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730B1 -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730B1
KR102324730B1 KR1020210080679A KR20210080679A KR102324730B1 KR 102324730 B1 KR102324730 B1 KR 102324730B1 KR 1020210080679 A KR1020210080679 A KR 1020210080679A KR 20210080679 A KR20210080679 A KR 20210080679A KR 102324730 B1 KR102324730 B1 KR 102324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type
bar
lifting means
fixed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재형
Original Assignee
우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재형 filed Critical 우재형
Priority to KR1020210080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730B1/ko
Priority to PCT/KR2022/008198 priority patent/WO2022270801A1/ko
Priority to US18/034,715 priority patent/US2023039921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9Stabil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고소 작업이든 저소 작업이든 관계없이 작업대에 블럭형 승강수단을 다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서 작업 위치에 따라 별도의 고소 또는 저소작업대로 교체할 필요없이 블럭형 승강수단을 제거 또는 추가 가능하게 하여 어떤 작업위치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이동의 편리성과 신속성을 향상시켜 작업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높이도록 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호차(101)가 장착된 사각 형상의 프레임(100)으로 구비된 이동수단(10)과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행하는 작업대(20)와 상기 이동수단(10)과 상기 작업대(20) 사이에 절첩가능하게 설치하여 작업대(2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30)은 상하 양측에 고정프레임(3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프레임(310) 사이에는 다수의 리프트 암(340)이 양단부 및 중간 부분이 서로 회동핀(341)에 의해 회동 연결되어 있는 블럭형 승강수단(300)이 다수개 착탈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10)은,
최하측에 구비된 블럭형 승강수단(300)에 구비된 'X'자 형 리프트 암(340) 중앙에 구비된 회동핀(341)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어 있는 고정바(110); 상기 고정바(110)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장공(121)이 천공되어 있는 승하강바(120); 상기 장공(12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핀(131)이 일측에 구비되어 있고 타측은 가로봉(14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연결바(130); 상기 프레임(100)중 마주보는 양측사이 소정의 위치에 각각 길게 고정 결합되어 있고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100) 외측으로 돌출되어 각각 지지바(150)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가로봉(140); 일단은 상기 가로봉(140)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단에 회동손잡이(151)가 관통 결합되어 있고 하단에는 밀착판(152)이 구비된 안착봉(153)으로 이루어진 안착부(154)가 구비된 지지바(150); 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와,
상기 블럭형 승강수단(300)은, 상하로 구비된 사각 형상의 고정프레임(310);상기 고정프레임(310)중 마주보는 양끝 하단에 길게 구비된 가이드레일(320); 상기 가이드레일(32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일단에 롤러(331)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암(340)의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봉(330); 중앙에 회동핀(341)이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X'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핀(341)에 의해 절첩 및 확개 가능하도록 구비된 리프트 암(340);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와,
상하로 적층된 상기 블럭형 승강수단(300)은 상하로 구비된 고정프레임(310)이 서로 결합브라켓(350)으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와,
다단으로 이루어진 상기 블럭형 승강수단(300) 하측에 구비된 고정프레임(310)에는 DC 엑츄에이터(360)가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리프트 암(340)을 회동핀(341)에 의해 회동 승하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소 작업이든 저소 작업이든 관계없이 작업대에 블럭형 승강수단을 다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서 작업 위치에 따라 별도의 고소 또는 저소작업대로 교체할 필요없이 블럭형 승강수단을 제거 또는 추가 가능하게 하여 어떤 작업위치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이동의 편리성과 신속성을 향상시켜 작업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Block type aerial work platform with easy height adjustment}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고소 