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531A -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531A
KR20070113531A KR1020060046856A KR20060046856A KR20070113531A KR 20070113531 A KR20070113531 A KR 20070113531A KR 1020060046856 A KR1020060046856 A KR 1020060046856A KR 20060046856 A KR20060046856 A KR 20060046856A KR 20070113531 A KR20070113531 A KR 20070113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safety
platform
heigh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열
Original Assignee
이성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열 filed Critical 이성열
Priority to KR1020060046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3531A/ko
Publication of KR20070113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5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electrically-controlled means, e.g. solenoids, torque-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는, 전동차 쪽의 승강장에 삽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전동차 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안전발판과; 상기 안전발판을 전동차 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전동차의 존재 유무 또는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하우징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SAFETY FOOT BOARD APPARATUS FOR TRAIN PLATFORM}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차 승강장의 구성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의 안전발판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높이가 낮게 설정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높이가 높게 설정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전동차 220: 발판
230: 수직 플래폼 240: 안전발판 장치
241: 하우징 242: 안전발판
243: 구동부 244: 커버
245: 롤러 247: 높이조절판
248: 높이조절기
본 발명은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이나 전철과 같은 전동차는 많은 인구가 사용하고 있는 일반 대중 교통 수단이다. 그런데 지하철이나 전철과 같은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각 전동차역사의 승강장마다 다르고 어느 승강장의 경우에는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넓어 전동차를 타고 내리는 승객에게 위험하게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전동차의 안전 운전을 위해서는 승강장과 전동차의 간격이 일정 거리 이상 유지되어야 한다.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차의 승강장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차 승강장의 구성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차 승강장은 전동차(110)의 자동개폐문을 향하여 ㄱ자 형태로 형성된 수직 플래폼(130)과; 상기 전동차(110) 방향으로의 상기 수직 플래폼(130)의 끝부분에 전동차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이어서 설치되는 복수의 발판(1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직 플래폼(130)은 콘크리트 같은 견고한 구조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발판(120)은 상기 수직 플래폼(130)의 끝부분에 전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연이어서 설치됨으로써, 상기 전동차에 타는 사람, 상기 전동차로부터 내리는 사람또는 상기 전동차를 기다리는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발판(120)은 상기 발판(120)의 모양에 대응하여 수직 플래폼(130)에 미리 형성된 홈에 놓여짐으로써, 상기 수직 플래폼(130)에 쉽게 설치되고 또한 교체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동차의 승강장은, 전동차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전동차역사마다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일정치 않음으로써, 승객들이 전동차에 타고 내릴 때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에 발을 헛 딛거나 소지품을 떨어뜨려 안전사고가 발생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동차의 승강장은 전동차역사마다 전동차역사의 특성 및 시공상의 오차로 전동차와 승강장의 높이가 일치하지 못함으로써, 승객들이 짐을 갖고 전동차를 타거나 내릴 때 특히, 장애인들이 휠체어로 전동차를 타거나 내릴 때 통행의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전동차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여, 전동차가 존재할 때 전동차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를 이어줄 수 있는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승강장에 설치된 복수의 발판 중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발판 대신에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기타, 본 기타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은 이하의 발명의 구성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는, 전동차 쪽의 승강장에 삽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전동차 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안전발판과; 상기 안전발판을 전동차 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전동차의 존재 유무 또는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하우징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는 안전발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유압실린더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밑면과; 상기 밑면의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형성된 ㄷ 자형의 제1, 제2, 제3의 고정홈과; 서로 마주보는 제1, 제2 고정홈의 바깥 표면에 상기 안전발판이 상기 전동차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1, 제2 가이드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는 안전발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유압실린더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는 전동차와 승강장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는, 상기 밑면과 대응되는 상면과; 상기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ㄷ 자형의 제1, 제2, 제3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제1, 제2, 제3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높이조절판과; 상기 제1, 제2, 제3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기는 상기 수직 ㄷ 자형의 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는, 전동차와 안전발판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동차와 마주보는 상기 안전발판의 표면에 상기 전동차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는, 전동차가 전동차역사에 접근하면, 상기 센서가 전동차의 도착을 파악하여, 상기 안전발판이 전동차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를 이어준다. 