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734B1 -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 Google Patents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734B1
KR102448734B1 KR1020210145254A KR20210145254A KR102448734B1 KR 102448734 B1 KR102448734 B1 KR 102448734B1 KR 1020210145254 A KR1020210145254 A KR 1020210145254A KR 20210145254 A KR20210145254 A KR 20210145254A KR 102448734 B1 KR102448734 B1 KR 102448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wheelchair
elevating
stopper
elevato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판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Priority to KR1020210145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62B1/04Single parts, e.g. faste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대향되게 마주보도록 바닥슬라브(S2)에 지지된 상태로 천정슬라브(S1)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제1,2기둥(10)(10')과; 관통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천정슬라브(S1)의 표면과 편평해지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사각형태의 대피홀(21)이 형성되는 테두리플레이트(20)와; 제1기둥(10)과 제2기둥(10')에 가이드된 상태로 승강되는 것으로서 장애인 휠체어(W)가 탑승하는 승강카(30)와; 제1,2기둥(10)(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속도에 따라 브레이킹력을 발생하는 제1,2원심브레이크(40)(40')와 축결합된 제1,2윈치부(50)(50')와; 제1,2기둥(10)(1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하중복귀부(60)(60')와; 제1,2윈치부(50)(50')에 권회된 상태로 상기 승강카(30)와 제1,2하중복귀부(60)(60')를 연결하는 제1,2와이어(70)(70')와; 대피홀(21) 내측의 상기 테두리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제1,2록커(80)와; 승강카(30)에 설치되어 제1,2록커(80)(80')에 동시에 위치 고정시키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1,2스토퍼(90)(90')와; 승강카(30)에 설치된 것으로서, 휠체어(W)에 탑승한 장애인에 의하여 조작되어 제1,2스토퍼(90)(9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2조작부(100)(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IoT based emergency escape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전대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인이 탑승한 휠체어를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 상황시 대피하기 위한 완강기를 구비하고 있다. 완강기는 창문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어 운영되며, 재난 발생시 계단이나 승강기를 사용하기 곤란할 경우, 대피자는 완강기를 통하여 외부로 비상 대피한다.
그런데 대피자는 천천히 풀어지는 완강기 로프에 매달린 상태로 대피하여야 하기 때문에 신속한 대피가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라 짧은 시간내에 많은 사람을 대피시키기가 어려웠다. 또한 노약자, 어린이, 여성의 경우, 체력의 한계나 고소 공포감으로 인하여 완강기 사용을 거부하는 상황이 발생되고,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하여 많은 수의 재난 사망자 및 부상자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의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건물의 천정슬라브에 지지되는 비상대피홀에 결합되는 테두리지지부과, 테두리지지부와 바닥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기둥과, 지지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와이어가 감겨지는 윈치와, 와이어와 연결된 상태로 지지기둥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과, 발판이 하강한 후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윈치를 역회전시키는 태엽부를 포함하는 비상탈출장치를 개발하였고, 2012. 11. 6. 자로 등록번호 10-1200375의 비상탈출장치란 명칭으로 특허등록된 바 있다.
이러한 비상탈출장치에 의하여, 대피자는 발판에 탑승한 상태로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고, 이후 태엽부는 윈치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발판을 초기 위치로 상승 복귀시킴으로서 다른 대피자가 비상 대피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런데 상기 비상탈출장치의 경우, 태엽부를 이용하여 발판을 승강시키는 동력을 얻기 때문에, 발판의 크기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이에 따라 일반인의 경우 대피가 가능하지만 휠체어를 탑승한 장애인의 경우 대피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탑승이 가능하고, 탑승한 상태로 대피 조작이 가능한,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일반 장애인은 물론 시각장애인이나 청각장애인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는, 상호 대향되게 마주보도록 바닥슬라브(S2)에 지지된 상태로 천정슬라브(S1)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제1,2기둥(10)(10'); 상기 관통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천정슬라브(S1)의 표면과 편평해지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사각형태의 대피홀(21)이 형성되는 테두리플레이트(20); 상기 제1기둥(10)과 제2기둥(10')에 가이드된 상태로 승강되는 것으로서 장애인 휠체어(W)가 탑승하는 승강카(30); 상기 제1,2기둥(10)(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속도에 따라 브레이킹력을 발생하는 제1,2원심브레이크(40)(40'); 상기 제1,2원심브레이크(40)(40')와 축결합된 제1,2윈치부(50)(50'); 상기 제1,2기둥(10)(1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하중복귀부(60)(60'); 상기 제1,2윈치부(50)(50')에 권회된 상태로 상기 승강카(30)와 제1,2하중복귀부(60)(60')를 연결하는 제1,2와이어(70)(70'); 상기 대피홀(21) 내측의 상기 테두리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제1,2록커(80); 상기 승강카(30)에 설치되어 상기 제1,2록커(80)(80')에 동시에 위치 고정시키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1,2스토퍼(90)(90'); 상기 승강카(30)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휠체어(W)에 탑승한 장애인에 의하여 조작되어 상기 제1,2스토퍼(90)(9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2조작부(100)(100'); 및 상기 승강카(30)가 상기 바닥슬라브(S2)에 안착될 때 상기 승강카(30)로 인가되는 하강 충격을 흡수하는 제1,2하강쇽업쇼버(110)(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카(30)가 상기 테두리플레이트(20)의 대피홀(21)로 진입할 때 승강카(30)로 인가되는 상승 충격을 흡수하는 제1,2상승쇽업쇼버(120)(12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기둥(10)(10')은, 한쌍의 제1,2장측면(11)(11')과, 상기 제1,2장측면(11)(11')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장측면(11)(11')의 양측에 용접되는 한쌍의 제1,2단측면(12)(12')와, 상기 제1,2장측면(11)(11')의 양측을 따라 상기 제1,2단측면(12)(12') 측으로 몰입되는 제1,2가이드홈(13)(13')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카(30)는, 