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157B1 -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 - Google Patents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157B1
KR100745157B1 KR1020060038790A KR20060038790A KR100745157B1 KR 100745157 B1 KR100745157 B1 KR 100745157B1 KR 1020060038790 A KR1020060038790 A KR 1020060038790A KR 20060038790 A KR20060038790 A KR 20060038790A KR 100745157 B1 KR100745157 B1 KR 100745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elevating
fixed
base frame
elevat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유익
Original Assignee
유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8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25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 테이블(100)과, 상기 승강 테이블이 수직방향으로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승강 테이블의 가이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포스트(200)와, 상기 승강 테이블(100)의 중앙 내부에 장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접힘/펴짐 구동되는 승강 구동부재(300)와, 상기 승강 구동부재의 수평방향으로의 접힘/펴짐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 테이블이 가이드포스트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강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와이어(400a, 400b, 400c, 400d)와, 상기 승강 테이블(100)과 승강 구동부재의 일측에 각각 힌지고정된 하나 이상의 고정 풀리(pulley)(510a, 510b, 510c, 510d, 520a, 520b, 520c, 520d)와 이동 풀리(560a, 560b, 560c, 560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승강 구동부재(300)가 소정 높이의 승강테이블(100)에 내장설치되어 승강테이블(100) 내에서 수평작동되고, 동시에 가이드포스트(200)를 따라 승하강되는 승강테이블(100)과 일체로 승강 구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가이드포스트(200)의 길이에 따라 보다 높은 위치로 휠체어나 화물을 운반시킬 수 있으면서도 안정적으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Lifter for easily adjusting height}
도 1은 종래 기술의 수직형 리프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승강 테이블 110.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
120a, 120b. 전후 프레임 130a, 130b. 양측 프레임
170. 탑재판 180. 가이드
200. 가이드포스트 300. 승강 구동부재
310. 접힘바 320a, 320b. 양측 힌지축
330a, 330b. 전후 힌지축 340. 볼스크류 회전축
350. 가이드레일 360. 수평이동바
400a, 400b, 400c, 400d. 와이어 430a, 403b, 430c, 430d. 고정편
440a, 440b, 440c, 440d. 고정핀
510a, 510b, 510c, 510d, 520a, 520b, 520c, 520d. 고정 풀리
560a, 560b, 560c, 560d. 이동 풀리
590. 요홈부 800. 구동모터
801. 워엄기어 802. 워엄휠
본 발명은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장애인 및 환자가 탑승하는 휠체어나 중량이 무거운 화물 등을 높이 차이가 있는 수직위치 사이에서 이동 운반시키기 위한 수직형 리프터로 휠체어나 화물(도시 안함)의 안정적으로 하중을 견디면서도 보다 높은 위치로 운반시킬 경우에 승강테이블(100)이 지지 승강되는 가이드포스트(200)의 길이에 따라 쉽게 승강 높이조절이 가능하며, 설치면이 수평면을 이루지 못한 불규칙한 설치면인 경우에도 승강테이블(100)이 지지 승강되는 가이드포스트(200)에 의해 불규칙한 설치면에 손쉽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승강테이블(100)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가이드포스트(200)를 따라 지지 승강되는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이의 차이가 나는 두 위치 사이에서 장애인 등이 탑승하는 휠체어나 화물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수직형 리프터(10)가 사용된다.
