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170B1 - 비상 탈출용 승강기 - Google Patents

비상 탈출용 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170B1
KR102393170B1 KR1020210058431A KR20210058431A KR102393170B1 KR 102393170 B1 KR102393170 B1 KR 102393170B1 KR 1020210058431 A KR1020210058431 A KR 1020210058431A KR 20210058431 A KR20210058431 A KR 20210058431A KR 102393170 B1 KR102393170 B1 KR 102393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emergency escape
present
we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규
Original Assignee
(주)디딤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딤돌 filed Critical (주)디딤돌
Priority to KR1020210058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6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 시 별도의 동력 없이 상층에서 하층으로 대피할 수 있는 비상 탈출용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제 1스프라켓을 포함하는 가이드 브라켓이 설치되는 상단이 건물 상층 슬래브에 형성되는 비상탈출구에 고정되고 하단이 건물 하층 슬래브에 고정되는 가이드부, 상기 비상탈출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발판부,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무게추 및 일단이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1스프라켓을 거쳐 상기 무게추에 고정되는 체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 탈출용 승강기{Elevator For Emergency Escape}
본 발명은 비상 탈출용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 시 별도의 동력 없이 상층에서 하층으로 대피할 수 있는 비상 탈출용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 등의 집합 건물 또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 시 대피할 수 있도록 완강기나 사다리 등과 같은 비상 탈출을 위한 사설이 구비된다.
그러나,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완강기나 사다리 등의 비상 탈출을 위한 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화재 등으로 인한 공포감과 함께 더불어 고소 공포증 등으로 인하여 완강기 조작에 어려움을 겪거나 사다리에 발을 헛디디거나 놓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를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9632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 하우징에 구비되어 모노레일(10)의 가이드 홈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상기 메인 하우징이 모노레일(10)에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편, 상기 거치편이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지는 경우 모노레일(10)의 가이드 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부에 축설되어 상기 가이드 기어를 따라 회전되는 회전 기어, 상기 회전 기어와 동일축에 치합된 종동 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부에 축설되어 상기 종동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감속 기어, 상기 감 속기어의 감속 휠에 원심력을 받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감속 피스 및 상기 감속 휠과 감속 피스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상기 감속 휠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감속 피스가 내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감속 휠의 회전을 방지하는 감속커버를 포함하는 비상탈출장치(20)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상탈출장치는 화재 등의 긴급 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브레이크 등을 조작해야 함에 따라 종래의 완강기아 마찬가지로 조작에 어려움을 겪거나 발판을 헛디뎌 추락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비상탈출장치는 상층에서 하층으로 하강이 완료되면 수동으로 다시 상층으로 운반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9632호(공개일 2011.02.28.)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재 등의 긴급 발생 상황 시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없이 탑승만으로 상층에서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비상 탈출용 승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하차하면 자동으로 하층에서 상층으로 복귀하는 비상 탈출용 승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는 제 1스프라켓을 포함하는 가이드 브라켓이 설치되는 상단이 건물 상층 슬래브에 형성되는 비상탈출구에 고정되고 하단이 건물 하층 슬래브에 고정되는 가이드부, 상기 비상탈출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발판부,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무게추 및 일단이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1스프라켓을 거쳐 상기 무게추에 고정되는 체인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는 제 1스프라켓을 포함하는 가이드 브라켓이 설치되는 상단이 건물 상층 슬래브에 형성되는 비상탈출구에 고정되고 하단이 건물 하층 슬래브에 고정되는 가이드부, 상기 비상탈출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발판부, 상측에 제 3스프라켓이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무게추 및 일단이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1스프라켓 및 상기 제 3스프라켓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고정되는 체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무게추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제 1스프라켓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원심브레이크와 상기 원심브레이크의 일측에 형성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는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없이 탑승만으로 상층에서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화재 등의 긴급 발생 상황 시 더욱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는 사용자가 하차하면 자동으로 하층에서 상층으로 복귀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비상용 승강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의 승강 상태와 하강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는 건물의 슬래브(slab)에 설치되어 화재 등의 긴급 상황에서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건물의 상, 하층 슬래브에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형성되는 비상탈출구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는 대피자의 분산대피를 위해서 복수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는 건물의 상황을 고려해서 상, 하층 슬래브를 따라 반복해서 엇갈린 방향으로 연속해서 설치되거나, 특정 슬래브에 설치될 수 있으며, 건물의 외벽 등 상층에서 하층으로 이어지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는 가이드부(100)와 발판부(200)와 무게추(300) 및 체인(40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100)는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브라켓(110)을 포함하여 상단 측이 상층 슬래브에 형성되는 비상탈출구 측에 고정되고, 하단 측이 하층 슬래브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00)는 중공 형태의 사각 프레임이거나 일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00)는 중공 형태의 원형을 포함한 다각 프레임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00)는 상층 슬래브와 하층 슬래브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브라켓(110)은 제 1스프라켓(111)과 상기 제 1스프라켓(111)의 회전축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원심 브레이크(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원심 브레이크(120)는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동판이 일정 회전 속도 이상인 경우 원심력에 의하여 접촉하여 자동으로 제동하는 장치로서 공지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브라켓(110)은 상기 원심 브레이크(120) 작동 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하여 상기 제 1스프라켓(111)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냉각팬(121)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팬(121)은 상기 제 1스프라켓(111)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원심 브레이크(120) 측으로 비교적 차가운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원심 브레이크(120)를 냉각한다.
