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051B1 -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051B1
KR102277051B1 KR1020190069302A KR20190069302A KR102277051B1 KR 102277051 B1 KR102277051 B1 KR 102277051B1 KR 1020190069302 A KR1020190069302 A KR 1020190069302A KR 20190069302 A KR20190069302 A KR 20190069302A KR 102277051 B1 KR102277051 B1 KR 102277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lifting
bar
ram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2267A (ko
Inventor
백성우
Original Assignee
백석이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석이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석이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9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051B1/ko
Publication of KR20200142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Devices for lifting or tilting the whole wheelch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Abstract

본 발명은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에 관한 발명으로, 지면에 평행하게 구비하고 하측에는 이동휠(111)을 장착하는 베이스프레임(110)과,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승강바(121)를 구비하고 구동모터(122)에 의해 승강바(121)를 따라서 승강수단(123)을 승강하는 구동부(120)와,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장착하고 상기 구동부(120)와 연동하는 승강부(130)와,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하여 구동부(120) 및 승강부(130)를 수용하는 커버(160)와, 커버(160)의 전방 외측에서 승강부(130)와 연동하는 승강테이블(171)과 승강테이블(171)의 양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를 구비하는 플랫폼(170)을 포함하고, 플랫폼(170)의 일측에 장착하여 승강부(130)와 플랫폼(170)을 연결하되 일정 각도 범위에서 플랫폼(170)을 절첩하도록 구비하는 제1폴딩부(180)와,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 각각의 일측에 구비하여 플랫폼(170)의 승강 시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를 개별 절첩 혹은 전개하는 제2폴딩부(191) 및 제3폴딩부(192)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편리한 이동성 및 휴대성, 보관성을 가지는 휠체어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FOLDING TYPE LIFT FOR WHEELCHAIR}
본 발명은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 이용자가 건물 등에 출입 시 휠체어와 함께 승강하여 위치를 이동하도록 하는 휠체어용 리프트를 구성함에 있어 리프트의 이동 및 휴대성, 보관성을 확보하면서 사용상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한 작동 구조를 구현하는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설치한 의자 형태의 이동 기구이다.
휠체어는 이용자가 휠손잡이 및 브레이크를 조작하여 주행하도록 이루어지며 최근에는 전기모터를 탑재하여 조향 및 속도 등의 주행동작 일체를 전자식으로 제어하는 전동휠체어나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로봇휠체어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휠체어는 평지나 낮은 각도의 경사로에서는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높은 단턱이나 계단으로 이루어진 건물이나 장소에 출입 시에는 휠체어의 이동에 제약이 따른다. 법률에서는 일부 건축물에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경사로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으나 사실상 관공서나 병원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장소에서는 쉽게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며 휠체어용 리프트 역시 경사로의 설치가 곤란한 일부 장소에만 설치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편, 공지된 기술을 통해 종래의 휠체어용 리프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일례로서 한국공개실용신안 20 - 1998 - 0002817 호에는 공공건물의 출입구 정면 일측면에 매입형으로 설치된 승강식 휠체어 이동장치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장착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의 표면 일측에 설치하는 안전 손잡이 및 조작 스위치와, 본체에 구비되는 유압 실린더 및 동력장치와, 본체의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봉 지지부재와, 지지판과 일체로 하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딩하는 지지용 가이드봉을 구비하는 매입형 승강식 휠체어 이동장치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0375129 호에는 전면에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카와, 