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813B1 - 장애인 안전대피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 안전대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813B1
KR102264813B1 KR1020200141412A KR20200141412A KR102264813B1 KR 102264813 B1 KR102264813 B1 KR 102264813B1 KR 1020200141412 A KR1020200141412 A KR 1020200141412A KR 20200141412 A KR20200141412 A KR 20200141412A KR 102264813 B1 KR102264813 B1 KR 102264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rods
disabled
pair
assembl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813B9 (ko
Inventor
나판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Priority to KR1020200141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813B1/ko
Publication of KR10226481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81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62B1/04Single parts, e.g. faste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안전대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대향되게 마주보도록 바닥슬라브(S2)에 지지된 상태로 천정슬라브(S1)의 대피홀(H)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제1,2기둥조립체(10)(10')와; 제1기둥조립체(10)와 제2기둥조립체(10')에 가이드된 상태로 승강되는 것으로서 장애인 휠체어(W)가 탑승하는 승강캐리어(20)와; 제1,2기둥조립체(10)(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속도에 따라 브레이킹력을 발생하는 제1,2원심브레이크(30)(30')와; 제1,2원심브레이크(30)(30')와 기어결합된 제1,2윈치부(40)(40')와; 제1,2기둥조립체(10)(10')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무게추(50)(50')와; 제1,2윈치부(40)(40')에 권회된 상태로 승강캐리어(20)와 제1,2무게추(50)(50')를 연결하는 제1,2와이어(60)(60')와; 승강캐리어(20)를 제1,2기둥조립체(10)(10')에 동시에 위치 고정시키거나 동시에 고정 상태를 해재하기 위한 제1,2스토퍼(70)(70')와; 승강캐리어(20)의 내측벽에 설치된 것으로서, 휠체어(W)에 탑승한 장애인에 의하여 조작되어 제1,2스토퍼(70)(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2조작부(80)(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애인 안전대피장치{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전대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를 탑승한 장애인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장애인 안전대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 상황시 대피하기 위한 완강기를 구비하고 있다. 완강기는 창문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어 운영되며, 재난 발생시 계단이나 승강기를 사용하기 곤란할 경우, 대피자는 완강기를 통하여 외부로 비상 대피한다.
그런데 대피자는 천천히 풀어지는 완강기 로프에 매달린 상태로 대피하여야 하기 때문에 신속한 대피가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라 짧은 시간내에 많은 사람을 대피시키기가 어려웠다. 또한 노약자, 어린이, 여성의 경우, 체력의 한계나 고소 공포감으로 인하여 완강기 사용을 거부하는 상황이 발생되고,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하여 많은 수의 재난 사망자 및 부상자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의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건물의 천정슬라브에 지지되는 비상대피홀에 결합되는 테두리지지부과, 테두리지지부와 바닥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기둥과, 지지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와이어가 감겨지는 윈치와, 와이어와 연결된 상태로 지지기둥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과, 발판이 하강한 후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윈치를 역회전시키는 태엽부를 포함하는 비상탈출장치를 개발하였고, 2012. 11. 6. 자로 등록번호 10-1200375의 비상탈출장치란 명칭으로 특허등록된 바 있다.
이러한 비상탈출장치에 의하여, 대피자는 발판에 탑승한 상태로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고, 이후 태엽부는 윈치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발판을 초기 위치로 상승 복귀시킴으로서 다른 대피자가 비상 대피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런데 상기 비상탈출장치의 경우, 태엽부를 이용하여 발판을 승강시키는 동력을 얻기 때문에, 발판의 크기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이에 따라 일반인의 경우 대피가 가능하지만 휠체어를 탑승한 장애인의 경우 대피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탑승한 할 수 있을 정도로 대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애인 안전대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정슬라브와 바닥슬라브 사이의 층고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애인 안전대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안전대피장치는, 상호 대향되게 마주보도록 바닥슬라브(S2)에 지지된 상태로 천정슬라브(S1)의 대피홀(H)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제1,2기둥조립체(10)(10'); 