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538B1 -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 - Google Patents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538B1
KR101923538B1 KR1020180049819A KR20180049819A KR101923538B1 KR 101923538 B1 KR101923538 B1 KR 101923538B1 KR 1020180049819 A KR1020180049819 A KR 1020180049819A KR 20180049819 A KR20180049819 A KR 20180049819A KR 101923538 B1 KR101923538 B1 KR 101923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rience
frame
plate
vehicl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텍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텍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텍엠
Priority to KR1020180049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vibratory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5Catwalks, running boards for vehicle tops, access means for vehicle tops; Handrai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7Removable steps or ladders, e.g. fold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및 재난에 대한 다양한 체험실을 하나의 차량에 미로형태로 구비하여, 사용자 및 아동들이 이를 사전숙지하고 경험함으로써, 이에 대한 대비나 대피를 몸에 익힐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차량 내에 설치됨으로써 체험을 원하는 학교나 단체 등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하여 체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A mobile safety experience vehicle equipped with a step-lift integrated device}
본 발명은 이동안전 체험을 위한 차량으로써, 차량 내부에 화재 및 재난시의 위험 및 대처요령을 교육 및 체험할 수 있도록 한 이동가능한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도 여전히 관계기관 및 국민들의 안전 불감증으로 대형 재난 사고의 피해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지구 내부의 에너지가 지표로 방출되어 지각이 갈라지며 흔들리는 현상인 지진에 있어서도, 대게 일본, 이탈리아 및 미국 등에서 빈번히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지질학적으로 지진의 활성대층에 속하며, 일년에 수십회씩의 미진이 발생하고 있으나, 대부분 민감한 사람이 느낄 수 있을 정도의 약진이었으나, 최근에는 지진의 발생빈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일반인 등이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지진까지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각종 화재, 건물붕괴 및 지진 등의 각종 재해에 대한 대비책이 미비할 뿐만 아니라, 아동 및 일반인 등이 이러한 화재시나 재난시를 경험하지 못함으로써, 이에 대한 특성 및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화재 및 재난이 발생하더라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08885호(2016.09.21.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아동 및 다양한 체험자들에게 화재 및 각종 재난시의 대처 및 대피요령 등을 사전에 손쉽고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화재 및 각종 재난에 대한 정보를 미리 교육받음으로써, 실제로 이러한 화재나 재난에 닥쳤을 경우, 당황하지 않고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대피 및 대비 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다양한 체험을 원하는 단체나 학교 등으로 이동하여 교육이 가능토록 한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전설정된 교육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며, 체험대상자가 내부에 승차가능한 차량 본체(100); 상기 차량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비상시 자동문을 수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교육을 체험하는 비상도어 체험실(110); 상기 차량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지진을 몸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지진판(121)이 저면에 설치되는 지진 체험실(120); 상기 차량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화재나 재난시의 열과 연기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열, 역화 체험실(130); 상기 차량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화재나 재난시의 불규칙한 이동경로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로 및 장애물 체험실(141); 상기 차량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건물의 붕괴 영상을 상영하여 교육하며, 차량의 상부로 올라갈 수 있도록 하여, 건물옥상으로의 이동을 체험하게 하는 건물붕괴상황 체험실(150); 상기 차량 본체(100) 