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780B1 - 장애인용 경사보도판 및 그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경사보도판 및 그 이용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4780B1 KR102084780B1 KR1020190071167A KR20190071167A KR102084780B1 KR 102084780 B1 KR102084780 B1 KR 102084780B1 KR 1020190071167 A KR1020190071167 A KR 1020190071167A KR 20190071167 A KR20190071167 A KR 20190071167A KR 102084780 B1 KR102084780 B1 KR 1020847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connection portion
- stage
- hinge
- fold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5—Ramps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받침부와 상단연결부 및 중앙받침부와 하단연결부가 각각 독립된 상태로 180도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예를 들어 2~4 미터길이의 경사면을 펼쳐 형성하므로 공연무대나 일정 높이를 갖는 차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사용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단연결부 및 하단연결부를 중앙받침부 상단으로 접어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부피를 줄여 보관되도록 적용되는 경사보도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본원은 장애우가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또는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수월하게 이동하도록 중앙받침부와 상,하단연결부가 일체로 힌지결합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경사보도판에 있어서, 상기 중앙받침부와 상,하단 연결부는 철재프레임으로 경사면을 이루고 다수 개의 판재가 경사면을 따라 부착되고 양 외측으로 측면가이드가 형성되며 상단연결부 및 하단연결부의 끝단에 각각 추가로 요철부를 가진 상단철판연결부와 하단철판연결부를 설치하는 구조의 경사보도판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본원은 장애우가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또는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수월하게 이동하도록 중앙받침부와 상,하단연결부가 일체로 힌지결합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경사보도판에 있어서, 상기 중앙받침부와 상,하단 연결부는 철재프레임으로 경사면을 이루고 다수 개의 판재가 경사면을 따라 부착되고 양 외측으로 측면가이드가 형성되며 상단연결부 및 하단연결부의 끝단에 각각 추가로 요철부를 가진 상단철판연결부와 하단철판연결부를 설치하는 구조의 경사보도판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장애인이 일정 높이를 갖는 공연장 또는 무대 위로 오르기 원할 때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경사보도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애인이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무대에 오르거나 또는 무대에서 내려오길 원할 때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중앙받침부와 상단연결부 및 하단연결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휠체어가 쉽게 오르기 위한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보도판 관련 기술이다.
휠체어를 이용하는 보행장애인이 시상이나 공연을 위해 일정 높이를 갖는 무대 등에 오를 필요가 있는 경우 종전에 장애인편의증진법(시행령)에서는 무대가 있는 시설에 대하여 관람석에 장애인 관객을 위한 좌석을 의무적으로 비치하도록 명시되어 있으나, 실제적으로 장애인이 직접 무대에 오르기 위한 무대접근 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하여 휠체어 장애인은 관람만 가능하고 공연의 주체로 직접 참여가 불가능하며, 시상식 등 행사에서도 진행 및 수상 등의 사유로 무대에 올라가야 하는 상황이 있을 때 휘체어를 타고 무대에 직접 올라갈 수 없는 한계가 있어왔다.
결과적으로 장애인은 문화생활 등에서 객체로만 인식되어질 뿐 문화생활의 주체는 될 수 없다는 인권차별적 현상의 하나로도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현실을 타개하고자 노력한 결과 2018.1월에 개정된 장애인편의증진법 시행령에서는 무대가 있는 공공시설은 2년 내 의무적으로 휠체어 경사로를 설치하도록 규정을 넣었으나 이미 기존에 설치된 무대시설의 경우 안전을 위한 법정각도로 무대 높이가 1m일 경우 수평길이는 최소 8m이상이 확보되는 무대경사로를 이동식으로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제정되었다.
