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545B1 - 휠체어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545B1
KR102298545B1 KR1020200162642A KR20200162642A KR102298545B1 KR 102298545 B1 KR102298545 B1 KR 102298545B1 KR 1020200162642 A KR1020200162642 A KR 1020200162642A KR 20200162642 A KR20200162642 A KR 20200162642A KR 102298545 B1 KR102298545 B1 KR 102298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heelchair
panel
lower panel
upp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근섭
류영찬
조만호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이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이노테크 filed Critical (주)에이스이노테크
Priority to KR1020200162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3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separate from the vehicle, e.g. fixed on the pa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16Accommodating or securing stretchers
    • A61G3/085Accommodating or securing stretchers on support, which can be brought into a different position, when not in use, e.g. foldable, collapsible, retractable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Abstract

이동과 보관이 편리하고 휠체어를 안전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하부 패널과 상기 하부 패널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패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본체가 측면으로 세워지면 상기 본체를 지지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된 대차 프레임부; 상기 본체가 세워지거나 원위치로 복귀할 때 충격이 완화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대차 프레임부 사이에 설치된 라운드형의 회전용 받침대; 및 상기 본체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평행 위치와 수직 위치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휠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출입용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휠체어 리프트 장치 {Lifting apparatus for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과 보관이 편리하고 휠체어를 안전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회사, 연수원 등의 강단 등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서로 다른 위치에 휠체어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장애인 편의 시설은 선진국이 되어감에 따라 법제로 마련되어 강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장애인이 탑승한 휄체어를 승강시키는 장비로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시설이 있고, 강단과 같이 낮은 높이로 승강시키는 경우에는 다른 설비가 적용될 것이다. 예를 들면 평소에는 계단으로 사용하다가 휠체어 리프트 장비로 사용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계단과 리프트 장비로 혼용되기 위하여 장치가 매우 복잡해지고 작동 또한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황에 따라 휠체어 리프트 장치 전용을 사용하는 단순 리프트 장비가 있으나 이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평상 시 사용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0-1073198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하지 않은 평상 시에는 접어 보관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사용 시에는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휠체어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펼쳐져 운행되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하부 패널과 상기 하부 패널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패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본체가 측면으로 세워지면 상기 본체를 지지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된 대차 프레임부; 상기 본체가 세워지거나 원위치로 복귀할 때 충격이 완화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대차 프레임부 사이에 설치된 라운드형의 회전용 받침대; 및 상기 본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평행 위치와 수직 위치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휠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출입용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출입용 램프는 상기 본체 상부로 휠체어가 들어온 다음 90도 회전한 후 내릴 수 있도록 서로 인접한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의 하부 패널과 상부 패널이 최소 거리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잠그는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부는, 상기 하부 패널에 구비된 걸림홈에 걸리는 고리; 상기 고리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패널에 구비된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고리가 상기 걸림홈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패널 쪽으로 회전시키면 잠기게 되는 손잡이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패널과 상부 패널 사이에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내외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주름 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차 프레임부의 반대편에는 상기 상부 패널에 고정된 난간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난간 프레임에는 난간이 접이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입용 램프 중에 전방 램프는 하나의 패널로 이루어지고, 후방 램프는 2개의 패널이 접이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입용 램프는 램프용 실린더에 의해 회전 작동되고, 상기 출입용 램프의 회전축에는 평판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축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램프용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의 하부 패널과 상부 패널 사이에는 적어도 한 쌍의 X자형 작동 프레임이 설치되고 구동 실린더에 의해 상기 상부 패널이 상기 하부 패널에 