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477B1 -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477B1
KR102153477B1 KR1020190150204A KR20190150204A KR102153477B1 KR 102153477 B1 KR102153477 B1 KR 102153477B1 KR 1020190150204 A KR1020190150204 A KR 1020190150204A KR 20190150204 A KR20190150204 A KR 20190150204A KR 102153477 B1 KR102153477 B1 KR 102153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guide
staircase
fall prevention
disa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섭
Original Assignee
(주)태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성산업 filed Critical (주)태성산업
Priority to KR1020190150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041Treads having means to adjust the height, the depth and/or the slope of the stair steps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로 출입하기 위해 설치되는 계단부에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계단으로 사용하다가 탑승체가 하부 또는 상부 승강장에 다다르면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가변승강부를 계단 형태에서 플랫폼 형태로 변환시켜서 탑승체인 노약자나 장애우가 이용하는 휠체어 및 유모차 등이 탑승한 후 상부 또는 하부 승강장까지 수평 상태로 안전하게 상승 또는 하강시켜 탑승체가 하차하면 다시 가변승강부를 계단으로 원상복귀시켜 일반인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변환시켜줌으로써, 일반인이나 노약자, 휠체어 및 유모차 등이 모두 이용할 수 있어서 비용이 절감되고, 상부 승강장 쪽에 자동으로 개폐되는 상/하부 안전문을 설치함으로써 탑승을 위해 대기하는 탑승체의 추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a lift device for the handicapped people}
본 발명은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로 출입하기 위해 설치되는 계단부에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계단으로 사용하다가 탑승체가 하부 또는 상부 승강장에 다다르면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가변승강부를 계단 형태에서 플랫폼 형태로 변환시켜서 탑승체인 노약자나 장애우가 이용하는 휠체어 및 유모차 등이 탑승한 후 상부 또는 하부 승강장까지 수평 상태로 안전하게 상승 또는 하강시켜 탑승체가 하차하면 다시 가변승강부를 계단으로 원상복귀시켜 일반인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변환시켜줌으로써, 일반인이나 노약자, 휠체어 및 유모차 등이 모두 이용할 수 있어서 비용이 절감되고, 상부 승강장 쪽에 자동으로 개폐되는 상/하부 안전문을 설치함으로써 탑승을 위해 대기하는 탑승체의 추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층계라고도 지칭하는 계단은 높이가 다른 두 바닥면을 연결하는 단형의 통로를 말하는 것으로서, 현대와 같이 도시의 입체화, 고층화가 진전됨에 따라 건축물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되었으며, 통로로서의 기능 외에 건축 디자인의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지금까지의 계단은 단지 층간을 오르내리기 위한 목적과 더불어 정상인을 위한 통상적인 형태로만 형성되게 되었고, 이에 따라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의 바퀴 등이 부착된 이동수단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계단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많은 불편을 초래하게 되었다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해 이용되는 휠체어나 유아를 위한 유모차 등의 경우에는 계단을 통한 이동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장애인, 노약자 및 임산부의 편익을 위한 시설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상기 휠체어나 유모차 등을 위해 관공서 등의 공공기관, 기타 공공건물, 공중 이용시설 및 공동주택 등에는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장애인용 승강기 또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 또는 휠체어리프트 또는 경사로 등의 편의시설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220161호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평상시에는 계단으로 이용되다가 장애인 및 노약자의 휠체어, 유아의 유모차 등의 이동 보조장치 이동시 용이하고 안전하게 계단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경사로의 이용에 따른 불편함 및 위험성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657843호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계단 양측의 상,하단부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의 출몰작동에 따라 계단에 