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993Y1 -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 - Google Patents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993Y1
KR200204993Y1 KR2020000017248U KR20000017248U KR200204993Y1 KR 200204993 Y1 KR200204993 Y1 KR 200204993Y1 KR 2020000017248 U KR2020000017248 U KR 2020000017248U KR 20000017248 U KR20000017248 U KR 20000017248U KR 200204993 Y1 KR200204993 Y1 KR 2002049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oupled
power
wheelchair lift
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우 프론티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우 프론티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우 프론티어
Priority to KR2020000017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9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9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9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66B9/08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associated with stairways, e.g. for transporting disabled persons
    • B66B9/0853Lifting platfo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가 개시된다. 건물의 계단에 장애자나 노약자를 위하여 설치되어 이송부와 탑승판를 갖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서 탑승판을 접철이 가능하게 한 파워폴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탑승판의 저면에 부착된 폴드커버, 상기 폴드커버의 하단 일측에 장착된 모터, 상기 모터와 결합되고 종단에는 패드가 형성된 스크류축, 하단에는 상기 스크류축과 결합된 너트부를 갖고 상단에는 사각단이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스크류축이 상하이동가능하게 삽입된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의 하부 외주면과 결합되어 상면에는 소바가 연결되며 하면에는 연결바가 결합된 블럭, 상기 이송부의 상단에 형성된 잠금수단, 및 상기 탑승판의 종단에 부착되고 전단부가 쇄기형을 갖으면 전단 일측에 록킨홈이 형성된 록킹핀으로 구성된다.
이에따라,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는 록킹구조가 간단하면서 확실한 록킹이 되고 오작동의 위험성이 없으며, 또한 정전되거나 고장시 분해를 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록킹을 해제하거나 탑승판을 접철할수 있어 응급대처가 편리한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Wheel Chair Lift having Power-fold}
본 고안은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트의 고장시 록킹의 해제가 간단하고 탑승판의 접철이 용이하여 응급대처가 간편하게 한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 리프트는 지하철이나 건물의 계단에서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탑승하여 편리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이다.
종래의 휠체어 리프트(1)는 구동제어부(2), 휠체어를 탑승하여 이동하는 리프트카(3), 그리고 계단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구동제어부(2)와 연결된 케이블이 장착된 안내레일(4)로 구성된다.
구동제어부(2)에서 모터를 작동하면 케이블이 이동되고 연동하여 케이블과 결합된 리프트카(3)도 안내레일(4)을 따라 상승 및 하강을 한다.
리프트카(3)는 안내레일(4)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부(5)와 이송부(5)의 하단부에 힌지연결되어 접철가능하게 동작시키는 파워폴더(7)가 장착된 탑승판(6)으로 구성된다.
파워폴더(7)는 탑승판(6)의 저면과 결합되고 회전축(12)을 갖는 모터(11)와, 상기 모터(11)의 회전축(12)과 연결되는 스크류축(13)과, 상기 스크류축(13)의 하단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베이링부(14)와, 상기 스크류축(13)의 양측에서 스크류축(13)와 나합되며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중심축(16)을 갖는 워엄휠(15)과, 상기 워엄휠(15)의 중심축(16)과 결합되는 휠고정판(23)과, 상기 휠고정판(23)과 일체로 결합된 연결바(17)와, 상기 연결바(17)의 종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이송부(5)와 힌지결합된 힌지바(18)로 구성된다.
그리고, 모터(11)의 회전축(12)과 스크류축(13) 사이에 일측면이 사이드 커팅면(24)을 갖는 캠(19)이 연결되고 캠(19)의 하부에는 캠(19)의 외주면에 의해 눌리는 감지판(20)이 형성되고 이 감지판(20)의 저면에는 감지판(2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21)이 장착된다. 캠(19)에서 소정위치 떨어진 곳에는 근접스위치 (22)가 장착되어 감지판(20)의 거리를 감지한다.
