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901B1 - 휠체어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901B1
KR101924901B1 KR1020180049274A KR20180049274A KR101924901B1 KR 101924901 B1 KR101924901 B1 KR 101924901B1 KR 1020180049274 A KR1020180049274 A KR 1020180049274A KR 20180049274 A KR20180049274 A KR 20180049274A KR 101924901 B1 KR101924901 B1 KR 101924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elevating
door
foo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아람
박운영
Original Assignee
박아람
박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아람, 박운영 filed Critical 박아람
Priority to KR1020180049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2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connected to the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측면측 출입구에 양측으로 마련되는 출입도어 및 이 출입도어에 제1유압실린더와 승강발판, 승강발판으로부터 인출가능한 진입발판, 개방된 출입도어를 지면으로 고정시키는 제2유압실린더, 출입도어를 여닫는 공압실린더 및 승강발판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감지센서의 구성으로써, 경계석이 있는 보행로에 이동 차량의 진입, 출입도어의 개방, 리프트장치의 승강발판의 승강 조정과 진입발판을 승강발판으로부터 인출하여 경계석의 상면에 충분히 안착시킬 수 있거나, 혹은 경계석이 없는 지면으로부터 승강발판을 하강시켜 휠체어를 탄 장애인을 불편함이 없이 차량의 문턱까지 안전하게 리프팅시켜 승, 하차할 수 있기 때문에 휠체어를 동반한 장애인 승하차 시간을 대폭 줄이고, 현 도로사정에 맞게 리프트장치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휠체어 리프트장치{Wheelchair lift appartus}
본 발명은 휠체어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휠체어의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를 장애인 이동차량의 출입도어에 구비하여 지상에서의 휠체어 탑승은 물론, 보행로에 별도의 슬로프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리프트를 통해 보행로와 버스 내부로 통하는 진입발판을 마련하여 장애인 탑승지역에 관계없이 휠체어의 승차 및 하차가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장애인의 승, 하차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신체적 장애, 혹은 병원치료 목적으로 휠체어를 이용하여 근거리 이동 및 차량을 통한 장거리 운행이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건물의 입구나 공공장소에서도 장애인의 참여의 편의성을 위해 계단 옆에 별도의 이동통로를 만들어져 있다.
아울러 차도에서 건널목이 있는 곳에서는 차도와 보행로를 구획하는 경계석을 없애거나 최소 높이로 낮추어 휠체어를 탄 장애인도 쉽게 건널목을 건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휠체어를 탄 장애인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용 차량을 탑승하기 위해서는 보행로에서 경계석이 없는 지역까지 장애인 스스로 휠체어를 움직여 이동하거나, 보조인이 휠체어를 뒤에서 밀고 이동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된 장소까지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움과 힘이 들었다.
현재까지는 장애인을 전용으로 탑승하기 위한 도로 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며, 이동 차량의 정차위치도 부족하다. 통상 도심지에서 경계석이 없는 구간은 차로와 통하는 이면 도로 등과 합류하는 진출입구가 되기 때문에, 장애인 전용 이동차량의 주정차시에는 장애인을 탑승하기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기타 차량의 통행에 불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통상 휠체어를 탄 장애인을 탑승하기 위한 차량으로는 적어도 15인, 25인 혹은 그 이상의 버스와 같은 크기의 차량이 대부분 이용되며, 15인 정도의 차량은 테일게이트 측에서 주로 승하차가 이루어지게 하고, 25인승이나 그 이상인 차량은 측면측 출입도어를 통해 승,하차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휠체어를 탄 장애인의 이동 목적으로, 대부분 슬로프발판을 이용하거나, 리프트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슬로프발판은 지상으로부터 차량 내부까지의 경사각에 의해 장애인이 휠체어를 움직여 승차하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적어도 1~2인의 승하차 보조인이 필요하고, 그만큼 안정적인 보호장치가 필요하다.