상기 휠체어(W)가 안착되는 스테이지프레임(31)과, 상기 스테이지프레임(31)의 양단에 상기 제1,2장측면(11)(11')에 대향되게 연결되는 한쌍의 사이드월프레임(32)과, 상기 각각의 사이드월프레임(32)의 표면에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2단측면(12)(12')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브라켓프레임(33)과, 상기 브라켓프레임(3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가이드홈(13)(13')에 끼어져 구름 운동하는 롤러조립체(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하중복귀부(60)(60')은, 상기 제1,2기둥(10)(10')의 제1,2기둥승강공간(14)(14')을 따라 승강되는 것으로서 적층된 다수의 제1,2무게추(61)(61')를 감싸는 제1,2복귀부몸체(62)(62')와, 상기 제1,2복귀부몸체(62)(62')의 전면 및 후면으로 일부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장측면(11)(11')의 표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다수의 제1,2전후면롤러(63)(63')와, 상기 제1,2복귀부몸체(62)(62')의 측면으로 일부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단측면(12)(12')의 표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다수의 제1,2측면롤러(64)(64')와, 상기 제1,2복귀부몸체(62)(62')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제1,2복귀와이어(72)(72')와 연결되는 제1,2아이볼트(65)(6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록커(80)(80')는 상기 대피홀(21) 일측 및 타측의 테두리플레이트(20)와 제1,2기둥(10)(10')에 동시에 고정되는 제1,2록커브라켓(81)(81')과, 상기 제1,2록커브라켓(81)(81')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2록커걸이(82)(82')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스토퍼(90)(90')는, 상기 승강카(30)의 스테이지프레임(31)의 바닥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록커(80)(80') 방향으로 개구된 제1,2스토퍼홈(91a)(91a')이 형성된 제1,2스토퍼브라켓(91)(91')과, 상기 제1,2스토퍼브라켓(91)(91')에 내장되어 상기 제1,2스토퍼홈(91a)(91a')을 따라 출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록커걸이(82)(82')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제1,2스토퍼돌기(92)(92')와, 상기 제1,2스토퍼돌기(92)(92')의 양측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제1,2스토퍼브라켓(91)(91')에 일렬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1,2베어링(93)(93')과. 상기 제1,2스토퍼돌기(92)(92')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제1,2스토핑로드(94)(94')와, 상기 제1,2스토퍼브라켓(91)(91')과 제1,2스토퍼돌기(92)(9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스토퍼돌기(92)(92')가 제1,2스토퍼홈(91a)(91a')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2스토퍼스프링(95)(9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플레이트(20) 상부측의 제1,2기둥(10)(10')의 전면에 승강카 입구측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재발생시 관리서버(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화재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승강카(30) 입구측을 자동으로 조명하는 조명등(140); 및 상기 관리서버(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카(30) 입구에 대향되는 상기 테두리플레이트(20)의 바닥에 설치된 것으로서 파란색 경고광 또는 빨간색 경고광을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경고등(15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플레이트(20)와 승강카(30)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승강카(30)가 상기 대피홀(21)에 위치되었을 때 경고등(150)이 휠체어 탑승을 허용하는 파란색 경고괌을 발생하도록 관리서버로 탑승신호(S1)를 전송하는 제1IoT센서(160); 상기 승강카(30)에 설치되어 탑승된 휠체어(W)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카(30)가 기 대피홀(21)에서 벗어날 때 경고등(150)이 휠체어 탑승을 금지하는 빨간색 경고광을 발생하도록 관리서버로 탑승금지신호(S2)를 전송하는 제2IoT센서(170); 및 상기 관리서버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서, 상기 탑승신호(S1)가 발생되었을 때 탑승안내 음성을 발생하고, 상기 탑승금지신호(S2)가 발생되었을 때 탑승금지 음성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부(18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향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기둥(10)(10') 사이에 승강카(30)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2기둥(10)(10')에 제1,2원심브레이크(40)(40') 및 제1,2윈치부(50)(50')를 설치한 후 제1,2윈치부(50)(50')에 감겨지는 제1,2와이어(60)(60')로 승강카(30)와 제1,2하중복귀부(60)(60')를 연결함으로써, 200~300Kg 무게의 고중량물이면서 전체 부피가 큰 장애인 휠체어(W)를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카(30)의 내측에서 휠체어(W)에 탑승한 장애인이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제1,2조작부(100)(100')를 채용함으로써, 손으로 조작하여 승강카(30)를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카(30)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은 제1,2윈치부(50)(50')에 권회되는 제1,2와이어(70)(70')와 연결된 제1,2하중복귀부(60)(60')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바닥슬라브(S2)와 천정슬래브(S1) 사이 층고에도 관계없이 본 빌명의 안전대피장치를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IoT 를 기반으로 하여 조명등(140), 경고등(150), 제1IoT센서(160), 제2IoT센서(170) 및 경고음발생부(180)가 상호 유기적으로 연동 작동됨으로써, 일반 장애인은 물론 시각장애인이나 청각장애인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2를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휠체어 안정대피장치의 하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승강카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승강카의 평면도,
