27)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링크들은 서로 엇갈리도록 엑스자(X) 형상으로 교차해서 설치되고, 상방향으로 늘어나고 줄어들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수 개의 링크들은 제1링크(22,23), 제2링크(24,25), 제3링크(26,27)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3링크(26,27)의 상부에는 사각 패널 형상의 받침부(28)가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 링크(22)는 좌측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하부 받침부(18)에 연결되고 링크 고정구(2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1 링크(23)는 좌측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되어 상기 제1 링크(22)와 교차되게 이루어지고 그 하단부가 하부 받침부(18)에 연결되고 링크 고정구(20)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링크(22)와 제1링크(23)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링크 고정구(20)가 고정되고 상기 링크 고정구(20)를 중심으로 접히고 펼쳐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링크(22)의 상단부에는 제2링크(24)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링크 고정구(20)에 의해 고정되되, 우측 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연장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25)의 하단부가 상기 제1링크(23)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링크 고정구(20)에 의해 회동하도록 고정되고 좌측 상방향을 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링크(24)와 제2링크(25)는 가운데 부분이 서로 교차하도록 이루어지고 교차하는 가운데 부분에는 링크 고정구(20)에 의해 회동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제2링크(24)의 상단부에는 제3링크(26)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링크 고정구(20)에 의해 회동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3링크(26)는 좌측 상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25)의 상단부에는 제3링크(27)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링크 고정구(20)에 의해 회동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3링크(27)는 두측 상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서로 교차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링크들 각각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링크 고정구(20)가 결합되고 상기 링크 고정구(20)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접히고 펼쳐지면서 상방향으로 늘어나고 하방향으로 줄어들면서 높이조절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제3링크(26,27)의 상단부에는 상부 받침부(28)가 링크 고정구(3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상부 받침부(28)는 사각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부 받침부(28)의 상부에는 배관회전수단(112)이 설치되는바, 상기 높이조절수단(108)은 승강 및 하강 동작을 하며 높이가 조절되고, 배관(200)이 배관회전수단(112)에 의해 설치가 용이한 위치로 회전된다.
배관회전수단(112)은 상기 받침부(28)의 상부에 설치되되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배관(200)이 올라간 상태에서 45도 내지 90도 단위로 360도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108)에는 상기 높이조절수단(108)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승강수단(110)이 구비되어 있는바, 상기 승강수단(110)은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고,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수단(110)의 하단부는 상기 제1 링크(23)에 연결고정되어 있고, 상기 승강수단(110)의 상단부는 상기 제 3링크(27)에 연결고정되어 있다.
상기 승강수단(110)은 원통형상의 메인 실린더(32)와, 상기 메인 실린더(32)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로드 실린더(3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승강수단(110)의 메인실린더(32)는 제1 링크(23)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수단(110)의 로드 실린더(34)는 제3 링크(27)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수단(110)이 작동함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수단(108)이 상방으로 늘어나면서 높이가 조절되는 기능을 한다.
좀 더 상술하여 보면, 상기 제1링크(23)에는 하부 브라켓(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브라켓(36)에는 보강판(40)이 횡방향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3링크(27)에는 상부 브라켓(3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브라켓(38)에는 보강판(40)이 횡방향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보강판(40)이 횡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링크(23)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반대편의 제1링크(23)를 -도3에서와 같이- 연결하여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판(40)은 디귿자 채널을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보강판(40)이 상기 제3링크(27)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반대편의 제3링크(27)를 -도 3에서와 같이- 연결하여 상하로 움직이면서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링크들이 동시에 움직이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도 2, 도 4 및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관회전수단(112)은 상부 받침부(28)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바, 상기 배관회전수단(112)은 상부 받침부(28)의 상부면에 브라켓(42)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42)에는 회전축(44)이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44)의 상단부에는 회전수단 몸체(56)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44)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44)의 상단부에는 회전기어(46)가 결합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기어(46)에는 회전부재(48)가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는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벨트를 사용하고 있으나 배관의 크기와 직경 그리고 무게에 따라 다양한 연결부재를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연결부재로서 체인, 로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48)의 타단, 즉 상기 회전기어(46)가 연결되지 않은 반대쪽에는 구동기어(50)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어(50)는 모터(5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모터(52)는 모터 고정축(54)에 의해 상기 상부 받침부(28)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관회전수단(112)은 상기와 같이 설치된 모터(52)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50)가 회전되고, 상기 구동기어(50)에 연결된 회전부재(48)가 회전하며 상기 회전부재(48)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46)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기어(46)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44)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44)은 상기 회전수단 몸체(56)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수단 몸체(56)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수단 몸체(56)의 하부면에는 방향전환 휠(58)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향전환 휠(58)은 적어도 네 곳을 지지하도록 사방향으로 위치된다.
