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161B1 -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 - Google Patents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161B1
KR101220161B1 KR1020120046685A KR20120046685A KR101220161B1 KR 101220161 B1 KR101220161 B1 KR 101220161B1 KR 1020120046685 A KR1020120046685 A KR 1020120046685A KR 20120046685 A KR20120046685 A KR 20120046685A KR 101220161 B1 KR101220161 B1 KR 101220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rcase
variable
stairs
delete delete
disa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3490A (ko
Inventor
김연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20046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161B1/ko
Publication of KR20120053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04F11/06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E04F11/068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041Treads having means to adjust the height, the depth and/or the slope of the stair ste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계단으로 이용되다가 장애인 및 노약자의 휠체어, 유아의 유모차 등의 이동 보조장치 이동시 용이하고 안전하게 계단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트 겸용의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변 계단, 승·하강수단, 작동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보조 인력이 불필요하고,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경사로의 이용에 따른 불편함 및 위험성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 {hybrid lift-stairs for a disabled person and a baby and transferring method of movement assisting device by it}
본 발명은 계단 겸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평상시에는 계단으로 이용되다가 장애인 또는 노약자가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의 이동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계단을 오르거나 내려가고자 할 때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해 이용되는 휠체어나 유아를 위한 유모차 등의 경우에는 계단을 통한 이동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장애인, 노약자 및 임산부의 편익을 위한 시설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상기 휠체어나 유모차 등을 위해 관공서 등의 공공기관, 기타 공공건물, 공중 이용시설 및 공동주택 등에는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장애인용 승강기 또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 또는 휠체어리프트 또는 경사로 등의 편의시설을 구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장애인용 승강기,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 등은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함은 물론 별도의 추가비용이 크게 요구되고, 휠체어리프트는 유모차 등의 경우 보호자가 동시에 이용하기 어렵고 이동의 안정성 및 작동의 불편이 야기되며, 경사로는 휠체어 등의 안전한 이동을 위하여 그 경사면이 완만하여야 하므로 공간적 제약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 계단을 이용하여 휠체어 등의 이동 보조기구가 통행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2004년 10월 21일 출원된 등록실용신안 20-0373370호의 "휠체어용 계단 보조구"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체어용 계단 보조구"는 좌우 한쌍의 측면가드(10) 내측에 양측 롤러지지수단(20)이 결합되고 이 양측 롤러지지수단(20)의 사이에 다수의 롤러(40)가 설치됨으로써, 경사로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비교적 적은 수의 계단을 휠체어가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롤러(40)로 역지베어링을 이용하여 경사로에서 휠체어가 뒤로 밀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휠체어의 통행이 없는 평상시 상기 계단 보조구를 보관하는 문제가 있고, 휠체어의 통행시 타인의 도움이 있어야 상기 계단 보조구를 이용하여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경사면과 계단을 일체화시켜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계단으로서 역할을 하다가 휠체어의 이동 등 필요시 상기 계단이 경사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발명이 제안된 바 있다. 2011년 8월 9일 출원된 등록특허 제10-1105596호의 "경사로를 겸할 수 있는 건축용 계단구조"는 상측에 요철경사면(32)을 갖고 좌우측면이 자기윤활층으로 피복된 복수의 경사플랫바(30)를 일정한 간격(T)을 두고 계단상부슬래브(20)와 계단하부슬래브(22)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하고, 계단형태의 디딤부(42)와 챌부(44)를 갖는 평판형태의 승강플랫계단(40)을 경사플랫바(30) 사이사이에 설치하되 그 하단부에 형성된 축결합부(46)(48)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샤프트에 의해 연결하며, 경사플랫바(30)의 하단부에 형성된 링크결합부(34)(36)와 