도 6은 도 1의 제1,2기둥에 제1,2하중복귀부가 내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제1,2하중복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도 3의 제1,2록커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스토퍼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도 4의 승강카에 설치되는 제1,2조작부 및 제1,2비상브레이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제1,2조작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9의 제1,2비상브레이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4의 승강카에 설치되는 제1,2하강쇽업쇼버 및 제1,2상승쇽업쇼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를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휠체어 안정대피장치의 하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승강카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승강카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는,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이 발생될 때 장애인이 탑승한 장애인 휠체어를, 건물의 천정슬라브(S1)에에서 바닥슬라브(S2)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는, 상호 대향되게 마주보도록 바닥슬라브(S2)에 지지된 상태로 천정슬라브(S1)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제1,2기둥(10)(10')과; 관통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천정슬라브(S1)의 표면과 편평해지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사각형태의 대피홀(21)이 형성되는 테두리플레이트(20)와; 제1기둥(10)과 제2기둥(10')에 가이드된 상태로 승강되는 것으로서 장애인 휠체어(W)가 탑승하는 승강카(30)와; 제1,2기둥(10)(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속도에 따라 브레이킹력을 발생하는 제1,2원심브레이크(40)(40')와; 제1,2원심브레이크(40)(40')와 축결합된 제1,2윈치부(50)(50')와; 제1,2기둥(10)(1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하중복귀부(60)(60')와; 제1,2윈치부(50)(50')에 권회된 상태로 승강카(30)와 제1,2하중복귀부(60)(60')를 연결하는 제1,2와이어(70)(70')와; 대피홀(21) 내측의 테두리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제1,2록커(80)와; 승강카(30)에 설치되어 제1,2록커(80)(80')에 동시에 위치 고정시키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1,2스토퍼(90)(90')와; 승강카(30)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휠체어(W)에 탑승한 장애인에 의하여 조작되어 상기 제1,2스토퍼(90)(9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2조작부(100)(100')와; 승강카(30)가 바닥슬라브(S2)에 안착될 때 승강카(30)로 인가되는 하강 충격을 흡수하는 제1,2하강쇽업쇼버(110)(110')와; 승강카(30)가 테두리플레이트(20)의 대피홀(21)로 진입할 때 승강카(30)로 인가되는 상승 충격을 흡수하는 제1,2상승쇽업쇼버(120)(120')와; 제1,2와이어(70)(70')와 승강카(30) 사이에 설치되어, 제1,2와이어(70)(70')가 끊어질 때 승강카(30)가 제1,2기둥(10)(10')에서 하강하지 못하게 위치 고정시키는 제1,2비상브레이크(130)(130')와; 테두리플레이트(20) 상부측의 제1,2기둥(10)(10')의 전면에 승강카 입구측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재발생시 관리서버(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화재신호에 연동되어 승강카 입구측을 자동으로 조명하는 조명등(140)과; 관리서버(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서 승강카(30) 입구에 대향되는 테두리플레이트(20)의 바닥에 설치된 것으로서 파란색 경고광 또는 빨간색 경고광을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경고등(150)과; 테두리플레이트(20)와 승강카(30)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서, 승강카(30)가 상기 대피홀(21)에 위치되었을 때 경고등(150)이 휠체어 탑승을 허용하는 파란색 경고괌을 발생하도록 관리서버로 탑승신호(S1)를 전송하는 제1IoT센서(160)와; 승강카(30)에 설치되어 탑승된 휠체어(W)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승강카(30)가 기 대피홀(21)에서 벗어날 때 경고등(150)이 휠체어 탑승을 금지하는 빨간색 경고광을 발생하도록 관리서버로 탑승금지신호(S2)를 전송하는 제2IoT센서(170)와; 관리서버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서, 탑승신호(S1)가 발생되었을 때 탑승안내 음성을 발생하고, 탑승금지신호(S2)가 발생되었을 때 탑승금지 음성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부(180);을 포함한다.
제1기둥(10)과 제2기둥(10')은 동일 구조를 가지며, 상호 대향된 상태로 바닥슬라브(S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대피홀(21)을 관통하여 천정슬라브(S1)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납작한 타워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제1,2기둥(10)(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제1,2장측면(11)(11')과, 상기 제1,2장측면(11)(11')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것으로서 제1,2장측면(11)(11')의 양측에 용접되는 한쌍의 제1,2단측면(12)(12')와, 제1,2장측면(11)(11')의 양측을 따라 제1,2단측면(12)(12') 측으로 몰입되는 제1,2가이드홈(13)(13')과, 제1,2장측면(11)(11')과 제1,2단측면(12) 사이에 형성된 직사각형 단면의 제1,2기둥승강공간(14)(14')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2기둥(10)(10')의 바닥은 바닥슬라브(S2)에 지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15)에 고정된다.
제1,2기둥승강공간(14)(14')에는 제1,2하중복귀부(60)(60')가 내장되어 승강 가이드되고, 이에 따라 400Kg 내외의 제1,2하중복귀부(60)(60')가 승강될 때 발생되는 불쾌한 고주파 소음을 감쇄시키고, 제1,2하중복귀부(60)(60')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게 되어 디자인적인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2기둥(10)(10')에 형성되는 총 4 개의 제1,2가이드홈(13)(13')에는 후술할 롤러조립체(34)의 제1,2롤러(34a)(34b)가 가이드되어 승강되며, 이에 따라 승강카(30)는 제1,2기둥(10)(1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대로 승강될 수 있게 된다.
테두리플레이트(20)는 천정슬라브(S1)에 형성되는 구멍에 천정슬라브(S1)의 표면과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승강카(30)가 진입하는 대피홀(21)이 형성된다. 이러한 대피홀(21) 내측 모서리측의 테두리플레이트(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승강카(30)에 설치되는 제1,2스토퍼(90)(90')가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4 개의 상기 록커(80)가 설치된다. 또한 테두리플레이트(20)의 저면에는, 승강카(30)가 대피홀(21)로 진입할 때 승강카(30)에 설치되는 제2상승쇽업쇼버(120)(120')가 충돌하면서 승강카(30)로 인가되는 상승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테두리플레이트(20)는 제1,2기둥(10)(10')의 하방측과 브라켓으로 결합되어, 제1,2기둥(10)(10') 상부측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테두리플레이트(20)는 콘크리트 재질의 투박한 천정슬라브의 구멍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함으로써 본 발명의 디자인적인 요소를 강화시킨다.
승강카(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W)가 안착되는 스테이지프레임(31)과, 스테이지프레임(31)의 양단에 제1,2장측면(11)(11')에 대향되게 연결되는 한쌍의 사이드월프레임(32)과, 각각의 사이드월프레임(32)의 표면에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2단측면(12)(12')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브라켓프레임(33)과, 상기 브라켓프레임(3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2가이드홈(13)(13')에 끼어져 구름 운동하는 롤러조립체(34)와, 사이드월프레임(32)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진입된 휠체어(W)의 비정상적인 전진을 막기 위한 펜스바(35)와, 탑승한 휠체어 장애자가 승강 과정에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36)를 포함한다.
사이드월프레임(32) 및 브라켓프레임(33)은 제1,2기둥(10)(10')을 부분적으로 감싸고, 이 상태에서 브라켓프레임(33)에 설치되는 롤러조립체(34)는 제1,2가이드홈(13)(13')에 끼어짐으로서, 승강카(30)는 제1,2기둥(10)(10')을 따라 안전한 승강 동작이 가능해진다.