형성되는 틈새 사이로 하단의 경사로가 승강되면서 계단 및 경사로를 형성토록 하므로서, 휠체어 또는 유모차의 통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계단 형상에서 장애인 또는 유아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중증 장애인, 노약자 인 경우에는 그 경사면을 휠체어를 이용하여 오르기에 힘이 들어 다른 사람의 도움을 요청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운행에 따른 공간 확보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으로 경제적 손실도 증가되고, 계단을 이용하는 일반인들의 보행을 방해하거나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제되어 있으며 저속운행에 따른 대기 및 이송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220161호. 2. 등록특허공보 제10-0657843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인, 노약자, 아이를 위한 별도의 경사로 시공이 필요치 않아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협소한 장소에서도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여 경제성 및 생활의 편리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고, 무엇보다 일반인과 노약자 및 장애인 등 모든 사람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부에 따라 구동되는 가변승강부를 계단 형태에서 플랫폼 형태로 변환시킴은 물론 수직으로 승/하강시켜 가변승강부에 탑승한 탑승체가 상부 또는 하부 승강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변승강부에 탑승체가 탑승한 경우에는, 제1,2추락방지부를 작동하여 탑승체의 추락을 방지하며, 대기자 추락방지수단의 상/하부 안전문을 개폐하여 대기하고 있는 탑승체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바를 상/하부 고정스텝 및 계단판의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하부 고정스텝 및 계단판이 구동부에 의해 계단 또는 플랫폼으로 변환될 때 같은 각도로 절첩되고 펼쳐지도록 지지해주고, 계단 또는 플랫폼 형태로 변환된 후에도 견고히 지지해주어 형태를 유지시켜주어 원활한 작동을 하게 하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자 추락방지수단의 상/하부 안전문의 중량과 중량추의 중량이 같도록 구성함으로써 구동모터가 작은 힘으로도 상/하부 안전문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 전원에 의해 길이가 각각 신축되어 탑승체인 노약자나 장애우가 탑승한 휠체어 또는 유모차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상/하부 승강장(G1)(G2) 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구동부(100);
상기 다수의 구동부(100) 중 상부 승강장(G1) 측에 설치되는 양측 구동부(100)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100)의 승/하강이 안전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가이드부(200);
평상시에는 일반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계단 형태에서 상기 구동부(100)의 구동에 의해 상면이 평탄한 플랫폼 형태로 변화하여 상부에 탑승체가 탑승하면 승/하강되어 탑승체를 안전하게 이동시킨 후 다시 계단 형태로 원상복귀되는 가변승강부(300);
상기 가변승강부(300) 후측에 설치된 가이드부(200)에 장치하고, 탑승체의 탑승을 위해 가변승강부(300)가 상기 구동부(100)의 구동에 의해 계단 형태에서 상면이 평탄한 플랫폼 형태로 변화할 때에는 상부 승강장(G1)에서 대기하는 탑승체의 추락을 방지하는 대기자 추락방지수단(400);
상기 구동부(100)를 스위치 조작에 의해 구동시켜 상기 가변승강부(300)를 계단에서 플랫폼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100)는,
각각 상단에 연결구(111) 및 결합공(11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부지지관(120)이 고정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단이 고정되는 상/하부 고정스텝(130)(140)과,
상기 몸체(110)의 하방쪽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부지지관(120)에 삽입되는 하부지지관(150)과,
상기 하부지지관(150)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로드(161)가 상부지지관(120) 및 몸체(110)의 상단에 고정되어 2단 또는 3단으로 신축되는 전동 실린더(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200)는,
상기 가변승강부(300)의 후방으로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전면에는 수직으로 가이드레일(211)이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수직으로 가이드홈(212)이 형성되는 가이드봉(210)과,