한편, 휠체어 리프트 관련한 선원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재2016-0037509호(명칭: 휠체어 리프트를 구비한 장애인용 버스, 공개일자: 2016년 04월 06일,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및 등록특허 제10-1424388호(명칭: 장애인 차량용 리프트 장치, 등록일자: 2014년 07월 22일, 이하 '특허문헌 2'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리프트가 차량의 적재함 내부에 직접 구비되어 필요시 이를 인출시켜 휠체어를 리프팅시키는 기술이지만, 구체적으로 적재함 내부에 수용되기 어렵고, 특히 경계석이 있는 보행도로 상에서는 사용이 불가한 구조이다.
상기 특허문헌 2는 휠체어가 안착되는 고정플레이트체의 후방측에 제1탑승플레이트와 제2탑승플레이트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지되, 제1탑승플레이트는 슬라이딩판에 의해 슬라이딩 인출되고 제2탑승플레이트는 제1탑승플레이트로부터 힌지회전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탑승플레이트와 제2탑승플레이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휠체어가 탑승할 때 지지체에 의해 견고하게 휠체어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으며, 탑승한 상태의 휠체어를 휠체어고정체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줌에 따라 주행 중 휠체어가 흔들거리지 않음에 따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즉, 별도의 리프트를 차량 후방에 적용하여 장애인이 탑승하기에 용이한 슬로프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행통로에서 장애인이 직접 탑승하기는 절대적으로 어려우며, 통상 차량의 테일게이트가 위치한 후방 측은 높이가 지상으로부터 높기 때문에 장애인 혼자 탑승하기에는 어려움 있고, 후방 탑승시에는 보다 안전지역에서 후방 추돌에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승차 및 하차가 가능하며, 차량 측면에서의 탑승이 어려운 형태로써 특히 보행통로 상에서 장애인 이동차량을 기다리고 있다가 승차하기 어려운 형태로, 장애인 및 장애인을 돕는 보조인의 도움이 절실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휠체어의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를 이동차량의 출입도어에 구비하여 지상에서의 휠체어 탑승은 물론, 보행로에 별도의 슬로프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리프트를 통해 보행로와 버스 내부로 통하는 진입발판을 마련하여 장애인 탑승지역에 관계없이 휠체어의 승차 및 하차가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장애인의 승, 하차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 리프트장치는,
차량의 측면에 마련된 출입구에 외측 방향으로 여닫히게 설치되어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도어와, 상기 출입도어의 내측 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유압실린더와, 상기 출입도어의 내측 면 하부 측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작동로드의 끝단에 받침구가 구비되어 개방된 출입도어를 지면으로부터 받쳐 지지하는 제2유압실린더와, 상기 차량의 출입구의 내측 천정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작동로드는 출입도어의 내측 면에 연결되어 출입도어를 여닫기 위한 공압실린더와,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작동로드 단부에 각각 수평으로 고정되어 휠체어를 차량 내부로 안내하는 승강발판과, 상기 승강발판 내에 전후 이송되게 구비되어 승강발판에 대한 휠체어를 안내하는 진입발판과, 상기 출입도어의 내측 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어 승강발판을 수직으로 안내하는 수직가이드와, 상기 수직가이드에 전면이 노출되게 매입되어 승강발판의 최대 상승위치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와, 작동로드를 제외한 제1유압실린더를 수용하는 커버 형으로, 출입도어의 내측 면에 부착되고, 그 전면에는 차량 내부로 휠체어 진입시 장애인의 손잡이 역할을 제공하는 핸드레일이 구비된 커버체와, 상기 출입도어가 위치한 출입구 측의 문턱 양측에 전면이 노출되게 매입되어 문턱으로부터 승강발판의 수평 위치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와, 상기 제1유압실린더, 제2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제1감지센서 및 제2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장치는, 차량 측면측 출입구 양측으로 마련되는 출입도어 및 이 출입도어에 제1유압실린더와 승강발판, 승강발판으로부터 인출가능한 진입발판, 개방된 출입도어를 지면으로 고정시키는 제2유압실린더, 출입도어를 여닫는 공압실린더 및 승강발판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감지센서의 구성으로써, 경계석이 있는 보행로에 이동 차량의 진입, 출입도어의 개방, 리프트장치의 승강발판의 승강 조정과 진입발판을 승강발판으로부터 인출하여 경계석의 상면에 충분히 안착시킬 수 있거나, 혹은 경계석이 없는 지면으로부터 승강발판을 하강시켜 휠체어를 탄 장애인을 불편함이 없이 차량의 문턱까지 안전하게 리프팅시켜 승, 하차할 수 있기 때문에 휠체어를 동반한 장애인 승하차 시간을 대폭 줄이고, 현 도로사정에 맞게 리프트장치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리프트장치가 적용된 이동차량의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주요부분 제어를 위한 블럭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진입발판을 보행로에 위치시켜 휠체어의 탑승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5와 6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진입발판을 지상에 위치시켜 휠체어의 탑승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진입발판을 지상에 위치시켜 휠체어의 탑승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인 출입도어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제공되는 차량은 15인승 이상, 25인승 내지 혹은 장애인 전용버스용으로써, 리프트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차량(1)의 측면에 마련된 출입구(2)에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도어(10A, 10B)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되,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여닫히게 설치되도록 한다.