승강플랫계단(40)의 축결합부(46)(48)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평행링크(60)(62)로 연결하고, 경사플랫바(30)와 승강플랫계단(40) 사이에 유압실린더(70)를 클레비스(clevis) 형태로 연결하고, 평행링크(60)(62)의 하단부에 걸리는 오목한 하강멈춤턱을 승강플랫계단(40)의 하단부에 형성하고, 경사플랫바(30)의 하단부에 걸리는 상승스토퍼(49)를 승강플랫계단(40)의 하단부에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등록특허는 경사로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계단과 경사면을 간단한 동작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사플랫바의 상단부에 형성된 요철경사면에 의해 경사로 이용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경사로의 기울기를 변경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휠체어 등의 이동 보조장치가 별도의 도움 없이 저지에서 고지로 올라가는 것이 매우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로 움직이는 가변 계단과 상기 가변 계단을 움직이게 하는 승·하강수단 및 작동수단을 이용하여 계단 기능과 휠체어 등의 리프트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가변 계단이 리프트로 이용될 때 수평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용이하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개의 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이 디딤판 및 막음판을 포함하는 가변 계단과, 상기 가변 계단의 각 단이 개별적으로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승·하강수단과, 상기 승·하강수단을 동작시키는 작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 계단은 상기 승·하강수단에 의해 일정한 높이의 수평면을 이룰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하강수단은 유압식 실린더, 접이식 자바라, 스크류식 동력전달장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 계단은 안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수단은 가드 펜스, 미끄럼 방지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동수단은 위치인식 센서, 푸쉬 버튼, 음성인식 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동수단은 수동 작동을 위한 조작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동수단은 음성, 신호음, 빛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한 작동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a) 각 단이 개별적으로 상, 하로 움직일 수 있는 가변 계단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계단의 지정된 위치로 이동 보조장치를 옮기는 단계;
b) 하이브리드 계단에 구비된 작동수단으로 승·하강수단을 동작시켜서 상기 가변 계단의 각 단이 상기 가변 계단 중에서 이동 보조장치가 위치한 단과 동일한 높이의 수평면을 이루는 단계;
c) 승·하강수단에 의해 상기 가변 계단이 수평면을 유지하며 승강 또는 하강하는 단계;
d) 상기 가변 계단의 각 단이 계단으로서의 각자 위치로 돌아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을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단계와 c)단계 사이에는 안전수단이 동작하여 상기 가변 계단에서의 이동 보조장치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을 이용한 이동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계단으로 사용되다가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을 위해 리프트로 이용될 수 있어서 편의시설 설치를 위해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경사로를 사용하지 않고, 평면상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 보조장치가 경사로의 경사에 의해 밀려서 발생할 수 있는 상해의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안전수단으로 조작실수에 대처할 수 있으며, 시설의 자동 동작 불가시 이용자가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을 돕는 보조인력이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애인 또는 노약자의 휠체어뿐만 아니라, 유아를 위한 유모차와 보호자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인 휠체어용 계단 보조구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2b는 종래기술에 의한 건축용 계단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계단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수단의 각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작동수단의 여러 실시예가 도시된 하이브리드 계단의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을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계단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계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단(110)으로 이루어지고 각 단(110)이 디딤판(111) 및 막음판(112)을 포함하는 가변 계단(100)과, 상기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이 개별적으로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승·하강수단(200)과, 상기 승·하강수단을 동작시키는 작동수단(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이브리드 계단은 기설치되었거나 설치하려는 일반 계단, 즉 고정식 계단의 일측 단부에 이웃하여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는 계단과 별도로 리프트를 겸하는 계단으로 사용할 수 있고, 공간의 제약 등으로 인하여 일반 계단과 동시에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하이브리드 계단만을 단독으로 설치함으로써 평상시에는 계단으로 이용하다가 이동 보조장치를 이동시킬 때 리프트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변 계단(100)은 일반 계단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계단으로써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은 발을 딛는 디딤판(111)이 상면(上面)에 형성되고, 이물질 등의 유입을 막고 발이 빠지지 않도록 전면(前面)에 막음판(112)이 형성된다. 