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931B1 -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931B1
KR102068931B1 KR1020190074242A KR20190074242A KR102068931B1 KR 102068931 B1 KR102068931 B1 KR 102068931B1 KR 1020190074242 A KR1020190074242 A KR 1020190074242A KR 20190074242 A KR20190074242 A KR 20190074242A KR 102068931 B1 KR102068931 B1 KR 102068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fixed
lift
disable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열
Original Assignee
이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열 filed Critical 이형열
Priority to KR1020190074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04F11/06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7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with compartment for horizontally storing the ramp or li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8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folding st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66F7/1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6Movable elements, e.g. against sunlight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가능한 계단 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시 단상측으로 이동시켜 계단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장애인 또는 노약자가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의 이동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단상으로 오르거나 내려가고자 할 때, 계단을 수평상태로 만들어 용이하고 안전하게 단상으로 오르거나 내릴 수 있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계단을 기어방식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작단가를 낮출 수 있고, 외부 충격에도 쉽게 고장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난간의 기둥부를 엘엠(LM)가이드를 매개로 서로 연결시켜 구성함으로써, 계단으로 사용하거나 리프트로 사용하더라도 난간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Lifting equipment for the disabled with movable stairs}
본 발명은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시 단상측으로 이동시켜 계단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장애인 또는 노약자가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의 이동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단상으로 오르거나 내려가고자 할 때, 계단을 수평상태로 만들어 용이하고 안전하게 단상으로 오르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한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해 이용되는 휠체어나 유아를 위한 유모차 등의 경우에는, 계단을 통한 이동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장애인, 노약자 및 임산부의 편익을 위한 시설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상기 휠체어나 유모차 등을 위해 관공서 등의 공공기관, 기타 공공건물, 공중 이용시설 및 공동주택 등에는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장애인용 승강기 또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 또는 휠체어리프트 또는 경사로 등의 편의시설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이 특허출원된 바 있다.
상기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은, 평상시에는 계단으로 이용되다가 장애인 및 노약자의 휠체어, 유아의 유모차 등의 이동 보조장치 이동시 용이하고 안전하게 계단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경사로의 이용에 따른 불편함 및 위험성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이 특허출원된 바 있다.
상기한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은, 계단 양측의 상,하단부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의 출몰작동에 따라 계단에 형성되는 틈새 사이로 하단의 경사로가 승강되면서 계단 및 경사로를 형성토록 하므로서, 휠체어 또는 유모차의 통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계단 형상에서 장애인 또는 유아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중증 장애인, 노약자인 경우에는 그 경사면을 휠체어를 이용하여 오르기에 힘이 들어 다른 사람의 도움을 요청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운행에 따른 공간 확보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경제적 손실도 증가되고, 계단을 이용하는 일반인들의 보행을 방해하거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저속운행에 따른 대기 및 이송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5-0043059호에 발광수단이 구비된 장애인용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 장치가 출원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발광수단이 구비된 장애인용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 장치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받침판과, 상기 각각의 받침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전동 실린더가 구비되는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작동수단과, 상기 작동수단의 몸체의 일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타측과 결합되며, 측면에 복수의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봉 및 상기 가이드봉이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봉을 포함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받침판에 구비되는 PCB와, 상기 PCB에 연결되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발광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유닛에는 엘이디의 휘도 및 광도를 향상시키는 집광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집광부재는 내부에 구비되는 굴곡홈과, 상기 굴곡홈 또는 집광부재의 하단 또는 집광부재의 외면 하단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는 외측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판에는 발광유닛이 구비되는 측면경사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의 중앙에는 상기 측면경사부를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구비되는 제1 반사부재와 상기 제1 반사부재에 구비되는 제2 반사부재 및 상기 제1 반사부재와 제2 반사부재를 