카의 외측면에 일측단부가 결합되고 타측단부가 유압실린더에 결합된 로프와, 로프에 발생되는 장력에 의해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되는 시브와, 시브의 샤프트에 상단부가 결합되고 하단부가 지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일정한 양으로 공급 및 배출시켜 카의 승하강 속도를 조절하는 유압제어부와, 유압제어부를 통해 유압실린더로 공급된 유압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배출시키는 하강제어밸브를 구비하는 승강기식 휠체어 이동장치를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083365 호에는 휠체어를 승차시키는 승차판과 승차판에 구비되는 하차도어 및 승차도어와 승차판에 체결되어 일정의 높이를 갖는 보호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차테이블과, 교차부분이 회동가능한 X자형 프레임 두 쌍이 일정의 간격을 갖고 이중으로 구비되고 하단프레임과 상단프레임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가이드프레임과, 유, 공압 실린더 또는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승강테이블을 승강 이동시키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휠체어 승강장치를 구성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 - 1998 - 0002817 호 (1998.03.30) 한국등록특허 제 10 - 0375129 호 (2003.03.08) 한국등록특허 제 10 - 1083365 호 (2011.11.14) 한국등록특허 제 10 - 1020722 호 (2011.03.09)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휠체어용 리프트는 지면에서 매입형으로 승강식 이동장치 본체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는 휠체어가 탑승하는 지지판을 가이드봉에 지지하여 구비함으로써 유압 실린더를 이용해 지지판을 승강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매입형 리프트는 지면을 굴착하여 리프트 본체 및 유압 실린더, 가이드봉 등의 장치를 매입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특정 장소에서만 한정적으로 설치, 이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든 종래 기술에 따른 휠체어 이동장치는 승강기와 유사한 구조의 카를 로프로 연결하여 유압 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도록 구성하는바, 이 역시 상기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이동장치의 구성 전반을 특정 장소에서만 설치,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이다.
한편, 또 다른 종래 기술이 적용된 휠체어 승강장치는 휠체어가 승차하는 승차테이블을 두 쌍의 X자형 프레임 및 가이드프레임과 리프트장치를 이용해 승강하도록 구성하되 하단프레임에 이동바퀴를 구비하여 기존의 설치형 리프트와는 달리 휠체어 승강장치의 위치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동형 승강장치는 승차테이블을 승강하기 위한 교차식 X자형 프레임과, 상, 하단프레임, 가이드프레임, 구동모터 등의 구성의 결합 및 작동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지므로 장치의 중량 및 규모가 상당하여 비록 이동바퀴를 탑재하고 있다 할지라고 간편한 이동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휴대 및 보관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지면에 평행하게 구비하고 하측에는 이동휠(111)을 장착하는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승강바(121)를 구비하고 구동모터(122)에 의해 승강바(121)를 따라서 승강수단(123)을 승강하는 구동부(12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장착하고 상기 구동부(120)와 연동하는 승강부(13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하여 구동부(120) 및 승강부(130)를 수용하는 커버(160)와,
상기 커버(160)의 전방 외측에서 승강부(130)와 연동하는 승강테이블(171)과 승강테이블(171)의 양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를 구비하는 플랫폼(170)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170)의 일측에 장착하여 승강부(130)와 플랫폼(170)을 연결하되 일정 각도 범위에서 플랫폼(170)을 절첩하도록 구비하는 제1폴딩부(180)와,
상기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 각각의 일측에 구비하여 플랫폼(170)의 승강 시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를 개별 절첩 혹은 전개하는 제2폴딩부(191) 및 제3폴딩부(192)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편리한 이동성 및 휴대성, 보관성을 가지는 휠체어 리프트를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존에 특정 건물이나 장소에 설치하여 해당 장소에서만 이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휠체어 리프트와 차별하여 리프트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이동 및 휴대성, 보관성을 확보하는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설치형 휠체어 리프트에 비해 리프트 설치 및 이용 장소에 제약이 없으며 설치에 따른 각종 비용의 발생을 배제하여 경제성 및 접근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휠체어용 리프트의 크기를 간편하게 축소하여 차량 등에 쉽게 휴대 및 보관이 가능하고 협소한 