작업이든 저소 작업이든 관계없이 작업대에 블럭형 승강수단을 다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서 작업 위치에 따라 별도의 고소 또는 저소작업대로 교체할 필요없이 블럭형 승강수단을 제거 또는 추가 가능하게 하여 어떤 작업위치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이동의 편리성과 신속성을 향상시켜 작업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높이도록 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대는 고소 작업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장비로서, 전기공사, 덕트, 미장 공사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고소 작업대는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장착된 이동수단과,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행하는 작업대와, 상기 이동수단과 상단부 사이에 절첩가능하게 설치하여 작업대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바퀴가 전후진가능하여 고소 작업을 위한 위치를 이동한 다음, 상기 작업대에 작업을 위한 장비 등을 실고 작업자가 탑승한 후, 상기 승강수단의 작동에 의해 작업대가 상승하여 작업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승강수단의 작동에 의해 작업대가 원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소 작업대는 최대 신장길이가 일정하게 한정되어 있어 더 높은 작업위치에는 별도의 고소 작업대로 작업을 해야 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작업위치에서는 승강수단에 의해 작업대를 적정높이로 하강시킨 후 작업 위치를 이동하여야만 하는데, 이때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승강수단의 유압을 조절하여 작업대를 하강하는 과정에서 유압의 조절이 원활치 아니하거나 기타 원인이 규명되지 아니한 이유로 인하여 예상치 못하게 승강수단의 하자로 인해 갑자기 작업대가 하강하여 작업자가 추락 또는 부상을 당하는 안전사고의 문제점있고,
더 나아가서, 반대로 승강시에도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며, 특히 작업위치가 더욱 높을 경우에는 별도의 고소작업대로 대체하여야 하는 등 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기에는 최대 신장길이가 고정된 높이의 고소작업대로서는 해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많다.
국내 특허등록 제10-1743633호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445916호 국내 특허등록 제10-1812231호 국내 특허등록 제10-08344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소 작업이든 저소 작업이든 관계없이 작업대에 블럭형 승강수단을 다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서 작업 위치에 따라 별도의 고소 또는 저소작업대로 교체할 필요없이 블럭형 승강수단을 제거 또는 추가 가능하게 하여 어떤 작업위치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이동의 편리성과 신속성을 향상시켜 작업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높이도록 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호차(101)가 장착된 사각 형상의 프레임(100)으로 구비된 이동수단(10)과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행하는 작업대(20)와 상기 이동수단(10)과 상기 작업대(20) 사이에 절첩가능하게 설치하여 작업대(2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30)은 상하 양측에 고정프레임(3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프레임(310) 사이에는 다수의 리프트 암(340)이 양단부 및 중간 부분이 서로 회동핀(341)에 의해 회동 연결되어 있는 블럭형 승강수단(300)이 다수개 착탈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10)은,
최하측에 구비된 블럭형 승강수단(300)에 구비된 'X'자 형 리프트 암(340) 중앙에 구비된 회동핀(341)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어 있는 고정바(110); 상기 고정바(110)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장공(121)이 천공되어 있는 승하강바(120); 상기 장공(12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핀(131)이 일측에 구비되어 있고 타측은 가로봉(14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연결바(130); 상기 프레임(100)중 마주보는 양측사이 소정의 위치에 각각 길게 고정 결합되어 있고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100) 외측으로 돌출되어 각각 지지바(150)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가로봉(140); 일단은 상기 가로봉(140)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단에 회동손잡이(151)가 관통 결합되어 있고 하단에는 밀착판(152)이 구비된 안착봉(153)으로 이루어진 안착부(154)가 구비된 지지바(150); 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와,
상기 블럭형 승강수단(300)은, 상하로 구비된 사각 형상의 고정프레임(310);상기 고정프레임(310)중 마주보는 양끝 하단에 길게 구비된 가이드레일(320); 상기 가이드레일(32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일단에 롤러(331)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암(340)의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봉(330); 중앙에 회동핀(341)이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X'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핀(341)에 의해 절첩 및 확개 가능하도록 구비된 리프트 암(340);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와,
