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834B1 -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834B1
KR102118834B1 KR1020190167525A KR20190167525A KR102118834B1 KR 102118834 B1 KR102118834 B1 KR 102118834B1 KR 1020190167525 A KR1020190167525 A KR 1020190167525A KR 20190167525 A KR20190167525 A KR 20190167525A KR 102118834 B1 KR102118834 B1 KR 102118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ramp
inclination
frame
inclin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진
김연효
Original Assignee
신명진
김연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진, 김연효 filed Critical 신명진
Priority to KR1020190167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24Constructional features of st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7Ramps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가 오르내릴 수 있도록 무대에 설치되는 이동식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을 법령에서 요구하는 경사각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무대에 쉽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대에 설치되는 경사로(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지지프레임(20)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축(22)결합되어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프레임(30)과; 상기 경사프레임(30)의 경사각을 고정하기 위해 경사프레임(30)의 고정공(31)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3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경사프레임(30)의 전·후면 일 측에는 고정공(31)이 형성되고, 일 측면 하단에는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경사유지턱(32)이 내향 절곡형성되며, 상부에는 경사로(2) 저면과 결합을 위한 브라켓(33)이 외향 절곡 형성되며, 경사프레임의 일 측면 하단에 내향 절곡형성되는 경사유지턱의 길이는 경사프레임(30)이 축공(21)에 결합되는 축(22)을 중심으로 회동되었을 때, 경사유지턱(32)의 단부가 지지프레임(20)과 접촉되어 경사프레임(30)이 8분의 1의 기울기에 해당되는 11 ~ 12°의 경사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SLOPE ANGLE SUPPORTING APPARATUS FOR STAGE WHEELCHAIR}
본 발명은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가 오르내릴 수 있도록 무대에 설치되는 이동식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을 법령에서 요구하는 경사 각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무대에 쉽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대(Stage)는 노래·춤·연극 등의 공연과 행사를 위한 것으로, 이러한 무대는 객석에서 무대 및 무대 위 상황이 잘보이도록 하고 전체 청중들을 아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객석 전면에 바닥보다 높게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무대에 오르내리기 위해서는 대부분 계단을 통해 오르내리게 됨에 따라 몸이 물편한 장애인의 경우에는 무대에 오르내리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최근 개정된『장애인 편의증진법』시행령 [별표2]에는 편의시설의 종류와 설치기준을 구체적으로 정하고 있다. 2018년 1월 30일 개정된 내용 중 동 시행령의 무대 경사로에 대한 규정을 보면, "3. 공공건물 및 공중이용시설에서 가. 일반 사항 중 (14) 장애인 등의 이용이 가능한 관람석, 열람석 또는 높이 차이가 있는 무대 (나) 공연장, 집회장 및 강당 등에 설치된 무대에 높이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장애인 등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경사로 및 휠체어 리프트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설치가 구조적으로 어려운 경우에는 이동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학교 강당·관공서·공연장·극장 등의 공공건물이나 공중이용시설의 무대에는 장애인용 휠체어가 오르내릴 수 있는 경사로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공공건물이나 공중이용시설에 설치된 무대에는 무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식 휠체어 경사로를 이용하거나, 설치 및 이동의 편의를 위해 이동식 휠체어 경사로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에서 무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식의 경우 고정 설치됨에 따라 무대 사용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공간 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설치 및 이동의 편의와 공간 활용을 위해 이동식 휠체어 경사로를 이용하게 되며, 이때 경사로는 저면에 설치되는 지지장치를 통해 경사각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지금까지의 지지장치 대부분은 상다리 형식으로 형성되어 경사로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방식이어서 지지장치의 높이 또는 설치 위치에 따라 경사로의 높이가 일정치 않아 경사각이 불규칙하여 휠체어가 오르내리는 데 불안정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경사로를 설치할 때 법령에서 요구하는 경사로의 기울기(무대와 8분의 1이하)에 해당되는 11 ~ 12°의 경사로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공간 차지를 최소화하고, 쉽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하는 처음부터 법령에서 요구하는 경사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08528호(2019.09.24.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무대에 휠체어가 오르내릴 수 있도록 무대에 설치되는 이동식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을 법령에서 요구하는 각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무대에 쉽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대에 설치되는 경사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의 경사각을 고정하기 위해 경사프레임의 고정공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경사프레임의 전·후면 일측에는 고정공을 형성하고, 일 측면 하단에는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경사유지턱을 내향 절곡 형성하며, 상부에는 경사로 저면과 결합을 위한 브라켓을 외향 절곡 형성한다.