롤러조립체(34)는, 제1,2가이드홈(13)(13')의 내측에서 제1,2단측면(12)(12')의 표면에 밀착되는 제1롤러(34a)와, 제1,2가이드홈(13)(13') 내측에서 제1,2장측면(11)(1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제2롤러(34b)로 구성된다. 이러한 롤러조립체(34)는 제1,2가이드홈(13)(13')을 따라 이동하면서 200~300Kg 무게의 전동 휠체어가 탑승한 승강카(30)를 부드럽게 승강시킴과 동시에, 이 과정에서 불쾌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손잡이(36)에는 장애인이 인식할 수 있는 점자표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눈이 잘 보이지 않는 사람도 손잡이(36)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승강카(30)가 제1,2기둥(10)(10')을 따라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승강카(30)의 스테이지프레임(31)과 바닥슬라브(S2)가 편평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면, 바닥슬라브(S2)의 일부가 몰입되게 시공한 후 제1,2기둥(10)(10')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승강카(30)가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스테이지프레임(31)과 바닥슬라브(S2)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제1,2원심브레이크(40)(40')는, 브레이크드럼의 내부에 제1,2윈치부(50)(50')와 축결합되어 합되어 원심력에 브레이크드럼 측으로 움직이는 브레이크슈 어셈블리가 내장된 구조를 가지며, 제1,2윈치부(50)(50')의 회전속도에 연동되어 제1,2윈치부(50)(50')가 천천히 회전되도록 브레이킹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1,2원심브레이크(40)(40')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2윈치부(50)(50')에는 승강카(30)와 제1,2하중복귀부(60)(60')를 연결하는 제1,2와이어(60)(60')가 권회되게 연결한다. 제1윈치부(50)는 제1기둥(10)의 상부측에 지지되고, 제2윈치부(50')는 제2기둥(10')의 상부측에 지지됨으로써, 이들 각각에 권회된 제1와이어(70)와 제2와이어(70')는 승강카(30)의 양측과 연결되어, 부피가 큰 승강카(30)를 양측에서 견고하게 지지한다.
도 6은 도 1의 제1,2기둥에 제1,2하중복귀부가 내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1,2하중복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제1,2하중복귀부(60)(60')은, 제1,2기둥승강공간(14)(14')을 따라 승강되는 것으로서 적층된 다수의 제1,2무게추(61)(61')를 감싸는 제1,2복귀부몸체(62)(62')와, 제1,2복귀부몸체(62)(62')의 전면 및 후면으로 일부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장측면(11)(11')의 표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다 다수의 제1,2전후면롤러(63)(63')와, 제1,2복귀부몸체(62)(62')의 측면으로 일부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단측면(12)(12')의 표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다 다수의 제1,2측면롤러(64)(64')와, 제1,2복귀부몸체(62)(62')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제1,2복귀와이어(72)(72')와 연결되는 제1,2아이볼트(65)(65')를 포함한다.
제1,2복귀부몸체(62)(62')는 약 200Kg 의 제1,2무게추(61)(61)를 지지하여야 하므로 금속재질로 되어 있다.
제1,2전후면롤러(63)(63')는 제1,2복귀부몸체(62)(62')의 전면 및 후면 각각의 모서리측에 4 개씩 총 8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2하중복귀부(60)(60')가 제1,2기둥승강공간(14)(14')에서 승강될 때, 제1,2전후면롤러(63)(63')가 제1,2장측면(11)(11')의 내주 표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므로 복귀부몸체 전후면이 제1,2장측면(11)(11') 내주면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2측면롤러(64)(64')는 제1,2복귀부몸체(62)(62')의 양측면 각각의 모서리측에 4 개씩 총 8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2하중복귀부(60)(60')가 제1,2기둥승강공간(14)(14')에서 승강될 때, 제1,2측면롤러(64)(64')가 제1,2단측면(12)(12')의 내주 표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므로 복귀부몸체 양측면이 측면이 제1,2단측면(12)(12') 내주면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2전후면롤러(63)(63') 및 제1,2측면롤러(64)(64')에 의하여 제1,2하중복귀부(60)(60')는 제1,2기둥승강공간(14)(14')을 따라 부드럽게 승강될 수 있는 것이며, 더 나아가 금속재질의 제1,2복귀부몸체(62)(62')가 금속재질인 제1,2장측면(11)(11') 및 제1,2단측면(12)(12') 내주 표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높은 진동의 고주파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2하중복귀부(60)(60') 각각의 무게는 180~200Kg 이고, 승강카(30)의 무게는 100Kg 내외이다. 또 전동식으로 움직이는 휠체어에 장애인이 탑승할 경우, 전체 무게는 200~300Kg 정도가 된다. 그리고 승강카(30)에 장애인 휠체어(W)가 탑승하였을 때, 승강카(30)에 인가되는 총 무게는 제1,2하중복귀부(60)(60')의 무게보다 크다.
따라서 승강카(30)에 아무도 탑승하지 않은 평소에는, 제1,2하중복귀부(60)(60')는 바닥슬라브(S2)에 위치되고 승강카(30)는 테두리플레이트(20)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승강카(30)에 장애인 휠체어(W)가 탑승할 경우 승강카(30)는 바닥슬라브(S2) 측으로 하강하고 제1,2하중복귀부(60)(60')는 천정슬라브(S1) 측으로 상승한다.
제1,2와이어(70)(70')는 제1,2윈치부(50)(50')를 매개로 하여 승강카(30)와 제1,2하중복귀부(60)(60')를 연결한다. 제1,2와이어(70)(70')는 제1,2윈치부(50)(50')에 일단이 고정되어 시계 방향으로 감겨지고 타단이 상기 승강카(30)와 연결되는 제1,2승강와이어(71)(71')와, 제1,2윈치부(50)(50')에 일단이 고정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고 타단이 제1,2하중복귀부(60)(60')와 연결되는 제1,2복귀와이어(72)(72')를 포함한다. 즉, 제1,2승강와이어(71)(71')와 제1,2복귀와이어(72)(72')의 일단은 제1,2윈치부(50)(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2승강와이어(71)(71')는 시계방향으로, 그리고 제1,2복귀와이어(72)(72')는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 구조에 의하여, 제1,2윈치부(50)(50')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제1,2승강와이어(71)(71')와 제1,2복귀와이어(72)(72') 중 어느 하나는 상승하고 나머지는 하강한다. 이때, 제1,2승강와이어(71)(71')와 제1,2복귀와이어(72)(72')의 일단은 제1,2윈치부(50)(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므로, 제1,2윈치부(50)(50')의 회전시 제1,2승강와이어(71)(71') 및 제1,2복귀와이어(72)(72')는 제1,2윈치부(50)(50')에서 헛도는 것이 방지된다.