상기 수직형 리프터(10)는 동력원에 따라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식 테이블 리프터(10)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 구동식 테이블 리프터(도시 안함)로 나누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수직형 리프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직형 유압식 테이블 리프터(10)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면상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상측에 화물이 올려져 승강되도록 대략 사각형상으로 설치되는 승강판(24)과, 상기 승강판(24)이 상승 및 하강되도록 가압력을 작용하는 대략 소정 길이를 갖는 직사각판재의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승강판(24)의 저부 일측에 미끄럼이동되도록 결합되어 대각방향으로 설치된 제1아암(28a)과 상기 제1아암(28a)에 대각방향으로 겹쳐져 대략 'X' 자 형상을 갖도록 상단이 상기 승강판(24)의 일측 모서리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에 미끄럼이동되도록 결합된 제2아암(28b)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지지아암(28a, 28b)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승강수단(26)과, 상기 승강수단(26)이 작동되도록 구동력을 생성하여 인가시키는 대략 오일탱크 유압펌프 및 제어밸브 등으로 구성되어 일정 압력을 갖는 유압오일을 생성하고 이 유압오일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압유니트(32)와 상기 유압유니트(32)에서 유압배관을 매개로 하여 공급되는 유압오일에 의해 상기 승강수단(26)이 승강되도록 로드(34a)측이 상기 지지아암(28a, 28b)에 고정되고 실린더(34b)측이 베이스 플레이트(22)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34)로 구성된 동력발생수단(30)으로 구성된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수직형 유압식 테이블 리프터(10)는 유압유니트(32)가 작동되어 압송되는 유압오일에 의해 유압실린더(34)의 로드(34a)가 돌출하게 되면, 상기 로드(34a)가 지지아암(28a, 28b)의 제2아암(28b)을 상방으로 밀어 내게 되고 이에 연동되어 제1아암(28a) 또한 상방으로 펼쳐지게 되므로 화물이 올려지는 승강판(24)의 높이가 높아져 휠체어나 화물을 일정한 높이로 운반시킬 수 있고, 또한 반대로 상기 유압유니트(32)의 제어에 의해 유압실린더(34)에 공급된 유압오일이 드레인되면서 상기 역동작에 의해 지지아암(28a, 28b)이 접혀져 승강판(24)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수직형 유압식 테이블 리프터(10)는 설치면상으로부터 휠체어나 화물을 일정한 높이 이상의 보다 높은 위치로 운반시키기 위해서는 지지아암(28a, 28b) 자체의 길이가 길게 연장되어야만 가능한 구조이고, 휠체어나 화물의 하중을 견디면서 보다 높은 위치로 운반시키기 위해 지지아암(28a, 28b) 자체의 길이를 과도하게 길게 연장하는 경우에는 승강판(24)이 좌, 우로 흔들려 승강판(24)에 오려진 휠체어나 화물이 낙하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수직형 유압식 테이블 리프터(10)가 설치되는 설치면이 수평면을 이루지 못한 불규칙한 설치면인 경우에는 승강판(24)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승하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설치면상의 수평작업을 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 은 승강 구동부재(300)가 소정 두께를 갖는 승강테이블(100)에 내장설치되어 승강테이블(100)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접힘/펴짐 구동되면서 승강테이블(100)의 승하강에 따라 일체로 승하강 구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설치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낮은 위치 즉, 두께가 작은 승강테이블(100)을 제공할 수 있어 휠체어나 화물(도시 안함)을 승강테이블에 적재하기가 용이하며, 승강테이블(100)이 지지 승강되는 가이드포스트(200)의 길이에 따라 보다 높은 위치로 휠체어나 화물을 운반시킬 수 있으면서도 안정적으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면이 수평면을 이루지 못한 불규칙한 설치면인 경우에도 승강테이블(100)이 지지 승강되는 가이드포스트(200)를 설치면에 손쉽고 안정적으로 면접시켜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승강테이블(100)은 수평을 유지하면서 가이드포스트(200)를 따라 지지 승강되는 구조를 가진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과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 상부에 체결되어 승강 대상물이 탑재되는 탑재판(170)과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 일측에 입설된 복수개의 가이드(180)로 이루어진 승강 테이블(100)과,
상기 승강 테이블이 수직방향으로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승강 테이블의 가이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포스트(200)와,
상기 승강 테이블(100)의 중앙 내부에 장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접힘/펴짐 구 동되는 승강 구동부재(300)와,
