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449B1 -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449B1
KR102202449B1 KR1020200144870A KR20200144870A KR102202449B1 KR 102202449 B1 KR102202449 B1 KR 102202449B1 KR 1020200144870 A KR1020200144870 A KR 1020200144870A KR 20200144870 A KR20200144870 A KR 20200144870A KR 102202449 B1 KR102202449 B1 KR 102202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afety accidents
rotation
workbench
lif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재형
Original Assignee
우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재형 filed Critical 우재형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탑승후 상승된 상태에서 예상치 못한 원인으로 인해 승강수단이 해지되어 작업대가 갑자기 하강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 가능하며 또한, 작업대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천정과 충돌하여 발생되는 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탑승후 고소작업대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높이도록 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호차(100)가 장착된 이동수단(10)과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행하는 작업대(20)와 상기 이동수단(10)과 상기 작업대(20) 사이에 절첩가능하게 설치하여 작업대(2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30)인 다수의 리프트 암(300)은 양단부 및 중간 부분이 서로 회동핀(301)에 의해 회동 연결되어 있고 다수의 리프트 암(300)중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리프트 암(300)의 일단부에 구비된 회동핀(301)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타단부에 구비된 회동핀(301)에 체결핀(302)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핀(302)에 록킹 체결 및 해지가 가능하도록 걸림톱니(401)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록킹바(400)와, 상기 록킹바(400)의 타측 끝단에는 와이어(411)의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411)의 타측은 상기 작업대(20)의 일측 난간에 결합된 록킹손잡이(410)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손잡이(410)의 상하운동에 의해 상기 걸림톱니(401)가 상기 체결핀(302)에 체결 및 해지를 가능하도록 한 록킹수단(40)을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소 작업대의 최상단에 감지수단을 장착하여 상기 감지수단이 천정이나 기타 천정부위 장애물에 접촉시 승강수단의 상승동작이 일시적으로 멈춘 후 하강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록킹수단을 구비하여 작업대에 작업자 탑승후 상승된 상태에서 예상치 못하게 작업대가 갑자기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또한, 작업대에 작업자가 탑승후 작업도중에 고정된 이동수단이 해지됨으로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지지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High place workbench to prevent safety accidents}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탑승후 상승된 상태에서 예상치 못한 원인으로 인해 승강수단이 해지되어 작업대가 갑자기 하강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 가능하며 또한, 작업대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천정과 충돌하여 발생되는 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탑승후 고소작업대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높이도록 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대는 고소 작업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장비로서, 전기공사, 덕트, 미장 공사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고소 작업대는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장착된 이동수단과,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행하는 작업대와, 상기 이동수단과 상단부 사이에 절첩가능하게 설치하여 작업대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바퀴가 전후진가능하여 고소 작업을 위한 위치를 이동한 다음, 상기 작업대에 작업을 위한 장비 등을 실고 작업자가 탑승한 후, 상기 승강수단의 작동에 의해 작업대가 상승하여 작업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승강수단의 작동에 의해 작업대가 원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소 작업대로 고소작업을 행하는 경우,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할 때 작업자의 자칫실수로 고소작업의 위치보다 더 승강됨에 따라, 고소 작업대와 천정이나 벽면 등에 부디쳐 전복되거나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정한 높이에서 고소작업을 한 후,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위치를 이동하는 경우,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작업대를 적정높이로 하강시킨 후 작업 위치를 이동하여야만 하는데, 일부 작업자들이 이를 지키지 않고 작업 위치를 이동하는 일이 빈번하게 이루어져 고소 작업대가 전복되거나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작업대 탑승후 유압이 공급되지 아니하거나 기타 원인이 규명되지 아니한 이유로 인하여 예상치 못하게 승강수단의 하자로 인해 갑자기 작업대가 하강하여 작업자가 추락 또는 부상을 당하는 안전사고의 문제점있고,
더 나아가서, 이동수단이 해지됨으로서 작업대에서 작업시 이동수단의 이동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추락 또는 부상의 우려가 있었다.
