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528A -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 Google Patents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528A
KR20190108528A KR1020190109402A KR20190109402A KR20190108528A KR 20190108528 A KR20190108528 A KR 20190108528A KR 1020190109402 A KR1020190109402 A KR 1020190109402A KR 20190109402 A KR20190109402 A KR 20190109402A KR 20190108528 A KR20190108528 A KR 20190108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rcase
lift
unit
stairs
st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민
Original Assignee
김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민 filed Critical 김동민
Priority to KR1020190109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8528A/ko
Publication of KR20190108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5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4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부로 출입하기 위해 설치되는 계단을 바닥과 수평하도록 설치된 구동부와 계단부를 연결하여 계단을 사용할때는 계단형태로 존재 하고, 리프트를 사용할 때에는 계단을 계단함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리프트 사용을 가능하게 해주어 장애우가 이용하는 휠체어 및 유모차 등이 탑승한 후 상부 승강장까지 안전하게 상승하도록 하고, 탑승체가 하차하면 다시 계단을 계단함 밖으로 나오게 하여 평상시에는 다시 계단을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며 무대, 단상 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장애우는 물론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어 장애우를 위한 편의시설에 대한 혐오 또는 편견또한 줄일수 있는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Space Utilization Lift Stairing Unit}
본 발명은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 혹은 단상 위로 오르기 위해 설치되는 계단부를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계단부가 계단함 안으로 들어가게 하여 기존의 계단이 있던 공간을 활용하여 리프트부에 장애우, 노약자 혹은 유모차 등이 탑승한 후 리프트부가 상승하여 단상, 무대를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며, 하차시 리프트부를 하강시키고 다시 계단을 계단함 밖으로 나오게 하여 계단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시켜 줌으로써, 일반인이나 노약자, 휠체어 및 유모차 등이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어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일반인 이나 약자들 모두의 이동권을 보장할 수 있는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계단은 건물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된 장소에 시공되는 것으로서, 층계라고도 하며 높이가 다른 두 바닥면을 연결하거나 침수에 대비하여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 단차를 두어 시공되는 건물과 지면 사이에 시공되는 단형의 통로이다.
이러한 계단은 일반인들이 주로 이용하게 되는데, 휠체어, 유모차 등은 이용이 불가능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해 리프트를 많이 설치하고 있으나 기존의 리프트와 같은 경우에는 계단과는 별개로 또 다른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공간 확보가 어려워 리프트를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는 계단을 사용할때는 구동부의 작동으로 계단이 계단함 밖으로 나오도록 하고 계단을 사용하지 못할 때에는 계단함으로 들어가게 하여 확보한 공간에서 리프트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일반인과 노약자, 휠체어 및 유모차 등이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리프트부의 사용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계단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탑승체인 노약자나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이 탑승하여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프트부와; 리프트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리프트부 미사용시 계단의 형태로 존재하는 계단부와; 외부 스위치 조작에 의해 구동부를 구동시켜 계단부를 이동시키고 리프트부를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계단부의 하층계단과 계단함에 연결 설치되며 고정되어 길이가 신축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단부의 각각의 계단에는 이동을 공유하고, 계단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이드, 상부, 하부 고정스텝이 존재하고, 리프트부의 사용시 각각의 계단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계단함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계단 안쪽에는 계단의 이동시에 마찰과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각각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부 전원에 의해 길이가 신축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 설치되어 리프트부 