통로나 장소로 이동이 용이하며 작동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하므로 휠체어 이용자가 차량에 휠체어와 함께 리프트를 휴대하여 원하는 장소에서 리프트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의 승강 상태 예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의 폴딩 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의 승강 상태 예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의 폴딩 상태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커버 및 안전펜스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는 휠체어 이용자가 건물 등에 출입 시 휠체어와 함께 승강하여 위치를 이동하도록 하는 휠체어용 리프트를 구성함에 있어 종래의 설치형 리프트와 차별되는 이동 및 휴대성, 보관성을 가지고 안전성 및 편의성을 향상하도록 구현하는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과, 베이스프레임(110)에 설치하고 커버(160) 내부에 구비하는 구동부(120) 및 승강부(130)와, 커버(160)의 전방 외측에서 구동부(120) 및 승강부(130)에 의해 승강하는 플랫폼(170)과, 플랫폼(170) 전반을 폴딩하는 제1폴딩부 내지 제3폴딩부(180,191,192)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지면에 평행하게 구비하고 하측에는 이동휠(111)을 장착하여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구동부(120) 및 승강부(130)를 설치하는 패널과 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가로 및 세로로 마련하는 소정의 빔프레임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진다. 양측 빔프레임의 하측 4개소에는 이동휠(111)을 장착하여 리프트 전반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위치의 이동 및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전방에서는 플랫폼(170)이 승강 및 절첩 가능하도록 위치하는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빔프레임에는 플랫폼(170)의 하측으로 연장 가능한 형태의 연장프레임(112)을 내장하여 플랫폼(170)의 작동 시 안정적으로 무게중심을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승강바(121)를 구비하고 구동모터(122)에 의해 승강바(121)를 따라서 승강수단(123)을 승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구동모터(122)에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도록 소정의 웜기어 및 타이밍풀리를 장착한다. 상기 구동모터(122)의 웜기어는 출력축의 자유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승강수단(123)의 자유낙하를 방지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바(121) 및 승강수단(123)은 볼스크류 및 볼너트 타입으로 구성하여 구동모터(122)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승강수단(123)이 승강바(121)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승강수단(123)은 후술하게 될 승강부(130)에 구비하는 감지수단(132)에 의해 최상단 위치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승강부(13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장착하고 상기 구동부(120)와 연동하여 플랫폼(170)을 승강하도록 구성하며, 수직프레임(131)과 감지바(133) 및 수평프레임(135)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프레임(131)은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한 쌍으로 구비한다. 수직프레임(131)의 높이는 승강바(121)에 비례하며 양측 수직프레임(131)의 간격은 플랫폼(170)의 폭을 고려하여 설정한다.
상기 감지바(133)는 수직프레임(131)의 일측에 수직으로 구비하고 복수의 감지수단(132)을 장착하여 구비한다. 감지바(133)의 높이는 승강바(121) 및 수직프레임(131)에 비례한다.
상기 복수의 감지수단(132)은 플랫폼(170)에 구비되는 작동스위치(175)와 연동하여 감지바(133) 상에서 임의의 높이에 구비하여 승강수단(123)의 승강 위치를 제어하며, 승강수단(123)이 승강 가능한 최상단 높이에서 구동부(12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수평프레임(135)은 수직프레임(131)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한 쌍의 승강롤러(134)를 구비하고 승강수단(123)의 일측에 장착하여 수직프레임(131)을 따라서 승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수평프레임(135)은 승강수단(123)과 연동하여 승강하되 수직프레임(131)을 표면을 따라서 슬라이딩 하도록 결합하는 양측 승강롤러(134)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면서 승강 경로를 따라서 승강한다.
상기 수평프레임(135)의 전면에는 후술하게 될 제1폴딩부(180)가 결합하는 폴딩힌지바(140)를 구비한다. 제1폴딩부(180)는 플랫폼(170)을 승강부(130)에 연결하는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좌, 우 복수의 제1폴딩부(180)를 구비하므로 폴딩힌지바(140) 역시 복수를 마련하여 제1폴딩부(180)를 향해 전방 돌출하도록 구비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폴딩힌지바(140)에는 플랫폼(170)의 승강 상태와 폴딩 상태에 따라 제1폴딩부(180)를 수평 상태로 유지하는 수평지지홈(141)과, 제1폴딩부(180)를 절첩하는 폴딩힌지공(142)을 형성한다.
