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713Y1 -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713Y1
KR200359713Y1 KR20-2004-0014205U KR20040014205U KR200359713Y1 KR 200359713 Y1 KR200359713 Y1 KR 200359713Y1 KR 20040014205 U KR20040014205 U KR 20040014205U KR 200359713 Y1 KR200359713 Y1 KR 200359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auxiliary
roller
safet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이한원
유영덕
조남용
신경선
Original Assignee
이상수
이한원
유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수, 이한원, 유영덕 filed Critical 이상수
Priority to KR20-2004-0014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7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7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8/00Plastics; Synthetic resins, e.g.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차와 승강장 사이에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탑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장의 측단부 바닥에 구동수단 및 보조발판을 구비하도록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롤러로 이루어진 구동수단과 상, 하부판 사이에 롤러와 마찰에 의하여 출입하는 보조발판을 구비하며, 상기 홈의 하부와 승강장의 천장에 열차의 진입 및 출입문의 개폐여부를 확인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열차가 진입하였을 때 구동수단에 의하여 보조발판을 인출시키고 열차의 출입문이 닫혀지면 보조발판을 삽입시키도록 하며, 구동수단의 하부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사람이 보조발판을 밟을 때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 고장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보조발판이 롤러와 마찰에 의하여 출입을 하도록 함으로써 구동모터가 작동하지 않을 때 손으로 보조발판을 삽입시키도록 함으로서, 고장 시에도 열차가 출발할 수 있도록 하며,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도 용이하게 승, 하차할 수 있는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a safety footing}
본 고안은 열차와 승강장 사이에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탑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강장의 상단에 구동수단에 의하여 전, 후로 구동하는 안전발판을 구비함으로 열차가 승강장에 정지하여 출입문이 열릴 때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승, 하차시 발이 틈새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여 정지한 후 열차의 출입문이 열려 승객을 승, 하차시켜 출입문을 닫고 재출발하는바, 상기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였을 때 열차의 측면과 승강장의 측면과는 100mm 이상의 틈새가 벌어지게 승강장을 설계하여 열차의 출발이나 진입 시 열차가 승강장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틈새에 의하여 승, 하차하는 승객이 조심하지 않으면 승객의 발이 상기 틈새에 빠지게 됨으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특히 유동인구가 많은 역의 경우나 출, 퇴근 시에는 발 밑을 살피면서 승, 하차하기가 대단히 어려워 틈새에 발이 빠지는 사고 빈번히 발생하였으며,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발이 작아 틈새에 삽입됨으로 어른보다 부상이 큰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실정이고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경우에는 상기의 틈새에 의해서 승, 하차하기가 대단히 번거롭고 주변의 도움을 받아야 하며, 목발을 사용할 경우에도 목발이 틈새에 빠지게 되면 사용자가 큰 부상을 당함은 물론 목발을 다시 꺼내기가 대단히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곡선의 승강장에서는 열차와 승강장의 사이가 더욱 벌어지게 됨으로 열차와 승강장의 사이 틈새에 발이 빠지는 안전사고가 직선의 승강장보다 더욱 빈번하게 일어나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종래에는 승강장의 상단에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하여 출입하는 보조 승강장을 구비하여 열차와 승강장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상기 안전장치는 구동수단인 모터와 기어의 맞물림에 의하여 보조 발판을 출입시킴으로 승객이 보조 발판을 밟았을 때 하중이 모터와 기어의 맞물린 부위에 집중되어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고, 보조 발판이 나온 상태에서 구동수단의 동작이 멈춰지면 구동수단을 고치지 않는 한 보조발판을 원상태로 삽입시킬 수 없어 열차가 출발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장치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승강장의 측단부 바닥에 구동수단 및 보조발판을 구비하도록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롤러로 