상기 방향전환 휠(58)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을 이루면서 회전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상부 받침부(28)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배관회전수단(112)은 360도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배관(200)이 얹혀져서 안착되면 상기 배관을 다양한 각도록 회전시켜서 위치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회전수단(112)의 상부에는 배관받침수단(114)이 고정 설치되는바, 상기 배관받침수단(114)은 다양한 직경을 갖는 배관을 얹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호환성이 우수하다.
배관받침수단(114)은 상기 회전수단 몸체(56)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60)와, 상기 회전수단 몸체(56)의 상부에 설치되되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61)와, 상기 고정부(60)와 이동부(61)를 연결하고 상기 이동부(61)를 이동시켜서 거리를 조절하도록 횡방향으로 삽입 체결되는 거리조절부재(62)를 포함한다.
상기 거리조절부재(62)는 손잡이를 구비하고 스크류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스크류봉의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60)를 통과하여 상기 이동부(61)에 삽입 체결된다.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류봉이 회전하고 상기 스크류봉에 연결된 이동부(61)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부(60)는 상기 회전수단 몸체(56)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61)는 상기 회전수단 몸체(56)를 이동하도록 체결함으로써 상기 거리조절부재(62)를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부(61)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도 5는 본 고안의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한 승강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먼저, 바디부(102)의 상부에 높이조절수단(108)이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높이조절수단(108)은 승강수단(110)이 하향 동작함에 따라 하향으로 이동하여 운반수단(116)에 접혀져서 안착된다.
운반수단(116)은 운반수단 몸체(118)와, 조절 손잡이(120)와, 운반수단 구동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운반수단 몸체(118)의 상부에는 전술된 높이조절수단(108)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 받침부(18)의 상부에는 운반수단 구동부(122)가 구비된다. 상기 운반수단 구동부(122)는 본 고안에서는 하부 받침부(18)에 설치하여 사용하지만 더 나아가서는 운반수단 몸체(118)의 상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며 이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운반수단 구동부(122)는 전기 배터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반수단 몸체(118)는 상기 하부 받침부(18)의 좌측 하부면을 받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운반수단 몸체(118)의 전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조절 손잡이(1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절 손잡이(120)는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작업자가 조절 손잡이(120)를 잡고 상기 운반수단 구동부(122)를 작동하여서 배관(200)을 실은 운반수단(116)을 작업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6은 본 고안의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로서, 배관용 리프터(100)를 이용하여 배관(200)을 이동시키고 작업위치로 상승시킨 후, 작업방향에 따라 배관(200)을 회전시켜서 작업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7은 본 고안의 배관용 리프터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배관용 리프터의 배관받침수단을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8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배관용 리프터(100)는 바디부(102), 구동휠(104,105), 아웃트 리거(106), 높이조절수단(108), 승강수단(110), 배관회전수단(112), 배관받침수단(115) 및 운반수단(117)을 포함한다.
바디부(102)는 상기 높이조절수단(108)을 받쳐주도록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디부(102)의 하부에는 구름이동이 가능하게 구동휠(104,10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휠(104)은 회전바퀴를 채택 적용하여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구동휠(105)은 일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고정바퀴를 채택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전부에 회전바퀴를 채택 적용하였으나 이는 사용자에 따라 전후 다양하게 변경 설치할 수 있다.
바디부(102)는 사각 평판형상으로 몸체(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0)의 하부 전측에는 구동휠(104)이 설치되고, 후측에는 구동휠(105)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10)의 좌측과 우측부에는 바디부(102)가 높이조절수단 및 배관회전수단을 견고하게 받침과 동시에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아웃트 리거(10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웃트 리거(106)는 좌우 양측부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바디부의 수평 균형을 잡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웃트 리거(106)는 유압을 이용하여 동작이 이루어지고 상하 승강동작 및 좌우 슬라이딩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바디부(102)의 전단 하부면에는 연결 프레임(120)이 상기 운반수단(117)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연결 프레임(120)은 바디부(102)와 연결 프레임(1200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고정수단(122)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상기 운반수단(117)은 사용자가 탑승하여 운전을 할 수 있는 차량을 연결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배관 리프터(100)의 상부 즉, 배관회전수단(112)의 상면부에는 배관받침수단(1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관받침수단(115)은 배관의 하부를 받쳐서 고정하는 브라켓 몸체부(124)와, 배관의 상부를 덮어서 고정하는 고정 덮개부(126)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 몸체부(124)와 고정 덮개부(126)는 배관의 단부를 덮을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배관받침수단(115)의 구조를 설명하면, 우선, 브라켓 몸체부(124)는 평판형상의 고정몸체(6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몸체(64)는 회전수단 몸체(56)의 상면에 고정부재(20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 몸체부(124)의 상부에는 고정 덮개부(126)가 덮여져서 고정부재(200)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 몸체부(124)의 고정몸체(64)의 상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세로 지지바(66)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세로 지지바(66)의 상부에는 반원형상의 하부 몸체(6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몸체(68)의 좌측부에는 일측, 바람직하기로는 좌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좌측 고정 플랜지(70)가 형성되어 있고, 우측방향으로는 수평하게 절곡되어 우측 고정 플랜지(7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몸체(68)의 내측 상부에는 배관이 삽입된다.