제1,2록커(80)(80')는 승강카(30)에 설치되는 제1,2스토퍼(90)(90')가 동시에 걸어지거나 걸어짐이 해제됨으로서, 승강카(30)를 테두리플레이트(20)에 위치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한다. 이러한 제1,2록커(80)(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홀(21) 양측의 테두리플레이트(20)와 제1,2기둥(10)(10')에 동시에 고정되는 제1,2록커브라켓(81)(81')과, 제1,2록커브라켓(81)(81')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2록커걸이(82)(82')를 포함한다.
제1,2하중복귀부(60)(60')는, 평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슬라브(S2)에 위치되고, 승강카(30)는 천정슬라브(S1)에 위치된다.
이후, 화재나 지진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장애인 휠체어(W)가 대피를 위하여 천정슬라브(S1)에 위치된 승강카(30)로 진입하면, 장애인 휠체어(W)가 탑승한 승강카(30)의 총 무게가 제1,2하중복귀부(60)(60')의 무게보다 커지므로, 승강카(30)는 바닥슬라브(S2) 측으로 하강하게 되고. 제1,2하중복귀부(60)(60')는 천정슬라브(S1) 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승강카(30)가 바닥슬라브(S2)에 완전히 안착하면 장애인 휠체어(W)는 승강카(30)에서 내려 대피하게 된다.
도 9는 도 4의 승강카에 설치되는 제1,2조작부 및 제1,2비상브레이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제1,2조작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제1,2비상브레이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4의 승강카에 설치되는 제1,2하강쇽업쇼버 및 제1,2상승쇽업쇼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2스토퍼(90)(90')는, 제1,2조작부(100)(100')에 연동되어 승강카(30)를 테두리플레이트(20)에 위치 고정시키거나 동시에 고정상태를 해재한다. 이러한 제1,2스토퍼(90)(90')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30)의 바닥, 엄밀하게는 스테이지프레임(31)의 바닥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2록커(80)(80') 방향으로 개구된 제1,2스토퍼홈(91a)(91a')이 형성된 제1,2스토퍼브라켓(91)(91')과, 제1,2스토퍼브라켓(91)(91')에 내장되어 제1,2스토퍼홈(91a)(91a')을 따라 출몰되는 것으로서 제1,2록커(80)(80')의 제1,2록커걸이(82)(82')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제1,2스토퍼돌기(92)(92')와, 제1,2스토퍼돌기(92)(92')의 양측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제1,2스토퍼브라켓(91)(91')에 일렬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1,2베어링(93)(93')와. 제1,2스토퍼돌기(92)(92')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제1,2스토핑로드(94)(94')와, 제1,2스토퍼브라켓(91)(91')과 제1,2스토퍼돌기(92)(92') 사이에 설치되어 제1,2스토퍼돌기(92)(92')가 제1,2스토퍼홈(91a)(91a')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2스토퍼스프링(95)(95')을 포함한다.
제1,2베어링(93)(93')은 제1,2스토퍼돌기(92)(92')의 양측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제1,2스토퍼브라켓(91)(91')에 일렬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2스토핑로드(94)(94')는 적은 힘으로도 제1,2스토퍼돌기(92)(92')를 후진시킬 수 있고, 따라서 제1,2스토퍼돌기(92)(92')가 제1,2록커걸이(82)(82')에 걸어진 상태에서 승강카(30)에 탑승한 장애자가 후술할 제1,2조작부(100)(100')의 제1,2핸들(101)(101')을 적은 힘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제1,2스토퍼돌기(92)(92')를 제1,2록커걸이(82)(8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제1,2스토퍼돌기(92)(92')에는 승강카(30)에 전동휠체어(W)가 탑승한 상태에서는 300Kg 내외의 고중량이 승강카(300에 인가될 수 있고, 이러한 힘은 제1,2스토퍼돌기(92)(92')에 직간접적으로 인가되어 제1,2록커걸이(82)(82')에 빡빡하게 걸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큰 힘으로 잡아당길 때 제1,2스토퍼돌기(92)(92')가 제1,2록커걸이(82)(82')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는 후술할 제1,2조작부(100)(100')를 큰 힘으로 조작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1,2스토퍼돌기(92)(92')의 양측 외주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1,2베어링(93)(93')을 채용함으로써 적은 힘으로 제1,2스토퍼돌기(92)(92')를 제1,2록커걸이(82)(82')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신체 동작이 불편한 휠체어 장애인이라도 제1,2조작부(100)(100')를 적은 힘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제1,2조작부(100)(100')는, 승강카(30)로 진입한 휠체어(W)의 장애인에 의하여 조작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2조작부(100)(1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W)에 않은 장애인이 자신의 손으로 잡아당겨 조작할 수 있도록 승강카(30)의 내측벽 좌우측에 설치되는 제1,2핸들(101)(101')과, 제1,2핸들(101)(101')의 회전축에 고정된 제1,2레버(102)(102')와, 제1,2레버(102)(102')의 단부에 힌지 연결되어 제1,2핸들(101)(101')의 회동운동에 의하여 잡아당기거나 밀리는 제1,2레버로드(103)(103')와, 제1,2레버로드(103)(103')의 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승강카(30)의 사이드월프레임(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4레버(104)(104')와, 제3,4레버(104)(104')에 축결합된 로드에 연결되어 스테이지프레임(31)의 하부측에서 설치되는 제1,2베벨기어(105)(105')와, 제1,2베벨기어(105)(105')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4베벨기어(106)(106')와, 제3,4베벨기어(106)(106')와 로드에 의하여 축결합되는 제1,2구동기어(107)(107')와, 제1,2스토퍼(90)(90)의 제1,2스토핑로드(94)(94')에 연결되어 제1,2구동기어(107)(107')와 기어결합되는 제1,2피동기어(108)(108')를 포함한다.