상부에 승, 하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이 이동 및 운전시에는 하강작동되어 난간 리프트(10)와 접이식 계단(40)이 차량 본체(100) 상부에 밀착되도록 하고, 차량이 정지 및 교육장소에 도착후에는 승강작동되며 상부를 향해 난간 리프트(10)와 접이식 계단(40)이 동시에 펼쳐지도록 하여, 차량 본체(100)에서 체험을 마친 사용자가 접이식 계단(40)을 통해 난간 리프트(10)에서 비상탈출수단(161)을 통해 외부로의 탈출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탈출 체험실(160);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체험실이 미로형태로 연결되어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사전설정된 체험실 순서대로 체험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일의 차량에서 다양한 화재 및 재난 등을 사전경험하고, 이러한 화재 및 재난시의 대처요령 및 대비를 위한 교육을 사전에 받아, 해당 순간이 닥쳤을 시 안전하게 대피 및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험 및 교육이 필요한 단체나 장소에 이동이 가능하고, 별도의 장치설치나 안전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바로 체험 및 교육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의 내부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좌,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리트프와 접이식 계단이 동시에 높이 상승되며 펼쳐지고, 하강되어 접혀지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리프트에 벨로우즈가 결합되어, 하강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난간리프트의 높이 상승 및 벨로우즈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리프트의 높이 승, 하강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접이식 계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사전설정된 교육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며, 체험대상자가 내부에 승차가능한 차량 본체(100); 상기 차량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비상시 자동문을 수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교육을 체험하는 비상도어 체험실(110); 상기 차량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지진을 몸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지진판(121)이 저면에 설치되는 지진 체험실(120); 상기 차량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화재나 재난시의 열과 연기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열, 역화 체험실(130); 상기 차량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화재나 재난시의 불규칙한 이동경로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로 및 장애물 체험실(141); 상기 차량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건물의 붕괴 영상을 상영하여 교육하며, 차량의 상부로 올라갈 수 있도록 하여, 건물옥상으로의 이동을 체험하게 하는 건물붕괴상황 체험실(150); 상기 차량 본체(100) 상부에 승, 하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이 이동 및 운전시에는 하강작동되어 난간 리프트(10)와 접이식 계단(40)이 차량 본체(100) 상부에 밀착되도록 하고, 차량이 정지 및 교육장소에 도착후에는 승강작동되며 상부를 향해 난간 리프트(10)와 접이식 계단(40)이 동시에 펼쳐지도록 하여, 차량 본체(100)에서 체험을 마친 사용자가 접이식 계단(40)을 통해 난간 리프트(10)에서 비상탈출수단(161)을 통해 외부로의 탈출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탈출 체험실(160);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체험실이 미로형태로 연결되어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사전설정된 체험실 순서대로 체험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로 및 장애물 체험실(141)은 사용자의 이동경로상 양측벽에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쿠션부(141); 상기 이동경로상 중, 지면의 오르막 및 내리막 체험을 가능토록 하는 지면경사 체험부(142); 상기 이동경로상 중, 다수의 장애물이 불규칙적으로 설치되어, 화재나 재난시의 험한 이동경로를 체험하도록 하는 장애물 체험부(14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탈출수단(161)은 완강기(162) 또는 경사하강식 구조대(163) 중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출 체험실(160)은 상판(11)에 설치구조물이 설치되되, 사전설정 설치위치에 고정된 하판(13)으로부터 상판(11)이 상부로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시에 따라 지면을 향해 상, 하판(11, 13)이 접촉되며 접혀지거나, 높이조절되어 설치구조물이 사전설정위치에 위치고정되는 난간 리프트(10); 상기 난간 리프트(10)의 상판(11) 일측에 일체형으로 연결설치되어, 상기 난간 리프트(10)가 접혀져 있는 경우 난간 리프트(10)와 동일수평선상을 이루며 접혀져 있도록 하되, 상기 난간 리프트(10)가 승강하는 경우에는 난간 리프트(10)에 연결된 일단이 상부로 끌려올려져, 사선형태의 계단을 이루도록 펼쳐지는 접이식 계단(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난간 리프트(10)는 