국내 특허등록 제10-1743633호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445916호 국내 특허등록 제10-1812231호 국내 특허등록 제10-08344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소 작업대의 최상단에 감지수단을 장착하여 천정이나 기타 천정부위 장애물에 접촉시 승강수단의 상승동작이 일시적으로 멈춘 후 하강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한층 더 안전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설치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고,
다음, 작업대에 작업자 탑승후 예상치 못하게 작업대가 갑자기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록킹수단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안심하고 작업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고,
다음, 작업대에 작업자가 탑승후 작업도중에 고정된 이동수단이 해지됨으로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지지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호차(100)가 장착된 이동수단(10)과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행하는 작업대(20)와 상기 이동수단(10)과 상기 작업대(20) 사이에 절첩가능하게 설치하여 작업대(2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30)인 다수의 리프트 암(300)은 양단부 및 중간 부분이 서로 회동핀(301)에 의해 회동 연결되어 있고 다수의 리프트 암(300)중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리프트 암(300)의 일단부에 구비된 회동핀(301)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타단부에 구비된 회동핀(301)에 체결핀(302)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핀(302)에 록킹 체결 및 해지가 가능하도록 걸림톱니(401)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록킹바(400)와, 상기 록킹바(400)의 타측 끝단에는 와이어(411)의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411)의 타측은 상기 작업대(20)의 일측 난간에 결합된 록킹손잡이(410)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손잡이(410)의 상하운동에 의해 상기 걸림톱니(401)가 상기 체결핀(302)에 체결 및 해지를 가능하도록 한 록킹수단(40)을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와,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작업대(2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된 고정브라켓(311)에 결합된 회전축(310); 상기 회전축(310) 일측에 구비된 회전레버(320); 상기 회전축(310) 타측에 구비된 회전기어(330); 상기 회전기어(33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측에 구비된 피동기어(341)와 연결된 체인(340); 상기 피동기어(341)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며 끝단에 이탈방지부재(351)가 구비된 상태에서 중앙에서 상기 이탈방지부재(351) 사이에 나사부(352)가 형성된 피동축(350); 상기 나사부(352)에 결합되어 상기 피동축(350)의 회동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리프트 암(300) 중 최상단에 형성된 리프트 암(30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 암(300)을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고정이동부재(360); 를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와,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작업대(2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된 고정브라켓(311)에 결합된 회전축(310); 상기 회전축(310) 일측에 구비된 회전레버(320); 상기 회전축(310) 타측에 구비된 베벨기어(370); 상기 베벨기어(370)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며 끝단에 이탈방지부재(351)가 구비된 상태에서 중앙에서 상기 이탈방지부재(351) 사이에 나사부(352)가 형성된 피동축(350); 상기 나사부(352)에 결합되어 상기 피동축(350)의 회동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리프트 암(300) 중 최상단에 형성된 리프트 암(30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 암(300)을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고정이동부재(360);를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와,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작업대(20)의 바닥면 소정의 위치에 결합된 고정브라켓(311)에 결합된 유압실린더(380); 상기 유압실린더(380)의 구동을 위하여 작업대(20) 바닥면 일측에 상기 유압실린더(380)에 유압을 공급하는 발판(390); 상기 고정브라켓(311)의 일측과 상기 유압실린더(380)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어 와이어(W)로 연결된 도르레(391); 상기 고정브라켓(311) 일측에 구비된 도르레(391)에 연결된 와이어(W)의 끝단은 상기 리프트 암(300) 중 최상단에 형성된 리프트 암(30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와,
상기 이동수단(10)에 호차(100)가 결합된 사각 프레임중 양측에 구비된 프레임(101)의 전방 양단부에 각각 'ㄷ'자 형상의 브라켓(500)과, 상기 브라켓(500) 내측으로 일끝단이 핀(511)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101)에 절첩 및 확개 가능하도록 구비된 지지바(510)와, 상기 지지바(510)의 타끝단은 상단에 회동손잡이(521)가 관통 결합되어 있고 하단에는 밀착판(522)이 구비된 안착봉(523)으로 이루어진 안착부(520)로 이루어진 지지수단(50)을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와,
상기 승강수단(30)에는 실린더(303)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304)가 상기 작업대(20)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유압펌프(304) 일측에는 실린더(303)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305)와 연결되는 연결부(600)와, 상기 연결부(600) 상측에 결합되어 유로(305)의 개폐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T'자 형상으로 상단은 가로바(611)이 구비되고 상기 가로바(611)의 중앙에서 하방향으로 세로바(612)가 구비되며 상기 세로바(612)의 끝단 가까이에는 관통공(613)이 형성되어 있는 감지부재(610)로 이루어진 감지수단(60)을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와,
