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633B1 -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633B1
KR101743633B1 KR1020160036180A KR20160036180A KR101743633B1 KR 101743633 B1 KR101743633 B1 KR 101743633B1 KR 1020160036180 A KR1020160036180 A KR 1020160036180A KR 20160036180 A KR20160036180 A KR 20160036180A KR 101743633 B1 KR101743633 B1 KR 101743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hydraulic pressure
pressure
work
drive mo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만
Original Assignee
김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만 filed Critical 김종만
Priority to KR1020160036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행 안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작업대의 하강 속도를 안전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대의 상승과 하강시 작업대의 쇼크가 감소하여 탑승한 작업자의 안정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한편, 최대로 조향 했을 때 고소작업대에 걸리는 부하로 인해 장비의 밧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도록 된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고소작업대(1000)는, 유압탱크(1410)와 유압블럭(1430)의 사이에 구성된 유로에, 최대 설정된 유압 이상을 감지하거나 또는 최저 설정된 유압 이하를 감지하여 제어부(1500)에 감지 신호를 보내도록 된 제1,2압력센서(1610,1620)를 포함하는 유압감지부(1600)가 설치되고, 제어부는, 제1,2압력센서에 의해 유압 감지신호가 수신되어 최저설정유압 이하이면 이동수단의 바퀴를 회전하는 2개의 드라이브모터(1461,1462)로 공급되는 유압이 직렬로 공급되어 주행하고, 제1,2압력센서에 의해 유압 감지신호가 수신되어 최고설정유압 이상이면 드라이브모터로 공급되는 유압이 디바이더에 의해 병렬로 자동절환되고, 드라이브모터로 공급되는 유압이 디바이더에 의해 병렬로 된 상태에서 제1,2압력센서에 의해 유압 감지신호가 수신되어 최저설정유압 이하이면 이동수단의 바퀴를 회전하는 2개의 드라이브모터로 공급되는 유압이 직렬로 자동절환 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소작업대{HIGH-PLACE WORK VEHICLE}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 안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작업대의 하강 속도를 안전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대의 상승과 하강시 작업대의 쇼크가 감소하여 탑승한 작업자의 안정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한편, 최대로 조향 했을 때 고소작업대에 걸리는 부하로 인해 장비의 밧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도록 된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대는 고소 작업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장비로서, 전기공사, 덕트, 미장 공사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고소 작업대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특허 제10-0769925호 발명의 명칭 "안전장치가 설치된 고소 작업대"가 공지되어 있는바,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장착된 이동수단과,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행하는 작업대와, 이동수단과 상단부 사이에 절첩가능하게 설치하여 작업대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이송수단에 의해 바퀴가 전후진 가능하여 고소 작업을 위한 위치를 이동한 다음, 작업대에 작업을 위한 장비 등을 실고 작업자가 탑승한 후, 승강수단의 작동에 의해 작업대가 상승하여 작업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승강수단의 작동에 의해 작업대가 원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소 작업대로 고소작업을 행하는 경우, 첫째 주행 안전성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둘째 작업자의 성향에 따른 작업대의 하강 속도를 안전하게 조절할 수 없음은 물론, 셋째 작업대의 상승과 하강시 작업대의 쇼크가 크게 발생해 탑승한 작업자의 안정감을 줄 수 없는 한편, 넷째 최대로 조향 했을 때 고소작업대에 걸리는 부하로 인해 장비의 밧데리 소모량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특허 제10-0769925호 발명의 명칭 "안전장치가 설치된 고소 작업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행 안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작업대의 하강 속도를 안전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대의 상승과 하강시 작업대의 쇼크가 감소하여 탑승한 작업자의 안정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한편, 최대로 조향 했을 때 고소작업대에 걸리는 부하로 인해 장비의 밧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도록 된 고소작업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대는,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장착된 이동수단과, 작업자가 탑승하여 제어함을 조작함으로써 고소 작업을 행하는 작업대와, 이동수단의 상단부와 작업대의 하부 사이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대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이동수단 및 승강수단을 제어하도록 유압탱크에서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프모터와 유압블록 및 저속 및 고속 밸브와 상승용 실린더를 갖춘 구동부와, 상기 이동수단과 승강수단 및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압탱크와 유압블럭의 사이에 구성된 유로에는, 최대 설정된 유압 이상을 감지하거나 또는 최저 설정된 유압 이하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감지 신호를 보내도록 제1,2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유압감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압력센서에 