상기 승강 구동부재의 수평방향으로의 접힘/펴짐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 테이블이 가이드포스트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강되도록 상기 승강 구동부재에 당김/풀림(복귀)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은 상기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후 프레임(120a, 120b)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소정 높이에 연장 고정되는 복수개의 와이어(400a, 400b, 400c, 400d)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의 일례로서, 다음의 구성과 효과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는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과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 상부에 체결되어 승강 대상물이 탑재되는 탑재판(170)과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 일측에 입설된 복수개의 가이드(180)로 이루어진 승강 테이블(100)과, 상기 승강 테이블이 수직방향으로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승강 테이블의 가이드(18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포스트(200)와, 상기 승강 테이블(100)의 중앙 내부에 장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접힘/펴짐 구동되는 승강 구동부재(300)와, 상기 승강 구동부재의 수평방향으로의 접힘/펴짐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 테이블이 가이드포스트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강되도록 상기 승강 구동부재에 당김/풀림(복귀)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은 상기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후 프레임(120a, 120b)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소정 높이에 연장 고정되는 복수개의 와이어(400a, 400b, 400c, 40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는 승강 테이블(100)과, 상기 승강 테이블이 수직방향으로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승강 테이블의 가이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포스트(200)와, 상기 승강 테이블(100)의 중앙 내부에 장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접힘/펴짐 구동되는 승강 구동부재(300)와, 상기 승강 구동부재의 수평방향으로의 접힘/펴짐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 테이블이 가이드포스트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강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와이어(400a, 400b, 400c, 400d)와, 상기 승강 테이블(100)과 승강 구동부재의 일측에 각각 힌지고정된 하나 이상의 고정 풀 리(pulley)(510a, 510b, 510c, 510d, 520a, 520b, 520c, 520d)와 이동 풀리(560a, 560b, 560c, 560d)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 테이블(100)은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과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 상부에 체결되어 승강 대상물이 탑재되는 탑재판(170)과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 일측에 입설된 복수개의 가이드(18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의 저면 일측에는 설치면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캐스터(190)가 절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휠체어나 화물을 탑재판(170)에 탑재시키기 용이하도록 절첩가능하게 설치면으로부터 소정 경사를 갖는 휠체어 탑재판(19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포스트(200)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편(430a, 403b, 430c, 430d)이 일측의 고정볼트(439)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후 프레임(120a, 120b)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핀(440a, 440b, 440c, 440d)이 체결된다.
그리고, 가이드포스트(200)의 일측에 고정된 고정편(430a, 403b, 430c, 430d)에는 나비너트(437)로 와이어의 고정 미세 고정 높이 및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미세높이 및 장력조절볼트(436)가 연장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미세높이 및 장력조절볼트(436)의 하부에는 와이어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편(438)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포스트(200)의 저면에는 설치면에 입설된 가이드포스트(200)가 흔들리거나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패킹(205)이 부착된다.
상기 승강 구동부재(300)는 네 개의 접힘바(310) 단부가 각각 힌지축(320a, 320b, 330a, 330b)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접힘/펴짐 작동되도록 힌지고정되어, 상기 접힘바의 양측 힌지축(320a, 320b)은 상기 승강 테이블(100)의 베이스프레임의 양측 프레임(130a, 130b)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볼스크류 회전축(340)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회전되도록 결합되어 볼스크류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볼스크류 회전축의 중앙을 중심으로 펴짐/접힘 나사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접힘바의 전후 힌지축(330a, 330b)은 상기 승강 테이블(100)의 베이스프레임의 양측 프레임(130a, 130b)에 체결된 가이드레일(350)을 따라 서로 대향되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평이동바(360)에 결합되어 상기 접힘바의 양측 힌지축(320a, 320b)의 펴짐/접힘 나사이동에 따라 볼스크류 회전축(340)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접힘/펴짐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승강 구동부재의 볼스크류 회전축(340)은 일단에는 핸들(345)이 결합되어 핸들을 수동으로 작동하여 회전시킨다. 물론, 상기 볼스크류 회전축(340)의 일단에는 구동모터(800)의 워엄기어(801)와 연결된 워엄휠(802)이 결합되어 모터 회전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809는 구동모터 전원선이다.