종래의 기술에서 보행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기술로 등록특허 10-0820732호 기술에서는 횡단보도용 장애인 통행 조립식 경사 보도판 관련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10-168998호 특허기술에서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용 공연 관람장치로서, 장애우가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플레이트에 탑승하도록 한 후 상기 플레이트를 자체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실린더의 작동으로 상기 플레이트를 일정 높이까지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애인의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영화나 연극, 콘서트 및 스포츠경기 등의 관람을 편리하게 하여 장애우가 다양한 문화예술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가 제시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신체이동이 자유롭지 못한 장애인이 자신의 의지대로 60~100㎝ 높이의 공연무대에 오를 수 없어서 공연의 주체로 직접 참여가 불가능하였고 주변 사람의 도움의 손길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본 발명은 장애인용 무대접근 전용 경사보도판 관련 시설로, 객석에서 무대로 이어지는 경사로공간이 확보되지 않도록 설치된 기존의 무대시설 환경에서 법정경사각도(무대높이가 1m일 경우 수평길이가 최소한 8m 이상 확보)를 확보하는 장애인용 무대접근 전용 경사보도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객석공간이 적게 침해되도록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앙받침부와 상단연결부 및 중앙받침부와 하단연결부가 각각 독립된 상태로 180도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이루며 3단 접이식 구조로 중앙받침부 상단에 안착되어 부피를 줄여 보관되도록 적용되는 경사보도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장애인이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무대에 오르기 원할 때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중앙받침부와 상단연결부 및 하단연결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예를 들어 무대높이가 1m일 경우 수평길이가 최소한 8m 이상 확보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제공되어 장애인이 타인의 도움없이도 무대 높이의 높은 위치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경사보도판을 통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본원은 장애인이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또는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경사보도판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경사보도판은 중앙받침부 상단쪽으로는 상부연결부와 연결되고 중앙받침부 하단쪽으로는 하부연결부와 연결되는 형태로 전체적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프레임 구조를 형성하고 경사프레임의 경사면을 따라 다수 개의 판재가 부착되어 경사보도판을 형성하되, 상기 하부연결부 및 상부연결부는 각각 중앙받침부와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180도로 회전하는 구조로 제공되어 경사보도판이 펼쳐지면 상부연결부 단부는 높은 위치의 무대에 고정되고 하부연결부 단부는 객석 지면위치에 안착되어 장애인 휠체어가 경사면을 따라 무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보도판의 보관을 원할 때는 하부연결부 및 상부연결부가 중앙받침부 상단에 포개지도록 접힌구조를 이루며 부피를 줄여 보관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본원 기술의 장애인용 경사보도판에서 중앙받침부(30)와 상단연결부(20) 및 하단연결부(10)의 양 측면으로 판재(50)가 부착되어 측면가이드(33, 23, 13)가 형성되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상단연결부와 하단연결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중앙받침부의 상단으로 접힐 때 중앙받침부의 측면가이드(33)가 상단연결부의 측면가이드(23)나 하단연결부의 측면가이드(13)에 걸리지 않도록 공간 폭을 조절하여 측면가이드가 부착됨으로써 장애인이 휠체어를 이용할 때 휠체어가 경사면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연결부의 양측 단부에는 무대에 고정되기 위한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무대 위에 설치된 돌출부에 결합구멍이 끼움되어 고정되며 안전장치로 기능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은 장애인이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또는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수월하게 이동하도록 중앙받침부와 상,하부연결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도 제공되는 경사보도판의 이용방법에서, 상기 경사보도판(100)이 중앙받침부(30) 상단쪽으로는 상부연결부(20)와 중앙받침부 하단쪽으로 하부연결부(10)와 일체형으로 경사프레임(40) 구조를 형성하고 경사프레임(40)의 경사면을 따라 다수 개의 판재(50)가 부착되는 구조를 이루되, 상기 하부연결부(10) 및 상부연결부(20)는 각각 중앙받침부(30)와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180도로 회전하는 구조로 제공되어 경사보도판(100)이 펼쳐지면 상부연결부(20) 단부는 높은 위치의 무대에 고정되고 하부연결부(10) 단부는 객석 지면위치에 안착되어 장애인 휠체어가 경사면을 따라 무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적용되고, 경사보도판(100)의 보관을 원할 때는 하부연결부 및 상부연결부가 중앙받침부 상단에 포개지도록 접어 부피를 줄여 보관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사보도판의 이용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때 중앙받침부의 저면 모서리부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wheel) 및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고정식으로 사용할 경우 고정장치가 바퀴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고 이동을 원할 때는 고정장치를 풀어서 바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기술이 적용되는 접이식 경사보도판은 본체부인 중앙받침부와 중앙받침부 상단과 연결되는 상부연결부 및 중앙받침부 하단과 연결되는 저부연결부가 일체로 펼쳐져서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적용되고, 행사가 종료된 후 경사보도판이 사용되지 않을 때는 저부연결부 및 상부연결부가 중앙받침부 상부 위치로 접혀져서 전체길이가 1/2 또는 1/3로 축소되어 보관될 수 있다.