상기 프레임(101)의 양측에 구비된 브라켓(500)에 각각 핀(51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지지바(510)는 상기 프레임(101)과 절첩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복수개의 지지바(510)가 중복 절첩되며 타방향으로는 둔각이상 회동이 불가능하도록 된 것을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와,
상기 지지바(510) 상면 중앙에는 체결공(512)가 천공되어 있고 상기 지지바(510)가 상기 프레임(101) 외측면에 절첩후 '∩' 자 형상의 결합핀(513)으로 체결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와,
상기 연결부(600)는,
상기 감지부재(610)가 결합되어 유로(305)의 개폐를 가능하도록 홈부(6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601) 바닥에는 스프링(60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602)의 상부에는 상기 감지부재(61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와,
상기 프레임(101)의 일측에는 장공(1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102)에는 이동핀(103)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소 작업대의 최상단에 감지수단을 장착하여 상기 감지수단이 천정이나 기타 천정부위 장애물에 접촉시 승강수단의 상승동작이 일시적으로 멈춘 후 하강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록킹수단을 구비하여 작업대에 작업자 탑승후 상승된 상태에서 예상치 못하게 작업대가 갑자기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또한, 작업대에 작업자가 탑승후 작업도중에 고정된 이동수단이 해지됨으로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지지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절첩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승강수단이 상승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지지수단이 확개된 상태의 평면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승강수단이 상승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유압의 공급에 의해 작업대와 감지수단이 상승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감지수단이 천정에 접촉시 하강함과 동시에 유압이 차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승된 작업대의 예상치 못한 하강을 방지하는 록킹수단에 의해 록킹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승강수단을 하강함과 동시에 록킹수단에 의해 록킹이 해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승강수단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승강수단에 대한 도 9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승강수단에 대한 도 10의 요부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승강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요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승강수단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전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절첩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승강수단이 상승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지지수단이 확개된 상태의 평면 사용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승강수단이 상승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유압의 공급에 의해 작업대와 감지수단이 상승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감지수단이 천정에 접촉시 하강함과 동시에 유압이 차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승된 작업대의 예상치 못한 하강을 방지하는 록킹수단에 의해 록킹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승강수단을 하강함과 동시에 록킹수단에 의해 록킹이 해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승강수단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승강수단에 대한 도 9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승강수단에 대한 도 10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승강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승강수단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전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의 기능은 물론이고 상기 작업대(20)에 손잡이 바가 구비되어 장비나 짐등을 작업대(20)이 싣고 호차(100)를 이용하여 지면에서 운반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것은 당연한 것이며,
본 발명은 크게 이동수단(10), 작업대(20), 승강수단(30)으로 나눌 수 있고 상기 구성요소는 고소작업대에서는 이미 널리 알려진 필수 불가결한 구성요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이동수단은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호차(10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작업대(20)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행하는 일명 작업 공간부로서 작업자는 물론이고 작업을 위한 장비 등을 실을 수 있을 정도의 공간과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 기타 출입구 등등은 이미 널리 알려진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이동수단(10)과 상기 작업대(20) 사이에 절첩가능하게 설치하여 작업대(20)를 승하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다수의 리프트 암(300)의 양단부 및 중간 부분이 서로 회동핀(301)에 의해 회동 연결되어 있고, 일부의 리프트 암(300)에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303)가 연결된다.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실린더(303) 내부로 일단부가 삽입되어 유압에 의해 신장 또는 단축되는 실린더 로드가 구비된 것은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실린더(303)에 의해 실린더 로드가 신장되면 리프트 암(300)도 신장되고, 실린더(303)에 의해 실린더 로드가 단축되면 리프트 암(300)도 단축된다. 즉, 리프트 암(300)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펜터그래프형 리프트 또는 시저 리프트(scissor lift)로 칭해지는 것으로서, 고소작업대가 사용되는 작업현장의 높이에 따라 리프트 암(300), 실린더(303) 및 실린더 로드의 길이 및 수가 가감될 수 있다.