한편, 상기 접힘바의 전후 힌지축(330a, 330b)은 브라켓(365)으로 수평이동바(360)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400a, 400b, 400c, 400d)는 상기 승강 구동부재의 수평방향으로의 접힘/펴짐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 테이블이 가이드포스트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강되도록 상기 승강 구동부재에 당김/풀림(복귀)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은 상기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후 프레임(120a, 120b)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포스트(400)의 소정 높이에 연장 고정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는 바람직하게는 안전도 제고를 위해 두 가닥 이상을 한 쌍으로 연결하여 사용되며, 고강도 금속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 풀리(pulley)(510a, 510b, 510c, 510d, 520a, 520b, 520c, 520d)는 승강 테이블(100)의 베이스프레임의 전후 프레임(120a, 120b) 일측에 힌지고정되어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소정 높이에 수직으로 연장 고정된 와이어가 당김/풀림(복귀)이 용이하게 가이드되어 구름이동되도록 고정 풀리의 요홈부(590)에 수납 면접된다.
상기 이동 풀리(560a, 560b, 560c, 560d)는 상기 승강 구동부재의 일측에 힌지고정되어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소정 높이 및 상기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후 프레임(120a, 120b)에 고정된 와이어가 승강 구동부재의 접힘 구동에 의해 용이하게 용이하게 가이드되어 구름 이동되면서 당겨지도록 이동 풀리의 요홈부(590)에 수납 면접된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 풀리(560a, 560b, 560c, 560d)는 승강 구동부재의 수평이동바(360)에 힌지고정되고, 상기 수평이동바의 접힘/펴짐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이동 풀리에 연결된 와이어(400a, 400b, 400c, 400d)가 수평방향으로 당김/풀림(복귀)되면서 와이어의 양단중 일단이 고정된 승강 테이블이 와이어의 양단중 타단이 고정된 소정 높이의 가이드포스트(200)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설치면이 수평면을 이루지 못한 불규칙한 설치면인 경우를 일례로 하면, 우선, 가이드포스트(200)를 승강 테이블의 가이드(180)를 통해 하방으로 밀착시켜 불규칙한 설치면에 가이드포스트(200)의 저면 고무패킹(205)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네 개의 가이드포스트(200)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지만, 승강 테이블(100)은 가이드포스트(200)에 지지되어 항상 수평면을 이룬다.
그 후, 승강 구동부재(300)가 승강테이블(100)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접힘/펴짐 구동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두께가 작은 승강테이블(100)에 휠체어나 화물(도시 안함)을 손쉽게 탑재판(170)에 탑재한다.
그 후, 승강 구동부재(300)의 핸들(345)을 돌리면 볼스크류 회전축(340)이 회전되면서 동시에 접힘바(310)의 전후 힌지축(330a, 330b)이 중앙으로 접힌다.
동시에 수평이동바(360)가 가이드레일(350)을 따라 당겨지면서 이동 풀리(560a, 560b, 560c, 560d)가 중앙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와이어(400a, 400b, 400c, 400d)가 당겨지면서 승강 테이블(100)과 가이드포스트(200) 사이의 와이어(400a, 400b, 400c, 400d) 길이가 짧아져 승강 테이블이 가이드포스트(200)를 따라 수평을 유지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상승된다.
이때, 상기 이동 풀리(560a, 560b, 560c, 560d)와 이동 풀리(560a, 560b, 560c, 560d)와 대응되는 위치의 고정 풀리(pulley)(510a, 510b, 510c, 510d, 520a, 520b, 520c, 520d)의 수를 네 개인 경우에 수평이동바(360)와 함께 중앙으로 당겨져 이동되는 길이가 1m인 경우에 상기 소정 높이의 가이드포스트(200)에 고정된 와이어(400a, 400b, 400c, 400d)의 단부와 승강 테이블(100) 사이의 길이는 4m로 짧아져 결국 승강 테이블(100)은 가이드포스트(200)를 따라 4m가 상승된다.
따라서, 높이의 차이가 아주 큰 두 위치 사이에서 장애인 등이 탑승하는 휠체어나 화물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높이 조절에 있어서 이동 풀리(560a, 560b, 560c, 560d)와 이동 풀리(560a, 560b, 560c, 560d)와 대응되는 위치의 고정 풀리(pulley)(510a, 510b, 510c, 510d, 520a, 520b, 520c, 520d)의 수를 늘려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간단하고 저렴한 제작 비용으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다.
