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003B1 - 안전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안전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003B1
KR102135003B1 KR1020190135628A KR20190135628A KR102135003B1 KR 102135003 B1 KR102135003 B1 KR 102135003B1 KR 1020190135628 A KR1020190135628 A KR 1020190135628A KR 20190135628 A KR20190135628 A KR 20190135628A KR 102135003 B1 KR102135003 B1 KR 102135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winch drum
wire
pilla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판주
Original Assignee
나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판주 filed Critical 나판주
Priority to KR1020190135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003B1/ko
Priority to PCT/KR2020/014795 priority patent/WO20210860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ounter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천정슬래브(S1)에 형성되는 비상탈출홀(H)에 결합되는 테두리하우징(10)과; 상단이 테두리하우징(10) 내측에 고정되고 하단이 바닥슬래브(S2)에 고정되는 기둥몸체(21)를 가지는 프로파일기둥(20)과; 프로파일기둥(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테두리하우징(10)의 내측과 바닥슬래브(S2) 사이에서 승강되는 승강대피부(30)와; 프로파일기둥(2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추(40)와; 기둥몸체(21)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큰 직경의 대윈치드럼(51) 및 작은 직경의 소윈치드럼(52)이 한몸체로 구성되는 윈치드럼(50)과; 대윈치드럼(51)에 시계 방향으로 감겨진 것으로서 하단이 승강대피부(30)와 연결되는 제1와이어(60)와; 소윈치드럼(52)에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진 것으로서 하단이 무게추(40)와 연결되는 제2와이어(70)와; 윈치드럼(50)과 축결합된 것으로서, 윈치드럼(50)의 회전속도가 빨라질 때 브레이킹력이 커지는 원심브레이크(80)와; 승강대피부(30)를 테두리하우징(10) 내측에 위치 고정시키고 있다가, 승강대피부(30)에 탑승한 대피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위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스토퍼(90)와; 승강대피부(30)에 설치된 것으로서 승강도중 대피자가 테두리하우징(10)의 내측에 충돌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손잡이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 비상탈출장치{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전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난시 윗층의 천전슬래브에서 아랫층 바닥슬래브로 안전하게 비상 탈출할 수 있는 안전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화재나 지진등의 재난 상황시 대피하기 위한 완강기를 구비하고 있다. 완강기는 창문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어 운영되며, 재난 발생시 계단이나 승강기를 사용하기 곤란할 경우, 대피자는 완강기를 통하여 외부로 비상 탈출한다.
그런데 대피자는 천천히 풀어지는 완강기 로프에 매달린 상태로 탈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신속한 대피가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라 많은 사람을 대피시키기가 어려웠다. 또한 노약자, 어린이, 여성의 경우, 체력의 한계나 고소 공포감으로 인하여 완강기 사용을 거부하는 상황이 발생되고, 이 경우 신속한 대피를 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하여 많은 수의 재난 사망자 및 부상자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의 층을 이루는 천정에 탈출홀을 형성하고, 탈출홀을 통하여 아래층 바닥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탈출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최근에는 탈출홀과 바닥슬래브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기둥과, 지지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와이어가 감겨지는 윈치와, 윈치가 회전된 후 회전되기전 상태로 윈치를 역회전 시키는 태엽부와, 와이어와 연결된 상태로 지지기둥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으로 구성되는 비상탈출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비상탈출장치에 의하여, 대피자는 발판에 탑승한 상태로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고, 이후 태엽부는 윈치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발판을 초기 위치로 상승 복귀시킴으로서 다른 대피자가 비상 탈출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런데 상기 비상탈출장치의 경우, 발판은 성인을 탑승할 수 있도록 내구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무게가 상당하였고, 이러한 무거운 발판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태엽부의 크기 역시 클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태엽부는 비상탈출장치의 상부측으로 두드러지게 돌출되어 주위 공간의 활용도를 저하시키고, 건물 외관을 해침은 물로, 긴급한 비상 탈출과정에서 대피자가 걸려 넘어지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태엽부에 내장된 판스프링은 시간이 지남에 부식이 진행되어 복귀 탄성력이 저하되고, 이 경우 태엽부는 복귀 탄성력이 저하되어 발판을 초기 위치로 원활하게 복귀시키지 못하였고, 이는 비상 탈출의 지연으로 연결되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태엽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전체적인 크기를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고, 탈출 과정에서 대피자가 부상을 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비상탈출장치는,