결합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사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발광수단이 구비된 장애인용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받침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 작동수단이 전동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러한 전동실린더는 외부 충격에 의해 스위치가 쉽게 파손될 수 있어서 작동상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발광수단이 구비된 장애인용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 장치는, 가변승강부의 기둥이 서로에 대하여 각각 이격되어 구비되므로, 장치 구동시 흔들림이 발생되어 이용자가 손으로 잡았을 때, 흔들림으로 인한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15-0043059호, 출원일; 2015년03월27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시 단상측으로 이동시켜 계단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장애인 또는 노약자가 휠체어 또는 유모차 등의 이동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단상으로 오르거나 내려가고자 할 때, 계단을 수평상태로 만들어 용이하고 안전하게 단상으로 오르거나 내릴 수 있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계단을 기어방식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외부 충격에도 쉽게 고장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난간의 기둥부를 엘엠(LM)가이드를 매개로 서로 연결시켜 구성함으로써, 계단으로 사용하거나 리프트로 사용하더라도 난간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는, 저면에 다수의 이동용 바퀴가 부설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판상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면 전단 양측과 후단 양측에 각 일단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전,후단 지주부재와, 상기 전,후단 지주부재 사이에 설치되되, 서로에 대하여 좌,우측승강용 엘엠가이드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좌,우측 승강용난간과, 상기 좌,우측 승강용난간 하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좌,우측 승강용난간이 승강하는 것에 의해 대응되게 계단 또는 리프트용 판으로 사용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발판부재와, 상기 좌,우측 승강용난간 각 상단에 일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되는 좌,우측 연결부재와, 상기 좌,우측 연결부재의 각 타단을 저면에 각각 연결시켜 설치되되, 첫 번째 좌,우측 연결부재의 타단은 상기 발판부재를 계단으로 사용함에 따른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리프트로 사용함에 따른 수평상태를 유지가능하도록 고정되고 나머지는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좌,우측손잡이용 엘엠가이드부를 개재시켜 구비되는 좌,우측손잡이용 바와, 상기 베이스판 상면 일측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정,역구동가능하게 전,후단 승강용 구동축이 갖추어 구비되는 전,후단 승강용 구동모터와, 상기 전,후단 승강용 구동모터의 전,후단 승강용 구동축에 각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좌,우측 승강용난간 중 첫 번째와 마지막 좌,우측 승강용난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후단 승강용 구동모터가 정,역으로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좌,우측 승강용난간이 승강됨에 따른 상기 다수의 발판부재가 계단의 형태 또는 리프트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후단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한 전단 지주부재 전방에는, 휠체어 또는 유모차 승탑시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전,후단 승강용 구동모터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발판부재가 승강됨에 따른 휠체어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보호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에 따르면, 계단을 기어방식으로 승강시킬 수 있어서,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외부 충격에도 쉽게 고장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좌,우측 승강용난간이 엘엠가이드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므로 인해, 계단으로 사용하거나 리프트로 사용하더라도 난간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불안감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의 전,후단 승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의 보호수단에 포함된 작동부를 도시한 도맨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의 보호수단에 포함된 터치부재를 도시한 도맨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를 리프트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발판부재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가 리프트로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는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아울러 계단 또는 리프트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아울러 승강수단을 기어방식으로 구성하여 외부 충격에도 쉽게 고장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난간의 기둥부를 엘엠(LM)가이드를 매개로 서로 연결시켜 구성함으로써 계단으로 사용하거나 리프트로 사용하더라도 난간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100)는, 저면에 다수의 이동용 바퀴(111)가 부설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판상의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 상면 전단 양측과 후단 양측에 각 일단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전,후단 지주부재(120,120')와, 상기 전,후단 지주부재(120,120') 사이에 설치되되, 서로에 대하여 좌,우측승강용 엘엠가이드(131,131')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좌,우측 승강용난간(130,130')과, 상기 좌,우측 승강용난간(130,130') 하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좌,우측 승강용난간(130,130')이 승강하는 것에 의해 대응되게 계단 또는 리프트용 판으로 사용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발판부재(140)와, 상기 좌,우측 승강용난간(130,130') 각 상단에 일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되는 좌,우측 연결부재(150,150')와, 상기 좌,우측 연결부재(150,150')의 각 타단을 저면에 각각 연결시켜 설치되되, 첫 번째 좌,우측 연결부재의 타단은 상기 발판부재(140)를 계단으로 사용함에 따른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리프트로 사용함에 따른 수평상태를 유지가능하도록 고정되고 나머지는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좌,우측손잡이용 엘엠가이드부(161,161')를 개재시켜 구비되는 좌,우측손잡이용 바(160,160')와, 상기 베이스판(110) 상면 일측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 