대하여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X자형 작동 프레임은 일단은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롤러로 구름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용 받침대의 반대편에는 상기 본체를 용이하게 다룰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보관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이 뛰어나고, 작동시에는 다양한 안전장비가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세워져 보관 가능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작동 가능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세워진 상태에서 작동 가능 상태로 변환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작동을 시작하여 휠체어가 본체 상부로 출입할 수 있는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출입용 램프의 작동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본체의 상부 패널이 하부 패널에 대하여 승강하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1)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1)는, 도 1 내지 도 2을 참고하면, 본체(20), 대차 프레임부(10), 회전용 받침대(25), 출입용 램프(30, 40), 난간 프레임(6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2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하부 패널(21)과 상기 하부 패널(21)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패널(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20)의 하부 패널(21)과 상부 패널(22) 사이에는, 도 6을 참고하면, 적어도 한 쌍의 X자형 작동 프레임(80)이 설치되고 구동 실린더(81)에 의해 상기 상부 패널(22)이 상기 하부 패널(21)에 대하여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X자형 작동 프레임(80)은 일단은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롤러로 빠지지 않도록 가이드에 의해 구름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X자형 작동 프레임(80)에 의해 상기 상부 패널(22)은 하부 패널(21)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승강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구동 실린더(81)의 작동에 의해 상부 패널(22)의 위치가 결정되고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 실린더(81)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할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전기를 사용하는 모터 방식으로 스크류형 실린더나 리니어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 패널(21)과 상부 패널(22) 사이에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내외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주름 패널(24)이 설치될 수 있다. 사방이 모두 주름 패널(24)이 설치되어 내부가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사이로 사람의 신체 또는 기타 이물질이 들어가서 생길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원천봉쇄한다.
이때, 상기 본체(20)의 하부 패널(21)과 상부 패널(22)이 최소 거리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잠그는 잠금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부(70)는, 도 2를 참고하면, 고리(72)와 손잡이 레버(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리(72)는 상기 하부 패널(21)에 구비된 걸림홈(75)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 레버(71)는, 상기 고리(72)의 양단이 회전(74)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패널(22)에 구비된 회전축(73)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고리(72)가 상기 걸림홈(75)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73)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패널(22) 쪽으로 회전시키면 잠기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 레버(7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손잡이 레버(71)에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고리(72)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손잡이 레버(71)가 자유단처럼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손잡이 레버(71)의 자성체의 자력을 이용하여 본체(20) 등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다른 작동에 간섭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대차 프레임부(1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본체(20)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본체(20)가 측면으로 세워지면 상기 본체(20)를 지지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바퀴(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차 프레임부(10)에는 내부에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고, 그 상부외 외측면에는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2)와 스위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휠체어를 탑승한 장애인이 직접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고, 다른 제 3 자가 구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20)가 세워지거나 원위치로 복귀할 때 충격이 완화되도록 상기 본체(20)와 상기 대차 프레임부(10) 사이에 설치된 라운드형의 회전용 받침대(25)가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본체(20), 대차 프레임부(10), 그리고 그 사이에 회전용 받침대(25)가 설치됨으로써 장치의 이동과 안착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용 받침대(25)의 반대편에는 상기 본체(20)를 용이하게 다룰 수 있도록 손잡이(23)가 구비될 수 있다. 통상 장치는 그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본체(20)를 세우거나 눕힐 때 성인 두 명이 함께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두 개의 손잡이(23)를 작업자들이 각각 이용하여 이를 진행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다.
이때, 상기 대차 프레임부(10)의 반대편에는 상기 상부 패널(22)에 고정된 난간 프레임(60)이 설치되고, 상기 난간 프레임(60)에는 난간(50)이 접이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난간 프레임(60)은 반대편의 대차 프레임부(10)보다는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난간(50)을 세우게 되면 그 높이가 비슷한 위치까지 이르게 될 수 있다.