상기 하부 몸체(68)의 상부에 덮여져서 설치되는 고정 덮개부(126)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 몸체(7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몸체(74)와 좌측방향으로는 수평하게 절곡된 좌측 고정 플랜지(7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방향으로는 수평하게 절곡된 우측 고정 플랜지(7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부 몸체(74)의 좌측 고정 플랜지(76)가 상기 하부 몸체(68)의 좌측 고정 플랜지(70)과 상부에서 접촉하여 상부 및 하부에서 서로 맞대어지고 고정부재(200)가 관통하여 고정된다.
상기 상부 몸체(74)의 우측 고정 플랜지(78)가 상기 하부 몸체(68)의 우측 고정 플랜지(72)의 상부에서 덮여지도록 맞대어져서 고정부재(200)에 의해 관통되어 고정된다.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몸체 12 : 바퀴
14 : 아웃트 리거 붐 16 : 바닥 고정구
18 : 하부 받침부 20,30 : 링크 고정구
22,23 : 제1 링크 24,25 : 제2 링크
26,27 : 제3 링크 28 : 상부 받침부
32 : 메인 실린더 34 : 로드 실린더
36 : 하브 브라켓 38 : 상부 브라켓
40 : 보강판 42 : 브라켓
44 : 회전축 46 : 회전기어
48 : 회전부재 50 : 구동기어
52 : 회전모터 54 : 모터 고정축
56 : 회전수단 몸체 58 : 방향전환 휠
60 : 고정부 61 : 이동부
62 : 거리조절부재 64 : 고정 몸체
66 : 세로 지지바 68 : 하부 몸체
70,76 : 좌측 고정플랜지 74 : 상부 몸체
100 : 배관용 리프터 102 : 바디부
104,105 : 구동휠 106 : 아웃트 리거
108 : 높이조절수단 110 : 승강수단
112 : 배관회전수단 114,115 : 배관받침수단
116,117 : 운반수단 118 : 운반수단 몸체
120 : 연결 프레임 122 : 연결 프레임 고정수단
124 : 브라켓 몸체부 126 : 고전 덮개부

Claims (6)

  1.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 받침부(18)로 이루어지는 바디부(102)와;
    상기 바디부(102)의 상부에 다수 개의 링크들이 접히고 펼쳐지도록 설치되어 상하로 인장되어 높이조절이 이루어지고 하단부는 상기 하부 받침부(18)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부는 상부 받침부(28)에 고정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108)과;
    상기 링크들에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110)과;
    상기 높이조절수단(108)의 상부 받침부(28)에 고정 설치되고, 배관이 안착되는 회전수단 몸체(56)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수단 몸체(56)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 배관회전수단(112)과;
    상기 배관회전수단(112)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되 배관을 안착시키고 회전수단 몸체(56)와 함께 회전하는 배관받침수단(11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배관받침수단은,
    회전수단 몸체(56)와;
    상기 회전수단 몸체(56)의 좌측 상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60)와;
    상기 회전수단 몸체(56)의 우측 상부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61)와;
    상기 고정부(60)와 이동부(61)에 체결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61)를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거리조절부재(62)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조절부재(62)는,
    손잡이가 구비된 스크류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크류봉의 일단부가 상기 고정부를 통과하여 상기 이동부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손잡이를 회전하여 스크류봉이 회전됨으로써 이동부가 전후로 이동하면서 거리가 조절되고,
    상기 상부 받침부의 상부에는 배관회전수단(112)이 설치되어 배관이 상부 받침부에 올라간 상태에서 상기 배관회전수단에 의해 45도 내지 90도 단위로 360도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리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다수 개의 링크(22,23,24,25,26,27)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링크들이 서로 교차하여 설치되되,
    상기 링크(23)에 승강수단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링크(27)에 승강수단의 상단부가 경사지게 연결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상승 하강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리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메인 실린더(32)와,
    상기 메인 실린더(32)의 상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로드 실린더(34)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실린더(32)의 하단부에는 링크와 연결되는 하부 브라켓(36)이 구비되고,
    상기 로드 실린더(34)의 상단부에는 링크와 연결되는 상부 브라켓(3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리프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회전수단(112)은,
    상부 받침부(28)에 고정되는 모터 고정축(54)과;
    상기 모터 고정축(54)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구동기어 및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모터(52)와;
    상기 모터에 구비된 회전부재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기어를 구비한 회전축(4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리프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받침수단은,
    배관회전수단(112)의 고정 설치되어 배관을 하부에서 받쳐주도록 설치되는 브라켓 몸체부(124)와;
    상기 브라켓 몸체부(124)의 상부에서 덮여지도록 고정 설치되는 고정 덮개부(1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리프터.