또 상기 경사프레임의 상부에 외향 절곡 형성되는 브라켓에는 경사로와 고정을 위한 통공을 복수 개 관통 형성한다.
또한 상기 경사프레임의 일 측면 하단에 내향 절곡 형성되는 경사유지턱의 길이는 경사프레임이 축공에 결합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었을 때, 경사유지턱의 단부가 지지프레임과 접촉되어 경사프레임이 8분의 1의 기울기에 해당되는 11 ~ 12°의 경사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토록 한다.
또한 고정핀에는 키가 돌출 형성하고, 고정핀이 결합되는 고정공에는 고정핀의 키가 수용되는 키홈을 형성하여 고정공에서 고정핀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무대에 휠체어가 오르내릴 수 있도록 무대에 설치되는 이동식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을 항상 법령에서 요구하는 기울기 즉,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무대에 쉽게 오르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무대(1)에 사용되는 경사로(2) 및 경사로(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20)을 구비한다.
이때 지지프레임(20) 상부에는 축(22)과의 결합을 위한 축공(21)을 형성한다.
또한 지지프레임(20) 하부에는 바닥과 접촉 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완충구를 결합함이 바람직하고, 이때 사용되는 완충구로는 바닥에 긴밀히 밀착되어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완충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 지지프레임(20) 상단에는 경사로(2)의 경사각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경사프레임(30)을 축(22) 결합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경사프레임(30)의 전·후면에는 고정공(31)을 형성하고, 일 측면 하단에는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경사유지턱(32)을 내향 절곡 형성하며, 상부에는 경사로(2) 저면과 결합을 위한 브라켓(33)을 외향 절곡 형성한다.
또 상기 경사프레임(30)의 상부에 외향 절곡 형성되는 브라켓(33)에는 경사로(2)와 고정을 위한 통공(34)을 복수 개 관통 형성한다.
또한 경사프레임(30)의 일 측면 하단에 내향 절곡 형성되는 경사유지턱(32)의 길이는 경사프레임(30)이 축공(21)에 결합되는 축(22)을 중심으로 회동되었을 때, 경사유지턱(32)의 단부가 지지프레임(20)과 접촉되어 경사프레임(30)이 무대(1)에 대해 8분의 1의 기울기에 해당되는 11 ~ 12°의 경사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토록 한다.
이어 경사프레임(30)의 고정공(31)에는 경사프레임(30)의 경사각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36)을 끼움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핀(36)에는 키(36a)를 돌출 형성하고, 고정핀(36)이 결합되는 고정공(31)에는 고정핀(36)의 키(36a)가 수용되는 키홈(31a)을 형성하여 고정공(31)에서 고정핀(36)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또한 고정핀(36)의 타측에는 줄 또는 체인을 연결하여 고정핀(36)의 분실을 방지토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는, 먼저 지지프레임(20) 상단에 경사로(2)의 경사각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경사프레임(30)을 축(22) 결합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무대(1)에 사용되는 경사로(2)를 지지하기 위한 경사로 경사각 유지장치(10)를 형성한다.
이때 경사로 경사각 유지장치(10)에서 경사프레임(30)의 경사각은 경사로(2)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도록 하여 경사로(2)의 경사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경사프레임(30) 경사각 조절 및 유지는 경사프레임(30) 일 측면 하단에 내향 절곡 형성되는 경사유지턱(32)의 길이를 통해 경사로(2)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경사유지턱(32)의 길이를 경사프레임(30)이 무대(1)에 대해 8분의 1의 기울기에 해당되는 11 ~ 12°의 경사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게 되면, 경사프레임(30)이 축공(21)에 결합되는 축(2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경사유지턱(32)의 단부가 지지프레임(20)과 접촉될 때, 경사프레임(30)이 경사유지턱(32)의 길이만큼 지지프레임(20)에서 기울어지면서 경사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으로 경사로(2)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경사프레임(30)의 경사각 조절이 완료되면, 경사프레임(30)에 형성되는 고정공(31)에 고정핀(36)을 끼움 결합하게 되면, 경사프레임(30)의 경사각을 고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경사로(2)의 경사각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36)에 키(36a)를 돌출 형성하고, 고정핀(36)이 결합되는 고정공(31)에는 고정핀(36)의 키(36a)가 수용되는 키홈(31a)을 형성하게 되면, 고정공(31)에서 고정핀(36)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고정공(31)에 결합되는 고정핀(36)의 타측에 줄 또는 체인을 연결하게 되면 고정핀(36)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프레임(20) 하부에는 바닥과 접촉 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완충구를 결합하되, 이때 사용되는 완충구로는 합성수지 재질의 완충구를 사용하게 되면 지지프레임(20)이 바닥에 긴밀히 밀착되어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으로 경사프레임(30)의 경사각이 유지된 경사각 유지장치(10)는 경사프레임(30) 상부의 브라켓(33)에 형성되는 통공(34)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경사로(2) 저면과 결합되어 무대(1) 경사로(2)의 경사각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또는/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오로지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무대 2 : 경사로