제1,2핸들(101)(101')의 표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인식할 수 있는 점자표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눈이 잘 보이지 않는 사람도 제1,2핸들(101)(101')을 정확히 인식하여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제1,2조작부(100)(100')는, 승강카(30)의 모서리측에 위치되는 4 개의 제1,2스토퍼(90)(90')를 동시에 조작함으로써, 전동식 휠체어가 탑승할 정도로 대형 크기인 승강카(30)를 확실하게 위치 고정하거나, 위치 고정을 동시에 해재할 수 있다.
제1,2하강쇽업쇼버(110)(110')는, 도 4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30)의 모서리측에 설치되어 승강카(30)가 바닥슬라브(S2)까지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승강카(30)의 스테이지프레임(31)에 위치된 장애인 휠체어(W)가 넘어지거나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1,2상승쇽업쇼버(120)(120')는, 도 4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30)의 모서리측에 설치되어 승강카(30)가 완전히 상승하여 테두리플레이트(20)의 대피홀(21)로 완전히 복귀할 때 승강카(30)의 상승 충격을 흡수한다. 더 나아가 고중량의 제1,2하중복귀부(60)(60)')가 바닥슬라브(S2)에 직접 충돌하여 건물 바닥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건물 내구성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2비상브레이크(130)(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와이어(70)(70')가 끊어질 때 승강카(30)가 제1,2기둥(10)(10')에서 하강하지 못하게 자동 위치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비상브레이크(1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기둥(10)(10')의 일측단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방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는 제1,2브레이크레일(131)(131)과, 승강카 양측의 사이드월프레임(32)에 설치되는 제1,2힌지축(132)(132')에 힌지결합된 것으로서 일측단에 제1,2브레이크레일(131)(131')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제1,2브레이크레버(133)(133')와, 제1,2브레이크레버(133)(133') 상부측의 사이드월프레임(32)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관통된 가이드공이 형성된 제1,2가이드브라켓(134)(134')과, 제1,2힌지축(132)(132') 반대측의 제1,2브레이크레버(133)(133')의 연결된 것으로서 제1,2가이드브라켓(134)(134')을 관통하여 제1,2복귀와이어(72)(72')과 연결되는 제1,2브레이크작동로드(135)(135')와, 제1,2브레이크작동로드(135)(135')에 끼어져 제1,2브레이크레버(133)(133')가 제1,2브레이크레일(131)(13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2스프링(136)(136')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1,2복귀와이어(72)(72')가 제1,2브레이크작동로드(135)(135')와 연결된 상태에서는, 승강카(30)의 무게에 의하여 제1,2브레이크작동로드(135)(135')가 제1,2브레이크레버(133)(133')를 회동시켜 제1,2브레이크레일(131)(131')의 표면에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이에 따라 승강카(30)는 전술한 승강 동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 의하여 제1,2복귀와이어(72)(72')기 끊어질 경우, 제1,2스프링(136)(136')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2브레이크레버(133)(133')는 제1,2힌지축(132)(132')을 축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제1,2브레이크레버(133)(133')의 단부가 제1,2브레이크레일(131)(131')에 밀착되면서 승강카(30)는 더 이상 승강되지 않고 위치 고정된다.
관리서버는 건물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와 연결되며, 화재 발생시 활성화되어 조명등(140), 경고등(150) 및 경고음발생부(180)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조명등(14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기둥(10)(10')의 상부에 설치되며, 평소 소등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시 관리서버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되어 승강카(30) 주위를 밝게 조명한다. 이에 따라, 야간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장애인 휠체어(W)는 대피가 가능해진다.
경고등(150)은, 도 1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플레이트(20)의 바닥에 설치되어 휠체어(W)애 탑승한 장애인이 승강카(30)로 탑승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경고등(150)은 테두리플레이트(20)의 바닥에 매립된 후 투명한 부재로 단차가 지지 않게 마감되고, 이에 따라 휠체어(W)는 승강카(30)로 원할한 출입이 가능하다.
제1IoT센서(16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플레이트(20)의 대피홀(21)에 설치되는 고정센서(161)와, 승강카(3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승강카(30)가 대피홀(21)에 위치되었을 때 고정센서(161)에 대향되는 이동센서(162)를 포함한다. 이동센서(162)는 고정센서(161)에 대향되었을 때 탑승신호(S1)를 발생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이 경우 관리서버는 경고등(150)을 작동시켜 휠체어 탑승을 허용하는 파란색 경고광이 발생되도록 한다.
제2IoT센서(17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30)에 설치되어 탑승된 휠체어(W)를 감지한다. 제2IoT센서(170)는 승강카(30)가 하강하여 대피홀(21)에서 벗어날 때 탑승금지신호(S2)를 발생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이 경우 관리서버는 경고등(150)을 작동시켜 탑승을 금지하는 빨간색 경고광을 발생하도록 한다.
경고음발생부(180)는 상기 탑승신호(S1)가 발생되었을 때 탑승안내 음성을 발생하고, 탑승금지신호(S2)가 발생되었을 때 탑승금지 음성을 발생한다.