삭제
상하로 적층된 상기 블럭형 승강수단(300)은 상하로 구비된 고정프레임(310)이 서로 결합브라켓(350)으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와,
다단으로 이루어진 상기 블럭형 승강수단(300) 하측에 구비된 고정프레임(310)에는 DC 엑츄에이터(360)가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리프트 암(340)을 회동핀(341)에 의해 회동 승하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소 작업이든 저소 작업이든 관계없이 작업대에 블럭형 승강수단을 다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서 작업 위치에 따라 별도의 고소 또는 저소작업대로 교체할 필요없이 블럭형 승강수단을 제거 또는 추가 가능하게 하여 어떤 작업위치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이동의 편리성과 신속성을 향상시켜 작업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절첩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승강수단이 상승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블럭형 승강수단의 일부와 결합된 상태의 이동수단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지지바가 확개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지지바가 확개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나머지 블럭형 승강수단을 제거하고 하나의 블럭형 승강수단이 장착되어 승강된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나머지 블럭형 승강수단을 제거하고 두개의 블럭형 승강수단이 장착되어 승강된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나머지 블럭형 승강수단을 제거하고 세개의 블럭형 승강수단이 장착되어 승강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절첩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승강수단이 상승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블럭형 승강수단의 일부와 결합된 상태의 이동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지지바가 확개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지지바가 확개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나머지 블럭형 승강수단을 제거하고 하나의 블럭형 승강수단이 장착되어 승강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나머지 블럭형 승강수단을 제거하고 두개의 블럭형 승강수단이 장착되어 승강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나머지 블럭형 승강수단을 제거하고 세개의 블럭형 승강수단이 장착되어 승강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의 기능은 물론이고 상기 작업대(20)에 손잡이 바가 구비되어 장비나 짐등을 작업대(20)이 싣고 호차(100)를 이용하여 지면에서 운반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것은 당연한 것이며,
본 발명은 크게 이동수단(10), 작업대(20), 승강수단(30)으로 나눌 수 있고 상기 구성요소는 고소작업대에서는 이미 널리 알려진 필수 불가결한 구성요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이동수단은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호차(100)가 장착된 사각 형상의 프레임(100)으로 구비된 것이고 상기 작업대(20)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행하는 일명 작업 공간부로서 작업자는 물론이고 작업을 위한 장비 등을 실을 수 있을 정도의 공간과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 기타 출입구 등등은 이미 널리 알려진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이동수단(10)과 상기 작업대(20) 사이에 절첩가능하게 설치하여 작업대(20)를 승하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서의 승강수단(30)은 종래와 달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암(340)이 양단부 및 중간부분이 서로 회동핀(341)에 의해 회동 연결되어 펜터그래프형 리프트 또는 시저 리프트(scissor lift) 형태인 'X'자 형태가 복수개를 하나의 셋트로 이루어진 블럭형 승강수단(300)을 형성하고 상기 블럭형 승강수단(300)을 작업자가 작업위치에 따라 자유롭게 체결 또는 제거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위치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블럭형 승강수단(300)을 착탈 가능하게 하여 작업위치에 적합하도록 최적의 높이로 셋팅하여 운반 이동함으로서 이동의 편의성 및 간편성을 도모하도록 하는 기술로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블럭형 승강수단(300)의 갯수는 작업자가 원하는 만큼 늘리거나 줄일 수도 있도록 하며 대략적인 도면이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일 실시예로 3개의 블럭형 승강수단(300)이 결합되어 확개된 도면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하, 블럭형 승강수단(300)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형 승강수단(300)은,