설치되어 다수의 작동버튼이 부설된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정,역구동가능하게 전,후단 승강용 구동축(도면부호 생략)이 갖추어 구비되는 전,후단 승강용 구동모터(170,170')와, 상기 전,후단 승강용 구동모터(170,170')의 전,후단 승강용 구동축에 각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좌,우측 승강용난간(130,130') 중 첫 번째와 마지막 좌,우측 승강용난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후단 승강용 구동모터(170,170')가 정,역으로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좌,우측 승강용난간(130,130')이 승강됨에 따른 상기 다수의 발판부재(140)가 계단의 형태 또는 리프트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후단 승강수단(180,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전단 지주부재(120) 전방에는 휠체어 또는 유모차 승탑시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전,후단 승강용 구동모터(170,170')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발판부재(140)가 승강됨에 따른 휠체어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보호수단(190)이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의 베이스판(110)은 사각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저면에는 이동을 위한 복수 개의 이동용 바퀴(111)가 설치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한 이동용 바퀴(111)에는 이동 후,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공지의 스토퍼가 부설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전,후단 지주부재(120,120')는 상기 베이스판(110) 상면 전단 양측과 후단 양측에 각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전,후단 지주부재(120,120') 사이에 다수의 좌,우측승강용 난간(130,13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좌,우측승강용 난간(130,130')은 상기 전,후단 지주부재(120,120') 사이에 설치되되, 전,후단 승강용 구동모터(170,170')의 구동으로 전,후단 승강수단(180,180')을 통하여 승강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 편안하게 사용가능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승강용 엘엠가이드(131,131')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승강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한 발판부재(140)는 상기 전,후단 지주부재(120,120') 사이에 승강용 엘엠가이드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전,후단 승강수단(180,180')의 저면에 상면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계단용 및 리프트용으로 사용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한 좌,우측 연결부재(150,150')는 상기 좌,우측승강용 난간(130,130') 상단에 좌,우측손잡이용 바(160,16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좌,우측승강용 난간(130,130') 상단에 각 일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좌,우측손잡이용 바(160,160')는 첨부된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승강용 난간(130,130') 상단에 각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좌,우측 연결부재(150,150')의 각 타단을 저면에 각각 연결시켜 설치되되, 첫 번째 연결부재의 타단은 상기 발판부재(140)를 계단으로 사용함에 따른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휠체어 또는 유모차를 승강시키기 위해 리프트로 사용함에 따른 수평상태를 유지가능하도록 고정되고 나머지는 연결부재의 타단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손잡이용엘엠가이드부(161,161')를 개재시켜 구비된다.
상기한 전,후단 승강용 구동모터(170,170')는 상기 베이스판(110) 상면 일측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정,역구동가능하게 전,후단 승강용 구동축이 갖추어 구비되며, 상기 전,후단 승강용 구동모터(170,170')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전,후단 승강수단(180,180')이 작동하게 된다.
상기한 전,후단 승강수단(180,180')은 상기 전,후단 승강용 구동모터(170,170')의 전,후단 승강용 구동축에 각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좌,우측승강용 난간(130,130') 중 첫 번째와 마지막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후단 승강용 구동모터(170,170')가 정,역으로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좌,우측승강용 난간(130,130')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전,후단 승강수단(180,180')은 상기 전,후단 승강용 구동모터(170,170')의 전,후단 승강용 구동축에 고정 구비되는 전,후단 구동용헬리컬기어(181,181')와, 상기 전,후단 구동용헬리컬기어(181,181')에 기어물림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일단에 전,후단 회전력전달용 제1헬리컬기어(182a,182a')가 형성되고, 상기 전,후단 회전력전달용 제1헬리컬기어(182a,182a') 일측과 타단에는 전,후단 회전력전달용 제2 및 제3헬리컬기어(182b,182b',182c,182c')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10) 상면에 고정된 전,후단고정브라켓(도면부호 생략)에 베어링을 개재시켜 구비되는 전,후단 회전력전달용 바(182,182')와, 상기 전,후단 지주부재(120,120') 각 일측에 일단이 상기 베이스판(110) 상면에 베어링이 개재된 전,후단고정편(도면부호 생략)에 삽입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세워지되, 각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전,후단 회전력전달용 제2 및 제3헬리컬기어(182b,182b',182c,182c')와 기어물림되어 회전가능하게 전,후단피동용 헬리컬기어(183a,183a')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전후단 승강용기어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전,후단 승강용 바(183,183')와, 상기 전,후단 승강용 바(183,183')의 타단을 안내하도록 상기 좌,우측승강용 난간(130,130')의 첫 번째와 마지막 번째의 외측면 하단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게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상기 전,후단 승강용 바(183,183')의 타단을 각각 관통시킬 수 있도록 전,후단관통홀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전,후단 안내판(184,184')과, 상기 전,후단 안내판(184,184')의 각 저면에 일단이 전,후단관통홀을 수용하면서 고정되도록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되, 내부면에는 전,후단 승강용 바(183,183')가 회전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좌,우측승강용 난간(130,130')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전,후단승강용 나사부(미도시함)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전,후단승강용 안내부재(185,18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전,후단 승강수단(180,180')이 기어방식으로 구성되므로 인해, 외부 충격에도 쉽게 고장이 발생하지 않아 사후 관리가 편리해 진다.