도면에서 출입구 정면을 기준으로 출입도어(10A)는 왼쪽, 출입도어(10B)는 오른쪽에 위치한 도어이다.
상기 출입도어(10A, 10B)의 내측 면에는 첨부된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유압실린더(11)가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출입도어(10A, 10B)의 내측 면 하부 측에는 작동로드의 단부에 받침구(12a)가 구비되어 개방된 출입도어(10A, 10B)를 지면으로부터 받쳐 지지하기 위한 제2유압실린더(12)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차량(1)의 출입구(2)의 내측 천정부에는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작동로드는 출입도어(10A, 10B)의 내측 면에 연결되어 출입도어(10A, 10B)를 여닫기 위한 공압실린더(13)가 구비되며, 여기서 공압실린더(13)는 소정의 각도로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어 상기 출입도어(10A, 10B)를 최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1유압실린더(11)에 있어서, 도면을 기준으로 작동로드 하단부에는 두께를 갖는 중공의 판 상의 승강발판(14)이 각각 수평으로 고정되어 장애인이 탄 휠체어(W)를 차량(1) 내부로 안내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승강발판(14)은 출입구(2)로부터 출입도어(10A, 10B)의 개방시 출입구의 하부측 문턱(3)의 전면과 10~20mm의 간극을 두어 상호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발판(14)은 관통된 통공부(14a)와 측면에 장공부(14b)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통공부(14a)에는 진입발판(15)이 전후 이송되게 구비되어 휠체어(W)가 지나가도록 된 승강발판(14)을 연장시켜 휠체어(W)의 메인바퀴(뒷바퀴)와 전방바퀴가 모두 승강발판과 진입발판에 올라설 수 있는 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진입발판(15)의 측면에는 손잡이(15a)를 구비하고, 이 손잡이는 상기 승강발판(14)의 측면측 장공부(14b)를 통해 외측으로 인출되게 구성하여 손잡이(15a)의 이동에 의해 승강발판(14)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진입발판(15)은 출입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승강발판(14)에서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경계석(B)의 높이에 대해 승강발판(14)의 높이가 결정되면, 진입발판(15)을 수동으로 인출시켜 휠체어의 바퀴가 보행통로에서 경계석을 지나 승강발판(15)을 통해 차량의 실내로 이동할 수 있는 다리(bridge)를 만들어 주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휠체어(W)의 바퀴 진입시 용이한 이동을 위해 승강발판(14)과 진입발판(15)의 일측 끝단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휠체어의 바퀴가 무리 없이 넘어서 지나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발판(14)의 상측에는 상기 진입발판(15)을 통해 승강발판(14)으로 진입된 휠체어(W)의 바퀴를 고정시켜 상기 승강발판(14)의 승강 또는 하강시 휠체어(W)가 움직이는 것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휠체어고정부(14c)가 마련된다.