또한 유압펌프(304)의 작동은 수동이든 자동이든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승강수단(30)의 일실시예로서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2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된 고정브라켓(311)에 결합된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 일측에 구비된 회전레버(320)와, 상기 회전축(310) 타측에 구비된 회전기어(330)와, 상기 회전기어(33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측에 구비된 피동기어(341)와 연결된 체인(340)과, 상기 피동기어(341)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며 끝단에 이탈방지부재(351)가 구비된 상태에서 중앙에서 상기 이탈방지부재(351) 사이에 나사부(352)가 형성된 피동축(350)과, 상기 나사부(352)에 결합되어 상기 피동축(350)의 회동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리프트 암(300) 중 최상단에 형성된 리프트 암(30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 암(300)을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고정이동부재(360)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레버(320)를 회전하면 회전축(310)과 회전기어(330)가 회동되며 이로서 체인(340)에 연결된 피동기어(341)이 회동되면서 피동축(350)이 회동되면서 상기 나사부(352)에 결합된 고정이동부재(360)가 전후로 또는 좌우로 이동되되 이때 상기 고정이동부재(360)은 상기 리프트 암(30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결국 리프트 암(300)이 승하강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용되는 것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승강수단(30)의 일실시예이며,
한편, 또 다른 실시예의 승강수단(3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2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된 고정브라켓(311)에 결합된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 일측에 구비된 회전레버(320)와, 상기 회전축(310) 타측에 구비된 베벨기어(370)와, 상기 베벨기어(370)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며 끝단에 이탈방지부재(351)가 구비된 상태에서 중앙에서 상기 이탈방지부재(351) 사이에 나사부(352)가 형성된 피동축(350)과, 상기 나사부(352)에 결합되어 상기 피동축(350)의 회동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리프트 암(300) 중 최상단에 형성된 리프트 암(30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 암(300)을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고정이동부재(360)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승강수단(30)은 회전레버(32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310)이 회동되고 이로서 베벨기어(370)의 회전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벨기어(370)와 연결 회동되는 피동축(350)이 회동되면서 상기 나사부(352)에 결합된 고정이동부재(360)가 전후로 또는 좌우로 이동되되 이때 상기 고정이동부재(360)은 상기 리프트 암(30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결국 리프트 암(300)이 승하강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의 승강수단(3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20)의 바닥면 소정의 위치에 결합된 고정브라켓(311)에 결합된 유압실린더(380)와, 상기 유압실린더(380)의 구동을 위하여 작업대(20) 바닥면 일측에 상기 유압실린더(380)에 유압을 공급하는 발판(390)과, 상기 고정브라켓(311)의 일측과 상기 유압실린더(380)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어 와이어(W)로 연결된 도르레(391)와, 상기 고정브라켓(311) 일측에 구비된 도르레(391)에 연결된 와이어(W)의 끝단은 상기 리프트 암(300) 중 최상단에 형성된 리프트 암(30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발판(390)의 가압에 의해 유압실린더(380)의 실린더 로드가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함으로서 상기 유압실린더(380)의 상단에 구비된 도르레(391)와 고정브라켓(311)에 구비된 도르레(391)간에 연결된 고정된 와이어(W)에 의해 상기 와이어(W) 일측에 고정 결합된 최상단에 형성된 리프트 암(300)이 승하강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에는 펜터그래프형 리프트가 적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방식의 리프트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수단(40)으로서 상기 록킹수단(40)은 작업대(20)에 작업자 탑승후 예상치 못하게 작업대(20)가 갑자기 하강하는 등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작업자가 안심하고 작업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승강수단(30)인 다수의 리프트 암(300)은 양단부 및 중간 부분이 서로 회동핀(301)에 의해 회동 연결되어 있고 다수의 리프트 암(300)중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리프트 암(300)의 일단부에 구비된 회동핀(301)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타단부에 구비된 회동핀(301)에 체결핀(302)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핀(302)에 록킹 체결 및 해지가 가능하도록 걸림톱니(401)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록킹바(400)와,