건물의 천정슬래브(S1)에 형성되는 비상탈출홀(H)에 결합되는 테두리하우징(10); 상단이 상기 테두리하우징(10) 내측에 고정되고 하단이 바닥슬래브(S2)에 고정되는 기둥몸체(21)를 가지는 프로파일기둥(20); 상기 프로파일기둥(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테두리하우징(10)의 내측과 상기 바닥슬래브(S2) 사이에서 승강되는 승강대피부(30); 상기 프로파일기둥(20)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추(40); 상기 기둥몸체(21)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큰 직경의 대윈치드럼(51) 및 작은 직경의 소윈치드럼(52)이 한몸체로 구성되는 윈치드럼(50); 상기 대윈치드럼(51)에 시계 방향으로 감겨진 것으로서 하단이 상기 승강대피부(30)와 연결되는 제1와이어(60); 상기 소윈치드럼(52)에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진 것으로서 하단이 상기 무게추(40)와 연결되는 제2와이어(70); 상기 윈치드럼(50)과 축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윈치드럼(50)의 회전속도가 빨라질 때 브레이킹력이 커지는 원심브레이크(80); 상기 승강대피부(30)를 상기 테두리하우징(10) 내측에 위치 고정시키고 있다가, 상기 승강대피부(30)에 탑승한 대피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위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스토퍼(90); 및 상기 승강대피부(30)에 설치된 것으로서 승강도중 대피자가 상기 테두리하우징(10)의 내측에 충돌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손잡이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기둥(20)은, 알루미늄을 압출성형함으로써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몸체(21)의 전방 모서리 양측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봉 형태의 제1,2모서리체결단(23)(24) 및 상기 기둥몸체(21) 내측에 형성되는 기둥홀(25)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대피부(30)는, 봉 형태의 상기 제1,2모서리체결단(23)(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체결홈(33a)(33b)가 형성된 제1,2슬라이더(33)(34)와, 상기 제1,2슬라이더(33)(34)가 결합되는 슬라이더지지블럭(35)과, 상기 슬라이더지지블럭(35)에 고정되어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2지지프레임(36)(37)과, 상기 제1,2지지프레임(36)(37)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것으로서 대피자가 탑승하는 발판(38)을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60)가 끊어질 때 상기 승강대피부(30)가 프로파일기둥(20)에서 하강하지 못하도록 봉형태의 상기 제1,2모서리체결단(23)(24)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비상브레이크(1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손잡이부(120)는, 상기 승강대피부의 발판(38)의 전방측에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발판브라켓(121)과, 상기 발판브라켓(121)의 양측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한쌍의 손잡이지지봉(122)과, 상기 손잡이지지봉(122)의 양단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U' 형태의 손잡이봉(123)과, 상기 발판브라켓(121)과 손잡이지지봉(12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지지봉(122)이 특정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제1각도유지관절(124)과, 상기 손잡이지지봉(122)과 손잡이봉(12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봉(123)이 특정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제2각도유지관절(1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강하는 상기 승강대피부(30)가 상기 바닥슬래브(S2)에 안착될 때 상기 승강대피부(30)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쇽업쇼버(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쇽업쇼버(110)는, 상기 승강대피부의 승강판(38)에 고정되는 쇼버몸체(111)와, 상기 쇼버몸체(111)에 상기 승강판(38) 하부측으로 돌출된 쇼버로드(112)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60)와 승강대피부(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와이어(60)가 끊어질 때 상기 승강대피부(30)가 프로파일기둥(20)에서 하강하지 못하게 위치 고시키는 비상브레이크(100)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유지관절(124)은 발판브라켓(121)과 손잡이지지봉(122) 각각에 형성된 디스크가 축결합하여 구현되고, 상기 제2각도유지관절(125)은 손잡이지지봉(122)의 손잡이봉(123) 각각에 형성된 디스크가 축결합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윈치드럼 및 소윈치드럼으로 구성되는 윈치드럼에 반대방향으로 감겨진 제1,2와이어에 의하여 대피자가 탑승한 승강대피부를 하강 및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콤팩트한 구조로 구현이 가능하여 천정슬래브로 돌출되는 부분을 없앨 수 있고, 이에 따라 탈출 과정에서 걸려 넘어질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함과 동시에 고장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더 나아가 건물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승강대피부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판스프링으로 작동되는 태엽부가 아닌 무게추로 작동되는 윈치드럼을 채용하므로, 천정슬래브(S1)와 바닥슬래브(S2) 사이의 거리가 5~6m 이상의 높은 층고를 가지더라도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가이드손잡이부에 의하여, 대피자가 승강대피부의 내측에만 위치되도록 위치 가이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강 과정에서 대피자가 테두리하우징의 내주면에 부딪혀 