상기 휠체어고정부(14c)는 휠체어(W)의 바퀴를 안내할 수 있게 상기 승강발판(14)의 상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안내레일(14c-1)과, 상기 안내레일(14c-1)의 측면 양측에 설치되어 이동된 휠체어(W) 바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실린더(14c-2)와, 상기 안내레일(14c-1)에 의해 안내된 휠체어(W)의 바퀴와 접촉되어 상기 고정실린더(14c-2)를 구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14c-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레일(14c-1)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 보게 위치되는 길이재로서, 양 끝단에는 각각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초기 휠체어(W)의 바퀴가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실린더(14c-2)는 상기 안내레일(14c-1)의 측면 양측에 고정설치되되,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로드가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때, 로드의 말단에는 휠체어(W)의 바퀴와 접촉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고정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스위치(14c-3)는 상기 한 쌍의 안내레일(14c-1)이 위치된 승강발판(14)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실린더(14c-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진입발판(15)을 통해 휠체어(W)가 진입되면 상기 승강발판(14)에 형성된 안내레일(14c-1)을 통해 휠체어(W)가 안내되면서 승강발판(14)으로 이동되며, 이후 승강발판(14)에 진입된 휠체어(W)의 바퀴가 상기 승강발판(14)에 설치된 스위치(14c-3)를 가압하면 고정실린더(14c-2)가 구동되면서 휠체어(W)를 고정시켜 승강발판(14)에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출입도어(10A, 10B)의 내측 면에는 승강발판(14)을 수직으로 안내하는 수직가이드(16)가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수직가이드(16)는 출입도어(10A, 10B)의 하단에 근접하는 정도의 길이로 설치된다.
상기 수직가이드(16)에 마주하는 승강발판(14)의 일측면에는 가이드홈(14e)이 형성되어 출입도어(10A, 10B) 상에서 상하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홈(14e)이 형성된 일측 끝단에는 상기 제2유압실린더(12)에 승강발판(14)이 간섭되지 않는 요홈(14d)이 형성되어 상하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출입도어(10A, 10B)가 개방되어 상호 내측 면이 마주하는 상기 수직가이드(16)에는 제1감지센서(17)가 설치되며, 상기 제1감지센서(17)의 역할은 수직가이드(16)에 전면이 노출되게 매입 설치되어 상기 승강발판(14)의 최대 상승위치를 감지하여 승상발판의 정지신호를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가이드(16)에 각각 구비된 제1감지센서(17)는 상호 마주하는 높이 차이를 두어 설치된다. 이는 상기 승강발판(14)이 제1감지센서(17)의 위치에 따라 상호 다른 상승위치에서 동작신호가 정지되어 상호 승강발판이 간섭되지 않게 출입도어(10A, 10B)가 개폐되도록 하기 위함이다(도 9참조).
한편, 상기 출입도어(10A, 10B)에는 전면에 차량(1) 내부로 휠체어 진입시 장애인의 손잡이 역할을 제공하는 핸드레일(18a)이 구비된 커버체(18)가 부착 설치된다.
상기 커버체(18)는 제1유압실린더(11)를 수용하는 사각형의 상자형으로, 제1유압실린더의 작동 로드는 하방으로 인출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휠체어를 타고 출입구(2)를 지나는 장애인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출입도어(10A, 10B)가 위치한 출입구(2)측 문턱(3) 양측에는 문턱과 수평으로 위치하는 승강발판(14)의 수평 위치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19)가 문턱(3) 전면에 노출되게 매입 설치된다.
상기 제2감지센서(19)에서 승강발판(14) 감지하는 신호는 후술하는 제어부(20)를 통해 제1유압실린더(11)의 작동을 정지시켜 문턱(3)에 동일 선상으로 승강발판(14)을 정지시켜 놓거나, 혹은 상기 문턱(3)으로부터 동시에 승강발판(14)을 하강시키는 동작구현을 전가하기 위한 신호이다.