적층설치되는 상, 하판(11, 13); 상기 상, 하판(11, 13)의 사이에 대각선 형태로 결합되며, 일측은 하판(1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판(11)에 길이방향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롤러(R)로 연결설치되는 제 1프레임(15); 상기 상, 하판(11, 13)의 사이에서 제 1프레임(15)과 중단이 교차되며 힌지결합되며, 일측은 상판(1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하판(13)에 길이방향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롤러(R)로 연결설치되는 제 2프레임(16); 상기 제 1프레임(15)을 상부로 밀어올림으로써, 제 1, 2프레임(15, 16)이 상호간 중단이 힌지로 교차되며 승, 하강되어, 상기 상판(11)의 위치변경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유압수단(17);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수단(17)은 상기 제 1프레임(15)의 양측 중단을 연결하는 연결판(18); 일단은 제 2프레임(16)의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 1프레임(15)의 연결판(18)에 고정되어, 인장 및 압축이 되는 다수의 피스톤부(19); 상기 다수의 피스톤부(19)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관(20); 상기 하판(13)에 설치되며, 연결관(20)을 통해 피스톤부(19)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펌프(2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난간 리프트(10)는 외주연에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벨로우즈(30)가 설치되어, 내부로 사람이 침입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이식 계단(40)은 상기 난간 리프트(10)의 상판(11) 일측에 수평으로 연장설치되는 연장판(41); 복수개가 상호간 좌, 우로 이격되어, 상단이 연장판(41)의 중단 저면에 연결설치되는 제 1측면프레임(42); 상기 제 1측면프레임(42)의 상부에 대응설치되며, 복수개가 상호간 좌, 우로 이격되어, 제 1측면프레임(42) 연결위치보다 전단에 위치되도록, 상단이 연장판(41)의 일단부에 연결설치되는 제 2측면프레임(43); 상기 복수개의 제 1측면프레임(42)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향해 다수개가 연속설치되되, 전단 양측은 복수개의 제 2측면프레임(4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되고, 후단 양측은 복수개의 제 1측면프레임(4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되어, 제 1, 2측면프레임(42, 43)이 상호간 벌어지며 펼쳐지게 되는 경우 계단으로 사용되는 발판(45); 상기 제 1측면프레임(42)의 최하단 양측에 형성되는 바퀴부(46);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은 차량 본체(100), 비상도어 체험실(110), 지진 체험실(120), 열, 역화 체험실(130), 경사로 및 장애물 체험실(141), 건물붕괴상황 체험실(150), 탈출 체험실(160)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 본체(100)는 이동이 가능한 차량으로써,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화재 및 재난, 재해 체험, 이러한 화재 및 재난시의 대비 및 대피요령 등을 교육/체험받고자 하는 학교나 단체, 아파트 등으로 이동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차량 본체(100) 내부에는 비상도어 체험실(110), 지진 체험실(120), 열, 역화 체험실(130), 경사로 및 장애물 체험실(141), 건물붕괴상황 체험실(150), 탈출 체험실(160) 등의 미로 형태로 상호간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나 아동이 다양한 체험실을 순차적으로 체험하여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차량 본체(100) 내부로 탑승하게 되는 아동들은 사전에 별도의 교육담당자에게 사전교육을 받은 후 내부로 탑승할 수 있음이다.
상기 비상도어 체험실(110)은 차량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지하철, 기차 등의 자동문이 화재시나 재해시 열리지 않는 경우, 이러한 비상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및 체험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상도어 체험실(110)은 아동이 적접 수동으로 비상도어를 여는 방법 숙지 및 체험 등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진 체험실(120)은 비상도어 체험실(110)과 연결되어 있는 곳으로서, 차량 본체(100) 내 일정공간 내(가정 내 주방이나 실내 등과 같은 분위기의 장소로 꾸며져 있는 장소)에 지진판(121)이 설치되어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지진 체험실(120)에 아동이나 사용자가 들어가게 되면, 지진판(121)에 의해 지면이 흔들리고, 가스렌지의 화재연출 및 주변의 물건이 떨어지는 등 지진에 의한 다양한 효과가 사전설정되어 있을 수 있음이다.
물론, 이러한 지진 체험실(120)에는 이러한 지진이 발생되었을시의 대처요령이나 대비요령을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이다.
상기 열, 역화 체험실(130)은 전술된 지진 체험실(120)과 연결되어 있으며, 화재시의 열과 연기를 체험하도록 한 것으로, 내부에 연기가 발생되고 주위보다 상승된 온도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곳이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연기공급장치나 내부 온도 상승을 위한 히터나, 화재시의 연출을 위한 각종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음이다.