상기 제1기둥조립체(10)와 제2기둥조립체(10')에 가이드된 상태로 승강되는 것으로서 장애인 휠체어(W)가 탑승하는 승강캐리어(20); 상기 제1,2기둥조립체(10)(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속도에 따라 브레이킹력을 발생하는 제1,2원심브레이크(30)(30'); 상기 제1,2원심브레이크(30)(30')와 기어결합된 제1,2윈치부(40)(40'); 상기 제1,2기둥조립체(10)(10')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무게추(50)(50'); 상기 제1,2윈치부(40)(40')에 권회된 상태로 상기 승강캐리어(20)와 제1,2무게추(50)(50')를 연결하는 제1,2와이어(60)(60'); 상기 승강캐리어(20)를 상기 제1,2기둥조립체(10)(10')에 동시에 위치 고정시키거나 동시에 고정 상태를 해재하기 위한 제1,2스토퍼(70)(70'); 및 상기 승강캐리어(20)의 내측벽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휠체어(W)에 탑승한 장애인에 의하여 조작되어 상기 제1,2스토퍼(70)(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2조작부(80)(8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둥조립체(10)는, 하단과 상단에 위치되는 한쌍의 제1가로프레임(11)과, 상기 한쌍의 제1가로프레임(11) 사이에 위치되는 한쌍의 제1수직프레임(12)과, 상기 한쌍의 제1수직프레임(1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캐리어(20)의 제1롤러조립체(24)가 입체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면이 凸 형태인 제1가이드레일(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기둥조립체(10')는, 하단과 상단에 위치되는 한쌍의 제2가로프레임(11')과, 상기 한쌍의 제2가로프레임(11') 사이에 위치되는 한쌍의 제2수직프레임(12')과, 상기 한쌍의 제2수직프레임(1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승강캐리어(20)의 제2롤러조립체(24')가 입체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면이 凸 형태인 제2가이드레일(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캐리어(20)는, 상방으로 개구된 캐리어룸(21)과, 상기 캐리어룸(21)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프레임조립체(22)와, 상기 프레임조립체(22)의 상단 및 하단에서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롤러가이드브라켓(23)과, 상기 롤러가이드브라켓(23)에 설치되어 상기 제1,2가이드레일(13)(13')에 입체적으로 결합되는 상기 제1,2롤러조립체(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스토퍼(70)(70')는, 상기 제1기둥조립체(10)를 구성하는 한쌍의 제1수직프레임(12) 및 상기 제2기둥조립체(10')를 구성하는 한쌍의 제2수직프레임(12')에서 상기 제1,2기둥조립체(10)(10')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2스토퍼돌기(71)(71')와, 상기 승강캐리어 프레임조립체(22)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스토퍼돌기(71)(71') 방향으로 개구된 제1,2스토퍼홈(72a)(72a')이 형성된 제1,2스토퍼브라켓(72)(72')과, 상기 제1,2스토퍼홈(72a)(72a')에서 상기 제1,2스토퍼돌기(71)(71') 측으로 출몰되면서 상기 제1,2스토퍼돌기(71)(71')에 걸치어지거나 걸침 해제되는 제3,4스토퍼돌기(73)(73')와, 상기 제3,4스토퍼돌기(73)(73')의 후방측과 연결되는 제1,2스토핑로드(74)(74')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조작부(80)(80')는, 상기 휠체어(W)에 않은 장애인이 자신의 손으로 잡아당겨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캐리어(20)의 내측벽 좌우측에 설치되는 제1,2핸들(81)(81')과, 상기 제1,2핸들(81)(81')에 연동되어 상기 제1,2스토핑로드(74)(74')를 동시에 후진시키거나 전진시키기 위한 제1,2기어조립체(82)(8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기어조립체(82)(82')는, 상기 제1,2핸들(81)(81')의 회전축에 고정된 제1,2레버브라켓(82a)(82a')과, 상기 제1,2레버브라켓(82a)(82a')의 단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1,2핸들(81)(81')의 회동운동에 의하여 잡아당기거나 밀리는 제1,2레버로드(82b)(82b')와, 상기 승강캐리어(20)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회동로드(82c)(82c')와, 상기 제1,2회동로드(82c)(82c')의 양단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2레버로드(82b)(82b')와 힌지 연결되는 제3,4레버브라켓(82d)(82d')과, 상기 제1,2회동로드(82c)(82c')의 마주보는 단부에 설치되는 제1,2베벨기어조립체(82e)(82e')와, 상기 제1,2베벨기어조립체(82e)(82e')에 의하여 상기 제1,2회동로드(82c)(82c')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4회동로드(82f)(82f')와, 상기 제3,4회동로드(82f)(82f')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호 맞불리는 제1,2구동기어(82g)(82g')와, 상기 제1,2스토퍼((70)(70')의 제1,2스토핑로드(74)(74')에 설치되어 제1,2구동기어(82g)(82g')와 연결되는 제1,2피동기어(82h)(82h')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향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기둥조립체(10)(10') 사이에 승강캐리어(2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제1,2기둥조립체(10)(10')에 제1,2원심브레이크(30)(30') 및 제1,2윈치부(40)(40')를 설치한 후. 