의해 유압 감지신호가 수신되어 최저 설정 유압이하이면 이동수단의 바퀴를 회전하는 2개의 드라이브모터로 공급되는 유압이 직렬로 공급되어 주행하고, 상기 제1,2압력센서에 의해 유압 감지신호가 수신되어 최고 설정 유압이상이면 드라이브모터로 공급되는 유압이 디바이더에 의해 병렬로 자동절환되고, 또 드라이브모터로 공급되는 유압이 디바이더에 의해 병렬로 된 상태에서 제1,2압력센서에 의해 유압 감지신호가 수신되어 최저 설정 유압이하이면 이동수단의 바퀴를 회전하는 2개의 드라이브모터로 공급되는 유압이 직렬로 자동절환 되도록 오토메틱 드라이빙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의 유압블럭에는, 상기 고소작업대의 운전 성향에 따라 상승용 실린더에서 유압탱크로 가는 유로를 조절하도록 하강속도 조절형 유압밸브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하강속도 조절형 유압밸브는, 오른쪽으로 돌리면 천천히 작업대가 내려오도록 유로를 작게하고, 왼쪽으로 돌리면 작업대가 빨리 내려오도록 유로를 크게하여 상승용 실린더에서 유압탱크로 가능 유량을 조절하여 작업대의 승강수단에 의한 하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의 상승용 실린더와 연결된 배관에는, 상기 작업대의 상승 정지 및 하강 정지시 작업대의 충격을 감소하도록 질소충진되어 댐핑하는 어규물레이터인 상승 및 하강 충격흡수수단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개의 드라이브모터중 어느 하나와 디바이더의 사이에는 부하가 걸리는 쪽으로 보내어진 유체가 부하가 걸리지 않은 쪽으로 유체가 재공급되도록 오리피스관의 형태로 이루어진 차분압력보상기가 설치되어, 고소작업대 조향시 과부하 방지 및 밧데리 소모량을 절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에 의하면, 주행 안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작업대의 하강 속도를 안전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대의 상승과 하강시 작업대의 쇼크가 감소하여 탑승한 작업자의 안정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한편, 최대로 조향 했을 때 고소작업대에 걸리는 부하로 인해 장비의 밧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소작업대가 하강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
도 6은 도 1에서 구동부를 볼 수 있도록 오픈한 상태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오토메틱 드라이빙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2압력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6의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하강속도 조절형 유압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7의 후방 사시도,
도 9도 본 발명의 상승 및 하강 충격흡수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고소작업대의 상승 사시도,
도 10은 도 9를 우측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하부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8의 하강속도 조절형 유압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가 고속주행시를 설명하기 위한 유압회로도,
도 14는 본 발명이 고소작업대가 저속주행시를 설명하기 위한 유압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1000)는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110)가 장착된 이동수단(1100)과, 작업자가 탑승하여 제어함을 조작함으로써 고소 작업을 행하는 작업대(1200)와, 이동수단의 상단부와 작업대의 하부 사이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대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1300)과, 이동수단 및 승강수단을 유압으로 제어하도록 된 구동부(1400)와, 상기 이동수단과 승강수단 및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된 제어부(15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작업대(1200)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제어함(1210)을 전후진과 좌우조향 및 작업대상승하강으로 운전조작하게 되면 제어부(1500)에 신호가 가게 되어 상기 구동부(1400)가 작동하면서 운전자가 원하는 쪽으로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1400)는, 상기 승강수단(1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유압탱크(1410)와, 이 유압탱크에서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펌핑하는 펌프모터(1420)와, 이 펌프모터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운전자가 조작하는 방향으로 이동수단(1100)과 승강수단(1300)이 작동되어 운전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도록 된 유압블록(1430)과, 상기 펌프모터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제어부(15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저속과 고속으로 절환되는 저속 및 고속 블럭(1440)과, 상기 유압블록(1430)으로부터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받는 상승용 실린더(1450)와, 상기 저속 및 고속 블럭(1440)으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제1,2드라이브모터(1461,146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펌프모터(1420)가 작동하면 유압블럭(1430)의 내부에 구비된 각각의 밸브들이 제어부(1500)의 신호를 받아 절환되면서 작업대의 주행과 조향 및 상승하강을 조정하게 되고, 상기 저속 및 고속 블럭(1440)에 의해 공급되는 유압이 직렬과 병렬로 변환되면서 고속주행과 저속주행으로 변경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블록(1430)은, 주행솔레노이드밸브(1431)와 조향솔레노이드밸브(1432) 및 상,하강솔레노이드밸브(1433,1434)와 압력조절밸브(1435)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유압블록(1430)의 각각의 솔레노이드밸브가 변환되면서 유체의 유로를 변환하면서 작업자가 원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1436은 비례제어밸브이고, 1437은 전후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된 쿠션이다.