상기 수평지지홈(141)은 폴딩힌지바(140)의 전면에서 후측을 향해 수평으로 요입 형성하여 제1폴딩부(180)의 수평지지체(181)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구비한다. 수평지지홈(141)에 수용된 제1폴딩부(180)는 승강테이블(171)이 수평 상태에서 각도를 유지하도록 수평지지홈(14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폴딩힌지공(142)은 수평지지홈(141)의 후측에서 장공 형태로 형성하여 제1폴딩부(180)의 폴딩힌지핀(182)을 힌지 결합하되, 제1폴딩부(180)를 절첩 시 상기 수평지지홈(141)으로부터 제1폴딩부(180)의 전, 후 위치를 이동하여 이탈시킴으로써 절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커버(16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하여 구동부(120) 및 승강부(130)를 수용하도록 구비한다. 커버(160)의 전방에는 상기 폴딩힌지바(140)와 제1폴딩부(180)의 연결을 위하여 한 쌍의 수직작동공(161)을 통공한다.
상기 플랫폼(170)은 상기 커버(160)의 전방 외측에서 승강부(130)와 연동하는 승강테이블(171)과 승강테이블(171)의 양측에 결합하는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를 구비하여 휠체어를 탑승시킨다.
상기 승강테이블(171)은 휠체어가 진입하여 위치하도록 소정의 장방형 판상으로 구비한다. 승강테이블(171)에는 휠체어의 높이에 상응하는 안전펜스(174)를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그 일측에는 작동스위치(175)를 부착하여 이용자가 승강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한다. 승강테이블(171)의 폴딩 작동은 리프트의 미사용 상태에서 제1폴딩부(180)에 의해 이루어지는바,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는 승강테이블(171)로부터 절첩 및 전개 가능하도록 구비하며, 전개 상태에서는 휠체어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경사로의 기능을 수행하고 절첩 상태에서는 안전펜스(174)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한다.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의 폴딩 작동은 승강테이블(171)의 승강과 동시에 제2폴딩부(191) 및 제3폴딩부(192)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바,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제1폴딩부(180)는 상기 플랫폼(170)의 일측에 장착하여 승강부(130)와 플랫폼(170)을 연결하되 일정 각도 범위에서 플랫폼(170)을 절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폴딩부(180)는 플랫폼(170)의 승강 상태와 폴딩 상태에 따라 승강테이블(171)의 위치 및 각도를 도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상기 수평프레임(135)에 구비하는 폴딩힌지바(140)에 결합하여 구비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폴딩부(180)는 폴딩힌지바(140)의 수평지지홈(141)에 수용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수평지지체(181)와, 수평지지체(181)로부터 돌출된 위치에 폴딩힌지핀(182)을 구비하여 폴딩힌지바(140)의 폴딩힌지공(142)에 힌지 결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폴딩힌지공(142)은 장공 형태로 구비되는바, 제1폴딩부(180)의 전, 후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수평지지체(181)가 수평지지홈(141)에 수용 또는 이탈되도록 작동하여 제1폴딩부(180)의 각도를 수평 상태로 고정하거나 절첩 가능한 작동이 구현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폴딩부(191) 및 제3폴딩부(192)는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 각각의 일측에 구비하여 플랫폼(170)의 승강 시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를 개별 절첩 혹은 전개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는 플랫폼(170)의 상, 하 위치에 따라서 휠체어가 승강테이블(171)로 진입하는 입구와, 휠체어가 승강테이블(171)에서 진출하는 출구, 또는 안전펜스(174)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폴딩부(191) 및 제3폴딩부(192)는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를 상호 반대로 절첩 및 전개 작동하도록 구성하며 각각 폴딩고정바와 스윙바를 구비한다.