제1,2윈치부(40)(40') 각각에 감겨지는 제1,2와이어(60)(60')로 승강캐리어(20)와 제1,2무게추(50)(50')를 연결함으로써, 200~300Kg 무게의 고중량물이면서 전체 부피가 큰 장애인 휠체어(W)를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안전대피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승강캐리어(20)의 내측에 휠체어(W)에 탑승한 장애인이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제1,2조작부(80)(80')를 채용함으로써, 손으로 조작하여 승강캐리어(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강캐리어(20)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은 제1,2윈치부(40)(40')에 권회되는 제1,2와이어(60)(60')와 연결된 제1,2무게추(50)(50')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바닥슬라브(S2)와 천정슬래브(S1) 사이 층고에도 관계없이 본 빌명의 안전대피장치를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애인 안전대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장애인 안전대피장치가 건물의 천정슬라브 및 바닥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애인 안전대피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장애인 안전대피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제1,2기둥조립체와 승강캐리어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승강캐리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승강캐리어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제1,2무게추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제1,2스토퍼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제1,2스토퍼를 조작하기 위한 제1,2조작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제1,2조작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도 11은 도 2에 있어서 바닥슬라브로로 하강한 승강캐리어에서 장애인 휠체어가 하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안전대피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애인 안전대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장애인 안전대피장치가 건물의 천정슬라브 및 바닥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애인 안전대피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장애인 안전대피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1,2기둥조립체와 승강캐리어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안전대피장치는,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이 발생될 때 장애인이 탑승한 장애인 휠체어를, 건물의 천정슬라브(S1)에 형성되는 비상대피홀(H)을 통하여 바닥슬라브(S2)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장애인 안전대피장치는, 상호 대향되게 마주보도록 바닥슬라브(S2)에 지지된 상태로 천정슬라브(S1)의 대피홀(H)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제1,2기둥조립체(10)(10')와; 제1기둥조립체(10)와 제2기둥조립체(10')에 가이드된 상태로 승강되는 것으로서 장애인 휠체어(W)가 탑승하는 승강캐리어(20)와; 제1,2기둥조립체(10)(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속도에 따라 브레이킹력을 발생하는 제1,2원심브레이크(30)(30')와; 제1,2원심브레이크(30)(30')와 기어결합된 제1,2윈치부(40)(40')와; 제1,2기둥조립체(10)(10')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무게추(50)(50')와; 제1,2윈치부(40)(40')에 권회된 상태로 승강캐리어(20)와 제1,2무게추(50)(50')를 연결하는 제1,2와이어(60)(60')와; 승강캐리어(20)를 제1,2기둥조립체(10)(10')에 동시에 위치 고정시키거나 동시에 고정 상태를 해재하기 위한 제1,2스토퍼(70)(70')와; 승강캐리어(20)의 내측벽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휠체어(W)에 탑승한 장애인에 의하여 조작되어 상기 제1,2스토퍼(70)(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2조작부(80)(80')와; 하강하는 승강캐리어(20)가 바닥슬라브(S2)에 안착될 때 승강캐리어(20)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1,2쇽업쇼버(90)(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2무게추(50)(50')의 무게는 300~400Kg 이고, 승강캐리어(20)의 무게는 100Kg 내외이다. 또 전동식으로 움직이는 휠체어에 장애인이 탑승할 경우, 전체 무게는 200~300Kg 정도가 된다. 그리고 승강캐리어(20)에 장애인 휠체어(W)가 탑승하였을 때, 승강캐리어(20)에 인가되는 총 무게는 제1,2무게추(50)(50')의 무게보다 크다. 따라서 승강캐리어(20)에 아무도 탑승하지 않은 평소에는, 제1,2무게추(50)(50')는 바닥슬라브(S2)에 위치되고 승강캐리어(20)는 천정슬라브(S1)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승강캐리어(20)에 장애인 휠체어(W)가 탑승할 경우 승강캐리어(20)는 바닥슬라브(S2) 측으로 하강하고 제1,2무게추(50)(50')는 천정슬라브(S1) 측으로 상승한다.
제1기둥조립체(10)와 제2기둥조립체(1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호 대향된 상태로 바닥슬라브(S2)에 지지된 상태에서 천정슬라브(S1)의 대피홀(H)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타워 형태를 가진다.
제1기둥조립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과 상단에 위치되는 한쌍의 제1가로프레임(11)과, 한쌍의 제1가로프레임(11) 사이에 위치되는 한쌍의 제1수직프레임(12)과, 한쌍의 제1수직프레임(1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승강캐리어(20)의 제1롤러조립체(24)가 입체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면이 凸 형태인 제1가이드레일(13)을 포함한다.