부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고, 손잡이봉을 잡고 지탱함에 따라 하강 도중 승강대피부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건물의 천정슬래브 및 바닥슬래브 사이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안전 비상탈출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안전 비상탈출장치를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안전 비상탈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프로파일기둥과 승강대피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 있어서 승강대피부를 프로파일기둥 상부측에 선택적으로 위치고정하기 위한 스토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3에 있어 A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승강대피부 후방측에 비상브레이크가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비상브레이크의 구성을 슬라이더지지블럭의 후방측에 본 도면,
도 8은 도 7의 제1와이어가 끊어질 때, 비상브레이크가 제1,2모서리체결단에 브레이크력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의 승강대피부에 설치되는 쇽업쇼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1의 가이드손잡이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가이드손잡이부의 제1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가이드손잡이부의 제2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비상탈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건물의 천정슬래브 및 바닥슬래브 사이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안전 비상탈출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전 비상탈출장치를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안전 비상탈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프로파일기둥과 승강대피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비상탈출장치는, 화재나 지진등의 재난이 발생될 때 여러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건물의 천정슬래브(S1)에 형성되는 비상탈출홀(H)을 통하여 바닥슬래브(S2)로 대피자의 피난을 안내한다. 이러한 안전 비상탈출장치는, 비상탈출홈(H)에 결합되는 테두리하우징(10)과; 상단이 테두리하우징(10) 내측에 고정되고 하단이 바닥슬래브(S2)에 고정되는 기둥몸체(21)를 가지는 프로파일기둥(20)과; 프로파일기둥(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테두리하우징(10)의 내측과 바닥슬래브(S2) 사이에서 승강되는 승강대피부(30)와; 프로파일기둥(2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추(40)와; 기둥몸체(21)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큰 직경의 대윈치드럼(51) 및 작은 직경의 소윈치드럼(52)이 한몸체로 구성되는 윈치드럼(50)과; 대윈치드럼(51)에 시계 방향으로 감겨진 것으로서 하단이 승강대피부(30)와 연결되는 제1와이어(60)와; 소윈치드럼(52)에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진 것으로서 하단이 상기 무게추(40)와 연결되는 제2와이어(70)와; 윈치드럼(50)과 축결합된 것으로서, 윈치드럼(50)의 회전속도가 빨라질 때 브레이킹력이 커지는 원심브레이크(80)와; 승강대피부(30)를 테두리하우징(10) 내측에 위치 고정시키고 있다가, 승강대피부(30)에 탑승한 대피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위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스토퍼(90)와; 제1와이어(60)와 승강대피부(30) 사이에 설치되어, 제1와이어(60)가 끊어질 때 승강대피부(30)가 프로파일기둥(20)에서 하강하지 못하게 위치 고정시키는 비상브레이크(100)와; 하강하는 승강대피부(30)가 바닥슬래브(S2)에 안착될 때 그 승강대피부(30)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쇽업쇼버(110)와; 승강대피부(30)에 설치된 것으로서 승강도중 대피자가 테두리하우징(10)의 내측에 충돌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손잡이부(120)와; 윈치드럼(50)과 축결합되어 윈치드럼(50)의 회전시 전원을 발생하고 충전하는 발전유니트(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테두리하우징(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천정슬래브(S1)의 비상탈출홀(H)에 고정된다.
프로파일기둥(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몸체(21)의 전방 모서리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한쌍의 제1,2모서리체결단(23)(24)과, 기둥몸체(21) 내측에 형성되는 기둥홀(25)을 포함한다.
제1,2모서리체결단(23)(24)은 기둥몸체(21)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봉 형태를 가지며, 후술할 비상브레이크(100)가 제1,2브레이크(103)(104)가 밀착됨으로써 승강대피부(30)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킹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프로파일기둥(20)은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압출성형함으로써 제작되고,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된다.
승강대피부(30)는, 제1,2모서리체결단(23)(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슬라이더(33)(34)와, 제1,2슬라이더(33)(34)가 결합되는 슬라이더지지블럭(35)과, 슬라이더지지블럭(35)에 고정되어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2지지프레임(36)(37)과, 제1,2지지프레임(36)(37)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것으로서 대피자가 탑승하는 발판(38)을 포함한다.
제1,2슬라이더(33)(34)는, 봉 형태의 제1,2모서리체결단(23)(23)이 결합되는 제1,2체결홈(33a)(34a)을 가지며, 이에 따라 프로파일기둥(20)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프로파일기둥(20)을 따라 부드러운 승강이 가능하다.