상기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 각각에 장착하는 제1폴딩고정바(193) 및 제2폴딩고정바(194)는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의 이면 중심부에 고정한다. 하기 제1스윙바(197) 및 제2스윙바(198)와 연동하여 승강테이블(171)과의 힌지 결합축을 기점으로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의 절첩 또는 전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윙바(197) 및 제2스윙바(198)는 상기 제1폴딩고정바(193) 및 제2폴딩고정바(194) 각각에 일단을 힌지 결합하고 타단에는 각각 제1폴딩롤러(195) 및 제2폴딩롤러(196)를 구비한다.
상기 제1스윙바(197) 및 제2스윙바(198)는 제1폴딩고정바(193) 및 제2폴딩고정바(194)의 일단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하여 일단을 힌지 결합한다.
상기 제1스윙바(197) 및 제2스윙바(198)는 각각의 양단에서 서로 다른 회전 축심을 형성하는바, 타단에 형성된 제1폴딩롤러(195) 및 제2폴딩롤러(196)가 하기 제1폴딩유도바(151) 및 제2폴딩유도바(152)에 결합하여 제1경로(153) 및 제2경로(154)를 따라서 이동하는 방향에 의해, 상기 제1폴딩고정바(193) 및 제2폴딩고정바(194)와 힌지 결합하는 일단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회전 시키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폴딩롤러(195) 및 제2폴딩롤러(196)는 상기 커버(160)의 양측에 구비하여 곡선부 및 직선부로 이루어진 서로 다른 제1경로(153) 및 제2경로(154)를 형성하는 제1폴딩유도바(151) 및 제2폴딩유도바(152)에 결합한다.
상기 제1폴딩유도바(151) 및 제2폴딩유도바(152)는 플랫폼(170)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제1폴딩롤러(195) 및 제2폴딩롤러(196)의 이동 경로를 유도하여 제1스윙바(197) 및 제2스윙바(198)의 각도를 전환하도록 구비하며, 직선부에서는 제1스윙바(197) 및 제2스윙바(198)의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곡선부에서는 제1스윙바(197) 및 제2스윙바(198)의 각도를 가변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는 플랫폼(170)의 승강 위치에 따라서 상호 반대로 절첩 및 전개 작동하도록 구비하는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스윙바(197) 및 제2스윙바(198)의 타단에 구비하는 제1폴딩롤러(195) 및 제2폴딩롤러(196)를 각각 제1폴딩유도바(151)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경로(153)와 제2폴딩유도바(152)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경로(154)에 접촉하여 서로 다른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더불어 제1스윙바(197) 및 제2스윙바(198)의 일단은 힌지 작동 방향 및 각도를 일정 범위 내로 제한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딩타입 휠체어 리프트는 베이스프레임(110) 상에서 커버(160) 내부에 장착하는 구동부(120) 및 승강부(130)를 중심으로 휠체어가 탑승하는 플랫폼(170) 일체를 승강 및 폴딩 가능하도록 제1폴딩부 내지 제3폴딩부(180,191,192)를 탑재하여 구성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휠체어 리프트가 플랫폼(170)이 하강 상태에서 지면에 평행하도록 전개되어 탑승 대기 중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플랫폼(170)의 전, 후측에는 안전펜스(174)가 부착된 상태로 구비되며 그 일측에는 작동스위치(175)가 휠체어 이용자의 앉은 키를 고려하여 위치한다. 상기 플랫폼(170)의 하측에는 베이스프레임(110)으로부터 연장된 연장프레임(112)이 무게중심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플랫폼(170)의 제1램프(172)는 제1폴딩고정바(193)와 힌지 결합된 제1스윙바(197)의 제1폴딩롤러(195)가 제2폴딩부(191)에 형성된 제1경로(153)의 하측 곡선부와의 결합 자세 및 각도에 의해 승강테이블(171)로부터 전개된 상태로 경사로와 같이 구비된다.