상기 디딤판(111)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 처리를 함으로써 계단은 물론 리프트로 이용되는 경우에도 휠체어 등이 미끄러져 계단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변 계단(100)의 좌우측 또는 어느 일측 단부에는 계단으로써 이용될 때에 이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 펜스가 더 부가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 계단(100) 중 최하부 단 또는 최하부 단의 디딤판(111)의 폭(B)은 가변 계단이 설치되는 장소의 전체 높이와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즉, 상기 가변 계단의 전체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적은 개수의 단(110)이 사용됨에 따라 이동 보조장치를 이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폭을 만족하기 위해 최하부 단 또는 최상부 단의 디딤판(111)의 폭(B)을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가변 계단(100)의 전체 높이가 높고 길이가 긴 경우에는 가변 계단으로 다수의 단(110)이 형성되므로 최하부 단 또는 최상부 단의 디딤판의 폭(B)을 타 단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하여도 이동 보조장치를 이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폭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의 하부에는 승·하강수단(20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승·하강수단(200)은 가변 계단의 각 단(110)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각 단(110)이 독립적으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승·하강수단(200)은 평상시 계단의 역할을 하는 상기 가변 계단의 각 단을 움직이는데, 상기 가변 계단(100) 최하부 단의 상면의 특정 위치에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의 이동 보조장치가 위치하여 후술하는 작동수단(300)을 작동시키면, 상기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이 가변 계단의 최하부 단의 상면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도록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수단(200)은 이동 보조장치가 놓여 있는 상기 가변 계단(100)의 모든 단(110)을 동일한 수평면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상부로 수직이동시켜, 이동 보조장치가 안전하게 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승·하강수단(200)은 이동 보조장치가 상기 가변 계단(100)에서 목적지로 이동하고 난 후 상기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을 원래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변 계단(100)의 최하부 단의 디딤판(111)의 폭(B)이 넓게 형성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하부 단의 디딤판(111)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디딤판 하부의 승·하강수단(200)의 개수를 타 단보다 더 증가시킴으로써 안전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수단(200)은 유압식 실린더, 접이식 자바라, 스크류식 동력전달장치 등이 가능하다. 도 4a 내지 4c는 각각 승·하강수단으로 이용되는 유압식 실린더, 접이식 자바라, 스크류식 동력전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각의 경우 모두 상기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을 세 위치 즉, 가변 계단(100)의 최하부 단과 평행한 높이, 가변 계단(100)의 최상부 단과 평행한 높이, 및 가변 계단이 계단의 용도로 이용되기 위해 지정된 각 단(110)의 지정 높이로 각 단이 부드럽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하강수단(200)을 작동하는 작동수단(300)은 위치인식 센서(310), 푸쉬 버튼(320), 음성인식 장치(미도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인식 센서(310), 푸쉬 버튼(320), 음성인식 장치는 혼용이 가능하며, 동시에 같은 목적으로 운용될 수도 있고, 위치인식 센서(310)는 가변 계단(100)의 각 단이 이동 보조장치가 위치한 단과 수평면을 이루기 위한 이동 또는 원상태로의 복귀를 위한 이동시에 이용되고, 음성인식 장치는 가변 계단(100)이 수평면을 이루면서 아래에서 위로 또는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위치인식 센서(310)는 이동 보조장치가 가변 계단(100)의 최상부 단 또는 최하부 단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 도달되는 경우 이를 인식하고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이 움직여 이동 보조장치가 위치한 단(110)과 수평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이 이동하여 수평면을 이룬 후, 이용자가 상기 가변 계단 중앙부의 특정 위치, 즉 이동 보조장치를 인식하여 가변 계단(100)이 수평면을 유지하며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정된 위치에 이동 보조장치를 위치시키면, 상기 가변 계단(100)의 모든 단(110)이 위에서 아래 