양측 가이드봉(210)의 하부를 연결하고 양측 가이드봉(210)의 가이드홈(212)과 연통되는 삽입홈(221)이 형성되도록 전후로 일정간격을 가지며 나란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판(22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는 장애인, 노약자, 아이를 위한 별도의 경사로 시공이 필요치 않아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협소한 장소에서도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여 경제성 및 생활의 편리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고, 무엇보다 일반인과 노약자 및 장애인 등 모든 사람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부에 따라 구동되는 가변승강부를 계단 형태에서 플랫폼 형태로 변환시킴은 물론 수직으로 승/하강시켜 가변승강부에 탑승한 탑승체가 상부 또는 하부 승강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승강부에 탑승체가 탑승한 경우에는, 제1,2추락방지부를 작동하여 탑승체의 추락을 방지하며, 대기자 추락방지수단의 상/하부 안전문을 개폐하여 대기하고 있는 탑승체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바를 상/하부 고정스텝 및 계단판의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하부 고정스텝 및 계단판이 구동부에 의해 계단 또는 플랫폼으로 변환될 때 같은 각도로 절첩되고 펼쳐지도록 지지해주고, 계단 또는 플랫폼 형태로 변환된 후에도 견고히 지지해주어 형태를 유지시켜주어 원활한 작동을 하게 하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자 추락방지수단의 상/하부 안전문의 중량과 중량추의 중량이 같도록 구성함으로써 구동모터가 작은 힘으로도 상/하부 안전문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가변승강부가 계단형태로 변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제1추락방지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제2추락방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지지바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대기자 추락방지수단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 - B'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상/하부 안전문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5는 가변승강부가 플랫폼 형태로 변환되어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가변승강부가 플랫폼 형태로 변환되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는 구동부(100), 가이드부(200), 가변승강부(300), 대기자 추락방지수단(400),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동부(10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가변승강부(300)를 계단 형태에서 플랫폼 형태로 변환시킴은 물론 수직으로 승/하강시켜 가변승강부(300)에 탑승한 탑승체가 상부 또는 하부 승강장(G1)(G2)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외부 전원에 의해 길이가 각각 신축되어 탑승체인 노약자나 장애우가 탑승한 휠체어 또는 유모차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상/하부 승강장(G1)(G2) 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동부(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0), 상/하부 고정스텝(130)(140), 상/하부지지관(120)(150), 전동 실린더(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10)는 각각 상단에 연결구(111)가 돌출형성되며, 연결구(111)의 측방으로 몸체(110)의 상면에 결합공(112)이 형성된다. 몸체(1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부지지관(120)이 고정된다.
상/하부 고정스텝(130)(140)의 상면에는 몸체(110)의 하단이 고정된다.
하부지지관(150)은 몸체(110)의 하방쪽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부지지관(150)의 상단은 상부지지관(120)의 하단에 삽입된다.
전동 실린더(160)는 하부지지관(150) 내부에 설치된다. 전동 실린더(160)의 작동로드(161)는 상부지지관(120) 및 몸체(110)의 상단에 고정되어 2단 또는 3단으로 신축된다.
가이드부(200)는 구동부(100)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구동부(100) 중 상부 승강장(G1) 측에 설치되는 양측 구동부(100)와 연결, 설치되어 구동부(100)의 승/하강이 안전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200)는 가이드봉(210), 가이드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봉(210)은 가변승강부(300)의 후방으로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가이드봉(210)의 전면에는 수직으로 가이드레일(211)이 형성되어 핸드레일(310)의 연결구(111)의 롤러(113)가 끼워져 승/하강하게 된다. 가이드봉(210)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수직으로 가이드홈(212)이 형성된다.
가이드판(220)은 양측 가이드봉(210)의 하부를 연결하고 양측 가이드봉(210)의 가이드홈(212)과 연통되는 삽입홈(221)이 형성되도록 전후로 일정간격을 가지며 나란하게 설치된다. 가이드판(220)의 하부에는 스토퍼(222)를 장치하여 상/하부안전문(440)(450)의 하강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가이드판(220)의 삽입홈(221)에는 상/하부안전문(440)(450)이 삽입되고 상/하부안전문(440)(450)이 완전히 삽입되면 스토퍼(222)에 의해 멈추게 되며 가이드판(220)의 상면과 상/하부안전문(440)(450)의 상면이 일치하여 평면을 이루게 된다.