또한 상기 저속 및 고속 블럭(144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급되는 유체를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된 디바이더(1441)와, 이 디바이더와 제2드라이브모터(1462)간에 설치된 제1 저속 및 고속 절환 밸브(1442)와, 상기 제1,2드라이브모터(1461,1462)의 사이에 설치된 제2,3 저속 및 고속 절환 밸브(1443,144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500)에서 제1 저속 및 고속 절환 밸브(1442)와 제2,3 저속 및 고속 절환 밸브(1443,1444)를 고속으로 절환하는 신호를 보내게 되면 그에 따른 절환이 이루어져 제1,2드라이브모터(1461,1462)가 직렬 연결에 따른 고속주행을 하게 되고, 또 제1 저속 및 고속 절환 밸브(1442)와 제2,3 저속 및 고속 절환 밸브(1443,1444)를 저속으로 절환하는 신호를 보내게 되면 제1,2드라이브모터(1461,1462)가 병렬로 연결되어 저속으로 주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1500)에서 저속 및 고속 블럭(1440)을 저속 및 고속으로 자동 절환하는 신호는, 상기 유압탱크(1410)와 유압블럭(1430)의 사이에 구성된 유로에, 최대 설정된 유압 이상을 감지하거나 또는 최저 설정된 유압 이하를 감지하여 제어부(1500)에 감지 신호를 보내도록 제1,2압력센서(1610,1620)를 포함하는 유압감지부(16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유압감지부(1600)의 제1,2압력센서(1610,1620)에 의해 유압 감지신호가 수신되어 최저설정유압 이하이면 이동수단의 바퀴를 회전하는 2개의 드라이브모터(1461,1462)로 공급되는 유압이 직렬로 공급되어 주행하고, 상기 제1,2압력센서(1610,1620)에 의해 유압 감지신호가 수신되어 최고설정유압 이상이면 드라이브모터(1461,1462)로 공급되는 유압이 디바이더에 의해 병렬로 자동절환되고, 또 드라이브모터로 공급되는 유압이 디바이더에 의해 병렬로 된 상태에서 제1,2압력센서에 의해 유압 감지신호가 수신되어 최저 설정 유압이하이면 이동수단의 바퀴를 회전하는 2개의 드라이브모터로 공급되는 유압이 직렬로 자동절환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2압력센서(1610,1620)의 최저 압력 100 Bar 이고 최대 압력 150 Bar 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압력센서(1610,1620)가 유압탱크(1410)에서 유압블록(1430)으로 가는 유압을 감지하여 최저 압력 100 Bar 이하로 감지되면 제어부(1500)의 신호를 받아 제1,2드라이브모터(1461,1462)는 저속 및 고속 블럭(1440)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어 고속주행을 하게 되고, 상기 제1,2압력센서(1610,1620)가 유압탱크(1410)에서 유압블록(1430)으로 가는 유압을 감지하여 최고 압력 150 Bar 이상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500)의 신호를 받아 제1,2드라이브모터(1461,1462)는 저속 및 고속 블럭(1440)에 의해 병렬로 연결되어 저속주행을 하게 되는 오토메틱 드라이빙 시스템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1400)의 유압블럭(1430)에는 도 8 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소작업대의 운전 성향에 따라 상승용 실린더(1450)에서 유압탱크(1410)로 가는 유로의 면적을 조절하도록 하강속도 조절형 유압밸브(1700)가 더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강속도 조절형 유압밸브(1700)는, 오른쪽으로 돌리면 천천히 작업대(1200)가 내려오도록 유로의 단면적을 작게하고, 왼쪽으로 돌리면 작업대가 빨리 내려오도록 유로의 단면적을 크게하여 상승용 실린더(1450)에서 유압탱크(1410)로 가능 유량을 조절하여 작업대(1200)의 승강수단(1300)에 의한 하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도 9와 도 10 및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수단(1300)의 상승용 실린더(1450)와 연결된 배관에는, 상기 작업대(1200)의 상승 정지 및 하강 정지시 작업대의 충격을 감소하도록 댐핑하는 어규물레이터인 상승 및 하강 충격흡수수단(1800)이 더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승 및 하강 충격흡수수단(1800)인 어큐물레이터는 질소 충전이나 스프링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질소충전방식으로 하여 65 ~ 70Bar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65Bar로 충진하여 충격을 완충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승용 실린더(1450)를 승강수단(1300)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트(1451)를 이용하여 상기 상승 및 하강 충격흡수수단(1800)이 고정된다.