상기 록킹바(400)의 타측 끝단에는 와이어(411)의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411)의 타측은 상기 작업대(20)의 일측 난간에 결합된 록킹손잡이(410)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손잡이(410)의 상하운동에 의해 상기 걸림톱니(401)가 상기 체결핀(302)에 체결 및 해지를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유압펌프(304)의 작동으로 유압이 실린더(303)에 공급되면 실린더 로드가 신장되고 상기 리프트 암(300)도 신장되어 결국 상기 작업대(20)을 승강시키고 승강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상태가 원인 모를 이유 또는 오작동으로 인해 갑자기 유압이 빠지면 상기 작업대(20)가 급격히 하강하여 작업자가 추락하거나 큰 부상을 당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오작동 기타 여러 이유로 인하여 의도하지 아니한 유압이 빠질때 상기 걸림톱니(401)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302)로 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유지하므로서 설사 상기와 같은 긴급상황이 도래하더라도 리프트 암(300)이 신장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록킹수단(40)을 해지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손잡이(410)를 도면상으로는 아래측으로 눌러서 와이어(411)이 록킹바(400)를 들어올리면 상기 걸림톱니(401)이 체결핀(302)로 부터 해지되어 하강 작동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 본 발명은 상기 록킹수단(40)과 더불어 지지수단(50)이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수단(50)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이와 함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이동수단(10)에 호차(100)가 결합된 사각 프레임중 양측에 구비된 프레임(101)의 전방 양단부에 각각 'ㄷ'자 형상의 브라켓(500)과,
상기 브라켓(500) 내측으로 일끝단이 핀(511)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101)에 절첩 및 확개 가능하도록 구비된 지지바(510)와,
상기 지지바(510)의 타끝단은 상단에 회동손잡이(521)가 관통 결합되어 있고 하단에는 밀착판(522)이 구비된 안착봉(523)으로 이루어진 안착부(520)로 이루어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1)의 양측에 구비된 브라켓(500)에 각각 핀(51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지지바(510)는 상기 프레임(101)과 절첩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복수개의 지지바(510)가 중복 절첩되며 타방향으로는 둔각이상 회동이 불가능하도록 된 것이며,
또한 상기 지지바(510) 상면 중앙에는 체결공(512)가 천공되어 있고 상기 지지바(510)가 상기 프레임(101) 외측면에 절첩후 '∩' 자 형상의 결합핀(513)으로 체결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바(510)을 프레임(101) 외측면에 밀착 절첩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핀(513)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수단(50)은 작업대(20)가 상승후 작업 도중에 본 발명인 고소작업대가 호차(100)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 작업대(20)를 승강시키기 전에 결합핀(513)을 제거하고 상기 지지바(510)를 확개하되, 최대 확개범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각이상 회동이 불가능한 범위까지 확개한 후 회동손잡이(521)을 회동하여 밀착판(522)를 지면에 긴밀하고 단단하게 밀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 후에 작업대(20)를 승강수단(30)을 이용하여 승강토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1)의 일측에는 장공(1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102)에는 이동핀(103)이 구비됨으로서 지지바(510)의 절첩시 지지바(510)의 끝단에 의해 상기 장공(102)의 끝단에 위치한 이동핀(103)이 상기 지지바(510)에 의해 이동되지 못하여 승강수단(30)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지지바(510)을 확개시에만 상기 승강수단(30)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전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승강수단(30)을 이용하여 승강시 작업자의 착오 또는 기계의 오작동에 의해 작업공간의 천정부위에 본 발명인 고소작업대가 충돌하거나 또는 작업대(20)에 탑승한 작업자가 천정부위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감지수단(6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감지수단(6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도면과 함께하면,
도 1 및 도 2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특히 핵심적인 사항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즉 감지수단(60)은,
상기 승강수단(30)에는 실린더(303)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304)가 상기 작업대(20)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유압펌프(304) 일측에는 실린더(303)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305)와 연결되는 연결부(600)와,