가변승강부(300)는 평상시에는 일반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계단 형태에서 상기 구동부(100)의 구동에 의해 상면이 평탄한 플랫폼 형태로 변화하여 상부에 탑승체가 탑승하면 승/하강되어 탑승체를 안전하게 이동시킨 후 다시 계단 형태로 원상복귀되어 일반인들과 탑승체인 노약자나 휠체어를 탄 장애우 및 유모차 등 모든 사람이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변승강부(300)는 한쌍의 핸드레일(310), 다수의 지지대(320), 다수의 계단판(330), 사이드프레임(340), 제1추락방지부(350), 제2추락방지부(360), 지지바(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핸드레일(310)은 한쌍이 양측에 구비되고, 핸드레일(3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레일홈(311)에는 몸체(110)의 연결구(111)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113)가 끼워져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핸드레일(310)의 후단에 형성된 연결구(111)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313)는 가이드봉(210)의 가이드레일(211)의 레일홈(211a)에 끼워져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지지대(320)는 다수를 구비하여 상/하부 고정스텝(130)(140) 사이에 설치한다. 지지대(320)의 상단에는 돌출봉(321)이 형성되어 핸드레일(310)의 레일홈(311)에 끼워진다.
계단판(330)은 다수를 구비하여 지지대(320)의 하단에 고정되어 구동부(100)의 구동에 따라 계단 또는 플랫폼으로 변환된다.
사이드프레임(340)의 전단에는 바퀴(341)가 설치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레일(342)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고, 사이드프레임(340)은 상/하부 고정스텝(130)(140)의 양단 및 계단판(330)의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추락방지부(350)는 하부 고정스텝(140)의 전방에 설치되어 탑승체의 추락을 1차로 방지한다.
제2추락방지부(360)는 하부 고정스텝(140)의 상면에 설치된 몸체(110)에 장치되어 탑승체의 추락을 2차로 방지한다.
지지바(370)는 상/하부 고정스텝(130)(140) 및 계단판(330)의 양단의 후미에 형성되는 설치홈(37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부(100)의 구동에 따라 계단으로 변환될 때 상/하부 고정스텝(130)(140) 및 계단판(330)이 계단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해준다. 즉, 지지바(370)는 상/하부 고정스텝(130)(140) 및 계단판(330)이 구동부(100)에 의해 계단 또는 플랫폼으로 변환될 때 같은 각도로 절첩되고 펼쳐지도록 지지해주고 계단 또는 플랫폼 형태로 변환된 후에도 견고히 지지해주어 형태를 유지시켜주어 원활한 작동을 하게 하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제1추락방지부(350)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락방지스텝(351), 실린더(352), 링크(353), 센서(S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추락방지스텝(351)은 하부 고정스텝(140)의 전방측에 설치된다. 추락방지스텝(351)의 양단의 회전축(351a)은 양측 사이드프레임(3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실린더(352)는 양측 사이드프레임(340)의 전단에 각각 설치된다.
링크(353)는 실린더(352)의 작동로드(352a)와 추락방지스텝(351)의 회전축(351a)을 연결한다. 그리하여, 실린더(352)의 작동로드(352a)의 작동에 의해 링크(353) 및 회전축(351a)이 일정 반경으로 회전하게 되며 추락방지스텝(351)이 일정 반경으로 회전되어 탑승체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즉, 가변승강부(300)가 플랫폼 형태로 변환되어 탑승체가 탑승하면 추락방지스텝(351)의 전단을 상측으로 회전시켜서 탑승체의 추락을 방지하게 되고, 가변승강부(300)가 계단 형태로 변환되면 추락방지스텝(351)의 전단을 하측으로 회전시켜서 하부 고정스텝(140)과 나란한 상태로 해준다.
센서(S1)는 실린더(352)의 작동로드(352a) 전방측에 설치되어 작동로드(352a)의 신축길이를 제한한다.
제2추락방지부(360)는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361), 추락방지대(362), 링크(363), 센서(S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린더(361)는 구동부(100) 중 하부 승강장(G2) 측에 설치되는 전측 몸체(110)에 장치된다.
추락방지대(362)는 상단에 형성된 회전축(362a)에 의해 전측 몸체(110)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치된다.