따라서 2개의 상기 상승용 실린더(1450)와 연결된 어느 하나의 배관에 상승 및 하강 충격흡수수단(1800)이 설치되게 되면, 상기 상승용 실린더(1450)가 작동하면서 정지할 때 작업대(1200)의 충격을 감소시켜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정감을 극대화하게 된다.
또한 도 11과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2개의 드라이브모터(1461,1462)중 어느 하나와 디바이더(1441)의 사이에는 부하가 걸리는 쪽으로 보내어진 유체가 부하가 걸리지 않은 쪽으로 유체가 재공급되도록 오리피스관의 형태로 이루어진 차분압력보상기(1900)가 설치된다.
따라서 최대로 조향했을때 상기 2개의 드라이브모터(1461,1462)중에서 부하가 걸리는 쪽의 배관에서 상기 차분압력보상기(1900)의 오리피스관으로 유체가 이송되면서 반대쪽으로 유체의 공급을 늘려서 조향시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게 함은 물론 주행속도 저하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 또 장비의 밧데리 소모량을 절감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고소작업대 1100: 이동수단
1110: 바퀴 1200: 작업대
1300: 승강수단 1400: 구동부
1410: 유압탱크 1420: 펌프모터
1430: 유압블록 1440: 저속 및 고속 블럭
1441: 디바이더 1442: 제1저속 및 고속절환밸브
1443,1444: 제2,3 저속 및 고속 절환 밸브
1450: 상승용 실린더
1461,1462: 제1,2드라이브모터 1500: 제어부
1600: 유압감지부 1610,1620: 제1,2압력센서
1700: 하강속도 조절형 유압밸브
1800: 상승 및 하강 충격흡수수단 1900: 차분압력보상기

Claims (4)

  1.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장착된 이동수단과, 작업자가 탑승하여 제어함을 조작함으로써 고소 작업을 행하는 작업대와, 이동수단의 상단부와 작업대의 하부 사이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대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이동수단 및 승강수단을 제어하도록 유압탱크에서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프모터와 유압블록 및 저속 및 고속 블럭과 상승용 실린더를 갖춘 구동부와, 상기 이동수단과 승강수단 및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유압탱크(1410)와 유압블럭(1430)의 사이에 구성된 유로에는, 최대 설정된 유압 이상을 감지하거나 또는 최저 설정된 유압 이하를 감지하여 제어부(1500)에 감지 신호를 보내도록 된 제1,2압력센서(1610,1620)를 포함하는 유압감지부(1600)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유압감지부(1600)의 제1,2압력센서(1610,1620)에 의해 유압 감지신호가 수신되어 최저설정유압 이하이면 이동수단의 바퀴를 회전하는 2개의 드라이브모터(1461,1462)로 공급되는 유압이 직렬로 공급되어 주행하고, 상기 제1,2압력센서(1610,1620)에 의해 유압 감지신호가 수신되어 최고설정유압 이상이면 드라이브모터(1461,1462)로 공급되는 유압이 디바이더에 의해 병렬로 자동절환되고, 또 드라이브모터로 공급되는 유압이 디바이더에 의해 병렬로 된 상태에서 제1,2압력센서에 의해 유압 감지신호가 수신되어 최저 설정 유압이하이면 이동수단의 바퀴를 회전하는 2개의 드라이브모터로 공급되는 유압이 직렬로 자동절환 되도록 오토메틱 드라이빙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2개의 드라이브모터(1461,1462)중 어느 하나와 디바이더(1441)의 사이에는 부하가 걸리는 쪽으로 보내어진 유체가 부하가 걸리지 않은 쪽으로 유체가 재공급되도록 오리피스관의 형태로 이루어진 차분압력보상기(19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400)의 유압블럭(1430)에는, 고소작업대의 운전 성향에 따라 상승용 실린더(1450)에서 유압탱크(1410)로 가는 유로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강속도 조절형 유압밸브(170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1300)의 상승용 실린더(1450)와 연결된 배관에는, 상기 작업대의 상승 정지 및 하강 정지시 작업대의 충격을 감소하도록 댐핑하는 상승 및 하강 충격흡수수단(180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4. 삭제