또는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인식 센서(310)를 대신하여 푸쉬 버튼(320) 및 음성인식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가변 계단(100)이 리프트로서의 역할을 마치고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도록 하는 경우에 있어서, 푸쉬 버튼(320) 또는 음성인식 장치는 이용자가 별도의 행동을 취하지 않으면 작동되지 않으므로, 위치인식 센서(310)를 이용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작동수단(300)은 위치인식 센서(310), 푸쉬 버튼(320), 음성인식 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작동함은 물론, 비상시를 대비하여 수동으로 이를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수동의 경우 조작 핸들(330) 등을 구비함으로써 이용자가 조작 핸들을 돌려 가변 계단(100)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작동 이상시에 대비할 수 있다. 상기 조작 핸들(330)의 실시예로서 상기 가변 계단(100)의 최하부 단, 가변 계단(100)의 중간부분, 가변 계단(100)의 최상부 단에 각각 조작 핸들(33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변 계단의 최하부 단의 조작 핸들(330)은 일측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을 가변 계단의 최하부 단과 평행하도록 이동시키고, 타측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이 원래 위치로 돌아가도록 하며, 중간부분의 조작 핸들(330)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가변 계단(100)의 모든 단(110)을 가변 계단의 최상부 단 또는 최하부 단과 평행하도록 모든 단(110)을 동시에 이동시키고, 가변 계단의 최상부 단의 조작 핸들(330)은 일측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을 가변 계단의 최상부 단과 평행하도록 이동시키고, 타측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이 원래 위치로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수단(300)은 음성이나 신호음 또는 빛에 의해서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 표시장치(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 표시장치(340)는 일실시예로 상기 가변 계단(100)의 모든 디딤판(111)이 가변 계단의 최하부 단의 디딤판과 평면을 이루는 경우 및 최상부 단의 디딤판과 평면을 이루는 경우에 이용자가 이동 보조장치를 움직여도 괜찮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계단에는 휠체어 등의 이동 보조장치가 가변 계단(1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안전수단(40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안전수단(400)은 가변 계단(100)을 둘러싼 가드 펜스(410), 미끄럼 방지턱(420) 등의 보호장치가 가능하다. 상기 가드 펜스, 미끄럼 방지턱 등은 상기 가변 계단(100)이 일반 계단 또는 리프트로써 이용되는 경우에 보행자 또는 이동 보조장치 사용자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도록 할 수 있으며, 타 실시예로 상기 가변 계단(100)이 리프트로서 움직일 때 상기 안전수단(400)이 이에 맞추어 외부로 돌출되었다가 가변 계단(100)의 각 단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때 가변 계단의 내부 또는 특정 공간에 숨겨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을 이용하여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의 이동 보조장치를 이동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각 단(110)이 개별적으로 상, 하로 움직일 수 있는 가변 계단(100)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계단의 지정된 위치로 이동 보조장치를 옮기는 단계; (도 6a)
계단을 올라가려는 경우, 상기 가변 계단(100)의 지정된 위치로 이동 보조장치를 옮긴다. 상기 지정된 위치는 상기 가변 계단(100)의 동작을 위해 지정된 것으로 상기 가변 계단(100)의 승·하강수단(200)을 동작하게 하는 작동수단(300)인 위치인식 센서(310)가 작동하는 위치 또는 작동수단인 푸쉬 버튼(320)을 누를 수 있는 위치를 말한다.
b) 하이브리드 계단에 구비된 작동수단(300)으로 승·하강수단(200)을 동작시켜서 상기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이 상기 가변 계단(100) 중에서 이동 보조장치가 위치한 단(110)과 동일한 높이의 수평면을 이루는 단계; (도 6b)
상기 위치인식 센서(310)가 이동 보조장치를 인식하거나, 상기 푸쉬 버튼(320)을 누름으로써 승·하강수단(200)이 동작하게 되고, 상기 승·하강수단(200)과 연결된 상기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이 아래로 움직여서 상기 가변 계단(100)의 최하부 단과 동일한 높이의 수평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 위치인식 센서(310) 또는 상기 푸쉬 버튼(320)은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무분별하거나 잘못된 이용을 방지하고, 이용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상기 위치인식 센서(310)와 푸쉬 버튼(320)을 조합하여, 푸쉬 버튼(320)을 누르고 위치인식 센서(310)가 작동하는 위치에 이동 보조장치가 위치해야 상기 가변 계단(100)이 동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c) 승·하강수단에 의해 상기 가변 계단이 수평면을 유지하며 이동하는 단계; (도 6c)
상기 b)단계가 끝나면 자동으로 또는 음성인식 장치 등의 작동수단(300)을 통하여 승·하강수단(200)을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승·하강수단(200)에 의해 상기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이 수평면을 유지하면서 상기 가변 계단(100)의 최상부 단, 즉 이동 보조장치가 전진하여 건물의 내부 등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단(110)까지 위로 이동한다.