따라서, 모터(11)가 구동에 의해 스크류축(13)이 회전하고 워엄휠(15)이 스크류축(13)를 따라 상하 이동을 하여 힌지바(18)를 당기고 밀면서 탑승판(6)이 접혔다 펼쳐졌다하며 접철된다..
그리고, 탑승판(6)이 접혔을때 모터(11)가 정지하고 캠(19)의 커팅면(24)이 감지판(20)을 조금 눌러 근접스위치(22)가 감지한 후 록킹을 한다.
그러나, 캠(19)의 다른면이 감지판(20)을 누르면 근접스위치(22)에 감지가 안되고 모터(11)는 감지할 때까지 다시 회전을 하게 되어 록킹의 감지가 번거롭게 되고, 계속 사용하다보면 판스프링력이 약화되어 오작동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정전시나 고장시 록킹을 풀어 탑승판(6)을 접철하기 위하여 분해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오작동의 위험성이 없으며 정정시나 고장시에 용이하게 탑승판을 접철할 수 있는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휠체어 리프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6 은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의 록킹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5: 이송부 6: 탑승탑
50: 파워폴드 51: 폴더커버
52: 모터 53: 스크류축
56: 가이드봉 58: 블럭
63: 록킹캠 67: 전단소바
68: 후단소바 70: 록킹핀
73: 잠금장치 77: 솔레노이드
79: 하우징캡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의 계단에 장애자나 노약자를 위하여 설치되어 이송부와 탑승판를 갖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서 탑승판을 접철이 가능하게 한 파워폴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탑승판의 저면에 부착된 폴드커버, 상기 폴드커버의 하단 일측에 장착된 모터, 상기 모터와 결합되고 종단에는 패드가 형성된 스크류축, 하단에는 상기 스크류축과 결합된 너트부를 갖고 상단에는 사각단이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스크류축이 상하이동가능하게 삽입된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의 하부 외주면과 결합되어 상면에는 소바가 연결되며 하면에는 연결바가 결합된 블럭, 상기 이송부의 상단에 형성된 잠금수단, 및 상기 탑승판의 종단에 부착되고 전단부가 쇄기형을 갖으면 전단 일측에 록킨홈이 형성된 록킹핀으로 구성된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봉은 하단부 일측에 커팅처리된 사이드 커팅부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블럭은 중앙에 수평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내부에는 전면에 돌기가 형성된 록킹캠이 장착되고 상기 록킹캠의 후면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록킹캠의 돌기가 상기 가이드봉의 사이드 커팅부를 밀어 상기 블럭이 상기 가이드봉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장금수단은 전면에 하향으로 록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록킹핀을 록킹시키는 록킹블럭을 갖으며, 상기 록킹블럭의 상면에는 스프링이 부착되고 하면에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솔레노이드가 장착된다.
또, 상기 장금수단은 하단에 수직으로 안전홀을 갖는 하우징캡이 결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도6 은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의 록킹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50)는 탑승판(6)의 저면에 폴드커버(51)에 장착된다. 폴더커버(51)의 하단 일측에 모터(52)가 장착되고 모터(52)에는 종단에 패드(55)가 부착된 스크류축(53)이 결합된다.
스크류축(53)의 하단에는 너트부(5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너트부(54)의 상부에는 스크류축(53)이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가이드봉(56)이 연결된다. 가이드봉(56)의 하단 일측에는 사이드 커팅부(57)가 형성되면서 블럭(58)이 결합되고, 상단에는 사각단(59)이 결합되어 폴드커버(51)에 형성된 가이드바(60)를 따라 회전되지 않고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블럭(58)은 사각형상이며 상면의 일측부에 수직으로 삽입홀(61)이 형성되어 가이드봉(56)이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블럭(58)의 중앙부에는 수평으로 홈(62)이 형성되고 그 홈(62)에 전면에 수평의 돌기(64)가 형성된 록킹캠(63)이 내장되고 록킹캠(63)의 후면에는 탄성부재인 접시형 판스프링(65)이 장착된다. 따라서, 판스프링(65)의 복원력으로 록킹캠(63)을 홈(62)의 외부로 밀어주며, 록킹캠(63)의 돌기(64)는 가이드봉(56)의 사이드 커팅부(57)를 밀어 블럭(58)이 가이드봉(56)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블럭(58)의 하면에는 연결바(66)가 결합되고 상면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개스 소바(67, 68)가 2단으로 전단 소바(67)와 후단소바(68)로 장착되고, 연결바(66)의 하단에는 힌지바(69)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단소바(67)는 후단소바(68)보다 신축되는 압력이 낮아 블럭(58)의 상승시 전단소바(67)가 먼저 수축된후 후단소바(68)가 수축된다.