따라서, 승객들 특히, 장애인들이 안전하게 전동차를 내리거나 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커버, 안전발판, 구동부, 제어부 그리고 높이조절부가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기존의 승강장을 구성하는 발판의 일부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전동차가 막 전동차역사에 도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의 안전발판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전동차의 자동 개폐문이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승강장은, 전동차(210)의 자동개폐문을 향하여 ㄱ자 형태로 형성된 수직 플래폼(230)과; 상기 전동차의 자동개폐문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수직 플래폼(230)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안전발판 장치(240)와; 상기 설치된 안전발판 장치(240)의 좌우로 상기 전동차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되는 복수의 발판(2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240)의 구성을 첨부된 도 4~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는, 전동차 쪽의 승강장에 삽입되는 하우징(241)과; 상기 하우징(241)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전동차 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안전발판(242)과; 상기 안전발판을 전동차 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구동부(243)와; 상기 전동차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구동부(243)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하우징(241)의 밑면을 제외한 삼면을 덮는 커버(244)와; 전동차와 마주보는 상기 안전발판(242)의 표면에 회전가능한 롤러(245)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는 상기 커버(244)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41), 상기 커버(244)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나사 등의 연결구에 의해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41), 상기 커버(244) 그리고 높이조절부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조립될 수 있으나, 일 실시예로, 상기 하우징(241)은 밑면(241a)과; 상기 밑면(241a)의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형성된 ㄷ 자형의 제1, 제2, 제3의 고정홈(241b, 241c, 241d)과; 서로 마주보는 제1, 제2 고정홈(241b, 241c)의 바깥 표면에 상기 안전발판(242)이 상기 전동차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1, 제2 가이드라인(241e, 241f)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높이조절부는, 상기 밑면(241a)과 대응되는 상면(247a)과, 상기 상면(247a)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ㄷ 자형의 제1, 제2, 제3의 고정홈(241b, 241c, 241d)에 삽입되는 제1, 제2, 제3 돌출부(247b, 247c, 247d)로 형성된 높이조 절판(247)과; 상기 제1, 제2, 제3 고정홈(241b, 241c, 241d)에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판(247)의 상면(247a)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기(2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제3 돌출부(247b, 247c, 247d)는 수직 ㄷ 자형의 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발판(242)은, 전동차가 도착하거나 출발했을 때, 상기 구동부(243)에 의해서 전동차 방향으로 전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발판(242)의 양측단은 상기 가이드라인(241b)의 모양에 맞춰서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241)의 가이드라인(241b)을 따라 전동차 방향으로 전후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발판(242)은 속이 빈 관 형태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롤러(245)는 상기 전동차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전동차와 마주보는 상기 안전발판(242)의 수직 표면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전동차가 전동차역사에 도착하고 출발할 때, 상기 안전발판(242)이 움직이는 전동차에 맞닿아 상기 안전발판(242) 및 전동차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동부(243)는 상기 안전발판(242)을 상기 가이드라인(241b)을 따라 전동차 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킨다. 즉, 상기 구동부(243)는 전동차가 도착했을 때, 구동되어 상기 안전발판(242)을 상기 전동차 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인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243)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유압실린더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압실린더를 고정시키는 고정구(243a)도 설치가능하며, 상기 유압실린더는 공압실린더를 포함한 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구동부를 모터, 피니언 및 랙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센서(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전동차의 존재 유무 또는 진입여부 등을 감지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상기 안전발판(242), 상기 하우징(241) 또는 별도의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나, 상기 안전발판(24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서가 상기 전동차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가능하나, 일 실시예로 상기 센서가 거리감지 센서로 구현된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센서는 상기 안전발판(242)과 상기 전동차와의 거리를 감지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가 상기 안전발판(242)과 상기 전동차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그 값을 상기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전동차가 전동차역사에 도착하여 상기 센서가 감지한 상기 안전발판(242)과 상기 전동차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 일정거리 내에 존재할 때 상기 구동부(243)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안전발판(242)을 인출시킨다. 또한, 상기 안전발판(242)이 인출되어 상기 안전발판(242)과 상기 전동차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2 일정거리 내에 존재할 때, 즉, 상기 안전발판(242)이 상기 전동차와 밀접하게 닿았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243)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안전발판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동차가 전동차역사로부터 출 발하면, 상기 센서는 상기 안전발판(242)과 상기 전동차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 일정거리 이상이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243)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인출된 안전발판(242)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243)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도시하지 않음)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에 부가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는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현가능하고, 이와 모듈 형태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의 동작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커버(244)가 제거된 안전발판 장치의 모습을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의 안전발판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는 전동차가 도착했을 때, 안전발판을 센서에 의해서 정지될 때까지 일정거리만큼 인출시킨다.