이루어진 구동수단과 상, 하부판 사이에 롤러와 마찰에 의하여 출입하는 보조발판을 구비하며, 상기 홈의 하부와 승강장의 천장에 열차의 진입 및 출입문의 개폐여부를 확인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열차가 진입하였을 때 구동수단에 의하여 보조발판을 인출시키고 열차의 출입문이 닫혀지면 보조발판을 삽입시키도록 하며, 구동수단의 하부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사람이 보조발판을 밟을 때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 고장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보조발판이 롤러와 마찰에 의하여 출입을 하도록 함으로써 구동모터가 작동하지 않을 때 손으로 보조발판을 삽입시키도록 함으로 고장 시에도 열차가 출발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동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승강장 바닥 (2) 구동수단 (3) 안전발판부 (4) 감지부
(20) 구동모터 (21) 감속기 (22) 롤러 (23) 브라켓
(25) 스프링 (30) 상부판 (31) 하부판 (32) 보조발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측면 상단에 소정의 크기로 발판실(10)과 발판실(10)의 중앙에 기계실(11)을형성한 승강장 바닥(1)과; 상기 기계실(11)에 삽입하고 구동모터(20)에 의하여 회전하는 롤러(22)가 브라켓(23)에 결합하고 상기 브라켓(23)에 스프링(25)의 탄성을 받도록 구성한 구동수단(2)과; 상기 발판실(10)에 안치하고 상, 하부판(30)(31)의 사이에 롤러(22)와 마찰에 의하여 출입하는 보조발판(32)을 가지는 안전 발판부(3)와; 차량(100)이 승강장에 진입한 것을 감지하는 센서(40)를 승강장 바닥(1)의 하부에 구비하고 승강장의 천장(12)에는 차량(100)의 출입문(101)이 닫힌 것을 감지하는 센서(41)를 구비하여 구동수단(2)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부(4)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승강장 바닥(1)의 발판실(10) 및 기계실(11)의 위치는 차량(100)이 정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 출입문(101)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며, 그 폭은 차량(100)이 정지하는 간격이 전, 후 30cm의 간격을 가짐으로 이를 감안하여 출입문(101)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수단(2)은 스프링(25)을 고정하는 고정돌기(27)를 형성한 받침대(27)를 기계실(11)의 바닥에 고정하고 그 상부에 구동모터(20)와 감속기(21) 및 롤러(22)를 고정한 브라켓(23)을 구비하여 상기 브라켓(23)이 스프링(25)의 탄성을 받도록 하며, 브라켓(23)의 일측으로는 안전발판부(3)의 하부판(31) 저면에 고정하는 고정판(28)과 힌지(26)로 연결한다.
상기 구동모터(20)와 감속기(21) 및 롤러(2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20)의 회전력을 감속기(21)가 적정한 회전력으로 감속시키며 이러한 회전력을 롤러(22)가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롤러(22)의 표면에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구성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킨다.
상기 안전발판부(3)는 승강장 바닥(1)의 발판실(2)에 안치하는 상, 하부판(30)(31)의 사이에 차량(100)과 승강장 바닥(1) 사이의 틈새(102)를 가로막는 발판(32)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판(31)의 표면에는 발판(32)의 출입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보조롤러(33)를 복수의 수로 정렬시키고 구동수단(2)이 위치하는 곳에 개방홈(37)을 형성하여 롤러(22)와 보조발판(32)이 접하도록 한다.
상기 보조발판(32)의 상부에는 돌기(35)를 형성하고 전면에는 차량(100)과 닿을 때 차량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쿠션판(36)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판(30)의 저부에는 보조발판(32)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35)와 동일한 위치 및 크기로 홈(34)을 형성하여 보조발판(32)이 롤러(22)와 마찰에 의하여 출입을 할 때 안내역할을 하고 저면 중앙에 보조롤러(33)를 구비하여 상부판(30)에 사람이 서있을 때 하중에 의하여 보조발판(32)의 작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감지부(4)는 차량(100)이 승강장에 진입하여 정 위치에 정차한 것을 감지하는 센서(40)를 승강장 바닥(1)의 하부에 구비하고 정차한 차량(100)의 출입문(101)이 열리고 닫힌 것을 감지하는 센서(41)를 승강장의 천장(12)에 구비하여 차량(100)이 정 위치에 정지하는 것을 센서(40)가 감지하여 구동모터(20)를 구동시켜 보조발판(32)을 틈새(102)로 진입시키고 차량(100)의 출입문(101)이 닫히면 천장(12)에 구비된 센서(41)가 감지하여 구동모터(20)를 역회전시켜 보조발판(32)을 삽입시켜 차량(100)의 운행에 방해하지 않도록 구동수단(2)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100)이 승강장에 진입하여 정 위치에 정지를 하면 승강장 바닥(1)의 하부에 구비된 센서(40)가 차량(100)의 정지상태를 감지하여 구동수단(2)의 구동모터(20)에 전원을 인가시킴으로 구동모터(20)를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모터(20)의 회전력은 감속기(21)를 통해서 회전수가 감속되어 롤러(22)에 전달함으로 롤러(22)가 회전을 하고 롤러(22)의 표면이 고무재질로 구비되어 있어 보조발판(32)의 저면과 마찰을 일으킴으로 보조발판(32)을 차량(100)과 승강장 바닥(1) 사이의 틈새(102)로 진입을 시킨다.