중앙받침부 상단과 연결되는 상부연결부 및 중앙받침부 하단과 연결되는 저부연결부는 각각 180도 회전되며 접고 펼치는 기능을 반복할 수 있으며, 상부연결부의 양측 단부에는 무대에 고정되기 위한 결합구멍(예를 들어 직경 2cm 이내)이 형성되어 무대위에 설치된 돌출부에 걸게 되면 장애인이 휠체어를 타고 이동시 하중에 의해 경사로가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안전장치가 되도록 적용될수 있으며, 상부연결부는 중앙받침부에 연결되어 무대에 접속하며 무대의 높이가 다양한 점을 고려하여 일정 구간의 높이 차이는 각도조절 및 길이조절을 통해서 호환이 가능하도록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경사보도판은 무거운 전동휠체어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프레임을 철재 또는 튼튼한 목재(각목)으로 구성하고, 외장은 주로 목재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무대 환경과 어울릴 수 있도록 나무판재로 구성하거나 원목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장애인이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스스로 높은 무대에 오르기 위한 시도가 불가하였으나 본원 기술의 경사보도판이 적용되는 경우 전동휠체어를 탑승한 장애인이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혼자서 무대에 오르거나 내릴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경사보도판은 사용후 처거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부연결부 및 하부연결부가 중앙받침부 상단으로 절첩되어 부피가 축소된 채 보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원 기술을 바람직하게 구현한 경사보도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경사보도판의 기술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원 기술을 통해 제공되는 경사보도판의 실제 사용 예시도.
도 4는 변형된 경사보도판의 기술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경사보도판의 기술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원 기술을 통해 제공되는 경사보도판의 실제 사용 예시도.
도 4는 변형된 경사보도판의 기술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원은 중앙받침부와 상부연결부 및 중앙받침부와 하부연결부가 각각 독립된 상태로 180도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예를 들어 3.2~9.6 미터 길이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장애인이 공연무대에 직접오르거나 내려갈 수 있도록 사용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부연결부 및 하부연결부가 각각 180도로 회전되어 중앙받침부 상단에 안착되어 부피를 줄여 보관되도록 적용되는 경사보도판(100)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바람직하게 구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도 1a에서 도 1d까지는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분리된 목재 또는 철제프레임 형태에서 본원 발명의 구성요소를 결합시켜 완성되는 경사보도판(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는 본원에서 제공하는 경사보도판의 기본 골격프레임이 하부연결부(10)를 지지하는 하단프레임(41)과 중앙받침부(30)를 지지하는 중앙프레임(43)과 상부연결부(20)를 지지하는 상단프레임(42)의 기본구조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써, 본원에서 제공되는 경사보도판(100)은 중앙받침부(30)와 상부연결부(20) 및 하부연결부(10)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받침부(30)와 상부연결부(20) 사이에는 힌지부재(31a, 21)로 결합되고, 상기 중앙받침부(30)와 하부연결부(10) 사이에도 힌지부재(31b, 11)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연결부(20)와 하부연결부(10)가 각자의 힌지연결축(22a, 22b)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는 일체형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중앙받침부(30)와 하부연결부(10)는 전체적으로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프레임(43, 41)을 가지며, 하측은 지면과 수평을 이루지만 상측은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로 제공되며 이때 상기 중앙받침부(30)가 상부연결부(20) 및 하부연결부(10)의 중심부를 이루며 경사보도판의 경사각을 제공하는 구조를 이루면서 경사보도판(100)이 이동하는 상황을 대비하여 중앙받침부의 하단 모서리부에는 별도의 고정장치가 부착된 바퀴(wheel : 6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도 1a에서 제시된 프레임이 조립되어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부연결부(20)는 상부 힌지연결축(22a)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여 중앙받침부 방향으로 접힐 수 있고, 하부연결부(10)는 하부 힌지연결축(22b)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여 중앙받침부 쪽으로 접힐 수 있는 기본골격을 나타낸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경사보도판은 