상기 연결부(600) 상측에 결합되어 유로(305)의 개폐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T'자 형상으로 상단은 가로바(611)이 구비되고 상기 가로바(611)의 중앙에서 하방향으로 세로바(612)가 구비되며 상기 세로바(612)의 끝단 가까이에는 관통공(613)이 형성되어 있는 감지부재(61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부(600)는, 상기 감지부재(610)가 결합되어 유로(305)의 개폐를 가능하도록 홈부(6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601) 바닥에는 스프링(60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602)의 상부에는 상기 감지부재(61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감지수단(60)은 연결부(600)와 감지부재(61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승강수단(30)이 승강시 구조를 도 5와 함께 설명하면,
유압펌프(304)에 의해 유압이 유로(305)를 통해 유입되어 실린더(303)이 상기 리프트 암(300)을 상승시킬 경우에 상기 감지부재(610)에 형성된 관통공(613)과 유로(305)는 일치하도록 하여 원활하게 유압이 공급되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감지부재(610)의 가로바(611)에 외부의 압력 즉, 천정부위에 닿지 아니하기 때문에 스프링(602)은 복원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며,
반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부위에 상기 감지부재(610)의 가로바(611)가 천정부위에 닿을 경우 상기 감지부재(610)이 홈부(601) 내측으로 하강하면서 스프링(602)을 가압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관통공(613)이 하강함에 따라 유로(305)와 일치되지 아니하므로 결국 유로(305)가 차단되면서 승강수단(30)의 승강동작이 멈추게 되는 것으로서 이로서 승강시 작업자의 착오 또는 기계의 오작동에 의해 작업공간의 천정부위에 본 발명인 고소작업대가 충돌하거나 또는 작업대(20)에 탑승한 작업자가 천정부위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작용되는 본 발명은 고소 작업대의 최상단에 감지수단을 장착하여 상기 감지수단이 천정이나 기타 천정부위 장애물에 접촉시 승강수단의 상승동작이 일시적으로 멈춘 후 하강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록킹수단을 구비하여 작업대에 작업자 탑승후 상승된 상태에서 예상치 못하게 작업대가 갑자기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또한, 작업대에 작업자가 탑승후 작업도중에 고정된 이동수단이 해지됨으로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지지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이동수단 20 : 작업대
30 : 승강수단 40 : 록킹수단
50 : 지지수단 60 : 감지수단
100 : 호차 101 : 프레임
102 : 장공 103 : 이동핀
300 : 리프트 암 301 : 회동핀
302 : 체결핀 303 : 실린더
304 : 유압펌프 305 : 유로
310 : 회전축 311 : 고정브라켓
320 : 회전레버 330 : 회전기어
340 : 체인 341 : 피동기어
350 : 피동축 351 : 이탈방지부재
352 : 나사부 360 : 고정이동부재
370 : 베벨기어 380 : 유압실린더
390 : 발판 391 : 도르레
400 : 록킹바 401 : 걸림톱니
410 : 록킹손잡이 411 : 와이어
500 : 브라켓 510 : 지지바
511 : 핀 512 : 체결공
513 : 결합핀 520 : 안착부
521 : 회동손잡이 522 : 밀착판
523 : 안착봉 600 : 연결부
601 : 홈부 602 : 스프링
610 : 감지부재 611 : 가로바
612 : 세로바 613 : 관통공
W : 와이어

Claims (10)

  1.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호차(100)가 장착된 이동수단(10)과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행하는 작업대(20)와 상기 이동수단(10)과 상기 작업대(20) 사이에 절첩가능하게 설치하여 작업대(2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30)인 다수의 리프트 암(300)은 양단부 및 중간 부분이 서로 회동핀(301)에 의해 회동 연결되어 있고 다수의 리프트 암(300)중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리프트 암(300)의 일단부에 구비된 회동핀(301)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타단부에 구비된 회동핀(301)에 체결핀(302)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핀(302)에 록킹 체결 및 해지가 가능하도록 걸림톱니(401)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록킹바(400)와,
    상기 록킹바(400)의 타측 끝단에는 와이어(411)의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411)의 타측은 상기 작업대(20)의 일측 난간에 결합된 록킹손잡이(410)에 결합되어 상기 록킹손잡이(410)의 상하운동에 의해 상기 걸림톱니(401)가 상기 체결핀(302)에 체결 및 해지를 가능하도록 한 록킹수단(40)을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작업대(2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된 고정브라켓(311)에 결합된 회전축(310);
    상기 회전축(310) 일측에 구비된 회전레버(320);
    상기 회전축(310) 타측에 구비된 회전기어(330);
    상기 회전기어(33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측에 구비된 피동기어(341)와 연결된 체인(340);
    상기 피동기어(341)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며 끝단에 이탈방지부재(351)가 구비된 상태에서 중앙에서 상기 이탈방지부재(351) 사이에 나사부(352)가 형성된 피동축(350);