슬라이더지지블럭(35)은 제1,2슬라이더(33)(34)의 전방에 지지되며, 발판(38)을 지지하기 위한 제1,2지지프레임(36)(37)이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된다.
상기 프로파일기둥(20) 및 승강대피부(30)의 구성에 의하여, 승강대피부(30)는 프로파일기둥(20)에서 분리되지 않고 천정슬래브(S1)와 바닥슬래브(S2) 사이에서 승강 이동된다.
무게추(40)는 프로파일기둥(20)을 따라 승강되며, 수직 방향으로 안전하게 승강되도록 가이드됨과 동시에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프로파일기둥에 형성된 기둥홀(25)에 내장된다. 그러나 무게추(40)는 기둥홀(25)이 아니라 프로파일기둥(2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승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무게추(40)는 승강대피부(30)를 상승시키기 위한 것이며, 무게를 추가함으로써 승강대피부(30)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층고가 높은 건물에 설치할 경우, 승강대피부(30)를 상승시키기 위한 거리가 커질 경우, 더욱 무거운 무게추(40)를 사용함으로서 승강대피부(30)를 높이 올릴 수 있다.
윈치드럼(50)은 기둥몸체(21) 상단에 형성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큰 직경의 대윈치드럼(51)과 작은 직경의 소윈치드럼(52)이 한몸체로 구성되고, 대윈치드럼(51)에는 제1와이어(60)가 시계 방향으로 감겨지고, 소윈치드럼(52)에는 제2와이어(70)가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진다.
제1와이어(60)는 대윈치드럼(51)에 감겨진 상태에서 승강대피부(30)와 연결되고, 제2와이어(70)는 소윈치드럼(52)에 감겨진 상태에서 무게추(40)와 연결된다. 이때 제1와이어(60)와 제2와이어(70)의 감겨진 방향이 반대이므로, 제1와이어(60)가 대윈치드럼(51)에서 풀어지면 제2와이어(70)는 소윈치드럼(52)에 감겨지고, 반대로 제1와이어(60)가 감겨지면 제2와이어(70)는 풀어진다.
여기서, 대윈치드럼(51)의 직경이 소윈치드럼(52)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제1와이어(60)가 대윈치드럼(51)에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길이는 제2와이어(70)가 소윈치드럼(52)에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무게추(40)가 프로파일기둥(20)에서 승강 이동하는 거리가 짧음에도 불구하고, 승강대피부(30)를 프로파일기둥(20)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움직일 수 있고, 또한 무게추(40)와 프로파일기둥(20)과의 마찰 시간이 짧아져 소음 발생을 최소화될 수 있다.
원심브레이크(80)는, 브레이크드럼의 내부에 윈치드럼(50)과 축결합되어 원심력에 브레이크드럼 측으로 움직이는 브레이크슈 어셈블리가 내장된 구조를 가지며, 윈치드럼(50)의 회전속도에 연동되어 윈치드럼(50)이 천천히 회전되도록 브레이킹력을 제공한다. 즉, 승강대피부(30)의 하강에 의하여 윈치드럼(50)의 회전속도에 따라 원심브레이크(80)는 큰 브레이킹력을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윈치드럼(50)이 과도하게 빠르게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원심브레이크(80)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원심브레이크(80)에 의하여 대윈치드럼(51)에 제1와이어(60)와 연결되는 승강대피부(30)의 하강속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어 승강대피부(30)에 탑승한 대피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원심브레이크(80)는 감속기를 구비함으로써, 윈치드럼(50)이 과도하게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제1와이어(60)가 천천히 풀리도록 한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 승강대피부를 프로파일기둥 상부측에 선택적으로 위치고정하기 위한 스토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토퍼(90)는, 기둥몸체(21)의 상부 양측에서 돌출되게 고정되는 스토퍼기둥돌기(91)와, 승강대피부(30)에 스토퍼기둥돌기(91)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토퍼기둥돌기(91)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스토퍼걸쇄(92)와, 승강대피부(30)에 탑승한 대피자의 발에 의하여 눌려지는 페달(93)과, 페달(93)이 눌리어질 때 스토퍼걸쇄(92)를 스토퍼기둥돌기(91)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시키는 스토퍼걸쇄분리부(94)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토퍼(90)에 의하여, 스토퍼걸쇄(92)가 스토퍼기둥돌기(91)에 걸치어진 상태에서는 승강대피부(30)가 테두리하우징(10) 내측에 위치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대피자가 승강대피부(30)에 탑승하여 페달(93)을 누르면 스토퍼걸쇄분리부(94)가 스토퍼걸쇄(92)를 스토퍼기둥돌기(91)로부터 분리시키고, 이 상태에서 승강대피부(30)는 프로파일기둥(20)을 따라 하강한다.