상기 경사로 및 장애물 체험실(141)은 전술된 열, 역화 체험실(130)과 연결되어 있는 장소로써, 사용자의 이동경로상 양측벽에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쿠션부(141)가 설치되어 있음, 상기 이동경로상 중, 지면의 오르막 및 내리막 체험(연기시에 몸을 눕혀서 이동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등)을 가능토록 하는 지면경사 체험부(142)와, 상기 이동경로상 중, 다수의 장애물이 불규칙적으로 설치(차량 본체 내부에 다수의 장애물이 세로로 불규칙적으로 메달려 있거나, 차량 본체 벽면에 다수의 장애물이 돌출되어 있도록 하는 등)되어, 화재나 재난시의 험한 이동경로를 체험하도록 하는 장애물 체험부(143)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물붕괴상황 체험실(150)은 별도의 디스플레이부(TV 등)와, 각종 건물붕괴 이미지를 벽에 설치하여, 건물붕괴시의 모습이나, 이러한 건물붕괴 조짐시 취해야할 상황 등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건물붕괴상황 체험실(150)은 차량 본체(100) 내에 설치되되, 차량의 상부로 올라갈 수 있도록 상면에 탈출구(151)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탈출구(151)까지 내부에 사다리 및 계단이 설치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건물옥상으로의 대피이동을 체험하게 한다.
상기 탈출 체험실(160)은 차량 본체(100) 상부에 승, 하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이 이동 및 운전시에는 하강작동되어 난간 리프트(10)와 접이식 계단(40)이 차량 본체(100) 상부에 밀착되도록 하고, 차량이 정지 및 교육장소에 도착후에는 승강작동되며 상부를 향해 난간 리프트(10)와 접이식 계단(40)이 동시에 펼쳐지도록 하여, 차량 본체(100)에서 체험을 마친 사용자가 접이식 계단(40)을 통해 난간 리프트(10)에서 비상탈출수단(161)을 통해 외부로의 탈출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건물붕괴상황 체험실(150)의 탈출구(151)를 통해 차량 본체(100)의 상부로 올라오게 되면, 사방으로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난간(164)이 설치되어 있고, 펼쳐진 접이식 계단(40)을 통해 사전설정높이로 승강해있는 난간 리프트(10) 상부까지 올라간 후, 이러한 난간 리프트(10)에서 비상탈출수단(161)을 통해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아동이나 사용자는 이러한 탈출 체험실(160)까지 올라가지 않고, 차량의 전단 측면에 설치되는 탑승구(101)를 통해 탑승하여, 차량의 후단에 위치된 비상구(102)를 통해 외부로 나올 수도 있음이다.
상기 비상탈출수단(161)은 완강기(162) 또는 비스듬하게 난간 리프트(10)에서부터 하향경사지는 튜브를 타고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하강식 구조대(163) 중 하나가 사용된다.
상기 난간 리프트(1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면에 사람이 올라가거나 또는 다양한 물건이 적재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판(11)에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다양한 설치구조물(상판(11) 테두리에 직립으로 세워져 사용자의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대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난간 리프트(10)는 사전설정 설치위치에 고정된 하판(13)으로부터 상판(11)이 상부로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시에 따라 지면을 향해 상, 하판(11, 13)이 접촉되며 접혀지거나(운반 이동시), 상판(11)이 상, 하로 승하강되며 높이조절되어 설치구조물이 사전설정위치에 위치고정(사용시)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한 상기 난간 리프트(10)는 상, 하판(11, 13), 제 1프레임(15), 제 2프레임(16), 유압수단(17)을 포함한다.