상기 보호수단(190)은, 발판부재(140)중 첫 번째 발판부재 전단부에 일단이 힌지축(미도시함)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낙하방지용 막음판(191)과, 상기 낙하방지용 막음판(191) 저면에 횡방향으로 고정 구비되는 지지바(192)와, 상기 지지바(192)의 일단과 타단에 각 일단이 고정되는 제1회동용 와이어(미도시함) 및 제2회동용 와이어(193)와, 상기 제1회동용 와이어 및 제2회동용 와이어(193)의 타단을 각각 권회시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판(110) 상면 전단부 좌,우측에 고정된 전단 지주부재(120)의 각 하단에 브라켓을 매개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안내(194,194')와, 상기 제1,2안내로울러(194,194')를 권회하여 방향 전환된 제1회동용 와이어 및 제2회동용 와이어(193)의 타단을 각각 외주면 고정시켜 회전하는 것에 의해 권취 및 풀림시킬 수 있는 작동용풀리(195b)가 고정 설치된 작동축을 갖는 작동용구동모터(195a)로 구성된 작동부(195)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회동용 와이어(193) 상에 터치부재(197)가 고정되어 상기 제2회동용 와이어(193)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발판부재(140) 저면에 설치된 접점스위치(196)를 상기 터치부재(197)가 터치시켜 제어부측으로 접점상태를 인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작동용구동모터(195a)의 작동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를 다수의 이동용 바퀴(111)를 통하여 강단에 연결시켜 계단 또는 리프트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먼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를 통하여 후단 승강용 구동모터(170')를 구동시킨다.
상기 후단 승강용 구동모터(170')가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후단 승강수단(180')의 후단회전력전달용 바(182')가 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해, 후단 회전력전달용 제2헬리컬기어(182b')와 후단 회전력전달용 제3헬리컬기어(182c')에 기어물림된 후단 승강용 바(183')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후단 승강용 바(183')가 회전하므로 인해 다수의 발판부재(140) 중 최후단에 설치된 발판부재가 상승하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발판부재(140)에 저면이 고정된 좌,우측 연결부재(150,150')중 가장 후단에 설치된 좌,우측 연결부재가 상승하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발판부재(140)는 첨부된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태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후, 계단으로 만들어진 발판부재(140)를 이용하여 강단으로 쉽게 올라가거나 내려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계단으로 사용하는 중에 휠체어를 승강시키고자 할 경우, 제어부를 통하여 후단 승강용 구동모터(170')가 역방향으로 구동하고, 그로 인해, 발판부재(140)와 좌,우측 연결부재(150,150')가 하강하여 첨부된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부재(140)가 수평상태의 리프트용 판으로 만들어진다.
이후, 휠체어를 리프트용 판측으로 탑승시킨다.
상기와 같이 휠체어가 탑승되면, 제어부를 통하여 보호수단(190)이 구동하여 낙하방지용 막음판(191)이 회동하는 것에 의해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100)의 전단부를 막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낙하방지용 막음판(191)이 회동하여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100)의 전단부가 막음되면, 제어부를 통하여 전,후단 승강수단(180,180')이 구동하는 것에 의해 전,후단 승강용 바(183,183')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로 인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용 판이 상승하게 되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휠체어를 강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는 전,후단 승강수단을 기어방식으로 구성하므로 인해 외부 충격에도 쉽게 고장이 발생하지 않아 사후관리에 따른 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110 ; 베이스판 120 ; 전단 지주부재
120' ; 후단 지주부재 130 ; 좌측 승강용난간
130' ; 우측 승강용난간 140 ; 발판부재
150 ; 좌측 연결부재 150' ; 우측 연결부재
160 ; 좌측손잡이용 바 160' ; 우측손잡이용 바
170 ; 전단 승강용 구동모터 170' ; 후단 승강용 구동모터
180 ; 전단 승강수단 180'; 후단 승강수단
190 ; 보호수단

Claims (4)

  1.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는,
    저면에 다수의 이동용 바퀴(111)가 부설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판상의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 상면 전단 양측과 후단 양측에 각 일단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전,후단 지주부재(120,120')와;
    상기 전,후단 지주부재(120,120') 사이에 설치되되, 서로에 대하여 좌,우측승강용 엘엠가이드(131,131')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좌,우측 승강용난간(130,130')과;
    상기 좌,우측 승강용난간(130,130') 하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좌,우측 승강용난간(130,130')이 승강하는 것에 의해 대응되게 계단 또는 리프트용 판으로 사용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발판부재(140)와;