도 7은 도 6의 비상브레이크의 구성을 슬라이더지지블럭의 후방측에 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제1와이어가 끊어질 때, 비상브레이크가 제1,2모서리체결단에 브레이크력을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비상브레이크(100)는, 상기 슬라이더지지블럭(35)에 있어 제1,2모서리체결단(23)(24) 사이에 설치되는 제1,2힌지축(101)(102)과, 제1,2힌지축(101)(102)에 힌지결합된 것으로서 일측단에 제1,2모서리체결단(23)(24)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제1,2브레이크패드(103a)(104a)가 설치되고 타측단에 상호 마주보는 제1,2브레이크연동단(103b)(104b)을 가지는 제1,2브레이크(103)(104)와, 제1,2브레이크(103)(104) 사이 상부측의 슬라이더지지블럭(35)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부측으로 관통된 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105)과, 가이드브라켓(105)을 관통하여 제1와이어(6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브레이크연동단(103b)(104b)이 동시에 지지되는 브레이크작동로드(106)와, 브레이크작동로드(106)에 끼어져 제1,2브레이크패드(103a)(104a)가 제1,2모서리체결단(23)(24) 측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제1,2브레이크연동단(103b)(104b)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107)을 포함한다.
제1,2브레이크(103)(104)는 전체적으로 "ㄱ" 형태를 가지며, 제1,2힌지축(101)(102)을 중심으로, 일측단에 제1,2브레이크패드(103a)(104a)가 설치되고 타측단에 마주보는 브레이크연동단(103b)(104b)이 형성된다.
브레이크작동로드(106)는 상부측이 가이드브라켓(105)을 관통하여 제1와이어(60)와 연결되고, 하부측이 제1,2브레이크연동단(103b)(104b)이 동시에 지지된다.
스프링(107)은 브레이크작동로드(106)에 끼어져 가이드브라켓(105)과 제1,2브레이크연동단(133b)(104b) 사이에 위치되고, 제1,2브레이크패드(103a)(104a)가 제1,2모서리체결단(23)(24) 측으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1와이어(60)가 브레이크작동로드(106)와 연결된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피부(30)의 무게에 의하여 브레이크작동로드(106)가 제1,2브레이크(103)(104)를 제1,2힌지축(101)(102)을 축으로 회동시켜 제1,2브레이크패드(103a)(104a)가 제1,2모서리체결단(23)(24)에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이에 따라 승강대피부(30)는 전술한 승강 동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 의하여 제1와이어(60)가 끊어질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07)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2브레이크(103)(104)는 제1,2힌지축(101)(102)을 축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제1,2브레이크패드(103a)(104a)가 제1,2모서리체결단(23)(24)에 밀착되면서 승강대피부(30)는 더 이상 승강되지 않고 위치 고정된다.
도 9는 도 1의 승강대피부에 설치되는 쇽업쇼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쇽업쇼버(110)는, 승강대피부(30)의 발판(38)이 바닥슬래브(S2)까지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발판(38)으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쇽업쇼버(110)는 발판(38)에 고정되는 쇼버몸체(111)와, 쇼버몸체(111)에 발판(38) 하부측으로 돌출된 쇼버로드(11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승강대피부(30)가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쇼버로드(112)가 바닥슬래브(S2)에 눌리면서 바닥슬래브(S2)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이에 따라 대피자가 충격에 의하여 넘어지거나 부상을 당할 가능성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가이드손잡이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가이드손잡이부의 제1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의 가이드손잡이부의 제2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손잡이부(120)는, 승강대피부(3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승강도중 대피자가 테두리하우징(10)의 내측에 충돌하지 않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가이드손잡이부(120)는, 승강대피부의 발판(38)의 전방측에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발판브라켓(121)과, 발판브라켓(121)의 양측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한쌍의 손잡이지지봉(122)과, 손잡이지지봉(122)의 양단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손잡이봉(123)과, 발판브라켓(121)과 손잡이지지봉(12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지지봉(122)이 특정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제1각도유지관절(124)과, 손잡이지지봉(122)과 손잡이봉(12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봉(123)이 특정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제2각도유지관절(125)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각도유지관절(124)은 발판브라켓(121)과 손잡이지지봉(122) 각각에 형성된 디스크가 축결합하여 구현되고, 제2각도유지관절(125)은 손잡이지지봉(122)의 손잡이봉(123) 각각에 형성된 디스크가 축결합하여 구현된다. 이때 손잡이지지봉(122) 및 손잡이봉(123)이 특정 각도로 유지되게 하기 위하여, 제1,2각도유지관절(124)(125)을 구성하는 마주보는 디스크의 면이 거칠게 형성된다.