도4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판(6)의 종단에는 록킹핀(70)이 장착된다. 이 록킹핀(70)은 원통형이면서 전단부(71)가 쇄기형으로 형성되어 잠금장치(73)에 삽입이 용이하고, 전단부의 외주면 상부에는 록킹홈(72)을 갖는다.
이송부(5)의 상단에는 록킹핀(70)을 삽입하여 록킹할 수 있는 잠금장치(73)가 장착된다. 이 잠금장치(73)는 록킹홈(72)에 삽입되는 록돌기(74)를 갖으면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록킹블록(75)이 형성되고, 록킹블럭(75)의 상부에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6)이 장착되고 하부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로드(80)를 갖는 솔레노이드(77)가 장착된다.
또한, 잠금장치(73)의 하단에는 중앙에 안전홀(78)이 형성된 하우징캡(79)이 결합된다.
따라서, 잠금장치(73)에 록킹핀(70)이 삽입되면 록킹블럭(75)이 상향으로 상승하다 하강하여 록킹홈(72)에 록돌기(74)가 삽입되어 록킹한다. 그리고, 전기적으로 솔레노이드(77)를 하강시켜 록킹을 해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도6 은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의 록킹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는 모터(52)가 구동되면 스크류축(53)이 회전하게 되고, 너트부(54)가 스크류축(53)을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따라서, 너트부(54)에 결합된 가이드봉(56)이 가이드바(6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블럭(58)도 상하로 이동시킨다.
블럭(58)의 상승시에 1차로 전단소바(67)의 로드(67a)가 수축된 후 2차로 후단소바(68)의 로드(68a)가 수축된다. 그리고, 블럭(58)은 힌지바(69)를 당겨 힌지바(69)가 수평으로 펴지면서 탑승판(6)이 부드럽고 진동없이 펼쳐지게 된다.
모터(52)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이드봉(56)이 하강하면 블럭(58)도 하강하게 되면서 소바(67,68)가 동일한 순서로 연장된다. 그리고, 블럭(58)은 힌지바(69)를 밀게되어 힌지바(69)가 굽어지면서 탑승판(6)이 부드럽고 진동없이 접혀지게 된다.
그리고, 탑승판(6)이 접혀지면서 록킹핀(70)이 이송부(5) 상단에 있는 잠금장치(73)에 삽입되어 확실한 록킹이 된다.
탑승판(6)이 작동하다 정전되거나 고장이 발생하여 정지하면 탑승판(6)을 분해하지않은 상태에서 가이드봉(56)의 사이드 커팅부(57)을 누르는 록킹캠(63)의 압착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힘을 가하면 록킹캠(63)이 커팅부(57)를 이탈하여 자유롭게 가이드봉(56) 면을 이동하여 탑승판(6)의 접철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록킹상태에서 정전되거나 고장이 발생하면 잠금장치(73) 하단에 결합된 하우징캡(79)의 안전홀(78)에 핀을 삽입하여 솔레노이드(77)를 상향으로 밀면 솔레노이드(77)가 상승하면서 록킹블럭(75)도 상승시켜 록킹핀(70)의 록킹을 해제한다.
이에따라, 잠금장치(73)를 분해하지 않으면서 용이하고 안전하게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는 록킹구조가 간단하면서 확실한 록킹이 되고 오작동의 위험성이 없다.