10 : 경사각 유지장치 20 : 지지프레임
21 : 축공 22 : 축
30 : 경사프레임 31 : 고정공
31a : 키홈 32 : 경사유지턱
33 : 브라켓 34 : 통공
36 : 고정핀 36a : 키

Claims (4)

  1. 무대에 설치되는 경사로(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지지프레임(20)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축(22)결합되어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프레임(30)과;
    상기 경사프레임(30)의 경사각을 고정하기 위해 경사프레임(30)의 고정공(31)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3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경사프레임(30)의 전·후면 일 측에는 고정공(31)이 형성되고, 일 측면 하단에는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경사유지턱(32)이 내향 절곡 형성되며, 상부에는 복수 개 형성되는 통공(34)을 통해 경사로(2) 저면과 결합을 위한 브라켓(33)이 외향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프레임(30)의 일 측면 하단에 내향 절곡 형성되는 경사유지턱(32)의 길이는 경사프레임(30)이 축공(21)에 결합되는 축(22)을 중심으로 회동되었을 때, 경사유지턱(32)의 단부가 지지프레임(20)과 접촉되어 경사프레임(30)이 무대(1)에 대해 8분의 1의 기울기에 해당되는 11 ~ 12°의 경사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31)에서 고정핀(36)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핀(36)에는 키(36a)가 돌출 형성되고, 고정핀(36)이 결합되는 고정공(31)에는 고정핀(36)의 키(36a)가 수용되는 키홈(3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
KR1020190167525A 2019-12-16 2019-12-16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 KR102118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525A KR102118834B1 (ko) 2019-12-16 2019-12-16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525A KR102118834B1 (ko) 2019-12-16 2019-12-16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834B1 true KR102118834B1 (ko) 2020-06-03

Family

ID=7108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525A KR102118834B1 (ko) 2019-12-16 2019-12-16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8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8480A (ja) * 2005-11-16 2007-06-07 Aigi Sangyo Kk 組立式スロープユニット
JP2014066059A (ja) * 2012-09-26 2014-04-17 Asahi Woodtec Corp 段板取付構造および段板取付方法
KR20190108528A (ko) 2019-09-04 2019-09-24 김동민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8480A (ja) * 2005-11-16 2007-06-07 Aigi Sangyo Kk 組立式スロープユニット
JP2014066059A (ja) * 2012-09-26 2014-04-17 Asahi Woodtec Corp 段板取付構造および段板取付方法
KR20190108528A (ko) 2019-09-04 2019-09-24 김동민 공간 활용형 리프트 계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4267B2 (en) Supporting mechanism for glass fence
US6109395A (en) Convertible lift mechanism having a scissor lift linkage
US8739935B2 (en) Portable wheel chair lift
US8813290B1 (en) Operable ramp
US6601677B1 (en) Convertible lift mechanism having a number of retractable stairs with a lift platform positioned thereunder
KR102118834B1 (ko) 무대용 휠체어 경사로의 경사각 유지장치
KR102145258B1 (ko)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경사로
CA2850553A1 (en) Apparatus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stairs with a wheelchair
KR101614689B1 (ko) 건축용 조립식 계단 난간
WO2013091097A1 (en) Lifting staircase assembly
KR100496491B1 (ko) 아파트 베란다용 낙하방지장치
KR102270038B1 (ko) 안전난간의 피난계단 자동 원상 복원 장치
US20220125208A1 (en) Sunshade for Outdoor Public Space and Outdoor Public Space Having Such a Sunshade
KR102053083B1 (ko) 비상탈출장치
KR100653213B1 (ko) 공동주택용 가변형 계단 구조
CA2935756A1 (en) Supporting mechanism for glass fence
KR102177995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안전난간
CN211201297U (zh) 一种具有扶手的影厅入场通道
KR20150054141A (ko) 경사로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계단
KR102084780B1 (ko) 장애인용 경사보도판 및 그 이용방법
KR101730642B1 (ko) 날개측벽을 갖는 조립식 계단
JP2002017878A (ja) 階段用避難すべり台
US20240002192A1 (en) Seat for a stair lift
RU2796443C1 (ru) Уличный светильник на поворотной балке
JP2004123264A (ja) 階段用リフ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