링크(363)는 실린더(361)의 작동로드(361a)와 추락방지대(362)의 회전축(362a)을 연결한다. 그리하여, 실린더(361)의 작동에 의해 추락방지대(362)를 일정 반경으로 회전시켜 탑승체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즉, 가변승강부(300)가 플랫폼 형태로 변환되어 탑승체가 탑승하면 추락방지대(362)를 측방으로 회전시켜서 탑승체의 추락을 방지하게 되고, 가변승강부(300)가 계단 형태로 변환되면 추락방지대(362)를 하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센서(S2)는 실린더(361)의 작동로드(361a) 상측에 설치되어 작동로드(361a)의 신축길이를 제한한다.
대기자 추락방지수단(400)은 가변승강부(300) 후측에 설치된 가이드부(200)에 장치한다. 대기자 추락방지수단(400)은 탑승체의 탑승을 위해 가변승강부(300)가 구동부(100)의 구동에 의해 계단 형태에서 상면이 평탄한 플랫폼 형태로 변화할 때에는 상부 승강장(G1)에서 대기하는 탑승체 및 일반인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대기자 추락방지수단(400)은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410), 구동풀리(420), 와이어(430), 상/하부 안전문(440)(450), 중량추(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모터(410)는 가이드봉(210)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다.
구동풀리(420)는 구동모터(410)의 구동축(411)에 설치된다.
와이어(430)는 구동풀리(420)에 회동가능하게 걸쳐지고, 와이어(430)의 일단은 상부 안전문(440)에 연결되고 와이어(430)의 타단은 중량추(460)에 연결된다.
상부 안전문(440)은 가이드봉(210)의 가이드홈(212)에 양측이 끼워지고, 상부 안전문(440)의 상면의 양측에는 와이어(430)의 일단이 연결되어 구동모터(410) 및 와이어(430)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한다. 상부 안전문(440)의 상단에는 가로로 걸림돌부(441)가 돌출형성되며, 걸림돌부(44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안내봉(442)이 돌출형성되어 안내봉(442)이 하부 안전문(450)의 상단에 삽입, 결합되어 슬라이드된다.
하부 안전문(450)의 상단의 양측에는 상부 안전문(440)의 안내봉(442)의 하단이 결합되어 슬라이드되고, 하부 안전문(450)은 상부 안전문(440)과 함께 승/하강한다. 이때, 상/하부 안전문(440)(450)을 개방할 경우에는 구동모터(410) 및 와이어(430)에 의해 상/하부 안전문(440)(450)이 가이드판(220)의 삽입홈(221)으로 하강하게 되고, 하부 안전문(450)이 가이드판(220)의 삽입홈(221) 하단의 스토퍼(222)에 의해 더이상 하강하지 않게 되면 상부 안전문(440)이 안내봉(442)을 따라 하강하여, 상/하부 안전문(440)(450)의 상면이 가이드판(220)의 상면과 일치하면서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중량추(460)는 상부 안전문(440)에 연결된 와이어(430)의 반대쪽 와이어(430)의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양측 중량추(460)의 중량의 합은 상/하부 안전문(440)(450)의 중량의 합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하부 안전문(440)(450)의 중량과 중량추(460)의 중량이 같아져서 구동모터(410)가 작은 힘으로도 상/하부 안전문(440)(450)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제어부(미도시)는 구동부(100)를 스위치 조작에 의해 구동시켜 가변승강부(300)를 계단에서 플랫폼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는 제1,2추락방지부 및 대기자 추락방지수단(400)을 제어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가변승강부(300)가 계단 형태로 변환되고 대기자 추락방지수단(400)의 상/하부 안전문(440)(450)이 하강하여 개방된 상태가 되어 일반인이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게 된다.