    상기 좌,우측 승강용난간(130,130') 각 상단에 일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되는 좌,우측 연결부재(150,150')와;
    상기 좌,우측 연결부재(150,150')의 각 타단을 저면에 각각 연결시켜 설치되되, 첫 번째 좌,우측 연결부재의 타단은 상기 발판부재(140)를 계단으로 사용함에 따른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리프트로 사용함에 따른 수평상태를 유지가능하도록 고정되고 나머지는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좌,우측손잡이용 엘엠가이드부(161,161')를 개재시켜 구비되는 좌,우측손잡이용 바(160,160')와;
    상기 베이스판(110) 상면 일측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정,역구동가능하게 전,후단 승강용 구동축이 갖추어 구비되는 전,후단 승강용 구동모터(170,170')와;
    상기 전,후단 승강용 구동모터(170,170')의 전,후단 승강용 구동축에 각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좌,우측 승강용난간(130,130') 중 첫 번째와 마지막 좌,우측 승강용난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후단 승강용 구동모터(170,170')가 정,역으로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좌,우측 승강용난간(130,130')이 승강됨에 따른 상기 다수의 발판부재(140)가 계단의 형태 또는 리프트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후단 승강수단(180,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지주부재(120) 전방에는, 휠체어 또는 유모차 승탑시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전,후단 승강용 구동모터(170,170')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발판부재(140)가 승강됨에 따른 휠체어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보호수단(19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단 승강수단(180,180')은 상기 전,후단 승강용 구동모터(170,170')의 전,후단 승강용 구동축에 고정 구비되는 전,후단 구동용헬리컬기어(181,181')와, 상기 전,후단 구동용헬리컬기어(181,181')에 기어물림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일단에 전,후단 회전력전달용 제1헬리컬기어(182a,182a')가 형성되고, 상기 전,후단 회전력전달용 제1헬리컬기어(182a,182a') 일측과 타단에는 전,후단 회전력전달용 제2 및 제3헬리컬기어(182b,182b',182c,182c')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10) 상면에 고정된 전,후단고정브라켓에 베어링을 개재시켜 구비되는 전,후단 회전력전달용 바(182,182')와, 상기 전,후단 지주부재(120,120') 각 일측에 일단이 상기 베이스판(110) 상면에 베어링이 개재된 전,후단고정편에 삽입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세워지되, 각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전,후단 회전력전달용 제2 및 제3헬리컬기어(182b,182b',182c,182c')와 기어물림되어 회전가능하게 전,후단피동용 헬리컬기어(183a,183a')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전후단 승강용기어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전,후단 승강용 바(183,183')와, 상기 전,후단 승강용 바(183,183')의 타단을 안내하도록 상기 좌,우측승강용 난간(130,130')의 첫 번째와 마지막 번째의 외측면 하단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게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상기 전,후단 승강용 바(183,183')의 타단을 각각 관통시킬 수 있도록 전,후단관통홀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전,후단 안내판(184,184')과, 상기 전,후단 안내판(184,184')의 각 저면에 일단이 전,후단관통홀을 수용하면서 고정되도록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되, 내부면에는 전,후단 승강용 바(183,183')가 회전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좌,우측승강용 난간(130,130')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전,후단승강용 나사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전,후단승강용 안내부재(185,18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수단(190)은, 발판부재(140)중 첫 번째 발판부재 전단부에 일단이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낙하방지용 막음판(191)과, 상기 낙하방지용 막음판(191) 저면에 횡방향으로 고정 구비되는 지지바(192)와, 상기 지지바(192)의 일단과 타단에 각 일단이 고정되는 제1회동용 와이어 및 제2회동용 와이어(193)와, 상기 제1회동용 와이어 및 제2회동용 와이어(193)의 타단을 각각 권회시켜 안내하기 위해 베이스판(110) 상면 전단부 좌,우측에 고정된 전단 지주부재(120)의 각 하단에 브라켓을 매개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안내로울러(194,194')와, 상기 제1,2안내로울러(194,194')를 권회하여 방향 전환된 제1회동용 와이어 및 제2회동용 와이어(193)의 타단을 각각 고정시켜 회전하는 것에 의해 권취 및 풀림시키도록 작동축을 갖는 작동용구동모터(195a)와, 상기 작동용구동모터(195a)의 작동축에 고정 연결된 작동용로울러(195b) 구성된 작동부(195)로 구성되되, 상기 제2회동용 와이어(193) 상에 터치부재(197)가 고정되어 상기 제2회동용 와이어(193)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발판부재(140) 