장애인이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의 무대로 오르거나 또는 반대로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내려올 때 수월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가진 것으로써, 도 1c는 프레임 상부의 경사면을 따라 다수 개의 판재(50)가 부착되고 또한 부착되어지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으로, 프레임의 경사면을 따라 부착된 판재가 보도의 역할을 하고 휠체어의 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횡으로 미세한 줄이 형성되거나 요철부가 형성되어 미끄럼 방지기능을 갖도록 하는 구성도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별도의 측판(32, 12)이 부착되어 만약의 경우 휠체어가 경사보도판의 측면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측부로 약간 튀어나온 만큼 측판에 홈(32a, 32b, 12a)을 형성하여 측판(32, 12)이 프레임에부착됨으로 인해 외부에서 깔끔한 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판재(50)는 목재, 플라스틱 또는 다른 기타 재질의 판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장소에 따라 다양한 재질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고 본원 도면에서는 직육면체 형태의 목재 판재를 부착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지만 재질이나 사용할 장소에 따라 다양한 모양의 판재를 사용하여 보도를 꾸밀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d는 도 1c를 통해 판재 및 측판이 완전히 부착된 상태에서 측면가이드(33, 23, 13)를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측면가이드는 장애우인이 휠체어 등을 이용하여 본원의 경사보도판을 이용할 때 경사면에서 좌우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하며, 상기 측면가이드는 중앙받침부(30)와 상부연결부(20) 및 하부연결부(10)에 모두 설치할 수 있으며, 경사면을 따라 부착된 판재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경사보도판은 상부연결부(20)와 하부연결부(10)가 중앙받침부(30)의 상부 위치에 안착되도록 각각 힌지결합되어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바, 만약 중앙받침부(30)의 측면가이드(33)가 상부연결부의 측면가이드(23)나 하부연결부의 측면가이드(13)와 동일한 폭을 갖게 되면 상부연결부(20)나 하부연결부(10)가 중앙받침부(30) 상부로 힌지연결축(22a, 22b)을 이용하여 접히는 구조를 이룰 때 측면가이드끼리 걸려 180도까지 완전하게 접히지 못하고 중앙받침부 위로 뜨는 등의 부조화 사례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부연결부와 하부연결부가 힌지연결축(22a, 22b)을 중심으로 중앙받침부의 상단으로 접힐 때 중앙받침부의 측면가이드(33)가 상단연결부의 측면가이드(23)나 하단연결부의 측면가이드(13)에 걸리지 않도록 중앙받침부(30)의 측면가이드(33) 공간 폭을 상부연결부의 측면가이드(23)나 하부연결부의 측면가이드(13)보다 넓게하여 완전히 밀착되어 접히도록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d에서는 프레임과 판재로 인해 경사보도판의 하부연결부와 공연장 객석의 바닥면 사이에 턱이 높아지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단연결부(10)의 끝단 지면위치에 안착하는 부분에 하단연장연결부(14)가 추가로 설치되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부연결부(20)의 끝단 높은 위치가 안착되는 부분에는 상단연장연결부(24)가 추가되는 구성을 이루고 이들이 현장에서 설치될 때 도 4에 제시되는 실시양태와 같이 상기 상단연장연결부(24)의 양측 모서리부(24a)에는 무대(71) 위에 마련된 돌출부(72)에 끼움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멍(25)이 마련되는 구성을 이루고 무대(71) 위에 마련된 돌출부(72)에 상단연장연결부(24)의 결합구멍(25)이 끼움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는 경우 장애인이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경사면을 오르기 위해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휠체어가 저부로 밀리지 않은 안전장치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하단연장연결부(14) 및 상단연장연결부(24)는 하부연결부 및 상부연결부와 일체형태로 설치되지 않고 분리형으로 제공되어 필요시에 현장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구조로 선택되거나 부착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하단연장연결부(14) 및 상단연장연결부(24)는 휠체어가 오르고자 하는 무대의 위치 특징에 따라 외부판재 내부에 내부철판이 내삽된 구성을 이루어서 길이를 연장할 수 있거나 줄일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어 무대와 경사보도판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며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경사보도판의 기술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써, 도 2a는 중앙받침부(30)에 설치되는 측면가이드(33)의 