상기 출입용 램프(30, 4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본체(20)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본체(20)에 대하여 평행 위치와 수직 위치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휠체어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입용 램프(30, 40) 중에 전방 램프(30)는 하나의 패널로 이루어지고, 후방 램프(40)는 2개의 패널(41, 42)이 접이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방 램프(30)는 강단 등 높은 위치에서 본체(20)와 강단을 연결하게 되고, 후방 램프(40)는 바닥면과 본체(20) 상부를 연결하게 되기 때문에 2개의 패널로 이루어져 구배를 흡수하여 휠체어를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전체 길이가 전방 램프(30)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출입용 램프(30, 40)는 램프용 실린더(31, 43)에 의해 회전 작동되고, 상기 출입용 램프(30, 40)의 회전축에는 평판 레버(32, 4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축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램프용 실린더(31, 43)의 피스톤 로드 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램프용 실린더(31, 43) 또한 전기로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출입용 램프는 상기 본체 상부로 휠체어가 들어온 다음 90도 회전한 후 내릴 수 있도록 서로 인접한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90도 인접한 위치에 출입용 램프가 설치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운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장치가 세워진 상태로서,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바퀴(11)를 이용하여 보관 장소로 이동한 다음 그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때 본체(200, 출입용 램프(30, 40), 그리고 난간(50)은 모두 접혀 있는 상태로 되어 있고, 그에 따라 부피가 최소화되어 보관 장소의 면적도 최소로 할 수 있다. 장치(1)의 모든 하중은 대차 프레임부(10)에 의해 지지되고, 세워진 최상단에는 두 개의 손잡이(23)가 위치하여 이동 시 조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체(20)의 상부 패널(22)과 하부 패널(210은 잠금부(70)에 의해 잠금 상태로 되어 있으며, 주름 패널(24)은 모두 최소 상태로 줄어들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장치(1)의 작동 전의 모습을 보여준다. 본체(20)가 누운 상태로 되어 있고, 대차 프레임부(10)는 세워진 상태가 된다. 이때 작동을 위하여 잠금부(70)를 해제하게 된다. 잠금부(70)의 손잡이 레버(71)를 도 2를 중심으로 아래로 회전시키면 고리(72)가 걸림홈(75)으로부터 이탈되어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잠금부(70) 모두를 해제하고 장치(1)의 작동을 시작할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체(20)가 세워진 상태와 눕혀져 작동 가능한 상태의 두 가지가 모두 도시되어 있다. 본체(20)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하여 대차 프레임부(10)는 경사지게 지지되도록 바퀴(1)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고, 잠금부(70)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그 상태에서 손잡이부(23)를 중심으로 잡고, 하부에 위치한 라운드형의 회전용 받침대(25)를 이용하여 좌측의 그림처럼 본체(20)가 수평으로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회전시케게 된다. 그 후 손잡이 레버(71)를 아래로 내려 잠금부(70)를 해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체(20)가 수평으로 바닥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잠금부(70)를 해제하고, 난간(50)을 회전시켜 난간 프레임(60)에 삽입하면 난간(50)이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된다. 물론 난간(50)을 접는 것은 화살표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당긴 다음 회전시키면 난간(50)을 접을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고하면, 그 상태에서 2개의 패널로 이루어진 후방 램프(40)를 180도 회전시켜 수직으로 펼치고 고정용 핀으로 고정한다. 램프용 실린더(43)를 작동시켜 후방 램프(40) 끝단이 바닥면에 닿을 때까지 회전시키게 된다. 물론 램프용 실린더(43)는 측면 부근에 설치되어 휠체어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2개의 패널을 이용하여 접이식으로 후방 램프(40)를 제작한 것은 본체(20)의 내부에 구동부가 설치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 공간을 확보하게 되기 때문에 그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것은 후방 램프(40)의 구배를 최소화하고 휠체어를 안전하게 승차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전방 램프(30)도 유사한 방식으로 램프용 실린더(31)에 의해 작동하게 되는데, 강단 높이까지 본체의 상부 패널(22)을 상승시키고 높이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방 램프(30)는 그 길이를 짧게 제작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후방 램프(40)를 내리고 휠체어가 상부 패널(22)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다시 후방 램프(40)를 올린다. 