이때, 상기 보조발판(32)은 하부판(31)의 상부와 상부판(30)의 저면에 구비된 보조롤러(33)에 의하여 롤러(22)와 마찰에 의한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발판(32)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35)와 상부판(30)의 저면에 형성된 홈(34)이 안내역할을 하게 되며, 보조발판(32)의 전면에 구비된 쿠션판(36)에 의해서 보조발판(32)이 차량(100)과 닿을 때 차량(100)에 출격 및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조발판(32)이 차량(100)과 승강장 바닥(1) 사이의 틈새(102)에 진입하면 출입문(101)이 열리게 되고 사람이 차량(100)에 승, 하차하고, 사람이 보조발판(32)을 밟을 때 하중이 발생하고 이러한 하중은 보조발판(32) 및 구동수단(2)에 전달하여 구동수단(2)의 고장의 원인이 되는바, 이러한 하중이 발행하였을 때 브라켓(23)의 하부에 구비된 스프링(25)에 의하여 하중을 감소시킨다.
이때, 브라켓(23)은 하부판(31)의 저면에 고정된 고정판(28)과 힌지(26)로연결되고 구동모터(20)와 감속기(21) 및 롤러(22)는 브라켓(23)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힌지(26)를 중심으로 하중이 발생하였을 때 스프링(25)를 압박하고 하중이 해소되면 스프링(25)의 탄성력으로 원상 복귀됨으로 구동수단(2)의 고장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탑승이 완료되면 출입문(101)이 닫혀지고 이를 천장(12)에 구비된 센서(41)가 감지하여 구동모터(20)를 역회전시키면 보조발판(32)이 원위치 하여 차량(100)이 출발할 때 보조발판(32)이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구동모터(20)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차량(100)의 출발에 방해를 주는 바, 이때에는 사람이 보조발판(32)을 손으로 당기면 보조발판(32)이 롤러(22)에서 미끄러지면서 삽입되어 차량(100)의 출발이 이루어 질 수 있고 이후 구동수단(2)을 수리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은 사람이 보조발판을 밟았을 때 구동수단의 하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하여 하중을 감소시킴으로 구동수단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고 보조발판과 구동모터 사이에 롤러를 구비하여 롤러와 보조발판의 마찰력으로 보조발판을 출입시킴으로 구동수단이 고장났을 때 보조발판을 손을 잡아당겨 넣을 수 있어 신속한 차량의 출발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8)

  1. 측면 상단에 소정의 크기로 발판실(10)과 발판실(10)의 중앙에 기계실(11)을 형성한 승강장 바닥(1)과; 상기 기계실(11)에 삽입하고 구동모터(20)에 의하여 회전하는 롤러(22)가 브라켓(23)에 결합하고 상기 브라켓(23)에 스프링(25)의 탄성을 받도록 구성한 구동수단(2)과; 상기 발판실(10)에 안치하고 상, 하부판(30)(31)의 사이에 롤러(22)와 마찰에 의하여 출입하는 보조발판(32)을 가지는 안전 발판부(3)와; 차량(100)이 승강장에 진입한 것을 감지하는 센서(40)를 승강장 바닥(1)의 하부에 구비하고 승강장의 천장(12)에는 차량(100)의 출입문(101)이 닫힌 것을 감지하는 센서(41)를 구비하여 구동수단(2)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부(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2)은 스프링(25)을 고정하는 고정돌기(27)를 형성한 받침대(27)를 기계실(11)의 바닥에 고정하고 그 상부에 구동모터(20)와 감속기(21) 및 롤러(22)를 고정한 브라켓(23)을 구비하여 상기 브라켓(23)이 스프링(25)의 탄성을 받도록 하며, 브라켓(23)의 일측으로는 안전발판부(3)의 하부판(31) 저면에 고정하는 고정판(28)과 힌지(26)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22)의 표면에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부(3)는 승강장 바닥(1)의 발판실(2)에 안치하는 상, 하부판(30)(31)의 사이에 차량(100)과 승강장 바닥(1) 사이의 틈새(102)를 가로막는 발판(3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31)의 표면에는 발판(32)의 출입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보조롤러(33)를 복수의 수로 정렬시키고 구동수단(2)이 위치하는 곳에 개방홈(37)을 형성하여 롤러(22)와 보조발판(32)이 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발판(32)의 상부에는 돌기(35)를 형성하고 전면에는 차량(100)과 닿을 때 차량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쿠션판(3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30)의 