그리고, 정전되거나 고장시 분해를 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록킹을 해제하거나 탑승판을 접철할수 있어 응급대처가 편리한 잇점이 있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5)

  1. 건물의 계단에 장애자나 노약자를 위하여 설치되어 이송부(5)와 탑승판를 갖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서 탑승판을 접철이 가능하게 한 파워폴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탑승판의 저면에 부착된 폴드커버;
    상기 폴드커버의 하단 일측에 장착된 모터;
    상기 모터와 결합되고 종단에는 패드가 형성된 스크류축;
    하단에는 상기 스크류축과 결합된 너트부를 갖고 상단에는 사각단이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스크류축이 상하이동가능하게 삽입된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의 하부 외주면과 결합되어 상면에는 소바가 연결되며 하면에는 연결바가 결합된 블럭;
    상기 이송부의 상단에 형성된 잠금수단; 및
    상기 탑승판의 종단에 부착되고 전단부가 쇄기형을 갖으면 전단 일측에 록킨홈이 형성된 록킹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은 하단부 일측에 커팅처리된 사이드 커팅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 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중앙에 수평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내부에는 전면에 돌기가 형성된 록킹캠이 장착되고 상기 록킹캠의 후면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상기 록킹캠의 돌기가 상기 가이드봉의 사이드 커팅부를 밀어 상기 블럭이 상기 가이드봉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 구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금수단은 전면에 하향으로 록돌기가 형성되면서 상기 록킹핀을 록킹시키는 록킹블럭을 갖으며, 상기 록킹블럭의 상면에는 스프링이 부착되고 하면에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솔레노이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 구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장금수단은 하단에 수직으로 안전홀을 갖는 하우징캡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 구조.
KR2020000017248U 2000-06-17 2000-06-17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 KR2002049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248U KR200204993Y1 (ko) 2000-06-17 2000-06-17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248U KR200204993Y1 (ko) 2000-06-17 2000-06-17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993Y1 true KR200204993Y1 (ko) 2000-12-01

Family

ID=1966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248U KR200204993Y1 (ko) 2000-06-17 2000-06-17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9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267A (ko) * 2019-06-12 2020-12-22 백석이앤아이 주식회사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267A (ko) * 2019-06-12 2020-12-22 백석이앤아이 주식회사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
KR102277051B1 (ko) * 2019-06-12 2021-07-13 백석이앤아이 주식회사 폴딩타입 휠체어용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7917B2 (en) Slidably collapsible two arm wheelchair lift
US6598253B1 (en) Extendable ramp assembly for detecting an obstruction and responding thereto
EP1914190A1 (en) Foldable apron for car of a lift system
US20120261216A1 (en) Stairlift with folding track
KR200204993Y1 (ko) 휠체어 리프트의 파워폴드구조
KR102044445B1 (ko)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CA3092430A1 (en) Retractable ramp assembly for allowing people to enter vehicles
CN114583572A (zh) 一种具有防儿童误触方便打开的双重锁合配电柜
CN101021115B (zh) 滑动门手动解锁机构
KR200230964Y1 (ko) 리프트시스템의리프트카탑승베이스구동장치
US20050077111A1 (en) Threshold switch apparatus for a mobility access device
GB2296908A (en) Stairlift
KR200392221Y1 (ko) 리프트용 안전장치
CN219525962U (zh) 一种用于楼梯升降椅的自动折叠脚踏板
KR200381352Y1 (ko) 안전회전문
JPH03264005A (ja) ベッドの非常停止機構
KR200378545Y1 (ko) 비상시 수동조작이 가능한 전동식 안전보호대를 갖는휠체어 리프트
CN113772515A (zh) 直线型折叠轨道
CN109368450B (zh) 一种可伸缩折叠的轿顶护栏
KR20240006958A (ko)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CN210682928U (zh) 扶梯楼层板打开扶梯停止运行的保护系统
CN213115876U (zh) 一种中置柜的联动门锁
CN219807639U (zh) 一种电梯轿厢门防夹手装置及电梯
CN212174189U (zh) 电梯轿厢的防夹边框
KR200310947Y1 (ko) 승강식 도어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