제2기둥조립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과 상단에 위치되는 한쌍의 제2가로프레임(11')과, 한쌍의 제2가로프레임(11') 사이에 위치되는 한쌍의 제2수직프레임(12')과, 한쌍의 제2수직프레임(1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승강캐리어(20)의 제2롤러조립체(24')가 입체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면이 凸 형태인 제2가이드레일(1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최근에 일반화된 전동식 휠체어를 안전하게 대피시키기 위한 기술이다. 이때 전동식 휠체어는 200~300Kg 의 무게를 가지며, 장애인이 탑승할 경우 전체 무게는 300~400Kg 에 달하며, 이러한 승강캐리어(20)를 무동력으로 승강시키기 위하여 제1,2무게추(50)(50')의 무게는 300~400Kg 에 달하게 된다. 또한 전동식 휠체어는 전체 부피가 상당히 크며, 따라서 장애인 휠체어(W)가 탑승하는 승강캐리어(20)는 가로가 1400mm. 세로폭이 1,800mm 가 될 정도로 대형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고중량물이면서 부피가 큰 승강캐리어(2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2기둥조립체(10)(10')은 H 빔이 사각형으로 배치된 후 용접됨으로써 구현된다.
제1,2원심브레이크(30)(30')는, 브레이크드럼의 내부에 제1,2윈치부(40)(40')와 기어 결합되어 원심력에 브레이크드럼 측으로 움직이는 브레이크슈 어셈블리가 내장된 구조를 가지며, 제1,2윈치부(40)(40')의 회전속도에 연동되어 제1,2윈치부(40)(40')가 천천히 회전되도록 브레이킹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1,2원심브레이크(30)(30')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2윈치부(40)(40')에는 승강캐리어(20)와 제1,2무게추(50)(50')를 연결하는 제1,2와이어(60)(60')가 권회되게 연결한다. 이러한 제1윈치부(40)는 제1기둥조립체(10)의 상부측에 지지되고, 제2윈치부(40')는 제2기둥조립체(10')의 상부측에 지지됨으로써, 이들 각각에 권회된 제1와이어(60)와 제2와이어(60')는 승강캐리어(20)의 양측과 연결되어, 부피가 큰 승강캐리어(20)를 양측에서 지지한다.
제1,2와이어(60)(60')는 제1,2윈치부(40)(40')를 매개로 하여 승강캐리어(20)와 제1,2무게추(50)(50')를 연결한다. 이러한 제1,2와이어(60)는, 제1,2윈치부(40)(40')에 일단이 고정되어 시계 방향으로 감겨지고 타단이 상기 승강캐리어(20)와 연결되는 제1,2승강와이어(61)(61')와, 제1,2윈치부(40)(40')에 일단이 고정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고 타단이 제1,2무게추(50)(50')와 연결되는 제1,2복귀와이어(62)(62')를 포함한다. 즉, 제1,2승강와이어(61)(61')와 제1,2복귀와이어(62)(62')의 일단은 제1,2윈치부(40)(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2승강와이어(61)(61')는 시계방향으로, 그리고 제1,2복귀와이어(62)(62')는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 구조에 의하여, 제1,2윈치부(40)(40')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제1,2승강와이어(61)(61')와 제1,2복귀와이어(62)(62') 중 어느 하나는 상승하고 나머지는 하강한다. 이때, 제1,2승강와이어(61)(61')와 제1,2복귀와이어(62)(62')의 일단은 제1,2윈치부(40)(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지므로, 제1,2윈치부(40)(40')의 회전시 제1,2승강와이어(61)(61') 및 제1,2복귀와이어(62)(62')는 제1,2윈치부(40)(40')에서 헛도는 것이 방지된다.
만약, 제1,2승강와이어(61)(61')와 제1,2복귀와이어(62)(62')가 한 몸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2윈치부(40)(40')에 여러번 감겨지는 형태의 경우, 제1,2윈치부(40)(40')가 갑자기 회전하거나 승강캐리어(20)에 무거운 전동 휠체어가 탑승하였을 때 제1,2윈치부(40)(40')에 표면과 제1,2승강와이어(61)(61') 및 제1,2복귀와이어(62)(62') 사이에서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어 헛돌 수 있다. 따라서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2승강와이어(61)(61') 및 제1,2복귀와이어(62)(62')의 일단이 제1,2윈치부(40)(40')에 고정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제1,2쇽업쇼버(90)(90')는 승강캐리어(20)의 바닥에서 대칭되게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승강캐리어(20)가 바닥슬라브(S2)까지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캐리어룸(21)에 위치된 장애인 휠체어(W)가 넘어지거나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도 1의 승강캐리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승강캐리어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승강캐리어(20)는, 탑승한 장애인 휠체어(W)를 제1,2기둥조립체(10)(10')를 타고 안전하게 승강시시키는 것으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개구된 캐리어룸(21)과, 캐리어룸(21)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프레임조립체(22)와, 프레임조립체(22)의 상단 및 하단에서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롤러가이드브라켓(23)과, 롤러가이드브라켓(23)에 설치되어 상기 제1,2가이드레일(13)(13')에 입체적으로 결합되는 상기 제1,2롤러조립체(24)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조립체(22)는, 캐리어룸(21)의 바닥을 지지하는 바닥프레임(22a) 및 상기 바닥프레임(22a)의 양측에서 상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캐리어룸(21)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면프레임(22b)(22c)으로 구성된다.