이때, 휠체어나 화물이 상승된 상태에서 와이어(400a, 400b, 400c, 400d)가 하나만 남고 세 개가 동시에 절단되는 사고가 발생된 경우에도 가이드포스트(200)에 승강 테이블(100)의 소정 높이로 입설된 가이드(180)가 면접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바로 추락되지 않아 안전사고가 예방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는 승강 구동부재(300)가 소정 높이의 승강테이블(100)에 내장설치되어 승강테이블(100) 내에서 수평작동되고, 동시에 가이드포스트(200)를 따라 승하강되는 승강테이블(100)과 일체로 승강 구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가이드포스트(200)의 길이에 따라 보다 높은 위치로 휠체어나 화물을 운반시킬 수 있으면서도 안정적으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테이블(100)과 가이드포스트(200)를 손쉽게 분해해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관 및 휴대 이송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 구동부재(300)가 소정 두께를 갖는 승강테이블(100)에 내장설치되어 승강테이블(100)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접힘/펴짐 구동되면서 승강테이블(100)의 승하강에 따라 일체로 승하강 구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두께가 작은 승강테이 블(100)을 제공할 수 있어 휠체어나 화물(도시 안함)을 승강테이블에 적재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설치면이 수평면을 이루지 못한 불규칙한 설치면인 경우에도 승강테이블(100)이 지지 승강되는 가이드포스트(200)에 의해 불규칙한 설치면에 손쉽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도 승강테이블(100)은 수평을 유지하며 가이드포스트(200)를 따라 지지 승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과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 상부에 체결되어 승강 대상물이 탑재되는 탑재판(170)과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 일측에 입설된 복수개의 가이드(180)로 이루어진 승강 테이블(100)과,
    상기 승강 테이블이 수직방향으로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승강 테이블의 가이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포스트(200)와,
    상기 승강 테이블(100)의 중앙 내부에 장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접힘/펴짐 구동되는 승강 구동부재(300)와,
    상기 승강 구동부재의 수평방향으로의 접힘/펴짐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 테이블이 가이드포스트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강되도록 상기 승강 구동부재에 당김/풀림(복귀)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은 상기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후 프레임(120a, 120b)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소정 높이에 연장 고정되는 복수개의 와이어(400a, 400b, 400c, 400d)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테이블(100)의 베이스프레임의 전후 프레임(120a, 120b)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 풀리(pulley)(510a, 510b, 510c, 510d, 520a, 520b, 520c, 520d)가 상기 승강 구동부재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이동 풀 리(560a, 560b, 560c, 560d)가 각각 힌지고정되고, 상기 고정 및 이동 풀리의 요홈부(590)에는 와이어가 당김/풀림(복귀)이 용이하게 구름 가이드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재(300)는 네 개의 접힘바(310) 단부가 각각 힌지축(320a, 320b, 330a, 330b)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접힘/펴짐 작동되도록 힌지고정되어, 상기 접힘바의 양측 힌지축(320a, 320b)은 상기 승강 테이블(100)의 베이스프레임의 양측 프레임(130a, 130b)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볼스크류 회전축(340)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회전되도록 결합되어 볼스크류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볼스크류 회전축의 중앙을 중심으로 펴짐/접힘 나사이동되고, 상기 접힘바의 전후 힌지축(330a, 330b)은 상기 승강 테이블(100)의 베이스프레임의 양측 프레임(130a, 130b)에 체결된 가이드레일(350)을 따라 서로 대향되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수평이동바(360)에 결합되어 상기 접힘바의 양측 힌지축(320a, 320b)의 펴짐/접힘 나사이동에 따라 볼스크류 회전축(340)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접힘/펴짐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재의 수평이동바(360)에는 하나 이상의 이 동 풀리(560a, 560b, 560c, 560d)가 힌지고정되고, 상기 수평이동바의 접힘/펴짐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이동 풀리에 연결된 와이어(400a, 400b, 400c, 400d)가 수평방향으로 당김/풀림(복귀)되면서 와이어의 양단중 일단이 고정된 승강 테이블이 와이어의 양단중 타단이 고정된 소정 높이의 가이드포스트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재의 볼스크류 회전축(340)은 일단에 구동모터(800)의 워엄기어(801)와 연결된 워엄휠(802)이 결합되어 모터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포스트(200)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편(430a, 403b, 430c, 430d)이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승강 테이블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후 프레임(120a, 120b)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핀(440a, 440b, 440c, 440d)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