상하로 구비된 사각 형상의 고정프레임(310)과 상기 고정프레임(310)중 마주보는 양끝 하단에 길게 가이드레일(32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32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일단에 롤러(331)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암(340)의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봉(330)과 중앙에 회동핀(341)이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펜터그래프형 리프트 또는 시저 리프트(scissor lift) 형태인 'X'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핀(341)에 의해 절첩 및 확개 가능하도록 구비된 리프트 암(340)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블럭형 승강수단(300)의 상하로 구비된 상기 고정프레임(310)에는 결합브라켓(350)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결합브라켓(350)의 체결 및 해지에 따라 작업자가 원하는 갯수의 블럭형 승강수단(300)을 작업대(20)와 이동수단(10) 사이에 체결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블럭형 승강수단(300)에 구비된 리프트 암(340)의 절첩 및 확개는 상기 상하로 구비된 고정프레임(310) 중 어느 하나의 고정프레임(310)에 DC 엑츄에이터(360)을 구비하여 상기 리프트 암(340)을 회동핀(341)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절첩 및 확개를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참고적으로 상기 DC 엑츄에이터(36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이동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된 컨트롤 박스(B)에 구비된 전원 수단이나 또는 상기 작업대(20)에 구비된 컨트롤부(C)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하며 이와 같이 조작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프레임(310)에 전원을 공급가능한 콘센트(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함)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에는 펜터그래프형 리프트가 적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방식의 리프트도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이동수단(1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측에 구비된 블럭형 승강수단(300)에 구비된 'X'자 형 리프트 암(340) 중앙에 구비된 회동핀(341)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어 있는 고정바(110)와 상기 고정바(110)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장공(121)이 천공되어 있는 승하강바(120)와 상기 장공(12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핀(131)이 일측에 구비되어 있고 타측은 가로봉(14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연결바(130)와 상기 프레임(100)중 마주보는 양측사이 소정의 위치에 각각 길게 고정 결합되어 있고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100) 외측으로 돌출되어 각각 지지바(150)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가로봉(140)과 일단은 상기 가로봉(140)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단에 회동손잡이(151)가 관통 결합되어 있고 하단에는 밀착판(152)이 구비된 안착봉(153)으로 이루어진 안착부(154)가 구비된 지지바(150)를 포함한 구조이다.
즉, 상기 회동핀(341)에 고정바(110)의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바(110)의 타측에는 장공(121)이 천공되어 있는 승하강바(120)가 고정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장공(12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기 핀(131)이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는 가로봉(140)에 고정 결합된 연결바(13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가로봉(140)은 상기 프레임(100)중 마주보는 양측 사이 소정의 위치에 각각 길게 고정 결합되어 있고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100) 외측으로 돌출되어 각각 지지바(150)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바(150)의 일단은 상기 가로봉(140)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단에 회동손잡이(151)가 관통 결합되어 있고 하단에는 밀착판(152)이 구비된 안착봉(153)으로 이루어진 안착부(154)가 구비된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핵심은 승강수단(30)을 작업위치에 적정하도록 착탈 가능하도록 블럭형 승강수단(300)을 적층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높낮이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블럭형 승강수단(300) 및 이동수단(10)의 작동은 컨트롤 박스(B) 또는 컨트롤부(C)의 전원 공급 및 조작에 의해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적으로 DC 엑츄에이터(360)의 작동에 의해 리프트 암(340)이 절첩된 상태에서 확개되는데 DC 엑츄에이터(360)의 작동에 의해 리프트 암(340)이 확개되면 고정프레임(310)에 구비된 가이드레일(320)을 따라 슬라이딩봉(330)이 중심으로 모아지면서 이와 동시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130)의 핀(131)이 점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바(120)에 구비된 장공(121) 선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바(110)와 승하강바(120)가 상승하면서 동시에 상기 핀(131)은 장공(121) 하단에 위치하여 더 이상 상기 리프트 암(340)의 상승은 이루어지지 아니하며 이때 동시 작동으로 가로봉(140)과 고정 결합된 지지바(150)가 도 3가 같이 지면과 수직된 상태에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130)와 