한편, 제1각도유지관절(124)의 외주면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 및 비스듬한 방향을 향하는 2 개의 제1스토퍼홈(124a)(124b)이 형성되고, 손잡이지지봉(122)에는 2 개의 제1스토퍼홈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어지는 제1스토퍼돌기(126)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스토퍼돌기(126)는 대피자의 조작에 의하여 손잡이지지봉(122)의 후방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제1스토퍼돌기(126)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손잡이지지봉(122)을 회동시킨 후 2 개의 제1스토퍼홈(124a)(124b)에 결합시킴으로써 손잡이지지봉(122)을 수평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각도유지관절(125)의 외주면에는 특정 방향을 향하는 2 개의 제2스토퍼홈(125a)(125b)이 형성되고, 손잡이봉(122)에는 2 개의 제2스토퍼홈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어지는 제2스토퍼돌기(127)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스토퍼돌기(127)는 대피자의 조작에 의하여 손잡이봉(123)의 후방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제2스토퍼돌기(127)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봉(123)을 회동시킨 후 2 개의 제2스토퍼홈(125a)(125b)에 결합시킴으로써 손잡이봉(123)을 특정 방향으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여, 손잡이봉(123) 및 손잡이지지봉(122)은 제1,2각도유지관절(124)(125)에 의하여, 평소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피부(30)에 접혀짐으로서 테두리하우징(10)의 표면을 기준으로 하부측에 위치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천정슬래브(S1)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비상 탈출시, 대피자가 손잡이봉(123)을 잡고 상부측으로 잡아올리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지지봉(122) 및 손잡이봉(123)이 제1,2각도유지관절(124)(125)에 의하여 상부측으로 올라가면서 대피자가 승강대피부(30)의 내측에만 위치되도록 가이드된다. 이에 따라, 대피자는 하강 과정에서 테두리하우징(10)의 내주면에 부딪쳐 부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고, 손잡이봉(123)을 잡고 지탱함에 따라 하강 도중 승강대피부(30)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치드럼(50)과 축결합되어 윈치드럼(50)의 회전시 전원을 발생하고 충전하는 발전유니트(130)가 설치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38)의 바닥 모서리에 형성된 다수의 홈부(131)에 발전유닛트(13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 LED(132)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비상탈출과정에서 윈치드럼(50)이 회전되면 발전유니트(130)가 전원을 생산하여 다수의 발광 LED(132)를 발광시킴으로써, 어두운 환경에서도 대피자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윈치드럼(51) 및 소윈치드럼(52)으로 구성되는 윈치드럼(50)에 반대방향으로 감겨진 제1,2와이어(60)(70)에 의하여 대피자가 탑승한 승강대피부(30)를 하강 및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엽부와 같은 스프링 구조를 채용하지 않게 되어, 콤팩트한 구조로 구현이 가능하여 천정슬래브로 돌출되는 부분을 없앨 수 있고, 탈출 과정에서 걸려 넘어질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함과 동시에 고장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더 나아가 건물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승강대피부(3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판스프링으로 작동되는 태엽부가 아닌 무게추(40)로 작동되는 윈치드럼(50)을 채용하므로, 천정슬래브(S1)와 바닥슬래브(S2) 사이의 거리가 5~6m 이상의 높은 층고를 가지더라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손잡이부(120)에 의하여, 대피자가 승강대피부(30)의 내측에만 위치되도록 위치 가이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강 과정에서 대피자가 테두리하우징(10)의 내주면에 부딪혀 부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고, 손잡이봉(123)을 잡고 지탱함에 따라 하강 도중 승강대피부(30)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판(38)과 무게추(40)가 각각의 와이어를 통하여 각각의 윈치에 감겨지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각각의 와이어 일단에 발판(38)과 무게추(40)를 고정시킨 후 각 와이어 타단에 각각의 윈치를 고정시키는 간단한 동작을 통하여 와이어 연결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발판(38)을 프로파일기둥(2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일정 또는 안전한 속도로 하강시키고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신속하게 복귀되도록 하는 대윈치드럼(51), 소윈치드럼(52) 및 원심브레이크(80)가 구동축(미부호)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프로파일기둥(20)의 상단에 공지의 구성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발판(38)을 구동시키는 구동요소들이 최소의 개수와 배열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구성의 비용이 절감되고 조립도 매우 간편하여 설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S1 ... 천정슬래브 S2 ... 바닥슬래브
H ... 비상탈출홀
10 ... 테두리하우징 20 ... 프로파일기둥
21 ... 기둥몸체 23, 24 ... 모서리체결단
25 ... 기둥홀 30 ... 승강대피부