KR1020060038790A 2006-04-28 2006-04-28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 KR100745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790A KR100745157B1 (ko) 2006-04-28 2006-04-28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790A KR100745157B1 (ko) 2006-04-28 2006-04-28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5157B1 true KR100745157B1 (ko) 2007-08-01

Family

ID=38601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790A KR100745157B1 (ko) 2006-04-28 2006-04-28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15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680Y1 (ko) 2016-08-08 2017-02-22 중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배관용 리프터
CN110589013A (zh) * 2019-08-19 2019-12-20 沈阳宝通门业有限公司 一种适用于固定式平尾坞的升降调节支架
KR102279630B1 (ko) * 2020-01-31 2021-07-21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2주식 리프트의 승강받침장치
KR20220025357A (ko) 2020-08-24 2022-03-03 (주)성암이앤씨 테이블 리프터
CN115028107A (zh) * 2022-06-23 2022-09-09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升降装置
CN117005727A (zh) * 2023-09-26 2023-11-07 常州恐龙园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式舞台设备及其工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739A (ja) * 1994-07-08 1996-01-23 Alpine Electron Inc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739A (ja) * 1994-07-08 1996-01-23 Alpine Electron Inc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측허공보 제08-217391호(1996.8.27)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680Y1 (ko) 2016-08-08 2017-02-22 중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배관용 리프터
CN110589013A (zh) * 2019-08-19 2019-12-20 沈阳宝通门业有限公司 一种适用于固定式平尾坞的升降调节支架
CN110589013B (zh) * 2019-08-19 2024-04-02 沈阳宝通门业有限公司 一种适用于固定式平尾坞的升降调节支架
KR102279630B1 (ko) * 2020-01-31 2021-07-21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2주식 리프트의 승강받침장치
KR20220025357A (ko) 2020-08-24 2022-03-03 (주)성암이앤씨 테이블 리프터
CN115028107A (zh) * 2022-06-23 2022-09-09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升降装置
CN117005727A (zh) * 2023-09-26 2023-11-07 常州恐龙园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式舞台设备及其工作方法
CN117005727B (zh) * 2023-09-26 2024-01-26 常州恐龙园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式舞台设备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5157B1 (ko)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
US7128003B2 (en) Lifting device for visual screens
US20070108791A1 (en) Lifting device for a display
US3593351A (en) Patient transfer device
US4084790A (en) Multi-purpose vehicle service hoist
CA2055864C (en) Aerial lift platform
JPH02188396A (ja) 昇降装置
EP0115533A1 (en) Pipe pickup and laydown machine
KR102277051B1 (ko)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
KR20090082992A (ko) 고소작업대
JP4073723B2 (ja) 荷の昇降移載装置
JP2008093014A (ja) 移動式小迫り
KR102074670B1 (ko) 수직 리프팅 기구
KR102013575B1 (ko) 유압식 갠트리 크레인
US3393768A (en) Multiple lift apparatus
CN109291004A (zh) 一种纸辊拔轴装置
JP2004307156A (ja) テーブルリフト
JP3662064B2 (ja) 手動式昇降床装置
KR102598335B1 (ko) 휠체어 리프트
JP2004238097A (ja) リフト装置
JPH0998855A (ja) 昇降パネル付き展示ケ−スにおける安全装置
KR100557392B1 (ko) 리프터
JPH0659923B2 (ja) 倉庫用クレーンの昇降キャレッジ駆動装置
JP2004238098A (ja) リフト装置
CN218434564U (zh) 一种移动式龙门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