고정 결합된 관계로 지면에 닿는 방향으로 회동되며 이와 같이 회동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N)를 해지하여 하우징 내에 구비된 지지바(150)을 인출한 후 상기 체결구(N)을 체결 고정한 다음 회동손잡이(151)을 회동 해지하여 안착봉(153) 끝단에 구비된 밀착판(152)를 지면과 긴밀하게 밀착 접촉한 후 회동손잡이(151)을 체결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이 이동수단(10)의 지지바(150) 확개로 인해 지면에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리프트 암(340)을 확개하는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순서의 역순으로 작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작용하는 본 발명은, 고소 작업이든 저소 작업이든 관계없이 작업대에 블럭형 승강수단을 다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서 작업 위치에 따라 별도의 고소 또는 저소작업대로 교체할 필요없이 블럭형 승강수단을 제거 또는 추가 가능하게 하여 어떤 작업위치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이동의 편리성과 신속성을 향상시켜 작업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이동수단 20 : 작업대
30 : 승강수단 100 : 프레임
101 : 호차 110 : 고정바
120 : 승하강바 121 : 장공
130 : 연결바 131 : 핀
140 : 가로봉 150 : 지지바
151 : 회동손잡이 152 : 밀착판
153 : 안착봉 154 : 안착부
300 : 블럭형 승강수단 310 : 고정프레임
320 : 가이드레일 330 : 슬라이딩봉
331 : 롤러 340 : 리프트 암
341 : 회동핀 350 : 결합브라켓
360 : DC 엑츄에이터 B : 컨트롤 박스
C : 컨트롤부 N : 체결구

Claims (5)

  1.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호차(101)가 장착된 사각 형상의 프레임(100)으로 구비된 이동수단(10)과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행하는 작업대(20)와 상기 이동수단(10)과 상기 작업대(20) 사이에 절첩가능하게 설치하여 작업대(2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30)은 상하 양측에 고정프레임(3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프레임(310) 사이에는 다수의 리프트 암(340)이 양단부 및 중간 부분이 서로 회동핀(341)에 의해 회동 연결되어 있는 블럭형 승강수단(300)이 다수개 착탈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10)은,
    최하측에 구비된 블럭형 승강수단(300)에 구비된 'X'자 형 리프트 암(340) 중앙에 구비된 회동핀(341)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어 있는 고정바(110);
    상기 고정바(110)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장공(121)이 천공되어 있는 승하강바(120);
    상기 장공(12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핀(131)이 일측에 구비되어 있고 타측은 가로봉(14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연결바(130);
    상기 프레임(100)중 마주보는 양측사이 소정의 위치에 각각 길게 고정 결합되어 있고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100) 외측으로 돌출되어 각각 지지바(150)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가로봉(140);
    일단은 상기 가로봉(140)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단에 회동손잡이(151)가 관통 결합되어 있고 하단에는 밀착판(152)이 구비된 안착봉(153)으로 이루어진 안착부(154)가 구비된 지지바(150);
    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형 승강수단(300)은,
    상하로 구비된 사각 형상의 고정프레임(310);
    상기 고정프레임(310)중 마주보는 양끝 하단에 길게 구비된 가이드레일(320);
    상기 가이드레일(32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일단에 롤러(331)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암(340)의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봉(330);
    중앙에 회동핀(341)이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X'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핀(341)에 의해 절첩 및 확개 가능하도록 구비된 리프트 암(340);
    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하로 적층된 상기 블럭형 승강수단(300)은 상하로 구비된 고정프레임(310)이 서로 결합브라켓(350)으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4. 제 1 항에 있어서,
    다단으로 이루어진 상기 블럭형 승강수단(300) 하측에 구비된 고정프레임(310)에는 DC 엑츄에이터(360)가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리프트 암(340)을 회동핀(341)에 의해 회동 승하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5. 삭제
KR1020210080679A 2021-06-22 2021-06-22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KR102324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679A KR102324730B1 (ko) 2021-06-22 2021-06-22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PCT/KR2022/008198 WO2022270801A1 (ko) 2021-06-22 2022-06-10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US18/034,715 US20230399214A1 (en) 2021-06-22 2022-06-10 Block-type aerialaerial work platform with easy height adjus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679A KR102324730B1 (ko) 2021-06-22 2021-06-22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730B1 true KR102324730B1 (ko) 2021-11-09

