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998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998B1
KR101168998B1 KR1020120009915A KR20120009915A KR101168998B1 KR 101168998 B1 KR101168998 B1 KR 101168998B1 KR 1020120009915 A KR1020120009915 A KR 1020120009915A KR 20120009915 A KR20120009915 A KR 20120009915A KR 101168998 B1 KR101168998 B1 KR 101168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heelchair
disabled
prevention unit
disabled peo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신우 프론티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 프론티어 filed Critical (주)신우 프론티어
Priority to KR102012000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6Chairs or seats detachably mounted on stadium be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이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플레이트에 탑승하도록 한 후 상기 플레이트를 자체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실린더의 작동으로 상기 플레이트를 일정 높이까지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애인의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영화나 연극, 콘서트 및 스포츠경기 등의 관람을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공연관람 중 높이 조절 작동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하여 장애인의 다양한 문화예술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사회영역의 넓은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Handicapped person's apparatus for height adjustment}
본 발명은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영화나 연극, 콘서트 또는 경기를 관람할 경우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눈높이를 높여 관람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휠체어가 탑승할 수 있도록 소정 면적으로 제공되는 플레이트에 다수의 전동실린더를 장착하여 상기 전동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를 안전하게 승/하강시켜 상기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영화나 연극, 콘서트 또는 경기를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영화나 연극, 콘서트 또는 경기를 관람하는 장소는 소정의 공간 내에 스크린이나 무대 또는 운동장과 관람석으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관람석을 이용하는 관객들은 일반인의 경우 등받이와 좌판이 일체로 된 고정식 의자에 앉아 관람을 하게 되며, 관객이 많을 경우 접이식 의자를 별도로 마련하여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장애인을 배려하기 위한 일환으로 시나 도에서 운영하는 문화회관 등에는 장애인용 관람 의자를 설치하거나, 장애인이 탑승한 휠체어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관객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
상기 장애인용 관람 의자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73198호에 제안된 바와 같이 연결대; 상기 연결대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지지대와 상기 상부 지지대가 수납되어 축 회전하도록 내부가 중공인 하부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지지대의 일측 선단에는 상부 지지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부 바닥에는 상기 회전 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제 1 지지대; 및 상기 연결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지지대의 축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지지대를 중심으로 선회 운동하는 제 2지지대를 포함하는 의자 설치와, 힌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의자 설치대에 설치되는 등받이 또는 좌석과, 상기 등받이 또는 좌석에 대해서 접혀서 수납하거나 또는, 펼쳐서 설치되는 좌석 또는 등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애인용 관람 의자는 장애인이 직접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일반인이 이용하되, 장애인이 관람할 경우 휠체어가 위치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람 의자나 휠체어가 위치되는 공간은 대부분 무대와 먼 거리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어 콘서트 또는 경기를 관람할 경우 앞에 앉은 일반인이 앉은 키가 크거나 일어나서 관람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장애인의 관람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상대적으로 장애인은 왜소한 경우가 많고 앉은 키가 작은 경우가 많아 장애인을 위한 공간 확보는 기존 취지보다 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애인이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플레이트에 탑승하도록 한 후 상기 플레이트를 자체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실린더의 작동으로 상기 플레이트를 일정 높이까지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애인의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영화나 연극, 콘서트 및 스포츠경기 등의 관람을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공연관람 중 높이 조절 작동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하여 장애인의 다양한 문화예술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사회영역의 넓은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애인이 전동 또는 수동 휠체어를 탑승한 상태로 탑승할 수 있는 넓이로 제공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과 좌/우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장애인을 보호하는 다수의 보호프레임과, 상기 보호프레임 사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일체가 되게 설치하여 자체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각각의 로드가 신장 및 신축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승/하강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전동실린더와,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설치되어 휠체어의 탑승이 원활하도록 함과 동시에 휠체어의 탑승 후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부와, 상기 보호프레임에 설치되고, 자체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전동실린더 및 추락방지부를 장애인이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와, 소정 면적으로 제공되는 금속커버를 "ㄷ"자 형태가 되게 형성한 안전펜스를 포함하되,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로드를 신축시키는 풋싱실린더와, 상기 풋싱실린더의 로드 단부와 일단이 지지판을 사이에 두고 고정핀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타단이 힌지 고정되고, 다수의 경첩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휠체어의 탑승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사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의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영화나 연극, 콘서트 및 스포츠경기 등의 관람을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공연관람 중 높이 조절 작동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하여 장애인의 다양한 문화예술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사회영역의 넓은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연 관람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연 관람장치의 개략적인 평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연 관람장치의 작동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연 관람장치의 작동된 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 예시도.