KR2020160004565U 2016-08-08 2016-08-08 배관용 리프터 KR200482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565U KR200482680Y1 (ko) 2016-08-08 2016-08-08 배관용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565U KR200482680Y1 (ko) 2016-08-08 2016-08-08 배관용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680Y1 true KR200482680Y1 (ko) 2017-02-22

Family

ID=5826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565U KR200482680Y1 (ko) 2016-08-08 2016-08-08 배관용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68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938Y1 (ko) * 2017-07-27 2018-07-16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리프터
KR101986440B1 (ko) * 2017-12-27 2019-09-2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전동리프트의 작동방법
KR20200072732A (ko) * 2018-12-13 2020-06-23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중량물 로딩장치
KR200493282Y1 (ko) * 2020-06-04 2021-03-04 삼우금속개발 주식회사 손수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890U (ja) * 1991-11-28 1993-06-22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高所作業車の作業台
KR100745157B1 (ko) 2006-04-28 2007-08-01 유앤원 주식회사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
KR100984538B1 (ko) 2007-12-03 2010-10-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용 양하역 장치
KR101025702B1 (ko) * 2010-12-27 2011-03-30 엄홍식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KR20110057551A (ko) * 2009-11-24 2011-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적재물 탑재장치
KR20140004636U (ko) * 2013-01-31 2014-08-08 서일봉 파이프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890U (ja) * 1991-11-28 1993-06-22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高所作業車の作業台
KR100745157B1 (ko) 2006-04-28 2007-08-01 유앤원 주식회사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
KR100984538B1 (ko) 2007-12-03 2010-10-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용 양하역 장치
KR20110057551A (ko) * 2009-11-24 2011-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적재물 탑재장치
KR101025702B1 (ko) * 2010-12-27 2011-03-30 엄홍식 붐 결합형 독립 작업대
KR20140004636U (ko) * 2013-01-31 2014-08-08 서일봉 파이프용 클램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938Y1 (ko) * 2017-07-27 2018-07-16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리프터
KR101986440B1 (ko) * 2017-12-27 2019-09-2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전동리프트의 작동방법
KR20200072732A (ko) * 2018-12-13 2020-06-23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중량물 로딩장치
KR102262370B1 (ko) * 2018-12-13 2021-06-08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중량물 로딩장치
KR200493282Y1 (ko) * 2020-06-04 2021-03-04 삼우금속개발 주식회사 손수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680Y1 (ko) 배관용 리프터
US5829948A (en) Multipurpose lift apparatus and method
US2646182A (en)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CN206599402U (zh) 移动式多层升降平台
KR100984538B1 (ko) 화물용 양하역 장치
KR20010050406A (ko) 직선붐 공중작업 플랫폼용 수축가능한 평형추
KR101740877B1 (ko) 견인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트럭지게차
CN105152081A (zh) 侧后向旋转作业伸缩式叉车
JP2007112526A (ja) 自走式小型クレーン
EP1880974B1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KR101824066B1 (ko) 사다리차의 적재대 슬라이드장치
US200601825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moving load
CN205011310U (zh) 一种链斗式卸船机链斗更换辅助设备
KR101761260B1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101101761B1 (ko) 접이식 이송수단을 구비한 리프트 테이블
CN105621261A (zh) 一种轨道式物料吊装装置
CN211419428U (zh) 一种无障碍通行负重小车
KR102097162B1 (ko) 조향 가능한 대형 구조물 부착형 리프터
CN201334337Y (zh) 一种手动吊车
KR200322579Y1 (ko) 크레인 리프트 트럭
CN215666981U (zh) 可转动和移动调节的起重式叉车
KR100757266B1 (ko) 에어 밸런스 대차
CN210366822U (zh) 建筑工程中小型构件的运输安装车
JP3240716U (ja) 地上式消火栓の搬送機構。
CN216512728U (zh) 履带式高空作业运输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