    상기 나사부(352)에 결합되어 상기 피동축(350)의 회동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리프트 암(300) 중 최상단에 형성된 리프트 암(30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 암(300)을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고정이동부재(360);
    를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작업대(2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된 고정브라켓(311)에 결합된 회전축(310);
    상기 회전축(310) 일측에 구비된 회전레버(320);
    상기 회전축(310) 타측에 구비된 베벨기어(370);
    상기 베벨기어(370)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며 끝단에 이탈방지부재(351)가 구비된 상태에서 중앙에서 상기 이탈방지부재(351) 사이에 나사부(352)가 형성된 피동축(350);
    상기 나사부(352)에 결합되어 상기 피동축(350)의 회동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리프트 암(300) 중 최상단에 형성된 리프트 암(30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 암(300)을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고정이동부재(360);
    를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작업대(20)의 바닥면 소정의 위치에 결합된 고정브라켓(311)에 결합된 유압실린더(380);
    상기 유압실린더(380)의 구동을 위하여 작업대(20) 바닥면 일측에 상기 유압실린더(380)에 유압을 공급하는 발판(390);
    상기 고정브라켓(311)의 일측과 상기 유압실린더(380)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어 와이어(W)로 연결된 도르레(391);
    상기 고정브라켓(311) 일측에 구비된 도르레(391)에 연결된 와이어(W)의 끝단은 상기 리프트 암(300) 중 최상단에 형성된 리프트 암(30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10)에 호차(100)가 결합된 사각 프레임중 양측에 구비된 프레임(101)의 전방 양단부에 각각 'ㄷ'자 형상의 브라켓(500)과,
    상기 브라켓(500) 내측으로 일끝단이 핀(511)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101)에 절첩 및 확개 가능하도록 구비된 지지바(510)와,
    상기 지지바(510)의 타끝단은 상단에 회동손잡이(521)가 관통 결합되어 있고 하단에는 밀착판(522)이 구비된 안착봉(523)으로 이루어진 안착부(520)로 이루어진 지지수단(50)을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30)에는 실린더(303)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304)가 상기 작업대(20)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유압펌프(304) 일측에는 실린더(303)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305)와 연결되는 연결부(600)와,
    상기 연결부(600) 상측에 결합되어 유로(305)의 개폐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T'자 형상으로 상단은 가로바(611)이 구비되고 상기 가로바(611)의 중앙에서 하방향으로 세로바(612)가 구비되며 상기 세로바(612)의 끝단 가까이에는 관통공(613)이 형성되어 있는 감지부재(610)로 이루어진 감지수단(60)을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1)의 양측에 구비된 브라켓(500)에 각각 핀(51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지지바(510)는 상기 프레임(101)과 절첩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복수개의 지지바(510)가 중복 절첩되며 타방향으로는 둔각이상 회동이 불가능하도록 된 것을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510) 상면 중앙에는 체결공(512)가 천공되어 있고 상기 지지바(510)가 상기 프레임(101) 외측면에 절첩후 '∩' 자 형상의 결합핀(513)으로 체결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600)는,
    상기 감지부재(610)가 결합되어 유로(305)의 개폐를 가능하도록 홈부(6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601) 바닥에는 스프링(60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602)의 상부에는 상기 감지부재(61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1)의 일측에는 장공(1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102)에는 이동핀(103)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KR1020200144870A 2020-08-13 2020-11-03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KR102202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1836 2020-08-13
KR1020200101836 2020-08-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449B1 true KR102202449B1 (ko) 2021-01-13

Family

ID=7414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870A KR102202449B1 (ko) 2020-08-13 2020-11-03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730B1 (ko) * 2021-06-22 2021-11-09 우재형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122U (ko) * 1993-09-22 1995-04-15 김선국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KR19990006725U (ko) * 1997-07-29 1999-02-25 송병준 커팅블레이드재치대높낮이조절장치