상기 상, 하판(11, 13)은 기본적으로 사각형의 프레임에 판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하판(13)은 지면에 위치되고, 상판(11)은 후술될 제 1, 2프레임(15, 16)에 의해 하판(13)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 1프레임(15)은 사각의 프레임 형태를 가지되, 상기 상, 하판(11, 13)의 사이에 사선의 대각선 형태로 위치결합되는 것으로서, 일측(사선 형태중 하단부)은 하판(13)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사선 형태의 상단부)은 상판(11) 타측(하판(13) 일측부분과 대각선을 방향에 있는 상판(11) 위치) 저면에 결합되되, 상기 상판(11)의 길이방향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단부에 롤러(R)로 연결설치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프레임(16)도 전술된 제 1프레임(15)과 동일하게 사각의 프레임 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상, 하판(11, 13)의 사이에 대각선 형태로 위치되어지되, 상, 하판(11, 13)의 사이에서 제 1프레임(15)과 중단이 교차되고, 교차되는 부분이 힌지결합되어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제 2프레임(16)의 일측(사선 형태 중 상단부)은 상판(11)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사선 형태의 하단부)은 하판(13)에 결합되되, 상기 하판(13)의 길이방향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단부에 롤러(R)가 연결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유압수단(17)은 제 1프레임(15)을 상부로 밀어올림으로써, 제 1, 2프레임(15, 16)이 중단의 힌지지점을 기준으로 'X'(엑스)자를 이루며 승, 하강되어, 상기 상판(11)의 위치변경, 즉 높이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압수단(17)은 연결판(18), 피스톤부(19), 연결관(20), 유압펌프(21)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판(18)은 전술된 제 1프레임(15)에서, 사각 프레임을 가지는 제 1프레임(15)의 양측 중단을 연결하는 판이다.
상기 피스톤부(19)는 일단이 제 2프레임(16)의 타측(하판(13)에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 2프레임(16)의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 1프레임(15)의 연결판(18)에 고정되져, 인장, 압축 작동이 되는 구조를 가진다. 물론, 이러한 피스톤부(19)는 하나 외에 복수개 또는 다수개가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다수개는 단일의 연결관(20)을 통해 후술될 유압펌프(21)의 유압라인과 연결된다.
상기 유압펌프(21)는 하판(13) 상부에 설치되며, 전술된 피스톤부(19)에 유압을 제공하는 것으로, 물론, 전원장치 및 유압탱크 등은 별도로 더 구비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피스톤부(19)에 유압이 제공되면, 피스톤부(19)는 인장되어지면서 제 1프레임(15)의 중단을 상부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로인해, 제 1프레임(15)의 일측은 결합위치에서 회동만 되고, 타측이 상판(11)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을 향해 이동되어지면서 상부로 들어올려지고, 이와 동시에, 제 1프레임(15)과 제 2프레임(16)의 중단이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 2프레임(16) 또한 일측은 결합위치에서 회동만 되고, 타측이 하판(13)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향해 이동되어지면서 상부로 들어올려져, 제 1, 2프레임(15, 16)이 점차 'X'자 구조 구조를 이루며 상부로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제 1, 2프레임(15, 16)의 각 타측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상기 제 1, 2프레임(15, 16)의 각 타측 양단에는 롤러(R)가 구비되어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롤러(R)가 대응되어 회전방향의 하판(13) 또는 상판(11)의 길이방향을 향해 이동되도록 가이드부 구비되어 있도록 한다.
즉, 상판(11) 저면의 양측에는 제 1가이드부(12), 하판(13) 상면의 양측에는 제 2가이드부(14)가 'ㄷ' 자 형태로 홈으로 형성되어, 제 1프레임(15)의 타측 양단의 롤러(R)가 상판(11)의 제 1가이드부(12)의 홈 부분에 대응되며 끼워져, 제 1가이드부(12)를 따라 상판(11)의 길이방향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고, 제 2프레임(16)의 타측 양단의 롤러(R)는 하판(13)의 제 2가이드부(14)의 홈 부분에 대응되며 끼워져, 제 2가이드부(14)를 따라 하판(13)의 길이방향을 향해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난간 리프트(10)는 외주연에 벨로우즈(30)(bellows)가 설치되어, 상, 하판(11, 13)의 승, 하강에 맞춰 대응되며 접힘과 펼침이 가능토록 하면서, 내부로 사람이 침입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접이식 계단(40)은 난간 리프트(10)의 상판(11) 일측에 일체형으로 연결설치되어, 상기 난간 리프트(10)가 접혀져 있는 경우 난간 리프트(10)와 동일수평선상을 이루며 접혀져 있도록 하되, 상기 난간 리프트(10)가 승강하는 경우에는 난간 리프트(10)에 연결된 일단이 상부로 끌려올려져 사선형태의 계단을 이루도록 펼쳐지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상기 접이식 계단(40)은 연장판(41), 제 1측면프레임(42), 제 2측면프레임(43), 발판(45), 바퀴부(46)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판(41)은 상판(11)의 일측에 수평으로 연장설치되는 판재이다.