폭을 상부연결부의 측면가이드(23) 및 하부연결부의 측면가이드(13)와 다르게 하여 구성되는 경사보도판의 평면도를 예시한 것이고, 도 2b는 중앙받침부(30)에 상부연결부(20) 및 하부연결부(10)가 각각 결합될 때 힌지연결부재(31)가 사용되고 중앙받침부(30)의 저부에는 이동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바퀴(60)가 앞뒤로 설치된 구성의 경사보도판(100)이 전체적으로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c에 도시된 중앙프레임측판(32)과 하단연결부측판(12)을 생략한 상태로 도 2b에서는 두개의 L자형 힌지연결부재(31b 및 11) 사이에 힌지연결축(22b)이 끼움되어 회전될 수 있는 일 실시양태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고 고정장치로 제어수단을 갖는 바퀴(60)의 일 적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하부연결부가 중앙받침부 상단으로 접힐 때 두개의 L자형 힌지연결부재(31b, 11)는 중앙받침부(30)와 하부연결부(10) 사이에 힌지 결합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힌지연결축(22b)을 중심으로 하단힌지연결부재(11)가 180도 회전할 수 있으며, 반대로 펼칠 때에는 윈 위치할 수 있는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중앙받침부(30) 상부로 상부연결부(20)가 먼저 접히고 그 위에 하부연결부(10)가 접혀진 상태의 경사보도판(100)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 때 상부연결부(20) 및 하부연결부(10)가 힌지연결축(22a, 22b)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중앙받침대(30) 상부로 접힐 때 중앙받침대의 측면가이드의 폭이 상,하부연결부의 측면가이드(23, 13)보다 넓게 제공되어 상부연결부 및 하부연결부가 회전하여 중앙받침부 상단에 접힐 때 중앙받침부의 측면가이드 내측에 상부연결부와 하부연결부의 측면가이드가 각각 위치하는 구조로 안착됨으로써 18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경사보도판(100)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도 2c와 같이 상부연결부와 하부연결부를 완전히 접어 보관하는 경우, 예를 들어 경사보도판의 전체 길이가 6 미터 정도라면 도 2c와 같이 접어서 보관할 시에는 1/3 정도의길이를 줄여 적은 공간만 차지하며 보관할 수 있다.
비록 별도의 도면으로 제시하지는 않지만 반대로 상, 하부연결부의 측면가이드의 폭이 중앙받침대의 측면가이드의 폭보다 넓게 하여 제공되는 형태로 제공되어 중앙받침부의 측면가이드 외측에 상부연결부와 하부연결부의 측면가이드가 위치하는 구조로 제공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사용하는 장소와 현장상황에 맞춰 측면가이드의 공간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원 기술에서 중앙받침부의 저면 모서리부에는 하부연결부(10) 및 상부연결부(20)이 중앙받침부(30) 상부위치로 접힌 형태의 경사보도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wheel : 60)가 설치되는데 바퀴에는 어린이 유모차에 형성된 구성과 동일구조의 고정장치가 간단히 설치되어 이동을 원치 않을 경우 고정장치가 바퀴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고 이동을 원할 때는 고정장치를 풀어서 바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적용될수 있는바, 유모차 바퀴에 간단한 고정장치를 이용하는 기술은 등록특허 10-1817882 등 다수에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원 기술을 통해 제공되는 경사보도판(100)의 실제 사용형태의 예시도로써, 높은 위치인 무대(70)와 객석의 바닥면 사이에 본원의 경사보도판(100)이 현장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실시양태로, 경사보도판(100)은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도 2c와 같이 상부연결부(20)와 하부연결부(10)가 180도로 회전하여 중앙받침대(30) 상부로 완전히 접힌 상태로 공간을 최소화하여 보관하였다가 장애인이 휠체어를 탄채 무대에 오르기를 원할때는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경사보도판(100)의 상부연결부(20)와 하부연결부(10)를 펼쳐서 상부연결부의 상단연장연결부(24)가 무대(70)의 상단위치에 걸쳐 결합되는 구성을 이루면서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적용되는데, 경사보도판(100)의 상부연결부(20) 끝단에는 길이가 연장되어 무대(70)에 안착되기 위한 상단연장연결부(24)가 추가되고, 무대(70)의 경사면(71) 상단 위치에는 걸고리 형태로 끼움되기 위한 돌출부(72)가 마련되는 구성을 이루고, 경사보도판(100)의 상단연장연결부(24)의 양측 모서리부에는 무대(70) 위에 마련된 돌출부(72)에 끼움되어 결합되기 위한결합구멍(25)이 마련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무대(70) 위에 마련된 돌출부(72)에 상단연장연결부(24)의 결합구멍(25)이 끼움되어 고정/안착시키고 하부연결부(10)의 하단연결부(14)가 객석의 바닥면과 안착된 상태에서 장애인 휠체어가 수월하게 높은 곳으로 올라가거나 반대로 무대에서 바닥면 낮은 곳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으로, 무대에 돌출부(72)가 없는 경우 상단연결부(24)의 단부가 무대(70)에 걸치도록 재치되고 상단연장연결부(24)에 형성된 구멍(25)을 통하여 무대바닥면으로 나사조임을 통하여 상단연장연결부(24)가 무대 상단에 고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하다 할 것이다.