탑승체인 노약자나 장애우가 탑승한 휠체어 또는 유모차가 탑승을 원하게 되면,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승강부(300)가 플랫폼 형태로 변환되어 상/하부 승강장(G1)(G2) 사이를 수직으로 승/하강하여 탑승체를 안전하게 상부 승강장(G1)에서 하부 승강장(G2)으로 또는 하부 승강장(G2)에서 상부 승강장(G1)으로 이송해주게 된다. 이때, 대기자 추락방지수단(400)을 작동하여 상/하부 안전문(440)(450)을 개폐하여 상부 승강장(G1)에서 대기하고 있는 탑승체나 일반인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는 장애인, 노약자, 아이를 위한 별도의 경사로 시공이 필요치 않아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협소한 장소에서도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여 경제성 및 생활의 편리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고, 무엇보다 일반인과 노약자 및 장애인 등 모든 사람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부에 따라 구동되는 가변승강부(300)를 계단 형태에서 플랫폼 형태로 변환시킴은 물론 수직으로 승/하강시켜 가변승강부(300)에 탑승한 탑승체가 상부 또는 하부 승강장(G1)(G2)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승강부에 탑승체가 탑승한 경우에는, 제1,2추락방지부를 작동하여 탑승체의 추락을 방지하며, 대기자 추락방지수단의 상/하부 안전문을 개폐하여 대기하고 있는 탑승체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바를 상/하부 고정스텝 및 계단판의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하부 고정스텝 및 계단판이 구동부에 의해 계단 또는 플랫폼으로 변환될 때 같은 각도로 절첩되고 펼쳐지도록 지지해주고, 계단 또는 플랫폼 형태로 변환된 후에도 견고히 지지해주어 형태를 유지시켜주어 원활한 작동을 하게 하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자 추락방지수단의 상/하부 안전문의 중량과 중량추의 중량이 같도록 구성함으로써 구동모터가 작은 힘으로도 상/하부 안전문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구동부 110 : 몸체
120 : 상부지지관 130 : 상부 고정스텝
140 : 하부 고정스텝 150 : 하부지지관
160 : 전동 실린더 200 : 가이드부
210 : 가이드봉 220 : 가이드판
300 : 가변승강부 310 : 핸드레일
320 : 지지대 330 : 계단판
340 : 사이드프레임 350 : 제1추락방지부
360 : 제2추락방지부 370 : 지지바
400 : 대기자 추락방지수단 410 : 구동모터
420 : 구동풀리 430 : 와이어
440 : 상부 안전문 450 : 하부 안전문
460 : 중량추

Claims (6)

  1. 외부 전원에 의해 길이가 각각 신축되어 탑승체인 노약자나 장애우가 탑승한 휠체어 또는 유모차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상/하부 승강장(G1)(G2) 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구동부(100);
    상기 다수의 구동부(100) 중 상부 승강장(G1) 측에 설치되는 양측 구동부(100)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100)의 승/하강이 안전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가이드부(200);
    평상시에는 일반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계단 형태에서 상기 구동부(100)의 구동에 의해 상면이 평탄한 플랫폼 형태로 변화하여 상부에 탑승체가 탑승하면 승/하강되어 탑승체를 안전하게 이동시킨 후 다시 계단 형태로 원상복귀되는 가변승강부(300);
    상기 가변승강부(300) 후측에 설치된 가이드부(200)에 장치하고, 탑승체의 탑승을 위해 가변승강부(300)가 상기 구동부(100)의 구동에 의해 계단 형태에서 상면이 평탄한 플랫폼 형태로 변화할 때에는 상부 승강장(G1)에서 대기하는 탑승체의 추락을 방지하는 대기자 추락방지수단(400);
    상기 구동부(100)를 스위치 조작에 의해 구동시켜 상기 가변승강부(300)를 계단에서 플랫폼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100)는,
    각각 상단에 연결구(111) 및 결합공(11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부지지관(120)이 고정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단이 고정되는 상/하부 고정스텝(130)(140)과,
    상기 몸체(110)의 하방쪽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부지지관(120)에 삽입되는 하부지지관(150)과,
    상기 하부지지관(150)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로드(161)가 상부지지관(120) 및 몸체(110)의 상단에 고정되어 2단 또는 3단으로 신축되는 전동 실린더(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200)는,
    상기 가변승강부(300)의 후방으로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전면에는 수직으로 가이드레일(211)이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수직으로 가이드홈(212)이 형성되는 가이드봉(210)과,