이렇게 함으로써 휠체어의 전후좌우가 모두 안전하게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휠체어가 안전하게 상부 패널(22)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 실린더(81)를 작동시키면 구동 실린더(80)의 작동에 의해 상부 패널(22)이 휠체어를 싣고 상승하게 된다. 이때 양측면에 각각 위치한 한 쌍의 X자형 작동 프레임(80)은 그 높이를 올리면서 상부 패널(22)을 밀어 올리게 되고 구동 실린더(81)가 작동하는 높이까지 밀어 올리게 된다. 적절한 위치에 오르게 되면 도 6과 같이 구동 실린더(81)가 멈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전방 램프(30)가 강단 바닥면에 닿도록 회전시킨다. 그 후, 휠체어는 강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휠체어가 내려오는 경우, 전방 램프(30)를 타고 휠체어는 상부 패널(22) 위로 이동한 다음 전방 팸프(30)는 램프용 실린더(31)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다. 그 후 구동 실린더(81)의 작동에 의해 X자형 작동 프레임(80)은 접히면서 상부 패널(22)이 하강하게 된다. 본체(20)는 최소 높이가 된다. 그 다음 펼쳐진 후방 램프(40)는 램프용 실린더(43)의 작동에 의해 바닥면까지 회전 하강하게 된다. 휠체어는 상부 패널(22)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후방 램프(40)는 다시 수직으로 세워진다. 그 후, 작업자는 후방 램프(40)를 접고, 난간(50)도 전술한 바와 같이 위로 올린 다음 접어 상부 패널(22)에 밀착되도록 하고 잠금부(70)의 손잡이 레버(71)와 고리(72)를 이용하여 모두 잠근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들은 손잡이(23)를 잡고 회전용 받침대(25)를 매개로 본체(20)가 세워져 도 1과 같은 상태로 되게 세운 후, 보관 장소로 바퀴(11)를 이용하여 이동하고 보관한다.
이때, 실린더들의 작동은 터치식으로 디스플레이(12)를 장애인이 직접 조작할 수도 있고, 대차 프레임부(10)의 외면에 설치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작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휠체어 리프트 장치
10 : 대차 프레임부 11 : 바퀴
12 : 디스플레이 20 : 본체
21 : 하부 패널 22 : 상부 패널
23 : 손잡이 24 : 주름 패널
25 : 회전용 받침대 30 : 전방 램프
40 : 후방 램프 50 : 난간
60 : 난간 프레임 70 : 잠금부
71 : 손잡이 레버 72 : 고리
80 : X자형 작동 프레임 81 : 구동 실린더

Claims (10)

  1. 하부 패널과 상기 하부 패널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패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본체가 측면으로 세워지면 상기 본체를 지지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된 대차 프레임부;
    상기 본체가 세워지거나 원위치로 복귀할 때 충격이 완화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대차 프레임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대차 프레임부의 바퀴 중에 근접한 바퀴 부근까지 라운드지게 연장된 라운드형의 회전용 받침대;
    상기 본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평행 위치와 수직 위치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휠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출입용 램프;
    상기 본체의 하부 패널과 상부 패널이 최소 거리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잠그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하부 패널에 구비된 걸림홈에 걸리는 고리;
    상기 고리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패널에 구비된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고리가 상기 걸림홈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패널 쪽으로 회전시키면 잠기게 되는 손잡이 레버; 및
    상기 손잡이 레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손잡이 레버에 구비된 자성체;
    를 포함하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출입용 램프는 상기 본체 상부로 휠체어가 들어온 다음 90도 회전한 후 내릴 수 있도록 서로 인접한 면에 설치된, 휠체어 리프트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과 상부 패널 사이에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내외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주름 패널이 설치된, 휠체어 리프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프레임부의 반대편에는 상기 상부 패널에 고정된 난간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난간 프레임에는 난간이 접이식으로 설치된, 휠체어 리프트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용 램프 중에 전방 램프는 하나의 패널로 이루어지고, 후방 램프는 2개의 패널이 접이식으로 연결된, 휠체어 리프트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용 램프는 램프용 실린더에 의해 회전 작동되고, 상기 출입용 램프의 회전축에는 평판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축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램프용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휠체어 리프트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 패널과 상부 패널 사이에는 적어도 한 쌍의 X자형 작동 프레임이 설치되고 구동 실린더에 의해 상기 상부 패널이 상기 하부 패널에 대하여 승강되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X자형 작동 프레임은 일단은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롤러로 구름 연결된, 휠체어 리프트 장치.