상기 b)단계 후 이동 보조장치가 보다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b)단계에 의해 형성된 수평면의 중앙부에 추가로 위치인식 센서(310)를 부가하고, 이동 보조장치를 옮긴 후에 상기 가변 계단이 하부에서 상부로 수평면을 유지하면서 움직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b)단계와 c)단계의 사이에는 가드 펜스(410), 미끄럼 방지턱(420) 등의 안전수단(400)이 외부로 돌출되어 c)단계에서 상기 가변 계단(100)과 이동 보조장치가 동시에 위로 이동할 때 이동 보조장치가 상기 가변 계단(100)의 뒤로 떨어지거나 좌, 우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d) 상기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이 계단으로서의 각자 위치로 돌아가는 단계; (도 6d)
상기 c)단계가 끝나면 작동 표시장치(340)가 동작하여 이용자에게 이동 보조장치를 이동할 수 있음을 인지시킨다. 이용자가 이동 보조장치를 움직여 가변 계단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작동수단(300)은 이를 인지하여 승·하강수단(200)을 동작시키고, 상기 승·하강수단(200)에 의해 상기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이 아래로 움직여서 계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지정된 각자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상기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 방법의 일실시예는 저지에서 고지로 즉, 계단의 아래에서 위로 이동 보조장치를 이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설명이며, 고지에서 저지로 즉, 계단의 위에서 아래로 이동 보조장치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상기 a)단계에서 이동 보조장치를 가변 계단(100)의 최상부 단의 특정 위치 등 지정된 위치로 옮기고, 상기 b)단계에서 승·하강수단(200)에 의하여 상기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이 상기 가변 계단(100)의 최상부 단과 수평면을 이루기 위해 위로 이동하였다가,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이 이동 보조장치와 함께 수평면을 유지하며 아래로 내려와서 가변 계단(100)의 최하부 단의 원래의 위치와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며, 상기 d)단계에서 이동 보조장치가 가변 계단(100)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한 후 상기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기 위해 위로 이동한다는 점만 차이가 있을 뿐 상기의 방법과 동일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가변 계단 110: 단
111: 디딤판 112: 막음판
200: 승·하강수단
300: 작동수단 310: 위치인식 센서
320: 푸쉬 버튼 330: 조작 핸들
340: 작동 표시장치 400: 안전수단
410: 가드 펜스 420: 미끄럼 방지턱
B: 폭

Claims (10)

  1. 고정식 계단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계단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계단과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계단 사이에는 손잡이 펜스가 설치되고;
    상기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계단은 디딤판(111) 및 막음판(112)을 포함하는 다수의 단(110)으로 이루어진 가변 계단(100)과, 상기 가변 계단(100)의 각 단(110)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단(110)들을 개별적으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수단(200)과, 상기 승·하강수단(200)을 동작시키는 작동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변 계단(100)은, 각 단(110) 하부에 각각 설치된 승·하강수단(200)에 의해, 가변 계단(100)의 최하부 단(110)과 평행한 높이, 가변 계단(100)의 최상부 단(110)과 평행한 높이, 그리고 가변 계단(100)이 일반적인 계단의 용도로 이용되기 위해 지정된 각 단(110)의 높이로 각각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디딤판(111)에는 미끄럼방지 처리가 되어있으며, 상기 가변 계단(100)이 리프트로 사용될 때는 돌출되고 일반적인 계단의 용도로 사용될 때는 숨겨지는 안전수단(400)을 포함하되, 상기 안전수단(400)은 가드 펜스(410)와 미끄럼 방지턱(420)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하강수단(200)은 유압식 실린더, 접이식 자바라, 스크류식 동력전달장치 중 하나이며;
    상기 작동수단(300)은 위치인식 센서(310), 푸쉬 버튼(320), 음성인식 장치 중 하나이고, 음성, 신호음, 빛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한 작동 표시장치(340)와 수동 작동을 위한 조작 핸들(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46685A 2012-05-03 2012-05-03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 KR101220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685A KR101220161B1 (ko) 2012-05-03 2012-05-03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685A KR101220161B1 (ko) 2012-05-03 2012-05-03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490A KR20120053490A (ko) 2012-05-25
KR101220161B1 true KR101220161B1 (ko) 2013-01-11

Family