이러한 경고등(150) 및 경고음발생부(180)에 의하여, 청각적으로 장애가 있거나 시각적으로 장애가 있는 장애인도 승강카(30)에 안전하게 탑승 및 대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향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기둥(10)(10') 사이에 승강카(30)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2기둥(10)(10')에 제1,2원심브레이크(40)(40') 및 제1,2윈치부(50)(50')를 설치한 후 제1,2윈치부(50)(50')에 감겨지는 제1,2와이어(60)(60')로 승강카(30)와 제1,2하중복귀부(60)(60')를 연결함으로써, 200~300Kg 무게의 고중량물이면서 전체 부피가 큰 장애인 휠체어(W)를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카(30)의 내측에서 휠체어(W)에 탑승한 장애인이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제1,2조작부(100)(100')를 채용함으로써, 손으로 조작하여 승강카(3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승강카(30)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은 제1,2윈치부(50)(50')에 권회되는 제1,2와이어(70)(70')와 연결된 제1,2하중복귀부(60)(60')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바닥슬라브(S2)와 천정슬래브(S1) 사이 층고에도 관계없이 본 빌명의 안전대피장치를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IoT 를 기반으로 하여 조명등(140), 경고등(150), 제1IoT센서(160), 제2IoT센서(170) 및 경고음발생부(180)가 상호 유기적으로 연동 작동됨으로써, 일반 장애인은 물론 시각장애인이나 청각장애인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S1 ... 천정슬라브 S2 ... 바닥슬라브
10, 10' 제1,2기둥 11, 11' ... 제1,2장측면
12, 12' ... 제1,2단측면 13, 13' ... 제1,2가이드홈
14, 14' ... 기둥승강공간 15 ... 베이스플레이트
20 ... 테두리플레이트 21... 대피홀
30 ... 승강카 31 ... 스테이지프레임
32 ... 사이드월프레임 33 ... 브라켓프레임
34 ... 롤러조립체 34a ... 제1롤러
34b ... 제2롤러 35 ... 펜스바
40, 40' ... 제1,2원심브레이크 50, 50' ... 제1,2윈치부
60, 60' ... 제1,2하중복귀부 61, 61' ... 제1,2무게추
62, 62' ... 제1,2복귀부몸체 63, 63' ... 제1,2전후면롤러
64, 64' ... 제1,2측면롤러 65, 65' ... 제1,2아이볼트
70, 70' ... 제1,2와이어 71, 71' ... 제1,2승강와이어
72, 72' ... 제1,2복귀와이어 80, 80' ... 제1,2록커
81, 81' ... 제1,2록커브라켓 82, 82' ... 제1,2록커걸이
90, 90' ... 제1,2스토퍼 91, 91' .... 제1,2스토퍼브라켓
91a, 91a' ... 제1,2스토퍼홈 92, 92' ... 제1,2스토퍼돌기
93, 93' ... 제1,2베어링 94, 94' ... 제1,2스토핑로드
95, 95' ... 제1,2스토퍼스프링 100, 100' ... 제1,2조작부
101, 101' ... 제1,2핸들 102, 102 ... 제1,2레버
103, 103' ... 제1,2레버로드 104, 104' ... 제3,4레버
105, 105' ... 제1,2베벨기어 106, 106' ... 제3,4베벨기어
107, 107' ... 제1,2구동기어 108, 108' ... 제1,2피동기어
110, 110' ... 제1,2하강쇽업쇼버 120, 120' ... 제1,2상승쇽업쇼버
130, 130' ... 제1,2비상브레이크 131, 131' ... 제1,2브레이크레일
132, 132' ... 제1,2힌지축 133, 133' ... 제1,2브레이크레버
134, 134' ... 제1,2가이드브라켓 135, 135' ... 제1,2브레이크작동로드
136, 136' ... 제1,2스프링 140 ... 조명등
150 ... 경고등 160 ... 제1IoT센서
161 ... 고정센서 162 ... 이동센서
170 ... 제2IoT센서 180 ... 경고음발생부

Claims (7)

  1. 상호 대향되게 마주보도록 바닥슬라브(S2)에 지지된 상태로 천정슬라브(S1)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제1,2기둥(10)(10');
    상기 관통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천정슬라브(S1)의 표면과 편평해지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사각형태의 대피홀(21)이 형성되는 테두리플레이트(20);
    상기 제1기둥(10)과 제2기둥(10')에 가이드된 상태로 승강되는 것으로서 장애인 휠체어(W)가 탑승하는 승강카(30);
    상기 제1,2기둥(10)(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속도에 따라 브레이킹력을 발생하는 제1,2원심브레이크(40)(40');
    상기 제1,2원심브레이크(40)(40')와 축결합된 제1,2윈치부(50)(50');
    상기 제1,2기둥(10)(1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하중복귀부(60)(60');
    상기 제1,2윈치부(50)(50')에 권회된 상태로 상기 승강카(30)와 제1,2하중복귀부(60)(60')를 연결하는 제1,2와이어(70)(70');
    상기 대피홀(21) 내측의 상기 테두리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제1,2록커(80);
    상기 승강카(30)에 설치되어 상기 제1,2록커(80)(80')에 동시에 위치 고정시키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1,2스토퍼(90)(90');
    상기 승강카(30)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휠체어(W)에 탑승한 장애인에 의하여 조작되어 상기 제1,2스토퍼(90)(9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2조작부(100)(100'); 및
    상기 승강카(30)가 상기 바닥슬라브(S2)에 안착될 때 상기 승강카(30)로 인가되는 하강 충격을 흡수하는 제1,2하강쇽업쇼버(110)(1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록커(80)(80')는 상기 대피홀(21) 일측 및 타측의 테두리플레이트(20)와 제1,2기둥(10)(10')에 동시에 고정되는 제1,2록커브라켓(81)(81')과, 상기 제1,2록커브라켓(81)(81')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2록커걸이(82)(82')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스토퍼(90)(90')는, 상기 승강카(30)의 스테이지프레임(31)의 바닥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록커(80)(80') 방향으로 개구된 제1,2스토퍼홈(91a)(91a')이 형성된 제1,2스토퍼브라켓(91)(91')과, 상기 제1,2스토퍼브라켓(91)(91')에 내장되어 상기 제1,2스토퍼홈(91a)(91a')을 따라 출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록커걸이(82)(82')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제1,2스토퍼돌기(92)(92')와, 상기 제1,2스토퍼돌기(92)(92')의 양측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제1,2스토퍼브라켓(91)(91')에 일렬로 설치되는 다수의 제1,2베어링(93)(93')과. 상기 제1,2스토퍼돌기(92)(92')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제1,2스토핑로드(94)(94')와, 상기 제1,2스토퍼브라켓(91)(91')과 제1,2스토퍼돌기(92)(9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스토퍼돌기(92)(92')가 제1,2스토퍼홈(91a)(91a')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2스토퍼스프링(95)(9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카(30)가 상기 테두리플레이트(20)의 대피홀(21)로 진입할 때 승강카(30)로 인가되는 상승 충격을 흡수하는 제1,2상승쇽업쇼버(120)(1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기둥(10)(10')은, 한쌍의 제1,2장측면(11)(11')과, 상기 제1,2장측면(11)(11')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장측면(11)(11')의 양측에 용접되는 한쌍의 제1,2단측면(12)(12')와, 상기 제1,2장측면(11)(11')의 양측을 따라 상기 제1,2단측면(12)(12') 측으로 몰입되는 제1,2가이드홈(13)(13')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카(30)는, 상기 휠체어(W)가 안착되는 스테이지프레임(31)과, 상기 스테이지프레임(31)의 양단에 상기 제1,2장측면(11)(11')에 대향되게 연결되는 한쌍의 사이드월프레임(32)과, 상기 각각의 사이드월프레임(32)의 표면에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2단측면(12)(12')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브라켓프레임(33)과, 상기 브라켓프레임(3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가이드홈(13)(13')에 끼어져 구름 운동하는 롤러조립체(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하중복귀부(60)(60')은,