실제적으로 현장의 공연무대는 낮게는 40cm, 높게는 120cm가 될 정도로 다양하므로 장애인의 휠체어가 무대에 오르기 위한 법정 경사각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경사로의 이동거리가 적게는 3.2m, 크게는 9.6m 범위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무대의 환경, 현장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는바, 도 4는 본원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경사보도판의 변형경사보도판(110)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에서는 분할구조 형태로 나타낸 것이고, 도 4b에서는 결합되어 실제 적용되는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4에 제시되는 변형구조의 변형경사보도판(110)은 종래 기본형에서는 하나로 제공되던 중앙받침대(30)가 2개로 구분되어 변형 중앙받침대a(30a)와 변형 중앙받침대b(30b)로 구분되되, 변형 중앙 받침대a(30a)는 하단쪽으로 변형 하부연결부(10a)가 펼쳐지는 구성으로 적용되고, 변형 중앙 받침대b(30b)는 상단쪽으로 변형 상부연결부(20a)가 펼쳐지는 구성으로 적용되며, 상기 변형 중앙 받침대a(30a)와 변형 중앙 받침대b(30b)가 결합되어 일체형의 경사판을 이루도록 제공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중앙받침대b(30b)의 상단연장연결부(24a)의 양측 모서리에는 높은 무대(71) 위에 마련된 돌출부(72)가 끼움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멍(25)이 마련되는 구성을 이루고 무대(70) 위에 마련된 돌출부(72)에 상단연장연결부(24)의 결합구멍(25)이 끼움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장애인이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경사면을 오르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중앙받침대a(30a)의 측면부를 커버해주기 위한 측면프레임판(34a) 및 중앙받침대b(30b)의 측면부를 커버해주기 위한 n측면프레임판(34b)이 각각 부착되는 구성을 이루고 중앙받침대a(30a) 및 중앙받침대b(30b)의 저부로는 바퀴(60)가 장착되어 이동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100 : 경사보도판 10 : 하부연결부
11 : 하단힌지연결부재 12 : 하단연결부측판
13 : 하단측면가이드 14 : 하단연장연결부
20 : 상부연결부 21 : 상단힌지연결부재
22 : 힌지축 23 : 상단측면가이드
24 : 상단연장연결부 25 : 결합구멍(hole)
30 : 중앙받침부 31a : 중앙상측힌지연결부재 31b : 중앙하측힌지연결부재 32 : 중앙프레임측판
33 : 중앙측면가이드 34 : 측면프레임판
40 : 메인프레임 41 : 하단프레임
42 : 상단프레임 43 : 중앙프레임
50 : 판재 60 : 바퀴
70 : (낮은 높이의)무대 71 : 높은 무대
72 : 돌출부
100a: 변형 경사보도판 10a : 변형 하부연결부
20a : 변형 상부연결부 30a : 변형 중앙 받침대a
30b : 변형 중앙 받침대b
11 : 하단힌지연결부재 12 : 하단연결부측판
13 : 하단측면가이드 14 : 하단연장연결부
20 : 상부연결부 21 : 상단힌지연결부재
22 : 힌지축 23 : 상단측면가이드
24 : 상단연장연결부 25 : 결합구멍(hole)
30 : 중앙받침부 31a : 중앙상측힌지연결부재 31b : 중앙하측힌지연결부재 32 : 중앙프레임측판
33 : 중앙측면가이드 34 : 측면프레임판
40 : 메인프레임 41 : 하단프레임
42 : 상단프레임 43 : 중앙프레임
50 : 판재 60 : 바퀴
70 : (낮은 높이의)무대 71 : 높은 무대
72 : 돌출부
100a: 변형 경사보도판 10a : 변형 하부연결부
20a : 변형 상부연결부 30a : 변형 중앙 받침대a
30b : 변형 중앙 받침대b
Claims (5)
- 장애인이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또는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경사보도판(100)에 있어서,
상기 경사보도판(100)은 중앙받침부(30)를 중심으로 중앙받침부 상단쪽으로는 상부연결부(20)와 연결되고 중앙받침부 하단쪽으로는 하부연결부(10)와 연결되며 경사프레임(40) 구조를 형성하고 경사프레임(40)의 경사면을 따라 다수 개의 판재(50)가 부착되어 경사보도판(100)을 형성하되, 상부연결부(20)는 상부 힌지연결축(22a)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여 중앙받침부 방향으로 접힐 수 있고, 하부연결부(10)는 하부 힌지연결축(22b)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여 중앙받침부 쪽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를 이루며 경사보도판(100)이 펼쳐지면 상부연결부(20) 단부는 높은 위치에서 무대에 고정되고 하부연결부(10) 단부는 객석 지면위치에 안착되어 장애인의 휠체어가 경사면을 따라 무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적용되고,