KR1020160036180A 2016-03-25 2016-03-25 고소작업대 KR101743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180A KR101743633B1 (ko) 2016-03-25 2016-03-25 고소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180A KR101743633B1 (ko) 2016-03-25 2016-03-25 고소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633B1 true KR101743633B1 (ko) 2017-06-05

Family

ID=5922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180A KR101743633B1 (ko) 2016-03-25 2016-03-25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6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449B1 (ko) 2020-08-13 2021-01-13 우재형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KR102324730B1 (ko) 2021-06-22 2021-11-09 우재형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6082A (ja) * 2006-12-25 2008-07-10 Hokuetsu Kogyo Co Ltd 高所作業車における昇降機構制御方法及び昇降機構制御装置
KR101008221B1 (ko) * 2010-10-06 2011-01-17 주식회사 세웅 농업용 고소작업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6082A (ja) * 2006-12-25 2008-07-10 Hokuetsu Kogyo Co Ltd 高所作業車における昇降機構制御方法及び昇降機構制御装置
KR101008221B1 (ko) * 2010-10-06 2011-01-17 주식회사 세웅 농업용 고소작업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449B1 (ko) 2020-08-13 2021-01-13 우재형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KR102324730B1 (ko) 2021-06-22 2021-11-09 우재형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블럭형 고소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534B1 (ko) 차량의 주행제어장치
JP4700736B2 (ja) 自動車型建設装置、及び建設装置の昇降カラム
US99568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bility of milling machines
EP1666735A1 (en) Hydraulic control device of industrial machinery
US9988247B2 (en) Mobile crane
EP1828045B1 (en) Materials handling vehicle comprising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valve
US9096107B2 (en) Regulating device, railway wheel device, working machine as well as a method for driving of a rubber wheeled working machine along a railway track
KR20190124289A (ko) 건설 기계의 유압 시스템
KR101743633B1 (ko) 고소작업대
KR102514345B1 (ko) 차량용 에어 서스펜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813940A (zh) 搬运车辆
CN104149573B (zh) 一种自主升降的空气悬架调平控制系统
JPWO2020189596A1 (ja) ダンプトラックの荷台昇降装置
JP4693708B2 (ja) 可動式運転室を有する作業機
JP2019210130A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CN210502159U (zh) 一种驱动桥总成主动减振装置及工程车辆
JP4972479B2 (ja) 作業車両用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4624307B2 (ja) 作業車の走行制御装置
JP5502317B2 (ja) 軌道走行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5774405B2 (ja) 作業機械
KR0157276B1 (ko) 휠타입 중장비의 전복방지 장치
WO2022224292A1 (ja) 法面作業車
CN208816426U (zh) 一种养护型桩机升降机构的液压操作系统
JP5502316B2 (ja) 軌道走行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2001261295A (ja)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のリフトシリンダ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