    상기 제1,2기둥(10)(10')의 제1,2기둥승강공간(14)(14')을 따라 승강되는 것으로서 적층된 다수의 제1,2무게추(61)(61')를 감싸는 제1,2복귀부몸체(62)(62')와,
    상기 제1,2복귀부몸체(62)(62')의 전면 및 후면으로 일부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장측면(11)(11')의 표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다수의 제1,2전후면롤러(63)(63')와,
    상기 제1,2복귀부몸체(62)(62')의 측면으로 일부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단측면(12)(12')의 표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다수의 제1,2측면롤러(64)(64')와,
    상기 제1,2복귀부몸체(62)(62')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제1,2복귀와이어(72)(72')와 연결되는 제1,2아이볼트(65)(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플레이트(20) 상부측의 제1,2기둥(10)(10')의 전면에 승강카 입구측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재발생시 관리서버(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화재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승강카(30) 입구측을 자동으로 조명하는 조명등(140); 및
    상기 관리서버(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카(30) 입구에 대향되는 상기 테두리플레이트(20)의 바닥에 설치된 것으로서 파란색 경고광 또는 빨간색 경고광을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경고등(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7. 상호 대향되게 마주보도록 바닥슬라브(S2)에 지지된 상태로 천정슬라브(S1)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제1,2기둥(10)(10');
    상기 관통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천정슬라브(S1)의 표면과 편평해지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사각형태의 대피홀(21)이 형성되는 테두리플레이트(20);
    상기 제1기둥(10)과 제2기둥(10')에 가이드된 상태로 승강되는 것으로서 장애인 휠체어(W)가 탑승하는 승강카(30);
    상기 제1,2기둥(10)(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속도에 따라 브레이킹력을 발생하는 제1,2원심브레이크(40)(40');
    상기 제1,2원심브레이크(40)(40')와 축결합된 제1,2윈치부(50)(50');
    상기 제1,2기둥(10)(1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하중복귀부(60)(60');
    상기 제1,2윈치부(50)(50')에 권회된 상태로 상기 승강카(30)와 제1,2하중복귀부(60)(60')를 연결하는 제1,2와이어(70)(70');
    상기 대피홀(21) 내측의 상기 테두리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제1,2록커(80);
    상기 승강카(30)에 설치되어 상기 제1,2록커(80)(80')에 동시에 위치 고정시키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1,2스토퍼(90)(90');
    상기 승강카(30)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휠체어(W)에 탑승한 장애인에 의하여 조작되어 상기 제1,2스토퍼(90)(9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2조작부(100)(100');
    상기 승강카(30)가 상기 바닥슬라브(S2)에 안착될 때 상기 승강카(30)로 인가되는 하강 충격을 흡수하는 제1,2하강쇽업쇼버(110)(110');
    상기 테두리플레이트(20)와 승강카(30)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승강카(30)가 상기 대피홀(21)에 위치되었을 때 경고등(150)이 휠체어 탑승을 허용하는 파란색 경고괌을 발생하도록 관리서버로 탑승신호(S1)를 전송하는 제1IoT센서(160);
    상기 승강카(30)에 설치되어 탑승된 휠체어(W)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카(30)가 기 대피홀(21)에서 벗어날 때 경고등(150)이 휠체어 탑승을 금지하는 빨간색 경고광을 발생하도록 관리서버로 탑승금지신호(S2)를 전송하는 제2IoT센서(170); 및
    상기 관리서버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서, 상기 탑승신호(S1)가 발생되었을 때 탑승안내 음성을 발생하고, 상기 탑승금지신호(S2)가 발생되었을 때 탑승금지 음성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부(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KR1020210145254A 2021-10-28 2021-10-28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KR102448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254A KR102448734B1 (ko) 2021-10-28 2021-10-28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254A KR102448734B1 (ko) 2021-10-28 2021-10-28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734B1 true KR102448734B1 (ko) 2022-09-29

Family

ID=83462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254A KR102448734B1 (ko) 2021-10-28 2021-10-28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7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809B1 (ko) * 2020-10-12 2021-06-15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발코니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KR102264813B1 (ko) * 2020-10-28 2021-06-15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장애인 안전대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809B1 (ko) * 2020-10-12 2021-06-15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발코니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KR102264813B1 (ko) * 2020-10-28 2021-06-15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장애인 안전대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351B1 (ko) 무동력 비상탈출장치
KR101117277B1 (ko) 비상탈출장치
US20080035425A1 (en) Mass Rescue and Evacuation System
KR102135003B1 (ko) 안전 비상탈출장치
KR100977858B1 (ko) 비상탈출장치
KR102264809B1 (ko) 발코니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KR102448734B1 (ko)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WO2023229284A1 (ko) 비상탈출장치용 승강 구동 어셈블리
KR102264813B1 (ko) 장애인 안전대피장치
KR20220046319A (ko)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JP3196311U (ja) 階段昇降機
CN211169414U (zh) 住宅外加装电梯的结构
JP3791730B2 (ja) 災害弱者避難用階段斜行リフト
JP4287977B2 (ja) 階段斜行スライダー
JPH11322284A (ja) 家庭用昇降設備
KR102169896B1 (ko) 안전 대피장치
KR102169895B1 (ko) 안전 피난장치
KR20070087319A (ko) 비상 승강장치
KR101008161B1 (ko) 비상용 사다리 장치
KR20220061325A (ko) 계단 겸용 휠체어리프트의 편하중에 의한 과부하 감지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2237673B1 (ko) 안전 대피장치
KR200381379Y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2360863B1 (ko) 하향식 피난장치
KR20210088948A (ko) 안전 층간비상탈출장치
JP2011136794A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