Family

ID=7861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679A KR102324730B1 (ko) 2021-06-22 2021-06-22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99214A1 (ko)
KR (1) KR102324730B1 (ko)
WO (1) WO202227080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801A1 (ko) * 2021-06-22 2022-12-29 우재형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KR102615631B1 (ko) 2022-10-11 2023-12-19 장석훈 수평기능이 구비된 고소작업대
KR102619852B1 (ko) * 2023-06-20 2024-01-04 주식회사 더하임 사면 구조의 시저스 리프트와 그에 대한 변형 방지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8299A (ja) * 1996-06-12 1997-12-22 Toyota Auto Body Co Ltd ワークリフター固定構造
KR100834405B1 (ko) 2008-03-03 2008-06-04 아주렌탈 주식회사 고소작업대용 안전기구
KR200445916Y1 (ko) 2007-10-29 2009-09-10 한성웰텍 (주) 압착사고 방지기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KR20120057130A (ko) * 2010-11-26 2012-06-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작업물 탑재형 승강 장치
JP2015127262A (ja) * 2013-11-27 2015-07-09 正也 龍野 作業台装置及び作業台装置の積層構造
KR101743633B1 (ko) 2016-03-25 2017-06-05 김종만 고소작업대
KR101812231B1 (ko) 2017-01-13 2017-12-2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과 상승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102202449B1 (ko) * 2020-08-13 2021-01-13 우재형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730B1 (ko) * 2021-06-22 2021-11-09 우재형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8299A (ja) * 1996-06-12 1997-12-22 Toyota Auto Body Co Ltd ワークリフター固定構造
KR200445916Y1 (ko) 2007-10-29 2009-09-10 한성웰텍 (주) 압착사고 방지기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KR100834405B1 (ko) 2008-03-03 2008-06-04 아주렌탈 주식회사 고소작업대용 안전기구
KR20120057130A (ko) * 2010-11-26 2012-06-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작업물 탑재형 승강 장치
JP2015127262A (ja) * 2013-11-27 2015-07-09 正也 龍野 作業台装置及び作業台装置の積層構造
KR101743633B1 (ko) 2016-03-25 2017-06-05 김종만 고소작업대
KR101812231B1 (ko) 2017-01-13 2017-12-2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과 상승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102202449B1 (ko) * 2020-08-13 2021-01-13 우재형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801A1 (ko) * 2021-06-22 2022-12-29 우재형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KR102615631B1 (ko) 2022-10-11 2023-12-19 장석훈 수평기능이 구비된 고소작업대
KR102619852B1 (ko) * 2023-06-20 2024-01-04 주식회사 더하임 사면 구조의 시저스 리프트와 그에 대한 변형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70801A1 (ko) 2022-12-29
US20230399214A1 (en)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4730B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US4405116A (en) Adjustable pedestal trestle for theater stages or the like
CA1278564C (en) Low profile extensible support platform
US3999491A (en) Elevationally adjustable folding stage
JP2660525B2 (ja) 車体修理装置及びその方法
CN107686072B (zh) 一种升降工作台
CN210857930U (zh) 一种工程建筑施工架
KR102202449B1 (ko)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CN210539639U (zh) 一种可升降折叠桌及其应用结构
JPH0821113A (ja) 舞台用可搬式リフト
CN203767933U (zh) 一种液压升降无障碍平台
KR20080093514A (ko) 높이 가변형 작업대
KR200266423Y1 (ko) 고소(高所) 작업대
CN109043813A (zh) 高度可调节的电脑桌
CN205476384U (zh) 可行走的脚手架
CN209862698U (zh) 一种滑动升降折叠桌
CN221001892U (zh) 一种低空作业用支护脚手架
CN218699671U (zh) 一种x形台锯支架
JPH1067493A (ja) 高所作業車の作業台装置
CN206174530U (zh) 一种稳定性好的舞台用升降台
CN219100646U (zh) 一种具有防护作用的站位工作梯
CN220499075U (zh) 一种多功能工作台
CN220645101U (zh) 一种便于移动的建筑施工平台
CN212863968U (zh) 小车断路器检修平台
CN219892790U (zh) 一种电力检修工作台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