반대로, 상기 제2램프(173)는 제2폴딩고정바(194)와 힌지 결합된 제2스윙바(198)의 제2폴딩롤러(196)가 제3폴딩부(192)에 형성된 제2경로(154)의 하측 곡선부와의 결합 자세 및 각도에 의해 절첩된 상태로 구비된다.
낮은 장소에서 높은 장소로 이동하고자 하는 휠체어 이용자는 상기 제1램프(172)를 통해 승강테이블(171)에 탑승하고, 작동스위치(175)를 조작하여 높이를 설정한다. 승강부(130)의 감지바(133)에 구비하는 감지수단(132)은 설정된 높이를 감지하여 구동부(120)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작동스위치(175)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122)를 구동하고 승강바(12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승강수단(123)을 설정된 높이로 상승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휠체어 리프트가 플랫폼(170)이 지면으로부터 상승 중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승강수단(123)에 결합되는 승강부(130)의 수평프레임(135)은 양측에 구비된 승강롤러(134)가 수직프레임(131)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면서 승강수단(123)과 함께 상승하고, 수평프레임(135)의 전면에 구비하는 폴딩힌지바(140) 역시 동반 상승한다.
상기 플랫폼(170)의 승강테이블(171)에 결합된 제1폴딩부(180)는 수평지지체(181)가 상기 폴딩힌지바(140)의 수평지지홈(141)에 수용된 상태에서 동력을 전달받고 플랫폼(170) 일체를 상승한다.
상기와 같이 플랫폼(170)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제1램프(172)는 제1폴딩고정바(193)와 힌지 결합된 제1스윙바(197)의 제1폴딩롤러(195)가 제2폴딩부(191)에 형성된 제1경로(153)의 직선부를 따라서 상향 이동하며 상측 곡선부와의 결합 자세 및 각도에 의해 승강테이블(171)로부터 점차 절첩되는 상태로 전환한다.
반대로, 상기 제2램프(173)는 제2폴딩고정바(194)와 힌지 결합된 제2스윙바(198)의 제2폴딩롤러(196)가 제3폴딩부(192)에 형성된 제2경로(154)의 직선부를 따라서 상향 이동하며 상측 곡선부와의 결합 자세 및 각도에 의해 점차 전개되는 상태로 전환하여 경사로와 같이 구비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휠체어 리프트가 플랫폼(170)이 설정 높이로 상승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플랫폼(170)의 상승이 완료되면, 휠체어 이용자는 제2램프(173)를 통해 승강테이블(171)에서 하차하여 목적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으며, 높은 장소에서 낮은 장소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상기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면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폴딩타입 휠체어 리프트를 미사용 혹은 휴대, 보관하고자 할 경우, 상기 플랫폼(170) 일체를 절첩하여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휠체어 리프트가 플랫폼(170) 구성 일체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휠체어 리프트가 플랫폼(170)이 하강 상태에서 지면에 평행하도록 전개된 상태에서, 승강테이블(171)에 부착된 안전펜스(174)를 탈거하여 승강테이블(171) 상에 적치한다.
또한, 상기 제1스윙바(197) 및 제2스윙바(198)에 구비된 제1폴딩롤러(195) 및 제2폴딩롤러(196)를 제1폴딩유도바(151) 및 제2폴딩유도바(152)로부터 탈거하여 제2폴딩부(191) 및 제3폴딩부(192)를 분리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플랫폼(170) 일체를 커버(1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견인하여 제1폴딩부(180)의 수평지지체(181)를 폴딩힌지바(140)의 수평지지홈(141)으로부터 이탈시킨다. 폴딩힌지공(142)은 장공 형태로 구비되므로 폴딩힌지핀(182)의 위치가 장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폴딩힌지핀(182)을 기점으로 플랫폼(170) 일체를 커버(160)를 향해 절첩하고, 제1폴딩유도바(151) 및 제2폴딩유도바(152)로부터 제2폴딩부(191) 및 제3폴딩부(192)가 분리된 상태의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를 승강테이블(171)을 향해 절첩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서 플랫폼(170)을 하측을 향해 연장 구비된 연장프레임(112)을 빔프레임 내측으로 수용하여 리프트의 전체 크기를 축소한다.