저부에는 보조발판(32)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35)와 동일한 위치 및 크기로 홈(34)을 형성하여 보조발판(32)이 롤러(22)와 마찰에 의하여 출입을 할 때 안내역할을 하고 저면 중앙에 보조롤러(33)를 구비하여 상부판(30)에 사람이 서있을 때 하중에 의하여 보조발판(32)의 작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4)는 차량(100)이 승강장에 진입하여 정 위치에 정차한 것을 감지하는 센서(40)를 승강장 바닥(1)의 하부에 구비하고 정차한 차량(100)의 출입문(101)이 열리고 닫힌 것을 감지하는 센서(41)를 승강장의 천장(12)에 구비하여 구동수단(2)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KR20-2004-0014205U 2004-05-21 2004-05-21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KR200359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205U KR200359713Y1 (ko) 2004-05-21 2004-05-21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205U KR200359713Y1 (ko) 2004-05-21 2004-05-21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849A Division KR20050110890A (ko) 2004-05-20 2004-05-20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713Y1 true KR200359713Y1 (ko) 2004-08-21

Family

ID=4943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205U KR200359713Y1 (ko) 2004-05-21 2004-05-21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7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328Y1 (ko) 2023-05-19 2023-10-10 장정환 철도차량용 안전발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328Y1 (ko) 2023-05-19 2023-10-10 장정환 철도차량용 안전발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674B1 (ko)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KR101626260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KR102000692B1 (ko) 비상시 안전발판의 강제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승강장의 전동차 안전발판장치
KR101940649B1 (ko) 구조가 간단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JP5257867B2 (ja) 乗客コンベア
KR102044445B1 (ko)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KR20050110890A (ko)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KR200359713Y1 (ko)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KR102188000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JP2007331616A (ja) 列車用乗降補助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装着した列車
KR20070113531A (ko)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
KR101701391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KR100960125B1 (ko) 보급형 승강구 발판
JP2000043718A (ja) 鉄道車両
KR200296764Y1 (ko) 휠체어 리프트용 안전보호장치
KR100653213B1 (ko) 공동주택용 가변형 계단 구조
KR200472193Y1 (ko) 휠체어리프트용 안전보호대 비상개방장치
JP4835211B2 (ja) 乗客コンベア
KR200378545Y1 (ko) 비상시 수동조작이 가능한 전동식 안전보호대를 갖는휠체어 리프트
KR200292093Y1 (ko) 전동차용 장애자 승하차 발판 및 안전발판대
CN111039121A (zh) 一种电梯的智能防扒装置及方法
KR100454007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KR102226660B1 (ko) 스크류에 의한 폴딩 구동 방식 및 탄성에 의한 자동복귀형 지하철, 광역철도용 승강장 안전발판
KR102132286B1 (ko)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KR102461967B1 (ko) 노약자를 위한 계단 리프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