제1,2롤러조립체(24)(24')는, 200~300Kg 의 무게의 전동 휠체어가 탑승한 상태에서도 승강캐리어(20)가 안전되게 승강될 수 있도록 입체적으로 가이드한다. 이를 의하여, 제1,2롤러조립체(24)(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수직프레임(12)(12')에 설치되는 단면이 凸 형태인 제1,2가이드레일(13)(13')의 양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한쌍의 측면롤러(24a)24b)와, 제1,2가이드레일(13)(13')의 단부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단면롤러(24c)를 포함한다.
도 7은 도 1의 제1,2무게추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2무게추(50)(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식 휠체어(W)가 탑승한 승강캐리어(20)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300~400Kg 의 무게를 가진다. 따라서 고중량의 제1,2무게추(50)(50')가 승강될 때 흔들리거나 진동이 발생될 경우 제1,2기둥조립체(10)(50')를 손상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2기둥조립체(10)(10')를 구성하는 제1,2수직프레임(12)(12')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제1,2가이드빔(14)(14')가 설치되고, 제1,2무게추(50)(50')는 후방에 고정되는 제1,2무게추브라켓(51)(51')과, 제1,2무게추브라켓(51)(51')에 설치되어 제1,2가이드빔(14)(14')의 양측에 형성한 한쌍의 제1,2빔홈(14a)(14a')에 끼어지게 설치되는 제1,2무게추가이드롤러(52)(52')를 포함한다.
한편, 바닥슬라브(S2)에는 제1,2무게추(50)(50')가 바닥슬라브(S2)까지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제1,2무게추(50)(50')가 안착되는 제1,2무게추쇽업쇼버(55)(55')가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무게추(50)(50')는 300~400Kg 정도의 고중량물이며, 이러한 고중량물인 제1,2무게추(50)(50')가 바닥슬라브(S2)에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발생되는 충격은 건물 구조물을 손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바닥슬라브(S2)에 하강된 제1,2무게추(50)(50')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2무게추쇽업쇼버(55)(55')를 채용함으로써, 고중량물인 제1,2무게추(50)(50')가 바닥슬라브(S2)에 충격을 인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건물 구조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제1,2스토퍼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2스토퍼(70)(70')는 제1,2조작부(80)(80')에 연동되어 승강캐리어(20)를 제1,2기둥조립체(10)(10')에 동시에 위치 고정시키거나 동시에 고정상태를 해재한다. 이러한 제1,2스토퍼(70)(70')는, 제1기둥조립체(10)를 구성하는 한쌍의 제1수직프레임(12) 및 제2기둥조립체(10')를 구성하는 한쌍의 제2수직프레임(12')에서 제1,2기둥조립체(10)(10')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2스토퍼돌기(71)(71')와, 승강캐리어 프레임조립체(22)의 바닥, 엄밀하게는 바닥프레임(22a)에 모서리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2스토퍼돌기(71)(71') 방향으로 개구된 제1,2스토퍼홈(72a)(72a')이 형성된 제1,2스토퍼브라켓(72)(72')과, 제1,2스토퍼홈(72a)(72a')에서 제1,2스토퍼돌기(71)(71') 측으로 출몰되면서 제1,2스토퍼돌기(71)(71')에 걸치어지거나 걸침 해제되는 제3,4스토퍼돌기(73)(73')와, 제3,4스토퍼돌기(73)(73')의 후방측과 연결되는 제1,2스토핑로드(74)(7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스토퍼(70)는 제1기둥조립체(10)에 2 개가 설치되고, 제2스토퍼(70')는 제2기동조립체(10')에 2 개가 설치됨으로써, 제1,2기둥조립체(10)(10')의 모서리측에 대칭으로 총 4개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2스토퍼(70)(70')는 제1,2기둥조립체(10)(10') 사이에서 승강캐리어(20)를 4 장소에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전동식 휠체어가 탑승할 정도로 대형 크기인 승강캐리어(20)를 안전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제1,2스토퍼를 조작하기 위한 제1,2조작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제1,2조작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제1,2조작부(80)(80')는, 승강캐리어(20)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휠체어(W)에 탑승한 장애인에 의하여 제1,2스토퍼(70)(70')를 조작한다. 이러한 제1,2조작부(80)(80')는 휠체어(W)에 않은 장애인이 자신의 손으로 잡아당겨 조작할 수 있도록 승강캐리어(20)의 내측벽 좌우측에 설치되는 제1,2핸들(81)(81')과, 제1,2핸들(81)(81')에 연동되어 상기 제1,2스토핑로드(74)(74')를 동시에 후진시키거나 전진시키기 위한 제1,2기어조립체(82)(82')를 포함한다.