상기와 같이 폴딩된 리프트를 용이하게 이동하기 위해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방 상측에 소정을 핸들(113)을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는 종래의 매입형 또는 설치형 휠체어 리프트와 차별하여 이동 및 휴대, 보관이 용이한 간소화된 구조의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플랫폼 일체를 간편하게 절첩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리프트 전체의 크기를 대폭 축소하여 차량 등에 쉽게 휴대 및 보관이 가능하고 협소한 통로나 장소로 이동이 용이하며 승강 및 폴딩 작동을 구현하기 위한 일련의 구조가 매우 간단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휠체어 이용자는 차량에 휠체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폴딩타입 휠체어 리프트를 간편하게 휴대하여 원하는 장소에서 휠체어 리프트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경사로나 설치형 리프트가 설치되지 않은 대부분의 장소에서 휠체어 이용자의 이동에 많은 제약이 있었던 문제점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도출한다.
110: 베이스프레임 120: 구동부
121: 승강바 123: 승강수단
130: 승강부 131: 수직프레임
132: 감지수단 133: 감지바
134: 승강롤러 135: 수평프레임
140: 폴딩힌지바 141: 수평지지홈
142: 폴딩힌지공 151,152: 제1,2폴딩유도바
153,154: 제1,2경로 160: 커버
170: 플랫폼 171: 승강테이블
172,173: 제1,2램프 180: 제1폴딩부
181: 수평지지체 182: 폴딩힌지핀
191,192: 제2,3폴딩부 193,194: 제1,2폴딩고정바
195,196: 제1,2폴딩롤러 197,198: 제1,2스윙바

Claims (3)

  1. 지면에 평행하게 구비하고 하측에는 이동휠(111)을 장착하는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승강바(121)를 구비하고 구동모터(122)에 의해 승강바(121)를 따라서 승강수단(123)을 승강하는 구동부(12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장착하고 상기 구동부(120)와 연동하는 승강부(13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하여 구동부(120) 및 승강부(130)를 수용하는 커버(160)와,
    상기 커버(160)의 전방 외측에서 승강부(130)와 연동하는 승강테이블(171)과 승강테이블(171)의 양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를 구비하는 플랫폼(170)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170)의 일측에 장착하여 승강부(130)와 플랫폼(170)을 연결하되 일정 각도 범위에서 플랫폼(170)을 절첩하도록 구비하는 제1폴딩부(180)와,
    상기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 각각의 일측에 구비하여 플랫폼(170)의 승강 시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를 개별 절첩 혹은 전개하는 제2폴딩부(191) 및 제3폴딩부(192)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130)는,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31)과,
    수직프레임(131)의 일측에 수직으로 구비하고 복수의 감지수단(132)을 장착하는 감지바(133)와,
    수직프레임(131)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한 쌍의 승강롤러(134)를 구비하고 승강수단(123)의 일측에 장착하여 수직프레임(131)을 따라서 승강하는 수평프레임(135)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135)의 전면에는 제1폴딩부(180)가 결합하는 폴딩힌지바(140)를 구비하되,
    상기 폴딩힌지바(140)의 전면에서 후측을 향해 수평으로 요입 형성하고 제1폴딩부(180)의 수평지지체(181)를 내측에 수용하여 수평 상태로 유지하는 수평지지홈(141)과,
    상기 수평지지홈(141)의 후측에서 장공 형태로 형성하여 제1폴딩부(180)의 폴딩힌지핀(182)을 전, 후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하는 폴딩힌지공(142)을 포함하여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폴딩부(191) 및 제3폴딩부(192)는,
    제1램프(172) 및 제2램프(173) 각각에 장착하는 제1폴딩고정바(193) 및 제2폴딩고정바(194)와,