도 5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 및 정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는 플레이트와(100), 보호프레임(200), 다수의 전동실린더(300), 추락방지부(400), 제어부(500) 및 안전펜스(6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100)는 일정 두께를 갖는 금속판과 다수의 사각 파이프를 소정 형태로 절곡, 용접 및 가공하여 일정 면적을 갖는 직육면체 형태가 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장애인이 탑승한 전동 또는 수동 휠체어가 탑승할 수 있는 면적으로 제공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보호프레임(200)은 다수의 금속 파이프를 이용하여 소정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플레이트(100)에 탑승한 장애인이 추락하지 않도록 상기 플레이트(100)의 상부 전면과 좌/우측면에 수직으로 설치하되, 상기 보호프레임(200)의 상부는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도록 원형파이프를 설치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전동실린더(300)는 상기 플레이트(100)을 승/하강시켜 장애인의 눈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보호프레임(200) 사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100)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일체가 되게 설치하여 자체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각각의 로드(310)가 신장 및 신축되는데, 이때 상기 전동실린더(300)는 일반적인 실린더와 비교하여 작동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소리에 민감한 오페라 공연장이나 극장 등에서의 적용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추락방지부(400)는 상기 플레이트(100)에 휠체어의 탑승이 원활하도록 함과 동시에 휠체어의 탑승 후 추락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플레이트(100)의 후면에 일체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추락방지부(400)는 상기 플레이트(1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500)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로드(412)를 신축시키는 풋싱실린더(410)와, 상기 풋싱실린더(410)의 로드(412) 단부와 일단이 지지판(420)을 사이에 두고 고정핀(422)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링크(430)와, 상기 링크(430)의 타단이 힌지 고정되고, 다수의 경첩(442)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00)의 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휠체어의 탑승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사판(440)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500)는 자체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동력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자체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전동실린더(300) 및 추락방지부(400)를 장애인이 직접 조종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프레임(200)에 일체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100)의 저면에 상기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센서(110)를 다수 설치하여 상기 플레이트(100)의 하강시 간섭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전동실린더(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펜스(600)는 소정 면적으로 제공되는 금속커버를 "ㄷ"자 형태가 되게 일체로 형성하여 별도로 구비한 다음 상기 플레이트(100)의 주변을 감싸도록 설치하여 상기 플레이트(100)의 하부에 간섭물이 침투를 하지 않도록 하면 되는 것으로서, 도면상 미설명 부호 700은 플레이트(100)의 승/하강시 장애인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되는 추락방지벨트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100)의 저면 모서리 부분에는 각각 바퀴(120)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100)의 장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는 주로 공연장이나 극장 또는 경기장의 관람석 후방에 설치 또는 위치되게 되는바, 상기 관람장치의 작용은 먼저, 전동 또는 수동 휠체어를 탑승한 장애인이 내부로 입장하여 관람장치에 탑승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어부(500)의 조작에 의해 추락방지부(400)의 풋싱실린더(410)를 작동시켜 상기 풋싱실린더(410)의 로드(412)와 일단이 연결된 링크(430)를 이동시키면 상기 링크(430)의 타단과 힌지 고정된 경사판(440)이 회동하여 상기 경사판(440)의 단부가 실내 바닥면에 닿게 되면, 전동 또는 수동 휠체어를 탑승한 장애인이 상기 플레이트(100) 상에 탑승이 가능하게 되고, 휠체어의 탑승이 완료되면 상기 추락방지부(400)의 풋싱실린더(410)를 작동시켜 상기 풋싱실린더(410)의 로드(412)와 일단이 연결된 링크(430)를 다시 원상복귀시키면 상기 링크(430)의 타단과 힌지 고정된 경사판(440)이 회동하여 수직으로 세워져 휠체어의 추락을 방지함으로써 공연이나 콘서트 등을 안전하게 관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앞좌석의 일반인에 의해 시야가 완전히 확보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를 조작하여 시야가 확보되는 높이까지 상기 플레이트(100)를 상승시킨 후 관람을 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즉, 공연을 관람하는 도중에 전방에 위치한 관객이 기립박수를 위해 일어나게 되면 장애인의 시야를 가리게 되므로 즉시 장애인은 상기 제어부(500)를 조작하여 보호프레임(20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전동실린더(300)를 동시에 작동시켜 상기 전동실린더(300)의 로드(310)를 신장시켜 시야가 확보되는 적정한 높이로 상기 플레이트(100)를 상승시키게 되면 상기 제어부(500) 조작에 의해 전동실린더(300)의 작동을 정지시켜 관람을 계속하면 되는 것이다.
이어서, 전방에 위치한 관객이 의자에 다시 착석을 하면 상기 제어부(500)를 조작하여 상기 다수의 전동실린더(300)를 동시에 작동시켜 상기 전동실린더(300)의 로드(310)를 신축되게 하여 상기 플레이트(100)가 하강하여 원상태의 높이로 복귀시키면 되는데, 이때 상기 플레이트(100)의 전면과 좌/우측면을 감싸도록 별도로 설치되는 안전펜스(600)에 의해 플레이트(100)의 하부로 간섭물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플레이트(100)의 승/하강이 안전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안전펜스(600)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플레이트(100)의 후면을 통해 간섭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저면에 설치된 다수의 감지센서(110)가 하부에 간섭물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간섭물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500)에 신호를 보내 전동실린더(300)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간섭물이 제거된 다음 다시 제어부(500)의 작동에 의해 플레이트(100)가 안전하게 바닥까지 하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애인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안전성과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당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적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다.