상기 중앙받침부(30)와 상단연결부(20) 및 하단연결부(10)의 양 측면으로는 판재(50)가 부착되어 측면가이드(33, 23, 13)가 형성되되, 상단연결부와 하단연결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중앙받침부의 상단으로 접힐 때 중앙받침부의 측면가이드(33)가 상단연결부의 측면가이드(23)나 하단연결부의 측면가이드(13)에 걸리지 않도록 공간 폭을 조절하여 안착되는 구조로 측면가이드가 부착됨으로써 장애인이 휠체어를 이용할 때 휠체어가 경사면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하단연결부(10)와 중앙받침부(30)의 연결부 사이에 두개의 L자형 힌지연결부재(31b, 11)가 힌지축(22)에 끼움된 구조를 이루어서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하단힌지연결부재(11)가 180도 회전할 수 있고 반대로 펼칠 때에는 윈 위치할 수 있는 구조로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고,
경사보도판(100)의 보관을 원할 때는 하부연결부 및 상부연결부가 중앙받침부 상단에 포개지도록 접어 부피를 줄여 보관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경사보도판(100).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의 양측 단부에는 무대에 고정되기 위한 결합수단이 형성되고 무대 위에 형성된 결합구에 고정되며 안전장치로 기능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경사보도판. - 장애인이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또는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수월하게 이동하도록 중앙받침부와 상,하부연결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도 제공되는 경사보도판(100)의 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경사보도판(100)은 중앙받침부(30)를 중심으로 중앙받침부 상단쪽으로는 상부연결부(20)와 연결되고 중앙받침부 하단쪽으로는 하부연결부(10)와 연결되며 경사프레임(40) 구조를 형성하고, 경사프레임(40)의 경사면을 따라 다수 개의 판재(50)가 부착되어 경사보도판(100)을 형성하되, 상부연결부(20)는 상부 힌지연결축(22a)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여 중앙받침부 방향으로 접힐 수 있고, 하부연결부(10)는 하부 힌지연결축(22b)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여 중앙받침부 쪽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를 이루며 경사보도판(100)이 펼쳐지면 상부연결부(20) 단부는 높은 위치에서 무대에 고정되고 하부연결부(10) 단부는 객석 지면위치에 안착되어 장애인의 휠체어가 경사면을 따라 무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적용되고,
상기 중앙받침부(30)와 상단연결부(20) 및 하단연결부(10)의 양 측면으로는 판재(50)가 부착되어 측면가이드(33, 23, 13)가 형성되되, 상단연결부와 하단연결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중앙받침부의 상단으로 접힐 때 중앙받침부의 측면가이드(33)가 상단연결부의 측면가이드(23)나 하단연결부의 측면가이드(13)에 걸리지 않도록 공간 폭을 조절하여 안착되는 구조로 측면가이드가 부착됨으로써 장애인이 휠체어를 이용할 때 휠체어가 경사면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하단연결부(10)와 중앙받침부(30)의 연결부 사이에 두개의 L자형 힌지연결부재(31b, 11)가 힌지축(22)에 끼움된 구조를 이루어서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하단힌지연결부재(11)가 180도 회전할 수 있고 반대로 펼칠 때에는 윈 위치할 수 있는 구조로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고,
경사보도판(100)의 보관을 원할 때는 하부연결부 및 상부연결부가 중앙받침부 상단에 포개지도록 접어 부피를 줄여 보관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우용 경사보도판(100)의 이용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받침부의 저면 모서리부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wheel) 및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고정식으로 사용할 경우 고정장치가 바퀴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고 이동을 원할 때는 고정장치를 풀어서 바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우용 경사보도판의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1584 | 2019-03-20 | ||