상기 제 1측면프레임(42)은 복수개가 사용되어지며, 복수개가 상호간 좌, 우로 이격되어, 상단이 연장판(41)의 중단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형태로 연결설치된다.
상기 제 2측면프레임(43)은 제 1측면프레임(42)의 상부에 대응설치되며, 복수개가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복수개가 상호간 좌, 우로 이격되어, 제 1측면프레임(42) 연결위치보다 전단에 위치되도록, 상단이 연장판(41)의 일단부에 연결설치되어진다.
상기 발판(45)은 복수개의 제 1측면프레임(42)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향해 다수개가 연속설치되되, 전단 양측은 복수개의 제 2측면프레임(43)에 힌지수단(4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되고, 후단 양측은 복수개의 제 1측면프레임(4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되어, 제 1, 2측면프레임(42, 43)이 상호간 벌어지며 펼쳐지게 되는 경우 계단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접이식 계단(40)이 세워지며 펼쳐질씨, 제 1측면프레임(42)의 최하단 양측에는 바퀴부(4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에 밀착되어있다가 상부로 끌어올려져 펼쳐질시 더욱 용이하게 펴질 수 있도록 한다.(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바퀴부(46)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바퀴부(46)에는 고정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음이다.)
즉, 이러한 접이식 계단(40)은 난간 리프트(10)가 접혀져 있는 경우, 이러한 접이식 계단(40) 제 1, 2측면프레임(42, 43)이 적층되며 겹쳐져, 접혀져 있는 형태를 가지며,난간 리프트(10)가 상부로 들어올려지며 승강하게 되는 경우, 접혀져 있던 접이식 계단(40)의 제 1, 2측면프레임(42, 43)이 벌어지면서, 다수의 발판(45)이 저면과 수평을 이루며 계단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접이식 계단(40)이 완전히 접혀져 있는 경우, 다수의 발판(45)은 지면과 수평을 이루게 되는데, 이를 위해, 제 1, 2측면프레임(42, 43)이 접혀져 적층되어있을시, 발판(45)의 전단이 연결되어지는 제 2측면프레임(43)과의 연결위치와, 발판(45)의 후단이 연결되어지는 제 1측면프레임(42) 연결위치는, 발판(45)이 지면과 수평을 이룰수 있는 상이한 위치가 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제 2측면프레임(43)에서 발판(45)의 전단이 연결되어지는 부분마다 회동가능한 힌지수단(44)이 설치되어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차량본체 110: 비상도어 체험실
101: 탑승구 102: 비상구
110: 비상도어 체험실 120: 지진 체험실
121: 지진판 130: 열, 역화 체험실
140: 경사로 및 장애물 체험실 141: 쿠션부
142: 지면경사 체험부 143: 장애물 체험부
150: 건물붕괴상황 체험실 151: 탈출구
160: 탈출 체험실 161: 비상탈출수단
162: 완강기 163: 경사하강식 구조대
164: 안전난간
10: 난간 리프트 11: 상판
12: 제 1가이드부 13: 하판
14: 제 2가이드부 15: 제 1프레임
16: 제 2프레임 17: 유압수단
18: 연결판 19: 피스톤부
20: 연결관 21: 유압펌프
30: 벨로우즈 40: 접이식 계단
41: 연장판 42: 제 1측면프레임
43: 제 2측면프레임 44: 힌지수단
45: 발판 46: 바퀴부

Claims (8)

  1. 사전설정된 교육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며, 체험대상자가 내부에 승차가능한 차량 본체(100);
    상기 차량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비상시 자동문을 수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교육을 체험하는 비상도어 체험실(110);
    상기 차량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지진을 몸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지진판(121)이 저면에 설치되는 지진 체험실(120);
    상기 차량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화재나 재난시의 열과 연기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열, 역화 체험실(130);
    상기 차량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화재나 재난시의 불규칙한 이동경로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로 및 장애물 체험실(141);
    상기 차량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건물의 붕괴 영상을 상영하여 교육하며, 차량의 상부로 올라갈 수 있도록 하여, 건물옥상으로의 이동을 체험하게 하는 건물붕괴상황 체험실(150);