이하에서는, 전동차역사마다 전동차와 승강장의 높이가 전동차역사마다 다르고, 승강장의 종래의 발판의 높이가 다름으로써, 승객들 특히 장애인들이 겪는 어려움의 해소와, 본 발명의 안전발판 장치의 안전발판의 높이와 승강장의 높이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커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한 본 발명 에 따른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를 설명한다.
커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구현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나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로 첨부된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과 도 9는 높이조절부(247, 248)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8은 커버(244)의 높이가 낮게 설정된 경우이고, 도 9는 커버(244)의 높이가 높게 설정된 경우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에서, 상기 높이조절기(248)는 복수개의 나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높이조절판(247)에 형성된 제1, 제2, 제3 돌출부(247b, 247c, 247d)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제2, 제3의 고정홈(241b, 241c, 241d)에 상기 높이조절기(248)의 밑면이 접촉한다. 그리고 커버(244)가 상기 높이조절기(248)에 의해서 높이가 고정된 높이조절판(247)의 상부에 놓여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는 그 높이가 조절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는 승강장의 특성에 맞게 전동차의 자동개폐문의 밑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그 높이가 조절되어 기존의 복수의 발판 대신에 설치된다.
이때, 전동차가 전동차역사에 도착하면, 상기 센서(도시하지 않음)는 전동차의 존재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243)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243)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안전발판(242)을 상기 전동차 쪽으로 인출시킨다. 이때, 상기 안전발판(242)이 상기 전동차에 닿거나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했을 때, 상기 센서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243)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후, 상기 전동차가 전동차역사에서 출발하면, 상기 센서는 전동차 전동차가 없는 것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243)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243)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안전발판(242)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이때, 상기 안전발판(242)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243)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발판 장치는, 센서가 전동차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여, 전동차가 존재할 때 전동차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를 이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발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전동차역사 높이, 승강장 발판의 높이 등에 따라 안전발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승강장에 설치된 복수개의 발판 중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발판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설치됨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차와 마주보는 상기 안전발판(242)의 수직 표면에 형성된 롤러을 포함함으로써, 전동차와 안전발판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파손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는, 전동차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여, 전동차가 존재할 때 전동차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승객들 특히, 장애인들이 전동차에 타고 내릴 때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에 발을 헛 딛거나 소지품을 떨어뜨리는 등의 안전사고 및 불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에는 안전발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어 있어, 전동차역사의 높이, 승강장에 설치된 발판의 두께 등 전동차역사의 특성 등에 따라 상기 안전발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는,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기존의 승강장에 설치된 복수개의 발판 중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발판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설치됨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는, 전동차와 마주보 는 상기 안전발판의 수직 표면에 형성된 롤러을 포함함으로써, 전동차와 안전발판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파손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전동차 쪽의 승강장에 삽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전동차 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안전발판과;