ID=4626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685A KR101220161B1 (ko) 2012-05-03 2012-05-03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1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988B1 (ko) 2015-02-26 2016-01-13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캠을 이용한 계단 자동변환 시스템
KR20200101698A (ko) 2019-02-20 2020-08-28 이승수 계단 겸용 리프트
KR102153477B1 (ko) 2019-11-21 2020-09-08 (주)태성산업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KR20220096010A (ko) * 2020-12-30 2022-07-07 (주)하온아텍 무대 리프트 겸용 가변식 계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997B1 (ko) * 2013-07-12 2014-04-30 (주)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101491926B1 (ko) * 2013-08-30 2015-02-11 (주)한국기술 환자나 장애인 또는 유아를 위한 안전 계단 리프트장치
KR102157187B1 (ko) * 2020-03-27 2020-09-22 지정현 시각장애인의 안전통행이 가능한 스마트 안전계단
KR102364499B1 (ko) * 2021-04-30 2022-02-18 주식회사 유디센터 휠체어 리프트
CN116119491B (zh) * 2023-04-14 2023-06-16 山东第一医科大学附属省立医院(山东省立医院) 一种用于高层转移新生儿的升降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848B1 (ko) 2006-09-29 2006-12-15 주식회사 티아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100658159B1 (ko) 2006-08-10 2006-12-15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공동주택의 출입구 경사로
KR100937044B1 (ko) * 2009-10-22 2010-01-15 (주)알파오메가종합건축사사무소 환자나 장애인 또는 유아를 위한 건축 안전 계단장치
KR101090782B1 (ko) * 2011-04-29 2011-12-08 (주)신우 프론티어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159B1 (ko) 2006-08-10 2006-12-15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공동주택의 출입구 경사로
KR100657848B1 (ko) 2006-09-29 2006-12-15 주식회사 티아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100937044B1 (ko) * 2009-10-22 2010-01-15 (주)알파오메가종합건축사사무소 환자나 장애인 또는 유아를 위한 건축 안전 계단장치
KR101090782B1 (ko) * 2011-04-29 2011-12-08 (주)신우 프론티어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988B1 (ko) 2015-02-26 2016-01-13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캠을 이용한 계단 자동변환 시스템
KR20200101698A (ko) 2019-02-20 2020-08-28 이승수 계단 겸용 리프트
KR102153477B1 (ko) 2019-11-21 2020-09-08 (주)태성산업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KR20220096010A (ko) * 2020-12-30 2022-07-07 (주)하온아텍 무대 리프트 겸용 가변식 계단장치
KR102499849B1 (ko) * 2020-12-30 2023-02-15 (주)하온아텍 무대 리프트 겸용 가변식 계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490A (ko) 201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161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
KR101090782B1 (ko)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0689065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102153477B1 (ko)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CN109476454B (zh) 用于克服高度差的移动辅助设备
KR100657843B1 (ko)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102068931B1 (ko)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EP1835878B1 (en) Mobile equipment for transport and positioning of disabled people
KR100936020B1 (ko) 저상식 휠체어 리프트
KR100911171B1 (ko) 환자와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100657848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20200101698A (ko) 계단 겸용 리프트
KR101491926B1 (ko) 환자나 장애인 또는 유아를 위한 안전 계단 리프트장치
KR20100089675A (ko) 버스용 휠체어 리프트
JP2013085638A (ja) 建物内避難設備
KR20190108528A (ko)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WO2013091097A1 (en) Lifting staircase assembly
KR101389997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102276299B1 (ko) 계단 겸용 리프트 장치
EP2275067A1 (en) Stair lift with wheels supported by rotating handles
KR20220061325A (ko) 계단 겸용 휠체어리프트의 편하중에 의한 과부하 감지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200434210Y1 (ko) 휠체어 이동이 가능한 무빙워크
TWI531706B (zh) 樓梯輔助升降總成結構
KR102060087B1 (ko)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
KR102499849B1 (ko) 무대 리프트 겸용 가변식 계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