    상기 차량 본체(100) 상부에 승, 하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이 이동 및 운전시에는 하강작동되어 난간 리프트(10)와 접이식 계단(40)이 차량 본체(100) 상부에 밀착되도록 하고, 차량이 정지 및 교육장소에 도착후에는 승강작동되며 상부를 향해 난간 리프트(10)와 접이식 계단(40)이 동시에 펼쳐지도록 하여, 차량 본체(100)에서 체험을 마친 사용자가 접이식 계단(40)을 통해 난간 리프트(10)에서 비상탈출수단(161)을 통해 외부로의 탈출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탈출 체험실(160);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체험실이 미로형태로 연결되어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사전설정된 체험실 순서대로 체험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로 및 장애물 체험실(141)은
    사용자의 이동경로상 양측벽에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쿠션부(141);
    상기 이동경로상 중, 지면의 오르막 및 내리막 체험을 가능토록 하는 지면경사 체험부(142);
    상기 이동경로상 중, 다수의 장애물이 불규칙적으로 설치되어, 화재나 재난시의 험한 이동경로를 체험하도록 하는 장애물 체험부(14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수단(161)은
    완강기(162) 또는 경사하강식 구조대(163) 중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 체험실(160)은
    상판(11)에 설치구조물이 설치되되, 사전설정 설치위치에 고정된 하판(13)으로부터 상판(11)이 상부로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시에 따라 지면을 향해 상, 하판(11, 13)이 접촉되며 접혀지거나, 높이조절되어 설치구조물이 사전설정위치에 위치고정되는 난간 리프트(10);
    상기 난간 리프트(10)의 상판(11) 일측에 일체형으로 연결설치되어, 상기 난간 리프트(10)가 접혀져 있는 경우 난간 리프트(10)와 동일수평선상을 이루며 접혀져 있도록 하되, 상기 난간 리프트(10)가 승강하는 경우에는 난간 리프트(10)에 연결된 일단이 상부로 끌려올려져, 사선형태의 계단을 이루도록 펼쳐지는 접이식 계단(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리프트(10)는
    적층설치되는 상, 하판(11, 13);
    상기 상, 하판(11, 13)의 사이에 대각선 형태로 결합되며, 일측은 하판(1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판(11)에 길이방향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롤러(R)로 연결설치되는 제 1프레임(15);
    상기 상, 하판(11, 13)의 사이에서 제 1프레임(15)과 중단이 교차되며 힌지결합되며, 일측은 상판(1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하판(13)에 길이방향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롤러(R)로 연결설치되는 제 2프레임(16);
    상기 제 1프레임(15)을 상부로 밀어올림으로써, 제 1, 2프레임(15, 16)이 상호간 중단이 힌지로 교차되며 승, 하강되어, 상기 상판(11)의 위치변경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유압수단(17);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수단(17)은
    상기 제 1프레임(15)의 양측 중단을 연결하는 연결판(18);
    일단은 제 2프레임(16)의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 1프레임(15)의 연결판(18)에 고정되어, 인장 및 압축이 되는 다수의 피스톤부(19);
    상기 다수의 피스톤부(19)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관(20);
    상기 하판(13)에 설치되며, 연결관(20)을 통해 피스톤부(19)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펌프(2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리프트(10)는
    외주연에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벨로우즈(30)가 설치되어,
    내부로 사람이 침입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계단(40)은
    상기 난간 리프트(10)의 상판(11) 일측에 수평으로 연장설치되는 연장판(41);
    복수개가 상호간 좌, 우로 이격되어, 상단이 연장판(41)의 중단 저면에 연결설치되는 제 1측면프레임(42);
    상기 제 1측면프레임(42)의 상부에 대응설치되며, 복수개가 상호간 좌, 우로 이격되어, 제 1측면프레임(42) 연결위치보다 전단에 위치되도록, 상단이 연장판(41)의 일단부에 연결설치되는 제 2측면프레임(43);