제1,2기어조립체(82)(82')는, 제1,2핸들(81)(81')의 회전축에 고정된 제1,2레버브라켓(82a)(82a')과, 제1,2레버브라켓(82a)(82a')의 단부에 힌지 연결되어 제1,2핸들(81)(81')의 회동운동에 의하여 잡아당기거나 밀리는 제1,2레버로드(82b)(82b')와, 승강캐리어(20)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회동로드(82c)(82c')와, 제1,2회동로드(82c)(82c')의 양단 단부에 고정되어 제1,2레버로드(82b)(82b')와 힌지 연결되는 제3,4레버브라켓(82d)(82d')과, 제1,2회동로드(82c)(82c')의 마주보는 단부에 설치되는 제1,2베벨기어조립체(82e)(82e')와, 제1,2베벨기어조립체(82e)(82e')에 의하여 제1,2회동로드(82c)(82c')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4회동로드(82f)(82f')와, 제3,4회동로드(82f)(82f')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호 맞불리는 제1,2구동기어(82g)(82g')와, 제1,2스토퍼((70)(70')의 제1,2스토핑로드(74)(74')에 설치되어 제1,2구동기어(82g)(82g')와 연결되는 제1,2피동기어(82h)(82h')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조작부(80)(80')는, 캐리어(20)의 모서리측에 위치되는 4 개의 제1,2스토퍼(70)(70')를 동시에 조작함으로써, 전동식 휠체어가 탑승할 정도로 대형 크기인 승강캐리어(20)의 확실하게 위치 고정하거나, 위치 고정을 동시에 해재할 수 있다.
도 11은 도 2에 있어서 바닥슬라브로로 하강한 승강캐리어에서 장애인 휠체어가 하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평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무게추(50)(50')는 바닥슬라브(S2)에 위치되고, 승강캐리어(20)는 천정슬라브(S1)에 위치된다.
이후, 화재나 지진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될 경우, 장애인 휠체어(W)는 천정슬라브(S1)에 위치된 승강캐리어(20)의 캐리어룸(21)으로 진입한다. 그러면, 장애인 휠체어(W)가 탑승한 승강캐리어(20)의 총 무게가 제1,2무게추(50)(50')의 무게보다 커지므로, 승강캐리어(20)는 바닥슬라브(S2) 측으로 하강하고 제1,2무게추(50)(50')는 천정슬라브(S1) 측으로 상승하게 되고, 승강캐리어(20)가 바닥슬라브(S2)에 안착하면 장애인 휠체어(W)는 승강캐리어(20)에서 내려 대피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향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기둥조립체(10)(10') 사이에 승강캐리어(2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제1,2기둥조립체(10)(10')에 제1,2원심브레이크(30)(30') 및 제1,2윈치부(40)(40')를 설치한 후. 제1,2윈치부(40)(40') 각각에 감겨지는 제1,2와이어(60)(60')로 승강캐리어(20)와 제1,2무게추(50)(50')를 연결함으로써, 200~300Kg 무게의 고중량물이면서 전체 부피가 큰 장애인 휠체어(W)를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안전대피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승강캐리어(20)의 내측에 휠체어(W)에 탑승한 장애인이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제1,2조작부(80)(80')를 채용함으로써, 손으로 조작하여 승강캐리어(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강캐리어(20)의 승강 및 하강 동작은 제1,2윈치부(40)(40')에 권회되는 제1,2와이어(60)(60')와 연결된 제1,2무게추(50)(50')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바닥슬라브(S2)와 천정슬래브(S1) 사이 층고에도 관계없이 본 빌명의 안전대피장치를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S1 ... 천정슬라브 S2 ... 바닥슬라브
H ... 비상대피홀
10, 10' ... 제1,2기둥조립체 11, 11' ... 제1,2가로프레임
12, 12' ... 제1,2수직프레임 13, 13' ... 제1,2가이드레일
14, 14'... 제1,2가이드빔 20 ... 승강캐리어
21 ... 캐리어룸 22 ... 프레임조립체
22a ... 바닥프레임 22b, 22c ... 측면프레임
23 ... 롤러가이드브라켓 24 ... 제1,2롤러조립체
24a, 24b ... 측면롤러 24c ... 단면롤러
30, 30' ... 제1,2원심브레이크 40, 40' ... 제1,2윈치부
50, 50' ... 제1,2무게추 51, 51' ... 제1,2무게추브라켓
52, 52' ... 제1,2무게추가이드롤러 55, 55' ... 제1,2무게추쇽업쇼버
60, 60' ... 제1,2와이어 61, 61' ... 제1,2승강와이어
62, 62' ... 제1,2복귀와이어 70, 70' ... 제1,2스토퍼
71, 71' ... 제1,2스토퍼돌기 72, 72' ... 제1,2스토퍼브라켓
72a, 72a' ... 제1,2스토퍼홈 73, 73' ... 제3,4스토퍼돌기
74, 74' ... 제1,2스토퍼로드 80, 80' ... 제1,2조작부
81, 81' ... 제1,2핸들 82, 82' ... 제1,2기어조립체
82a, 82a' ... 제1,2레버브라켓 82b, 82b' ... 제1,2레버로드