    양측 가이드봉(210)의 하부를 연결하고 양측 가이드봉(210)의 가이드홈(212)과 연통되는 삽입홈(221)이 형성되도록 전후로 일정간격을 가지며 나란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변승강부(300)는,
    내부에 형성되는 레일홈(311)에는 상기 몸체(110)의 연결구(111)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113)가 끼워져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고, 후단에 형성된 연결구(111)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313)는 가이드봉(210)의 가이드레일(211)의 레일홈(211a)에 끼워져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한쌍의 핸드레일(310)과,
    상기 상/하부 고정스텝(130)(140) 사이에 설치되고 상단에 돌출봉(321)이 형성되어 핸드레일(310)의 레일홈(311)에 끼워지는 다수의 지지대(320)와,
    상기 지지대(320)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부(100)의 구동에 따라 계단 또는 플랫폼으로 변환되는 다수의 계단판(330)과,
    전단에는 바퀴(341)가 설치되고, 상/하부 고정스텝(130)(140)의 양단 및 계단판(330)의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이드프레임(340)과,
    상기 하부 고정스텝(140)의 전방에 설치되어 탑승체의 추락을 1차로 방지하는 제1추락방지부(350)와,
    상기 하부 고정스텝(140)의 상면에 설치된 몸체(110)에 장치되어 탑승체의 추락을 2차로 방지하는 제2추락방지부(360)와,
    상기 상/하부 고정스텝(130)(140) 및 계단판(330)의 양단의 후미에 형성되는 설치홈(37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100)의 구동에 따라 계단으로 변환될 때 상/하부 고정스텝(130)(140) 및 계단판(330)이 계단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해주는 지지바(3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추락방지부(350)는,
    상기 하부 고정스텝(140)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양단의 회전축이 양측 사이드프레임(3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추락방지스텝(351)과,
    양측 사이드프레임(340)의 전단에 각각 설치되는 실린더(352)와,
    상기 실린더(352)의 작동로드(352a)와 추락방지스텝(351)의 회전축(351a)을 연결하는 링크(35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실린더(352)의 작동에 의해 추락방지스텝(351)이 일정 반경으로 회전되어 탑승체의 추락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추락방지부(360)는,
    상기 구동부(100) 중 하부 승강장(G2) 측에 설치되는 전측 몸체(110)에 장치되는 실린더(361)와,
    상단에 형성된 회전축(362a)에 의해 전측 몸체(110)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치되는 추락방지대(362)와,
    상기 실린더(361)의 작동로드(361a)와 추락방지대(362)의 회전축(362a)을 연결하는 링크(36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실린더(361)의 작동에 의해 추락방지대(362)를 일정 반경으로 회전시켜 탑승체의 추락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자 추락방지수단(400)은,
    상기 가이드봉(210)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모터(410)와,
    상기 구동모터(410)의 구동축(411)에 설치되는 구동풀리(420)와,
    상기 구동풀리(420)에 회동가능하게 걸쳐지는 와이어(430)와,
    상기 가이드봉(210)의 가이드홈(212)에 양측이 끼워지고, 상면의 양측에는 와이어(430)의 일단이 연결되어 구동모터(410) 및 와이어(430)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하며, 상단에는 가로로 걸림돌부(441)가 돌출형성되며, 걸림돌부(44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안내봉(442)이 돌출형성되는 상부 안전문(440)과,
    상단의 양측에는 상부 안전문(440)의 안내봉(442)의 하단이 결합되어 슬라이드되고 상부 안전문(440)과 함께 승/하강하는 하부 안전문(4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안전문(440)에 연결된 와이어(430)의 반대쪽 와이어(430)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중량추(4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양측 중량추(460)의 중량의 합은 상/하부 안전문(440)(450)의 중량의 합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6. 삭제
KR1020190150204A 2019-11-21 2019-11-21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KR102153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204A KR102153477B1 (ko) 2019-11-21 2019-11-21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204A KR102153477B1 (ko) 2019-11-21 2019-11-21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477B1 true KR102153477B1 (ko) 2020-09-08