    상기 복수개의 제 1측면프레임(42)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향해 다수개가 연속설치되되, 전단 양측은 복수개의 제 2측면프레임(4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되고, 후단 양측은 복수개의 제 1측면프레임(4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되어, 제 1, 2측면프레임(42, 43)이 상호간 벌어지며 펼쳐지게 되는 경우 계단으로 사용되는 발판(45);
    상기 제 1측면프레임(42)의 최하단 양측에 형성되는 바퀴부(46);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
KR1020180049819A 2018-04-30 2018-04-30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 KR101923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819A KR101923538B1 (ko) 2018-04-30 2018-04-30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819A KR101923538B1 (ko) 2018-04-30 2018-04-30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538B1 true KR101923538B1 (ko) 2018-11-29

Family

ID=6456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819A KR101923538B1 (ko) 2018-04-30 2018-04-30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5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304B1 (ko) 2019-06-18 2019-09-18 주식회사 성진테크 이동안전 체험차량의 탈출용 슬라이드 장치
CN110570707A (zh) * 2019-08-29 2019-12-13 陕西阳光校园风险防控技术服务有限公司 基于逃生课程的模拟烟道系统及逃生训练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1030A (ja) 2012-02-08 2013-08-19 Mitsui Zosen Plant Engineering Inc 実火災訓練装置
KR101561472B1 (ko) 2015-04-03 2015-10-20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1030A (ja) 2012-02-08 2013-08-19 Mitsui Zosen Plant Engineering Inc 実火災訓練装置
KR101561472B1 (ko) 2015-04-03 2015-10-20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교육용 재난안전 체험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304B1 (ko) 2019-06-18 2019-09-18 주식회사 성진테크 이동안전 체험차량의 탈출용 슬라이드 장치
CN110570707A (zh) * 2019-08-29 2019-12-13 陕西阳光校园风险防控技术服务有限公司 基于逃生课程的模拟烟道系统及逃生训练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782B1 (ko)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1923538B1 (ko) 계단 리프트 일체형 장치가 탑재된 이동안전 체험차량
US9091083B1 (en) Adjustable staircase
KR101329367B1 (ko) 이동식 기능성 임시주택
KR102077249B1 (ko)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
US20100308294A1 (en) Open and close railgate
KR100936020B1 (ko) 저상식 휠체어 리프트
JP2009235816A (ja) 階段
CN208017947U (zh) 滑道式救援疏散安全梯
US5392877A (en) Emergency escape system for multistory buildings
RU160234U1 (ru) Лестничный лифт
JP2006112089A (ja) フロート式津波避難所
CN107165351A (zh) 高层建筑所需要的折叠式紧急避难装置
KR20160143606A (ko) 응급탈출용 비상사다리
KR101922174B1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102084781B1 (ko) 장애인용 경사보도판 및 그 이용방법
CN111422722B (zh) 一种智能无障碍化斜坡升降台
KR102282965B1 (ko) 장애인용 휠체어 리프트
KR100490814B1 (ko) 낙하유희장치
KR101908339B1 (ko) 필요장소설치형 전망대용 난간 리프트와 계단의 동시접이식 일체형 조립체
KR102517284B1 (ko) 계단 리프트 장치
KR102135978B1 (ko) 완강기 실습용 훈련장치
KR102084780B1 (ko) 장애인용 경사보도판 및 그 이용방법
US20170291799A1 (en) System for lifting persons onto playground equipment
CN216076534U (zh) 一种空中操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