82c, 82c' ... 제1,2회동로드 82d, 82d' ... 제3,4레버브라켓
82e, 82e' ... 제1,2베벨기어조립체 82f, 82f' ... 제3,4회동로드
82g, 82g' ... 제1,2구동기어 82h, 82h' ... 제1,2구동기어
90, 90' ... 제1,2쇽업쇼버

Claims (5)

  1. 상호 대향되게 마주보도록 바닥슬라브(S2)에 지지된 상태로 천정슬라브(S1)의 대피홀(H)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제1,2기둥조립체(10)(10');
    상기 제1기둥조립체(10)와 제2기둥조립체(10')에 가이드된 상태로 승강되는 것으로서 장애인 휠체어(W)가 탑승하는 승강캐리어(20);
    상기 제1,2기둥조립체(10)(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속도에 따라 브레이킹력을 발생하는 제1,2원심브레이크(30)(30');
    상기 제1,2원심브레이크(30)(30')와 기어결합된 제1,2윈치부(40)(40');
    상기 제1,2기둥조립체(10)(10')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무게추(50)(50');
    상기 제1,2윈치부(40)(40')에 권회된 상태로 상기 승강캐리어(20)와 제1,2무게추(50)(50')를 연결하는 제1,2와이어(60)(60');
    상기 승강캐리어(20)를 상기 제1,2기둥조립체(10)(10')에 동시에 위치 고정시키거나 동시에 고정 상태를 해재하기 위한 제1,2스토퍼(70)(70'); 및
    상기 승강캐리어(20)의 내측벽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휠체어(W)에 탑승한 장애인에 의하여 조작되어 상기 제1,2스토퍼(70)(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2조작부(80)(8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둥조립체(10)는, 하단과 상단에 위치되는 한쌍의 제1가로프레임(11)과, 상기 한쌍의 제1가로프레임(11) 사이에 위치되는 한쌍의 제1수직프레임(12)과, 상기 한쌍의 제1수직프레임(1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캐리어(20)의 제1롤러조립체(24)가 입체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면이 凸 형태인 제1가이드레일(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기둥조립체(10')는, 하단과 상단에 위치되는 한쌍의 제2가로프레임(11')과, 상기 한쌍의 제2가로프레임(11') 사이에 위치되는 한쌍의 제2수직프레임(12')과, 상기 한쌍의 제2수직프레임(1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승강캐리어(20)의 제2롤러조립체(24')가 입체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면이 凸 형태인 제2가이드레일(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안전대피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캐리어(20)는,
    상방으로 개구된 캐리어룸(21)과, 상기 캐리어룸(21)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프레임조립체(22)와, 상기 프레임조립체(22)의 상단 및 하단에서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롤러가이드브라켓(23)과, 상기 롤러가이드브라켓(23)에 설치되어 상기 제1,2가이드레일(13)(13')에 입체적으로 결합되는 상기 제1,2롤러조립체(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안전대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스토퍼(70)(70')는, 상기 제1기둥조립체(10)를 구성하는 한쌍의 제1수직프레임(12) 및 상기 제2기둥조립체(10')를 구성하는 한쌍의 제2수직프레임(12')에서 상기 제1,2기둥조립체(10)(10')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2스토퍼돌기(71)(71')와, 상기 승강캐리어 프레임조립체(22)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스토퍼돌기(71)(71') 방향으로 개구된 제1,2스토퍼홈(72a)(72a')이 형성된 제1,2스토퍼브라켓(72)(72')과, 상기 제1,2스토퍼홈(72a)(72a')에서 상기 제1,2스토퍼돌기(71)(71') 측으로 출몰되면서 상기 제1,2스토퍼돌기(71)(71')에 걸치어지거나 걸침 해제되는 제3,4스토퍼돌기(73)(73')와, 상기 제3,4스토퍼돌기(73)(73')의 후방측과 연결되는 제1,2스토핑로드(74)(74')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조작부(80)(80')는, 상기 휠체어(W)에 않은 장애인이 자신의 손으로 잡아당겨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캐리어(20)의 내측벽 좌우측에 설치되는 제1,2핸들(81)(81')과, 상기 제1,2핸들(81)(81')에 연동되어 상기 제1,2스토핑로드(74)(74')를 동시에 후진시키거나 전진시키기 위한 제1,2기어조립체(82)(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안전대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기어조립체(82)(82')는,
    상기 제1,2핸들(81)(81')의 회전축에 고정된 제1,2레버브라켓(82a)(82a')과,