한편, 상기 발판부(200)는 상기 가이드부(100)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롤러(211)가 설치되는 승강 브라켓(210)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부(10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2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나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상기 발판부(200)가 사각 플레이트인 경우 상기 비상탈출구는 상기 가이드부(100)의 상단 측과 상기 발판부(200)가 노출될 수 있도록 대략적으로 '凸'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러(211)는 상기 가이드부(10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부(100)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상기 발판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게추(300)는 상기 발판부(200)의 중량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0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무게추(30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00)에 내장되어 상하 이동 시 가이드부(100)의 내측 면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무게추(300)의 단면은 상기 가이드부(100)의 내측 단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무게추(300)의 단면적은 상기 가이드부(100)의 내측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무게추(300)는 보다 안정적인 상하 이동을 위하여 외주면에 복수 개의 롤러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체인(400)은 일단이 상기 가이드부(100)의 외측에서 상기 발판부(2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1스프라켓(111)을 거쳐 상기 가이드부(100)의 내부에서 상기 무게추(300)에 고정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인(400)은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200)에 진입 및 정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나 의복 등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200)에 진입하는 방향과 반대 측에 일단이 배치되어 상기 승강 브라켓(2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100)의 내측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의 작동 방법은 하기와 같다.
초기 상태 시 상기 발판부(200)는 상기 무게추(300)의 중량보다 가벼우므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사점에 위치하며, 상기 무게추(300)는 하사점에 위치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200)로 진입하여 올라서면 상기 발판부(200)의 하중과 사용자의 하중이 더해져 상기 무게추(300)의 하중보다 커지면 상기 체인(400)은 상기 제 1스프라켓(111)을 회전시키며 이동하여 상기 발판부(200)는 하강하고 상기 무게추(300)는 상승한다.
이때, 제 1스프라켓(111)의 회전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원심 브레이크(120)에 의하여 상기 발판부(200)의 속도가 감소된다.
이후, 상기 발판부(200)가 하사점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200)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무게추(300)의 하중이 상기 발판부(200)의 하중보다 큼으로 상기 체인(400)은 상기 제 1스프라켓(111)을 회전시키며 이동하여 상기 발판부(200)는 상승하고 상기 무게추(300)는 하강한다.
한편, 도 3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의 승강 상태와 하강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는 무게추(300`)의 상측에 고정되는 제 3스프라켓(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브라켓(110)은 상기 제 1스프라켓(111)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 2스프라켓(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인(400)은 일단이 상기 발판부(2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2스프라켓(112)과 상기 제 1스프라켓(111) 및 상기 제 3스프라켓(310)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가이드 브라켓(11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인(400)의 길이는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보다 더욱 길어진다.
또한, 상기 무게추(300)의 하중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보다 2배 이상 크게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300)의 하중은 상기 발판부(200)의 하중보다 2배 이상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스프라켓(112)은 상기 체인(400)의 일단을 상기 승강 브라켓(210)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 1스프라켓(111)의 직경을 충분히 크게 형성하는 경우 생략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체인(400)은 일단이 상기 발판부(2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1스프라켓(111) 및 상기 제 3스프라켓(310)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가이드 브라켓(11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의 발판부(200)는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의 발판부(200)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와 비교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발판부(200)의 상사점이 상기 가이드부(100)의 상단 측에 더욱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상층 슬래브로 상기 가이드부(100)가 노출되는 부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는 상기 제 2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와 동일한 구성에 상기 무게추(300)와 상기 가이드 브라켓(110) 사이에 형성되는 스프링(500)을 더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500)의 직경은 내측으로 상기 체인(4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100)의 내주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500)은 상기 무게추(300)를 하측으로 밀어내기에 충분한 탄성력으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의 무게추(300)의 하중은 상기 무게추(300)에 가해지는 힘만큼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의 무게추(300)의 하중보다 더 적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의 무게추(300) 길이는 상기 스프링(500)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의 무게추(300)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제 2, 3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의 가이드 브라켓(110)은 제 1실시 예에 마찬가지로 원심 브레이크(120)와 냉각팬(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는 상기 발판부(200)의 하측에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하여 경고음 등의 신호를 발생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체인(400)의 이동을 제한하는 브레이크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 1스프라켓(111) 또는 상기 제 2스프라켓(112)의 회전을 제한하는 브레이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용 승강기는 상기 발판부(200) 상에 사용자가 탑승하여 하강할 시 상기 발판부(200)의 하측에 사람이나 짐 등이 위치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가이드부
110. 가이드 브라켓
111. 제 1스프라켓
112. 제 2스프라켓
120. 원심 브레이크
121. 냉각팬
200. 발판부
210. 승강 브라켓
211. 롤러
300. 무게추
310. 제 3스프라켓
400. 체인
500. 스프링