    상기 안전발판을 전동차 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전동차의 존재 유무 또는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하우징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안전발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유압실린더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밑면과; 상기 밑면의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형성된 ㄷ 자형의 제1, 제2, 제3의 고정홈과; 서로 마주보는 제1, 제2 고정홈의 바깥 표면에 상기 안전발판이 상기 전동차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1, 제2 가이드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과 대응되는 상면과; 상기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ㄷ 자형의 제1, 제2, 제3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제1, 제2, 제3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높이조절판과;
    상기 제1, 제2, 제3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돌출부는 수직 ㄷ 자형의 홈을 갖고,
    상기 높이조절기는 상기 수직 ㄷ 자형의 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차와 마주보는 상기 안전발판의 표면에 회전가능한 복수의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
KR1020060046856A 2006-05-25 2006-05-25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 KR200701135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856A KR20070113531A (ko) 2006-05-25 2006-05-25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856A KR20070113531A (ko) 2006-05-25 2006-05-25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531A true KR20070113531A (ko) 2007-11-29

Family

ID=39091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856A KR20070113531A (ko) 2006-05-25 2006-05-25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353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674B1 (ko) * 2008-09-08 2009-09-22 이갑규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KR100929482B1 (ko) * 2008-09-08 2009-12-02 이갑규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KR101487399B1 (ko) * 2013-11-04 2015-01-29 (주)진합 플랫폼 스텝 장치
KR101487400B1 (ko) * 2013-11-04 2015-01-29 (주)진합 플랫폼 스텝 유니트
CN111717226A (zh) * 2019-03-21 2020-09-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列车踏板控制方法和装置
KR20220083442A (ko) * 2020-12-11 2022-06-20 김승한 지하철 승강장 안전발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674B1 (ko) * 2008-09-08 2009-09-22 이갑규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KR100929482B1 (ko) * 2008-09-08 2009-12-02 이갑규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KR101487399B1 (ko) * 2013-11-04 2015-01-29 (주)진합 플랫폼 스텝 장치
KR101487400B1 (ko) * 2013-11-04 2015-01-29 (주)진합 플랫폼 스텝 유니트
CN111717226A (zh) * 2019-03-21 2020-09-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列车踏板控制方法和装置
KR20220083442A (ko) * 2020-12-11 2022-06-20 김승한 지하철 승강장 안전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3531A (ko)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장치
US4438830A (en) Stairway with fail safe power lift for lading, the infirm, wheelchair patients, and the like
US7103935B2 (en) Marine gangway to enable handicapped users to move between floating and fixed landings and related methods
US7802337B2 (en) Retractable ramp
KR101626260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US20160193094A1 (en) Device for delivering personal vehicles, such as wheelchairs or scooters, for drivers with disabilitie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CN108423599A (zh) 一种方便轮椅上下车站的装置
KR101924901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KR101940648B1 (ko) 지하철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KR100904714B1 (ko) 철도차량용 안전 스탭 장치
KR101854811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KR101701391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CN1302762A (zh) 登楼梯的椅子系统
KR101495326B1 (ko) 교통약자용 탑승 시설이 구비된 페리 보트
KR101924898B1 (ko) 장애인 이동차량용 출입도어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KR102271450B1 (ko) 휠체어용 리프트
KR100492479B1 (ko) 지하철 안전 발판 시스템
KR20130051575A (ko) 휠체어 이동장치를 갖는 탑승교
KR101975877B1 (ko)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장치를 이용한 전동차용 슬라이딩 스텝 장치
KR200434210Y1 (ko) 휠체어 이동이 가능한 무빙워크
KR200293334Y1 (ko) 자동운전 에스컬레이터의 감지장치
KR200359713Y1 (ko)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KR20100104230A (ko)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분리대
CN214828243U (zh) 一种带有轮椅定位功能的声控导盲电梯
KR20050110890A (ko) 도시철도 승, 하차 안전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