Family

ID=7245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204A KR102153477B1 (ko) 2019-11-21 2019-11-21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47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499B1 (ko) * 2021-04-30 2022-02-18 주식회사 유디센터 휠체어 리프트
KR20220045408A (ko) * 2020-10-05 2022-04-12 (주) 제이디피이에스 계단 리프트 장치
KR20220056392A (ko) * 2020-10-28 2022-05-06 주충호 이동식 휠체어 리프트
KR20220061326A (ko) 2020-11-05 2022-05-13 (주)신우 프론티어 휠체어 리프트용 추락방지장치
KR20220061325A (ko) 2020-11-05 2022-05-13 (주)신우 프론티어 계단 겸용 휠체어리프트의 편하중에 의한 과부하 감지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20220068447A (ko) 2020-11-19 2022-05-26 박성호 노약자를 위한 계단 리프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843B1 (ko) 2006-09-27 2006-12-15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101090782B1 (ko) * 2011-04-29 2011-12-08 (주)신우 프론티어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1220161B1 (ko) 2012-05-03 2013-01-11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843B1 (ko) 2006-09-27 2006-12-15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101090782B1 (ko) * 2011-04-29 2011-12-08 (주)신우 프론티어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1220161B1 (ko) 2012-05-03 2013-01-11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408A (ko) * 2020-10-05 2022-04-12 (주) 제이디피이에스 계단 리프트 장치
KR102517284B1 (ko) * 2020-10-05 2023-04-03 (주) 제이디피이에스 계단 리프트 장치
KR20220056392A (ko) * 2020-10-28 2022-05-06 주충호 이동식 휠체어 리프트
KR102423522B1 (ko) 2020-10-28 2022-07-20 주충호 이동식 휠체어 리프트
KR20220061326A (ko) 2020-11-05 2022-05-13 (주)신우 프론티어 휠체어 리프트용 추락방지장치
KR20220061325A (ko) 2020-11-05 2022-05-13 (주)신우 프론티어 계단 겸용 휠체어리프트의 편하중에 의한 과부하 감지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20220068447A (ko) 2020-11-19 2022-05-26 박성호 노약자를 위한 계단 리프트 장치
KR102364499B1 (ko) * 2021-04-30 2022-02-18 주식회사 유디센터 휠체어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477B1 (ko)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KR101090782B1 (ko)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US10399822B2 (en) Hydraulic elevating platform having no guide rails and elevating method
US5937971A (en) Convertible lift mechanism
KR101220161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
CN109476454B (zh) 用于克服高度差的移动辅助设备
KR100689065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100936020B1 (ko) 저상식 휠체어 리프트
KR20200101698A (ko) 계단 겸용 리프트
JP2007022751A (ja) エレベータ連絡階段における着座手段の移動装置
CN206645674U (zh) 双面滑道式楼梯升降装置
KR102068931B1 (ko)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WO2013091097A1 (en) Lifting staircase assembly
KR20190108528A (ko)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CN210682922U (zh) 多层住宅双立柱上驱动扶墙改造电梯
CA2530552A1 (en) Convertible lift assembly
CN213569005U (zh) 智能感应楼梯
CN219489293U (zh) 一种设于楼道单侧的爬楼机及驱动机构
CN213894835U (zh) 一种行动不便人员使用的升降机
KR102499849B1 (ko) 무대 리프트 겸용 가변식 계단장치
KR100653213B1 (ko) 공동주택용 가변형 계단 구조
KR100428438B1 (ko) 장애인용 승강기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364499B1 (ko) 휠체어 리프트
CN211622342U (zh) 一种多功能组合式安全楼梯
CN210366505U (zh) 一种共享式便捷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