KR20190031584 | 2019-03-2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4780B1 true KR102084780B1 (ko) | 2020-05-15 |
Family
ID=7067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1167A KR102084780B1 (ko) | 2019-03-20 | 2019-06-15 | 장애인용 경사보도판 및 그 이용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478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45393U (ja) * | 1997-07-16 | 1998-01-27 | 大喜商事株式会社 | スロープ装置 |
KR19990028958U (ko) * | 1997-12-23 | 1999-07-15 | 현성일 | 절첩 가능한 콘테이너 램프 |
KR200201249Y1 (ko) * | 2000-04-24 | 2000-11-01 | 주식회사호남테크노티 | 조립식경사로장치 |
KR20090025737A (ko) * | 2007-09-07 | 2009-03-11 | (주)대진가설산업 | 호이스트 방호울의 조립식 진입발판대 |
-
2019
- 2019-06-15 KR KR1020190071167A patent/KR102084780B1/ko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45393U (ja) * | 1997-07-16 | 1998-01-27 | 大喜商事株式会社 | スロープ装置 |
KR19990028958U (ko) * | 1997-12-23 | 1999-07-15 | 현성일 | 절첩 가능한 콘테이너 램프 |
KR200201249Y1 (ko) * | 2000-04-24 | 2000-11-01 | 주식회사호남테크노티 | 조립식경사로장치 |
KR20090025737A (ko) * | 2007-09-07 | 2009-03-11 | (주)대진가설산업 | 호이스트 방호울의 조립식 진입발판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26618B2 (en) | Portable wheel chair lift | |
US8844083B2 (en) | Adjustable, modular handicap-access-ramp system | |
US5319818A (en) | Accessibility means for a person using a wheelchair | |
KR102405249B1 (ko) | 가변시트를 구비한 장애물 극복형 전동 휠체어 | |
KR20070098979A (ko) | 경사로로 변형 가능한 계단 | |
CA2850553C (en) | Apparatus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stairs with a wheelchair | |
KR20120013035A (ko) | 계단 통행이 가능한 휄체어 | |
KR102084780B1 (ko) | 장애인용 경사보도판 및 그 이용방법 | |
KR20210000628A (ko) | 조립식 구조를 갖는 무대 경사로 구조체 | |
EP1600416B1 (en) | Lifting system | |
KR102084781B1 (ko) | 장애인용 경사보도판 및 그 이용방법 | |
JP4887029B2 (ja) | 組立式スロープユニット | |
KR101923538B1 (ko) |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 | |
WO2013091097A1 (en) | Lifting staircase assembly | |
KR102282965B1 (ko) | 장애인용 휠체어 리프트 | |
KR102061323B1 (ko) | 모듈형 조립식 경사로 | |
KR102381643B1 (ko) | 휠체어용 계단 승강 보조 장치 | |
JP2021186664A (ja) | 乗り込み用傾斜台及び避難用すべり台 | |
KR101168998B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 | |
KR200368189Y1 (ko) | 휠체어용 계단보조구 | |
KR102678155B1 (ko) | 턱 오르기 기능을 갖는 보행 보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10001269U (ko) | 이동식 무대 경사로 | |
US20010032355A1 (en) | Removable platform for pools, spas and the like | |
KR20160023292A (ko) | 계단 이송 가능 휠체어 | |
US20050217939A1 (en) | Lifting syste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