33, 34 ... 제1,2슬라이더 35 ... 슬라이더지지블럭
36, 37 ... 제1,2지지프레임 38 ... 발판
40 ... 무게추 50 ... 윈치드럼
51 ... 대윈치드럼 52 ... 소윈치드럼
60 ... 제1와이어 70 ... 제2와이어
80 ... 원심브레이크 90 ... 스토퍼
91 ... 스토퍼기둥돌기 92 ... 스토퍼걸쇄
93 ... 페달 94 ... 스토퍼걸쇄분리부
100 ... 비상브레이크 101, 102 ... 제1,2힌지축
103, 104 ... 제1,2브레이크 103a, 104a ... 제1,2브레이크패드
103b, 104b ... 제1,2브레이크연동단 105 ... 가이드브라켓
106 ... 브레이크작동로드 107 ... 스프링
110 ... 쇽업쇼버 111 ... 쇼버몸체
112 ... 쇼버로드 120 ... 가이드손잡이부
121 ... 발판브라켓 122 ... 손잡이지지봉
123 ... 손잡이봉 124 ... 제1각도유지관절
124a, 124b ... 제1스토퍼홈 125 ... 제2각도유지관절
125a, 125b ... 제2스토퍼홈 126 ... 제1스토퍼돌기
127 ... 제2스토퍼돌기

Claims (7)

  1. 건물의 천정슬래브(S1)에 형성되는 비상탈출홀(H)에 결합되는 테두리하우징(10);
    상단이 상기 테두리하우징(10) 내측에 고정되고 하단이 바닥슬래브(S2)에 고정되는 기둥몸체(21)를 가지는 프로파일기둥(20);
    상기 프로파일기둥(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테두리하우징(10)의 내측과 상기 바닥슬래브(S2) 사이에서 승강되는 승강대피부(30);
    상기 프로파일기둥(20)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추(40);
    상기 기둥몸체(21)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큰 직경의 대윈치드럼(51) 및 작은 직경의 소윈치드럼(52)이 한몸체로 구성되는 윈치드럼(50);
    상기 대윈치드럼(51)에 시계 방향으로 감겨진 것으로서 하단이 상기 승강대피부(30)와 연결되는 제1와이어(60);
    상기 소윈치드럼(52)에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진 것으로서 하단이 상기 무게추(40)와 연결되는 제2와이어(70);
    상기 윈치드럼(50)과 축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윈치드럼(50)의 회전속도가 빨라질 때 브레이킹력이 커지는 원심브레이크(80);
    상기 승강대피부(30)를 상기 테두리하우징(10) 내측에 위치 고정시키고 있다가, 상기 승강대피부(30)에 탑승한 대피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위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스토퍼(90); 및
    상기 승강대피부(30)에 설치된 것으로서 승강도중 대피자가 상기 테두리하우징(10)의 내측에 충돌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손잡이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기둥(20)은, 알루미늄을 압출성형함으로써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몸체(21)의 전방 모서리 양측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봉 형태의 제1,2모서리체결단(23)(24) 및 상기 기둥몸체(21) 내측에 형성되는 기둥홀(25)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대피부(30)는, 봉 형태의 상기 제1,2모서리체결단(23)(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체결홈(33a)(33b)가 형성된 제1,2슬라이더(33)(34)와, 상기 제1,2슬라이더(33)(34)가 결합되는 슬라이더지지블럭(35)과, 상기 슬라이더지지블럭(35)에 고정되어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2지지프레임(36)(37)과, 상기 제1,2지지프레임(36)(37)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것으로서 대피자가 탑승하는 발판(38)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손잡이부(120)는, 상기 승강대피부의 발판(38)의 전방측에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발판브라켓(121)과, 상기 발판브라켓(121)의 양측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한쌍의 손잡이지지봉(122)과, 상기 손잡이지지봉(122)의 양단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U' 형태의 손잡이봉(123)과, 상기 발판브라켓(121)과 손잡이지지봉(12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지지봉(122)이 특정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제1각도유지관절(124)과, 상기 손잡이지지봉(122)과 손잡이봉(12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봉(123)이 특정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제2각도유지관절(1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비상탈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강하는 상기 승강대피부(30)가 상기 바닥슬래브(S2)에 안착될 때 상기 승강대피부(30)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쇽업쇼버(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쇽업쇼버(110)는, 상기 승강대피부의 승강판(38)에 고정되는 쇼버몸체(111)와, 상기 쇼버몸체(111)에 상기 승강판(38) 하부측으로 돌출된 쇼버로드(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비상탈출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60)와 승강대피부(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와이어(60)가 끊어질 때 상기 승강대피부(30)가 프로파일기둥(20)에서 하강하지 못하게 위치 고시키는 비상브레이크(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비상탈출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유지관절(124)은 발판브라켓(121)과 손잡이지지봉(122) 각각에 형성된 디스크가 축결합하여 구현되고,
    상기 제2각도유지관절(125)은 손잡이지지봉(122)의 손잡이봉(123) 각각에 형성된 디스크가 축결합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비상탈출장치.