KR100834405B1 (ko) 2008-03-03 2008-06-04 아주렌탈 주식회사 고소작업대용 안전기구
KR200445916Y1 (ko) 2007-10-29 2009-09-10 한성웰텍 (주) 압착사고 방지기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KR101510372B1 (ko) * 2013-11-22 2015-04-09 김영문 차량 엔진 조립용 2단작업리프트
CN204958332U (zh) * 2015-05-28 2016-01-13 青岛农业大学 一种井盖开启器
CN105399022A (zh) * 2015-12-08 2016-03-16 青岛盛嘉信息科技有限公司 路面井盖开启装置
KR101743633B1 (ko) 2016-03-25 2017-06-05 김종만 고소작업대
KR101812231B1 (ko) 2017-01-13 2017-12-2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과 상승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JP2018503576A (ja) * 2014-11-06 2018-02-08 エタブリセメンツ ピエール グレハル エト シエ エスエー 建築用プレートをリフティングする装置用のリフティング機構、この機構を含むリフティング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用いたリフティング方法
KR20180052014A (ko) * 2016-11-09 2018-05-17 (주)태림기연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
CN207726650U (zh) * 2017-12-06 2018-08-14 海门市设备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可移动升降式作业平台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122U (ko) * 1993-09-22 1995-04-15 김선국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KR19990006725U (ko) * 1997-07-29 1999-02-25 송병준 커팅블레이드재치대높낮이조절장치
KR200445916Y1 (ko) 2007-10-29 2009-09-10 한성웰텍 (주) 압착사고 방지기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KR100834405B1 (ko) 2008-03-03 2008-06-04 아주렌탈 주식회사 고소작업대용 안전기구
KR101510372B1 (ko) * 2013-11-22 2015-04-09 김영문 차량 엔진 조립용 2단작업리프트
JP2018503576A (ja) * 2014-11-06 2018-02-08 エタブリセメンツ ピエール グレハル エト シエ エスエー 建築用プレートをリフティングする装置用のリフティング機構、この機構を含むリフティング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用いたリフティング方法
CN204958332U (zh) * 2015-05-28 2016-01-13 青岛农业大学 一种井盖开启器
CN105399022A (zh) * 2015-12-08 2016-03-16 青岛盛嘉信息科技有限公司 路面井盖开启装置
KR101743633B1 (ko) 2016-03-25 2017-06-05 김종만 고소작업대
KR20180052014A (ko) * 2016-11-09 2018-05-17 (주)태림기연 과수원 작업용 승강장치
KR101812231B1 (ko) 2017-01-13 2017-12-2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과 상승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CN207726650U (zh) * 2017-12-06 2018-08-14 海门市设备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可移动升降式作业平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730B1 (ko) * 2021-06-22 2021-11-09 우재형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WO2022270801A1 (ko) * 2021-06-22 2022-12-29 우재형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98652A (en) Mobile ladders and platforms
KR100399425B1 (ko) 조절 가능한 상단 에지 난간 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JP5355230B2 (ja) 昇降式足場台
KR102028043B1 (ko) 전도 방지 안전 사다리
KR200418543Y1 (ko) 고소작업 리프트
US11655121B2 (en) Elevator car
KR20140003277U (ko) 고소작업용 리프트
KR102202449B1 (ko)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US9222306B2 (en) Crane access staircase and mounting system
JPH0597357A (ja) エレベーターかご装置
KR101288370B1 (ko) 터널용 작업대차
CN209892097U (zh) 一种旋转伸缩式活动梯
JP2007182281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制御盤点検台装置
KR102506580B1 (ko) 이동용 작업대
KR102298545B1 (ko) 휠체어 리프트 장치
JP2009096626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昇降用踏み台装置
WO2018173135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205476384U (zh) 可行走的脚手架
KR200384963Y1 (ko)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
JPH08100517A (ja) 昇降式作業台
JP2002046951A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用足場装置
JP3662064B2 (ja) 手動式昇降床装置
JP5581476B2 (ja) 昇降式移動足場
KR20120000780U (ko) 접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 장비용 사다리
KR101800622B1 (ko) 다단 승강형 족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