상기 제어부(20)는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제1유압실린더(11), 제2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제1감지센서 및 제2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승강발판(14)의 위치에 맞게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출입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 내측 면에 구비하여 수동으로 눌러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B)는 경계석을 나타내고 부호 (GL)은 지면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휠체어 리프트장치의 운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휠체어를 탄 장애인을 목적지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장애인 전용 이동 차량은 보행로와 인접한 차로 혹은 경계석이 없는 곳에 주정차한 상태에서 차량 운전자의 조작으로 차량 측면 측의 출입도어를 개방하여 출입구를 개방한다.
상기 출입도어(10A, 10B)는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출입구의 상부에 위치한 공압실린더(13)의 작동로드 전진에 의해 출입도어(10A, 10B)가 출입구(2)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첨부된 도 9에서와 같이, 각각의 출입도어(10A, 10B)에 구비된 한 쌍의 제1유압실린더(11)와 연결된 승강발판(14)은 출입도어(10A, 10B)의 개방되는 각도와 동일하게 90도로 회동되어 개방되고, 이때의 상기 승강발판(14)은 상호 다른 높이로 위치되어 있어 상호 간섭되지 않게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출입도어(10A, 10B)가 90도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출입도어(10A, 10B)에 구비된 제2유압실린더(12)를 작동하여 작동로드측 받침구(12a)가 지면(GL)에 위치시켜 개방된 출입도어(10A, 10B)를 안정되게 지지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출입도어(10A, 10B)가 완전히 고정된 상태에서는 제1유압실린더(11)를 작동하여 승강발판(14)을 하강시켜 주면, 상기 승강발판은 출입구(2)측 문턱(3)에 각각 승강발판(14)이 수평이 되도록 하강되고, 여기서 수직가이드(16)에 의해 안정된 수직 하강이 이루어진다.
상기 문턱(3)에 위치되는 승강발판(14)은 문턱 전면에 구비된 제2감지센서(19)에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유압실린더(11)의 작동로드 하강 동작을 정지시켜 차량(1)의 문턱(3)과 승강발판(14)이 상호 동일선상으로 위치시켜 정지되도록 한다(도 10 참조).
여기서부터는 출입도어(10A, 10B)에 각각 마주하는 제1유압실린더(11)는 제어부(20)를 통한 동작제어로서 경계석(B)의 높이에 근접되게 승강발판(14)을 하강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발판(14)에 수용된 진입발판(15)을 승강발판(14)의 전방으로 인출시켜 주며, 여기서 제1유압실린더(11)를 작동하여 진입발판(15)의 저면이 보행로측 경계석(B)에 충분히 수평으로 안착될 수 있게 미세 조정하여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라면, 첨부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휠체어(W)를 타고 있는 장애인이 진입발판(15), 승강발판(14)을 통해 차량(1)의 실내로 휠체어를 이동시킬 수 있어 어렵지 않게 차량에 탑승할 수 있다.
즉, 장애인은 보행로에서 수평으로 곧바로 차량 내부로 휠체어를 타고 진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휠체어 탑승방식에 비해 탑승시간, 혹은 하차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중요하게는 장애인 혼자서도 휠체어를 움직여 충분히 차량에 진,출입을 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12 및 도 13은 보행로가 아닌 일반 지면(GL)으로부터 상기 승강발판(14)을 도 11에서와 같이 더 하강시켜 주어 지면에 승강발판이 안착되게 한 상태에서 휠체어(W)의 탑승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승강발판(14)으로부터 진입발판(15)을 전방으로 최대한 인출시킨 상태에서 휠체어(W)의 탑승이 이루어지며, 승강발판과 진입발판 상면에 휠체어의 메인바퀴와 전방바퀴가 모두 올려진 상태에서 제1유압실린더(11)의 작동로드를 상승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상승되는 승강발판(14)은 출입구(2)측 문턱(3)에 구비한 제2감지센서(19)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발판(14)이 문턱(3)에 최대한 근접한 상태에서 정지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휠체어를 탄 장애인을 승강시킴에 있어, 승강발판에 설치된 휠체어고정부(14c)와 커버체(18)에 구비된 핸드레일(18a)을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승강발판이 문턱에 이르기 전까지 장애인은 물론, 휠체어의 리프팅을 보다 안전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발판(14)과 문턱(3)과 동일선상이 되어 제2감지센서(19)의 감지신호로 제1유압실린더(11)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차량 실내 측으로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리프팅 동작은 하강동작시와 마찬가지로 휠체어를 탄 장애인을 지면까지 안전하게 하강시킬 수 있어 휠체어(W)에 탑승한 상태에서 장애인 전용 이동차량에 안전한 승, 하차가 가능하다.