사용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계단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건물의 단차진 상/하부 승강장에 설치하되, 상기 계단부가 일반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계단형태로 설치되어 작동 대기하고 있는 제 1단계와; 상/하부 승강장에 탑승체가 도착하여 제어부를 조작하면 상기 계단부의 하층계단에 연결, 설치 되는 구동부의 구동으로 인해 하층 계단이 이동하고 각각의 계단에 설치된 고정스텝에 의하여 하층계단과 중,상층 계단이 이동을 공유하여 계단함 안으로 이동하여 리프트부의 작동 공간을 확보하는 제 2단계와; 계단부가 확보한 리프트부의 공간에 탑승체가 탑승하여 승/하강을 하도록 하는 제 3단계와; 탑승체의 승하강 완료후 다시 작동대기 상태로 이동하기 위하여 리프트부가 하강하도록 하는 제 4단계와; 리프트부의 하강 완료후 제어부의 스위치 조작으로 구동부의 이동을 통하여 다시 계단부를 계단함 밖으로 이동시켜 계단을 이용하며 대기상태로 존재하는 제 5단계;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장애우를 위한 별도의 경사로 시공이 필요치 않아 시공비절감은 물론 기존의 무대, 단상등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고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일반인과 노약자, 장애우 등 모든 사람이 간편하고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부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미사용 전환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미사용 상태를 도시해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부의 상승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의 작동방법을 도시해 보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는 구동부(100)와 계단부(200), 리프트부(300) 및 제어부(400)로 크게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00)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계단부(200)를 계단함 안으로 이동 시키고 리프트부 (300)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리브트부(300)가 제어부(400)의 스위치 조작으로 인해 탑승체인 노약자나 장애우가 탑승한 휠체어 또는 유모차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계단부(200)를 바닥면과 수평하도록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계단부(200)에서 각각의 계단이 이동을 공유하기 위해서 하층계단(201)의 상부에 계단 상부 고정 스텝(205)을 설치하여 하층계단 이동시 중층계단(202)의 계단 안쪽 계단 하부 고정 스텝(206)과 접촉하여 이동을 공유하고 중층계단(202)의 계단 상부 고정 스텝(205)이 상층계단(203)의 계단 하부 고정 스텝(206)과 접촉하게되어 상, 중, 하층계단이 이동을 공유하게 되도록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계단 사용 형태일때 계단부(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계단 끝쪽에는 계단 사이드 고정 스텝(204)이 설치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구성품이 건물의 단차진 부분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의 작동방법은 제 1 내지 제 5단계(S100)~(S500) 에 의해 계단부(200)와 리프트부(30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단계(S100)는 평상시 일반인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계단부(200)가 계단 형태로 존재하여 작동을 준비하고 있는 단계로서,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길이가 신축되는 구동부(100)와, 상기 구동부(100)는 연결고리(101)로 인해 하층계단(201)과 연결, 설치되어 계단의 형태로 존재하여 작동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단계(S200)는 기존의 계단의 형태로 존재하던 계단부(200)를 계단미사용 형태로 전환하는 단계로서, 제어부(400)의 조작에 의해 구동부(100)의 길이가 축소되고 하층계단(201)이 중층계단(202), 상층계단(203)과 상, 하부 고정스텝 (205,206)으로 인해 이동을 공유하여 계단함(208)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3단계(S300)는 구동부(100)의 이동으로 인해 계단부(200)가 완전히 계단함(208)안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탑승체가 리프트부(300)으로 탑승하고 제어부(400)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승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4단계(S400)는 상승한 리프트부(300)가 도착점에 도착한 후 계단 사용 형태로 돌아가기 위한 단계로서, 위하여 리프트부(300)가 다시 바닥으로 하강 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 5단계(S500)는 상기 제 1단계(S100)의 대기 상태로 원상복귀 되는 단계로서, 계단함(208) 안쪽에서 대기하고 있던 하층계단(201)이 구동부의 동작으로 인해 계단함 밖으로 나오게 되고 이동을 공유한 중층계단(202)과 상층계단(203)또한 계단함(208)밖으로 나와 일반인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적용하여 이미 설치된 계단 혹은 설치될 계단을 교체한다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많은 비용이 절감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당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적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다.
100 : 구동부 101 : 연결고리
200 : 계단부 201 : 하층계단
202 : 중층계단 203 : 상층계단
204 : 계단 사이드 고정 스텝 205 : 계단 상부 고정 스텝
206 : 계단 하부 고정 스텝 207 : 계단 바퀴
208 : 계단함 300 : 리프트부
400 : 제어부
S100 ~ S500 : 제 1단계 ~ 제 5단계