    상기 제1,2레버브라켓(82a)(82a')의 단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1,2핸들(81)(81')의 회동운동에 의하여 잡아당기거나 밀리는 제1,2레버로드(82b)(82b')와,
    상기 승강캐리어(20)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회동로드(82c)(82c')와,
    상기 제1,2회동로드(82c)(82c')의 양단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2레버로드(82b)(82b')와 힌지 연결되는 제3,4레버브라켓(82d)(82d')과,
    상기 제1,2회동로드(82c)(82c')의 마주보는 단부에 설치되는 제1,2베벨기어조립체(82e)(82e')와,
    상기 제1,2베벨기어조립체(82e)(82e')에 의하여 상기 제1,2회동로드(82c)(82c')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4회동로드(82f)(82f')와,
    상기 제3,4회동로드(82f)(82f')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호 맞불리는 제1,2구동기어(82g)(82g')와,
    상기 제1,2스토퍼((70)(70')의 제1,2스토핑로드(74)(74')에 설치되어 제1,2구동기어(82g)(82g')와 연결되는 제1,2피동기어(82h)(82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안전대피장치.
KR1020200141412A 2020-10-28 2020-10-28 장애인 안전대피장치 KR102264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412A KR102264813B1 (ko) 2020-10-28 2020-10-28 장애인 안전대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412A KR102264813B1 (ko) 2020-10-28 2020-10-28 장애인 안전대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813B1 true KR102264813B1 (ko) 2021-06-15
KR102264813B9 KR102264813B9 (ko) 2022-03-15

Family

ID=76412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412A KR102264813B1 (ko) 2020-10-28 2020-10-28 장애인 안전대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8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734B1 (ko) * 2021-10-28 2022-09-29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42159A (ja) * 2017-09-01 2019-03-22 ナカ工業株式会社 避難装置
KR102169896B1 (ko) * 2020-03-11 2020-10-26 나판주 안전 대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42159A (ja) * 2017-09-01 2019-03-22 ナカ工業株式会社 避難装置
KR102169896B1 (ko) * 2020-03-11 2020-10-26 나판주 안전 대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734B1 (ko) * 2021-10-28 2022-09-29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813B9 (ko)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351B1 (ko) 무동력 비상탈출장치
US4386680A (en) Emergency rescue system
KR102135003B1 (ko) 안전 비상탈출장치
KR102263950B1 (ko) 실린더 및 움직 도르래를 이용한 안전 피난 장치
KR102264813B1 (ko) 장애인 안전대피장치
KR102264809B1 (ko) 발코니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WO2023229284A1 (ko) 비상탈출장치용 승강 구동 어셈블리
KR20220046319A (ko)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JP3791730B2 (ja) 災害弱者避難用階段斜行リフト
JP4287977B2 (ja) 階段斜行スライダー
KR102169896B1 (ko) 안전 대피장치
KR102276299B1 (ko) 계단 겸용 리프트 장치
KR102169897B1 (ko) 재난 대피장치
KR102169895B1 (ko) 안전 피난장치
KR102448734B1 (ko)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KR20220061325A (ko) 계단 겸용 휠체어리프트의 편하중에 의한 과부하 감지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2237673B1 (ko) 안전 대피장치
KR102169898B1 (ko) 안전 비상탈출장치
KR102360863B1 (ko) 하향식 피난장치
WO2021038629A1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KR20210088948A (ko) 안전 층간비상탈출장치
KR20210088947A (ko) 무동력 층간비상탈출장치
JP3263687B2 (ja) エレベータおよび航空機離着陸帯構造
KR20070087319A (ko) 비상 승강장치
KR20210154416A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