    제1폴딩고정바(193) 및 제2폴딩고정바(194) 각각에 일단을 힌지 결합하고 타단에는 각각 제1폴딩롤러(195) 및 제2폴딩롤러(196)를 구비하는 제1스윙바(197) 및 제2스윙바(198)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160)의 양측에는 곡선부 및 직선부로 이루어진 서로 다른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제1폴딩롤러(195) 및 제2폴딩롤러(196)를 결합하는 제1폴딩유도바(151) 및 제2폴딩유도바(1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
KR1020190069302A 2019-06-12 2019-06-12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 KR102277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302A KR102277051B1 (ko) 2019-06-12 2019-06-12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302A KR102277051B1 (ko) 2019-06-12 2019-06-12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267A KR20200142267A (ko) 2020-12-22
KR102277051B1 true KR102277051B1 (ko) 2021-07-13

Family

ID=7408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302A KR102277051B1 (ko) 2019-06-12 2019-06-12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0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694B1 (ko) * 2020-11-05 2022-08-22 (주)신우 프론티어 휠체어 리프트용 추락방지장치
CN113942965B (zh) * 2021-10-12 2023-03-31 北京欣东立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便于建材存放装置
CN114394251A (zh) * 2021-12-28 2022-04-26 中国航天空气动力技术研究院 一种太阳能无人机辅材膜的铺装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993Y1 (ko) * 2000-06-17 2000-12-01 주식회사신우 프론티어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
KR100338788B1 (ko) * 1999-08-19 2002-05-31 박성권 휠체어 리프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406Y1 (ko) 1997-07-25 1999-08-02 전소연 매입형 승강식 휠체어 이동장치
KR100375129B1 (ko) 2000-10-13 2003-03-08 주식회사 지암메디테크 승강기식 휠체어 이동장치
KR101020722B1 (ko) 2010-10-11 2011-03-09 (주)삼성정밀 장애인 휠체어 승강 리프트
KR101083365B1 (ko) 2011-05-19 2011-11-14 (주)다성테크놀로지 휠체어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788B1 (ko) * 1999-08-19 2002-05-31 박성권 휠체어 리프트 장치
KR200204993Y1 (ko) * 2000-06-17 2000-12-01 주식회사신우 프론티어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267A (ko) 202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051B1 (ko)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
EP0329697B1 (en) Arrangement for a lift adapted to a motor vehicle
KR101218339B1 (ko) 다층 주차 장치
RU2007127479A (ru) Переносной подъемник для кресел-колясок
CN105507572B (zh) 可行走的脚手架
KR102235701B1 (ko) 탑승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KR101372262B1 (ko) 휠체어용 승강장치
KR102235699B1 (ko) 휠체어 이용자용 탑승장치
KR100745157B1 (ko) 승강 높이조절이 용이한 리프터
CN110775909A (zh) 电力设备检修用的升降机装置
KR20100089675A (ko) 버스용 휠체어 리프트
JP5105054B2 (ja) 昇降装置
CN215326810U (zh) 一种用于飞机维护的升降装置
CN113443593B (zh) 一种用于飞机维护的梯架
KR102239971B1 (ko) 완충모듈을 구비한 휠체어용 리프트 승강장치
JP4354729B2 (ja) テーブルリフト
KR20230000501U (ko) 천장 구조물 설치용 리프팅 장치
KR102298545B1 (ko) 휠체어 리프트 장치
CN211110950U (zh) 一种电力设备检修用的升降机装置
KR101852545B1 (ko) 리프트 겸용 운반 사다리
CN210205264U (zh) 安葬设备
KR101932596B1 (ko) 실내용 전동식 저상 작업 고소차
KR200479648Y1 (ko) 전동 핸드카
JP2004238097A (ja) リフト装置
JP2007119121A (ja) 段差解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