Claims (7)

  1. 외부 전원에 의해 길이가 신축되어 계단부(200)를 계단함(208)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층계단(201)과 연결고리(101)로 연결된 구동부(100)와;

    계단형태일때 사람들이 오르내릴수 있도록 하는 계단부(200)와;

    탑승체가 탑승하여 이동시키는 리프트부(300)와;

    상기 구동부(100)를 스위치 조작에 의해 구동시켜 상기 계단부(200)를 계단사용 형태에서 계단 미사용 형태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고 리프트부(300)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00)는 하층계단(201) 안쪽에 연결고리(101)로 인하여 결합되어 길이가 신축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부(200)는 하층계단(201), 중층계단(202), 상층계단(203), 계단 바퀴(207), 계단함(20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부(200)의 하층계단(201), 중층계단(202), 상층계단(203)은 각각의 계단에 계단 상부 고정 스텝(205) 계단 하부 고정 스텝(206)으로 인하여 움직임을 공유하게 되고, 각각의 계단 안쪽에는 자유회전 하는 계단 바퀴(207)가 존재하여 각각의 계단의 마찰과 소음을 줄여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함(208)에서 상, 중, 하층계단(201,202,203)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대비하기 위하여 계단사이드 고정 스텝(204)을 각각의 계단 끝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버튼을 조작하여 구동부(100)을 신축 시킬수 있도록 하는 IN, OUT 버튼과 리프트부(300)를 승/하강 시킬수 있도록 하는 UP, DOWN 버튼과 비상시 사용하여 정지 하도록 할 수 있는 비상정지 버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7.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길이가 신축되는 구동부(100)와 상기 구동부(100)와 연결, 설치되어 계단부(200)의 하층계단(201)과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고리(101)이 존재하고, 계단부(200)의 하층계단(201)과 연결고리(101)가 연결되어 제어부(400)의 조작으로 인하여 구동부(100)와 계단부(200)가 움직임을 공유하도록 하고, 계단부(200)가 계단함(208) 밖에서 대기하는 계단 사용 형태인 제 1단계(S100)와;
    계단 미사용 형태로 전환하기 위해 제어부(400)의 조작으로 인해 구동부(100)가 작동하여 하층계단(201)을 이동시고 하층계단(201)의 계단 상부 고정스텝(205)이 중층계단(202)의 계단 하부 고정스텝(206)과 접촉하여 이동을 공유하고, 중층계단(202)의 계단 상부 고정 스텝(205)과 상층계단(203)의 계단 하부 고정 스텝(206)이 접촉해 각각의 계단이 이동을 공유하게 되어 계단함(208) 안으로 이동, 리프트부(300)의 작동 공간을 확보하도록 계단 미사용 형태로 전환하는 형태인 제 2단계(S200)와;
    구동부(100)의 동작으로 공간을 확보하여 탑승체가 리프트부(300)에 탑승하고, 리프트부(300)가 상승하여 탑승체를 목적지까지 이동시켜주는 형태인 제 3단계(S300)와;
    목적지에 도착한 탑승체가 하차를 하고 다시 계단 사용형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리프트부(300)가 하강 하는 형태인 제 4단계(S400)와;
    리프트부(300)의 하강이 끝나고 계단 사용형태로의 전환을 위해 제어부(400)의 조작으로 인해 구동부(100)의 길이가 신장하게 되고 하층계단(201)과 이동을 공유하게 된 각각의 계단이 계단함(208)밖으로 나와 계단 사용형태로 작동을 대기하는 형태인 제 5단계(S5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의 작동방법.
KR1020190109402A 2019-09-04 2019-09-04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KR201901085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402A KR20190108528A (ko) 2019-09-04 2019-09-04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402A KR20190108528A (ko) 2019-09-04 2019-09-04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528A true KR20190108528A (ko) 2019-09-24

Family

ID=68068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402A KR20190108528A (ko) 2019-09-04 2019-09-04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85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834B1 (ko) 2019-12-16 2020-06-03 신명진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
KR102252381B1 (ko) * 2021-01-18 2021-05-14 (주)지앤디산업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834B1 (ko) 2019-12-16 2020-06-03 신명진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
KR102252381B1 (ko) * 2021-01-18 2021-05-14 (주)지앤디산업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782B1 (ko)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US5937971A (en) Convertible lift mechanism
CN109476454B (zh) 用于克服高度差的移动辅助设备
KR101220161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
KR102153477B1 (ko)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KR100657843B1 (ko)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100689065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20190108528A (ko)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KR20200101698A (ko) 계단 겸용 리프트
JP2007022751A (ja) エレベータ連絡階段における着座手段の移動装置
JP2011509898A (ja) エスカレータ
JP3074559B2 (ja) エレベーターを備えた歩道橋
KR101389997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TWI531706B (zh) 樓梯輔助升降總成結構
KR20190077250A (ko) 공간 활용형 계단 장치
KR20190086632A (ko) 공간 절약형 계단 장치
KR102499849B1 (ko) 무대 리프트 겸용 가변식 계단장치
CN211169420U (zh) 一种加装电梯轮椅进入错层楼道折叠平台及升降系统
JP3612467B2 (ja) 階段通路設備
RU2268694C1 (ru)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нвалидного кресла-коляски по лестничным переходам
CN212174205U (zh) 一种多楼层循环高效运输自动扶梯
JPH0326677A (ja) 仮設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JP2001122573A (ja) 昇降階段機構
JP2007145546A (ja) 昇降システム
EP1466854A1 (en) Wheelchair lift access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