KR1020190135628A 2019-10-29 2019-10-29 안전 비상탈출장치 KR102135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628A KR102135003B1 (ko) 2019-10-29 2019-10-29 안전 비상탈출장치
PCT/KR2020/014795 WO2021086003A1 (ko) 2019-10-29 2020-10-28 무동력 비상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628A KR102135003B1 (ko) 2019-10-29 2019-10-29 안전 비상탈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003B1 true KR102135003B1 (ko) 2020-07-16

Family

ID=71839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628A KR102135003B1 (ko) 2019-10-29 2019-10-29 안전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0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673B1 (ko) * 2020-09-07 2021-04-07 나판주 안전 대피장치
WO2021086003A1 (ko) * 2019-10-29 2021-05-06 나판주 무동력 비상탈출장치
KR102474826B1 (ko) * 2022-05-27 2022-12-06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비상탈출장치용 승강 구동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7208A (ja) * 2009-01-26 2010-08-05 Naka Ind Ltd 避難装置
KR101200375B1 (ko) * 2010-07-08 2012-11-12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비상탈출장치
KR101281182B1 (ko) * 2012-05-09 2013-07-02 나판주 비상탈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7208A (ja) * 2009-01-26 2010-08-05 Naka Ind Ltd 避難装置
KR101200375B1 (ko) * 2010-07-08 2012-11-12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비상탈출장치
KR101281182B1 (ko) * 2012-05-09 2013-07-02 나판주 비상탈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6003A1 (ko) * 2019-10-29 2021-05-06 나판주 무동력 비상탈출장치
KR102237673B1 (ko) * 2020-09-07 2021-04-07 나판주 안전 대피장치
KR102474826B1 (ko) * 2022-05-27 2022-12-06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비상탈출장치용 승강 구동 어셈블리
WO2023229284A1 (ko) * 2022-05-27 2023-11-30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비상탈출장치용 승강 구동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351B1 (ko) 무동력 비상탈출장치
KR102135003B1 (ko) 안전 비상탈출장치
KR101117277B1 (ko) 비상탈출장치
JP4672017B2 (ja) 救命装備
KR101032877B1 (ko) 비상탈출장치
KR102145592B1 (ko) 안전손잡이를 구비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102263950B1 (ko) 실린더 및 움직 도르래를 이용한 안전 피난 장치
KR102264809B1 (ko) 발코니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KR102393170B1 (ko) 비상 탈출용 승강기
KR101281182B1 (ko) 비상탈출장치
KR102474826B1 (ko) 비상탈출장치용 승강 구동 어셈블리
KR20220046319A (ko) 컨틸레버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JP6868511B2 (ja) 避難装置
KR102169897B1 (ko) 재난 대피장치
KR20100107539A (ko) 고층건물용 비상 완강장치
KR102169896B1 (ko) 안전 대피장치
KR102169895B1 (ko) 안전 피난장치
KR102264813B1 (ko) 장애인 안전대피장치
KR20210088948A (ko) 안전 층간비상탈출장치
KR20210088947A (ko) 무동력 층간비상탈출장치
KR102169898B1 (ko) 안전 비상탈출장치
KR102237673B1 (ko) 안전 대피장치
KR20070087319A (ko) 비상 승강장치
WO2021086003A1 (ko) 무동력 비상탈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