100 : 플레이트 110 : 감지센서
200 : 보호프레임 300 : 전동실린더
400 : 추락방지부 410 : 풋싱실린더
420 : 지지판 430 : 링크
440 : 경사판 500 : 제어부
600 : 안전펜스

Claims (4)

  1. 장애인이 전동 또는 수동 휠체어를 탑승한 상태로 탑승할 수 있는 넓이로 제공되는 플레이트(100)와, 상기 플레이트(100)의 전면과 좌/우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장애인을 보호하는 다수의 보호프레임(200)과, 상기 보호프레임(200) 사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100)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일체가 되게 설치하여 자체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각각의 로드(310)가 신장 및 신축되어 상기 플레이트(100)를 승/하강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전동실린더(300)와, 상기 플레이트(100)의 후면에 설치되어 휠체어의 탑승이 원활하도록 함과 동시에 휠체어의 탑승 후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부(400)와, 상기 보호프레임(200)에 설치되고, 자체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전동실린더(300) 및 추락방지부(400)를 장애인이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500)와, 소정 면적으로 제공되는 금속커버를 "ㄷ"자 형태가 되게 형성한 안전펜스(600)를 포함하되,
    상기 추락방지부(400)는 상기 플레이트(1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500)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로드(412)를 신축시키는 풋싱실린더(410)와, 상기 풋싱실린더(410)의 로드(412) 단부와 일단이 지지판(420)을 사이에 두고 고정핀(422)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링크(430)와, 상기 링크(430)의 타단이 힌지 고정되고, 다수의 경첩(442)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00)의 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휠체어의 탑승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사판(4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009915A 2012-01-31 2012-01-31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 KR101168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915A KR101168998B1 (ko) 2012-01-31 2012-01-31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915A KR101168998B1 (ko) 2012-01-31 2012-01-31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998B1 true KR101168998B1 (ko) 2012-07-27

Family

ID=46717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915A KR101168998B1 (ko) 2012-01-31 2012-01-31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9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343B1 (ko) * 2015-12-21 2018-04-23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영화관용 장애인석 특수효과 체감장치
KR20220061326A (ko) * 2020-11-05 2022-05-13 (주)신우 프론티어 휠체어 리프트용 추락방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085B1 (ko) 1997-05-02 1999-12-01 김기수 이동가능한 휠체어장애인용 승강장치
KR200450754Y1 (ko) 2010-05-12 2010-10-29 주식회사 로덱 승강장치가 구비된 의료용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085B1 (ko) 1997-05-02 1999-12-01 김기수 이동가능한 휠체어장애인용 승강장치
KR200450754Y1 (ko) 2010-05-12 2010-10-29 주식회사 로덱 승강장치가 구비된 의료용 의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343B1 (ko) * 2015-12-21 2018-04-23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영화관용 장애인석 특수효과 체감장치
KR20220061326A (ko) * 2020-11-05 2022-05-13 (주)신우 프론티어 휠체어 리프트용 추락방지장치
KR102434694B1 (ko) 2020-11-05 2022-08-22 (주)신우 프론티어 휠체어 리프트용 추락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4508B2 (en) Variable height lift seat
US20140103691A1 (en) Handicap accessible bar stool
US20100295354A1 (en) Chair adapted to adjust according to person's sitting-posture vertebral curve (i)
KR10116899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
KR101123860B1 (ko) 휠체어의 보조이동장치
KR101800553B1 (ko) 노약자 및 장애인 전용 전동의자
CN108835973B (zh) 智能电影院座椅
KR101923538B1 (ko)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
KR20180070313A (ko) 관람용 의자
US20180064987A1 (en) In-floor treadmill assembly
KR101851343B1 (ko) 영화관용 장애인석 특수효과 체감장치
KR101188899B1 (ko) 기립형 휠체어
KR102246194B1 (ko) 기립형 휠체어
KR102093277B1 (ko)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다기능 베드쇼파
KR101209274B1 (ko) 의자의 팔걸이
GB2459145A (en) Collapsible booth
KR20130030335A (ko) 접이식 가로벤치
WO2018100347A1 (en) Flexible spectator seating
JP2505131B2 (ja) ロビ―チェア
Architectural et al. Recommendations for accessibility guidelines: Recreational facilities and outdoor developed areas
KR101136987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101207776B1 (ko) 의자용 접이식 얼굴가리개
JP3022692U (ja) 移動式休憩所
KR20150031773A (ko) 야외용 벤치
KR0184584B1 (ko) 수직 투영방식의 영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