KR1020200162642A 2020-11-27 2020-11-27 휠체어 리프트 장치 KR102298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642A KR102298545B1 (ko) 2020-11-27 2020-11-27 휠체어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642A KR102298545B1 (ko) 2020-11-27 2020-11-27 휠체어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545B1 true KR102298545B1 (ko) 2021-09-06

Family

ID=7778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642A KR102298545B1 (ko) 2020-11-27 2020-11-27 휠체어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5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002A (ko) * 2021-12-27 2023-07-04 노태진 휠체어 리프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0774A (ja) * 1996-09-27 1998-04-21 Kiyota Chuki:Kk 折り畳み式乗降踏板
KR101073198B1 (ko) 2011-01-13 2011-10-12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장애인용 관람 의자
KR20130058326A (ko) * 2011-11-25 2013-06-04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동차용 접이식 휠체어 램프
KR101372262B1 (ko) * 2012-10-26 2014-03-10 (주)다성테크놀로지 휠체어용 승강장치
KR101760336B1 (ko) * 2015-09-15 2017-07-21 (주)동인기연 다용도 캐리어
KR102126043B1 (ko) * 2019-08-14 2020-06-23 주식회사 유디센터 이동식 휠체어 리프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0774A (ja) * 1996-09-27 1998-04-21 Kiyota Chuki:Kk 折り畳み式乗降踏板
KR101073198B1 (ko) 2011-01-13 2011-10-12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장애인용 관람 의자
KR20130058326A (ko) * 2011-11-25 2013-06-04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동차용 접이식 휠체어 램프
KR101372262B1 (ko) * 2012-10-26 2014-03-10 (주)다성테크놀로지 휠체어용 승강장치
KR101760336B1 (ko) * 2015-09-15 2017-07-21 (주)동인기연 다용도 캐리어
KR102126043B1 (ko) * 2019-08-14 2020-06-23 주식회사 유디센터 이동식 휠체어 리프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002A (ko) * 2021-12-27 2023-07-04 노태진 휠체어 리프트
KR102598335B1 (ko) 2021-12-27 2023-11-02 노태진 휠체어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26921B (zh) 带有可移动工作平台的电梯轿厢
US4081091A (en) Wheelchair lift
CA1052326A (en) Wheelchair lift
MX2007008026A (es) Elevador portatil de silla de ruedas.
KR101090782B1 (ko)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JP2000143125A (ja) エレべーター
WO2010003387A1 (en) Foldable ramp allowing an invalid wheelchair passenger enter into a vehicle
JP2020023306A (ja) 車椅子の乗客を飛行機に搭乗させるための入れ子式乗客階段用のリフト
JP5049682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100936020B1 (ko) 저상식 휠체어 리프트
KR102298545B1 (ko) 휠체어 리프트 장치
GB2474584A (en) Collapsible stairs and lift arrangement for use by disabled persons
JP7168409B2 (ja) 移動式リフト
JP2005349993A (ja) タラップ車
KR102202449B1 (ko)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KR102282965B1 (ko) 장애인용 휠체어 리프트
JP3662064B2 (ja) 手動式昇降床装置
JP2007030677A (ja) 乗降用車両
JP4261178B2 (ja) 段差解消階段
JP2665278B2 (ja) 車両用垂直昇降装置
JP2529436Y2 (ja) 高所作業車における乗降用梯子構造
JP3092589U (ja) 車椅子用段差解消リフト装置
KR102598335B1 (ko) 휠체어 리프트
JPH1067493A (ja) 高所作業車の作業台装置
JP7316660B2 (ja) 多段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