한편, 휠체어(W)가 차량 실내로 완전히 진입한 다음에는, 인출된 진입발판(15)을 승강발판(14) 내부 측으로 다시 수용시키고, 이대 제1유압실린더(11)를 이용하여 승강발판(14)을 각각 상승시키면, 수직가이드(16)에 구비된 제1감지센서(17)에 각각 승강발판(14)이 위치됨과 동시에, 이에 따른 감지신호를 제어부(20)에 전달하여 제1유압실린더(11)의 동작을 정지시켜 준다.
아울러, 받침구(12a)로서 지면으로부터 출입도어(10A, 10B)를 지지한 제2유압실린더(12)를 반대로 동작시켜 받침구를 상승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승강발판(14)이 도 9에서와 같은 형태로 각각 높이가 다르게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이고, 이때 공압실린더(13)의 동작으로 하여금 출입도어(10A, 10B)를 닫고 차량을 목적지까지 이동하면서 또 다른 장애인을 탑승시키거나 하차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차량 2: 출입구
3: 문턱 10A, 10B: 출입도어
11: 제1유압실린더 12: 제2유압실린더
13: 공압실린더 14: 승강발판
15: 진입발판 16: 수직가이드
17: 제1감지센서 18: 커버체
18a: 핸드레일 19: 제2감지센서
20: 제어부 B: 경계석
W: 휠체어

Claims (3)

  1. 차량(1)의 측면에 마련된 출입구(2)에 외측 방향으로 여닫히게 설치되어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도어(10A, 10B)와,
    상기 출입도어(10A, 10B)의 내측 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유압실린더(11)와,
    상기 출입도어(10A, 10B)의 내측 면 하부 측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작동로드의 단부에 받침구(12a)가 구비되어 개방된 출입도어(10A, 10B)를 지면으로부터 받쳐 지지하는 제2유압실린더(12)와,
    상기 차량(1)의 출입구(2)의 내측 천정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작동로드는 출입도어(10A, 10B)의 내측 면에 연결되어 출입도어(10A, 10B)를 여닫기 위한 공압실린더(13)와,
    상기 한 쌍의 제1유압실린더(11)의 작동로드 단부에 각각 수평으로 고정되어 휠체어를 차량 내부로 안내하는 것으로, 상호 다른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유압실린더(11)의 작동로드와 결합되는 승강발판(14)과,
    상기 승강발판(14) 내에 전후 이송되게 구비되어 승강발판(14)에 대한 휠체어를 안내하는 진입발판(15)과,
    상기 승강발판(14)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입발판(15)을 통해 안내되는 휠체어(W)의 바퀴를 고정시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고정부(14c)와,
    상기 출입도어(10A, 10B)의 내측 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어 승강발판(14)을 수직으로 안내하는 수직가이드(16)와,
    상기 수직가이드(16)에 전면이 노출되게 매입되어 승강발판(14)의 최대 상승위치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17)와
    상기 작동로드를 제외한 제1유압실린더(11)를 수용하는 커버 형으로, 출입도어(10A, 10B)의 내측 면에 부착되고, 그 전면에는 차량 내부로 휠체어 진입시 장애인의 손잡이 역할을 제공하는 핸드레일(18a)이 구비된 커버체(18)와,
    상기 출입도어(10A, 10B)가 위치한 출입구(2)측 문턱(3) 양측에 전면이 노출되게 매입되어 문턱으로부터 승강발판(14)의 수평 위치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19)와,
    상기 제1유압실린더(11), 제2유압실린더(12), 공압실린더(13), 제1감지센서(17) 및 제2감지센서(19)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고정부(14c)는 휠체어(W)의 바퀴를 안내할 수 있게 상기 승강발판(14)의 상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안내레일(14c-1)과, 상기 안내레일(14c-1)의 측면 양측에 설치되어 이동된 휠체어(W) 바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실린더(14c-2)와, 상기 안내레일(14c-1)에 의해 안내된 휠체어(W)의 바퀴와 접촉되어 상기 고정실린더(14c-2)를 구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14c-3)를 포함하는 휠체어 리프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이드(16)에 구비된 제1감지센서(17)는 상호 마주하는 높이 차이를 두어 설치되며, 상기 승강발판(14)은 제1감지센서(17)의 위치에 따라 상호 다른 상승위치에서 동작신호가 정지되어 상호 승강발판이 간섭되지 않게 출입도어(10A, 10B)가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장치.