저면에 설치된 접점스위치(196)를 상기 터치부재(197)가 터치시켜 제어부측으로 접점상태를 인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작동용구동모터(195a)의 작동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KR1020190074242A 2019-06-21 2019-06-21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KR102068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242A KR102068931B1 (ko) 2019-06-21 2019-06-21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242A KR102068931B1 (ko) 2019-06-21 2019-06-21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931B1 true KR102068931B1 (ko) 2020-01-21

Family

ID=69369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242A KR102068931B1 (ko) 2019-06-21 2019-06-21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9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6988A1 (en) * 2020-06-01 2021-12-09 Orta Dogu Teknik Universitesi Multi-purpose mobile barrier-free access system
EP4227250A1 (en) * 2022-02-15 2023-08-16 Liftup A/S Elongated ramp in lifting system for a stairwa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7971A (en) * 1997-07-14 1999-08-17 Vertical Mobility Llc Convertible lift mechanism
EP0759005B1 (fr) * 1993-07-28 2001-10-31 Atitud Dispositif de marches elevatrices
KR101090782B1 (ko) * 2011-04-29 2011-12-08 (주)신우 프론티어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1491926B1 (ko) * 2013-08-30 2015-02-11 (주)한국기술 환자나 장애인 또는 유아를 위한 안전 계단 리프트장치
KR20150043059A (ko) 2013-10-14 2015-04-22 주식회사 비엘케이 천장 매입형 조명기구의 고정보조부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59005B1 (fr) * 1993-07-28 2001-10-31 Atitud Dispositif de marches elevatrices
US5937971A (en) * 1997-07-14 1999-08-17 Vertical Mobility Llc Convertible lift mechanism
KR101090782B1 (ko) * 2011-04-29 2011-12-08 (주)신우 프론티어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1491926B1 (ko) * 2013-08-30 2015-02-11 (주)한국기술 환자나 장애인 또는 유아를 위한 안전 계단 리프트장치
KR20150043059A (ko) 2013-10-14 2015-04-22 주식회사 비엘케이 천장 매입형 조명기구의 고정보조부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6988A1 (en) * 2020-06-01 2021-12-09 Orta Dogu Teknik Universitesi Multi-purpose mobile barrier-free access system
EP4227250A1 (en) * 2022-02-15 2023-08-16 Liftup A/S Elongated ramp in lifting system for a stairway
WO2023156331A1 (en) * 2022-02-15 2023-08-24 Liftup A/S Elongated ramp in lifting system for a stairw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782B1 (ko)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1220161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리프트 겸용 하이브리드 계단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보조장치의 이동방법
KR102153477B1 (ko) 장애인용 계단겸용 리프트장치
JP7069146B2 (ja) 高さの差を克服するための移動補助デバイス
KR102068931B1 (ko)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CN104027207A (zh) 多功能无障碍出行电动轮椅
KR101372262B1 (ko) 휠체어용 승강장치
KR101207923B1 (ko) 노약자 보행 보조장치
KR20200101698A (ko) 계단 겸용 리프트
CN111437113A (zh) 智能助老爬楼轮椅
KR20210055412A (ko) 계단 승월 장치
WO2013091097A1 (en) Lifting staircase assembly
KR101871371B1 (ko) 경사로를 갖는 건축용 계단장치
KR100454007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KR102037880B1 (ko) 교통약자용 계단 이송 장치
CN211691160U (zh) 一种可伸缩楼梯护栏
KR101863339B1 (ko)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KR102563245B1 (ko) 무선신호를 이용한 계단 겸용의 리프트 장치
KR100232085B1 (ko) 이동가능한 휠체어장애인용 승강장치
KR102548162B1 (ko) 이동용 계단 겸용 수직 승강형 리프트 장치
KR102499849B1 (ko) 무대 리프트 겸용 가변식 계단장치
CN212490461U (zh) 智能助老爬楼轮椅
CN213894835U (zh) 一种行动不便人员使用的升降机
KR102060087B1 (ko)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
KR102557013B1 (ko) 장애인용 휠체어 안전 리프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