KR1020180049274A 2018-04-27 2018-04-27 휠체어 리프트장치 KR101924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274A KR101924901B1 (ko) 2018-04-27 2018-04-27 휠체어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274A KR101924901B1 (ko) 2018-04-27 2018-04-27 휠체어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901B1 true KR101924901B1 (ko) 2018-12-04

Family

ID=6466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274A KR101924901B1 (ko) 2018-04-27 2018-04-27 휠체어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9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043B1 (ko) 2019-08-14 2020-06-23 주식회사 유디센터 이동식 휠체어 리프트
KR20220061326A (ko) 2020-11-05 2022-05-13 (주)신우 프론티어 휠체어 리프트용 추락방지장치
KR20220117083A (ko) * 2021-02-16 2022-08-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장애인용 휠체어 안전 리프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9753A (en) 1982-05-19 1984-10-30 Transportation Design & Technology, Inc. Wheelchair lift for passenger vehicles
KR101083365B1 (ko) 2011-05-19 2011-11-14 (주)다성테크놀로지 휠체어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9753A (en) 1982-05-19 1984-10-30 Transportation Design & Technology, Inc. Wheelchair lift for passenger vehicles
KR101083365B1 (ko) 2011-05-19 2011-11-14 (주)다성테크놀로지 휠체어 승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043B1 (ko) 2019-08-14 2020-06-23 주식회사 유디센터 이동식 휠체어 리프트
KR20220061326A (ko) 2020-11-05 2022-05-13 (주)신우 프론티어 휠체어 리프트용 추락방지장치
KR20220117083A (ko) * 2021-02-16 2022-08-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장애인용 휠체어 안전 리프팅 장치
KR102557013B1 (ko) * 2021-02-16 2023-07-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장애인용 휠체어 안전 리프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901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US4438830A (en) Stairway with fail safe power lift for lading, the infirm, wheelchair patients, and the like
KR101090782B1 (ko)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0936020B1 (ko) 저상식 휠체어 리프트
US4039091A (en) Elevator type bus boarder
KR101924898B1 (ko) 장애인 이동차량용 출입도어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US6599080B1 (en) Lifting device for railway vehicles
US5150659A (en) Entering and exiting step system for vehicles with two step pivotal support for accommodating platforms of varying heights
JP2005349993A (ja) タラップ車
KR101495326B1 (ko) 교통약자용 탑승 시설이 구비된 페리 보트
KR200290893Y1 (ko) U자형 셔틀식 엘리베이터
JP4742363B2 (ja) バス昇降床装置
JP5088653B2 (ja) 昇降装置及びバス
JP2723444B2 (ja) 車椅子用乗船装置
KR102271450B1 (ko) 휠체어용 리프트
KR100970208B1 (ko) 이동식 화장실
KR100466446B1 (ko)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JP2007030677A (ja) 乗降用車両
JP3619519B2 (ja) デッキとキャビンの昇降装置を有する車両
KR100454007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JPH0712152Y2 (ja) 座いす付き斜行機を備えたバス
KR200230964Y1 (ko) 리프트시스템의리프트카탑승베이스구동장치
JP2984237B2 (ja) 階段用昇降装置
KR20120102267A (ko) 장애인 승,하차를 위한 리프트가 설치된 대형 관광버스
KR100211351B1 (ko)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