Claims (5)

  1. 삭제
  2. 제 1스프라켓과 제 2스프라켓을 포함하는 가이드 브라켓이 설치되는 상단이 건물 상층 슬래브에 형성되는 비상탈출구에 고정되고 하단이 건물 하층 슬래브에 고정되는 가이드부;
    상기 비상탈출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발판부;
    상측에 제 3스프라켓이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무게추; 및
    일단이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2스프라켓과 상기 제 1스프라켓 및 상기 제 3스프라켓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고정되는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무게추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비상 탈출용 승강기.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제 1스프라켓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원심브레이크와 상기 원심브레이크의 일측에 형성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비상 탈출용 승강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비상 탈출용 승강기.
KR1020210058431A 2021-05-06 2021-05-06 비상 탈출용 승강기 KR102393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431A KR102393170B1 (ko) 2021-05-06 2021-05-06 비상 탈출용 승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431A KR102393170B1 (ko) 2021-05-06 2021-05-06 비상 탈출용 승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170B1 true KR102393170B1 (ko) 2022-05-02

Family

ID=8159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431A KR102393170B1 (ko) 2021-05-06 2021-05-06 비상 탈출용 승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1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826B1 (ko) * 2022-05-27 2022-12-06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비상탈출장치용 승강 구동 어셈블리
US11639284B1 (en) * 2021-12-08 2023-05-02 George F. Becker Wedge brake elevator safety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1417A (en) * 1980-11-17 1982-09-28 Variable Control Systems, Inc. Speed retarder
JP2010167208A (ja) * 2009-01-26 2010-08-05 Naka Ind Ltd 避難装置
KR20110019632A (ko) 2009-08-20 2011-02-28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CN202161704U (zh) * 2011-05-27 2012-03-14 娄潮山 大众逃生器
KR101552300B1 (ko) * 2014-07-08 2015-09-10 주식회사 광희 권양기용 원심 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1417A (en) * 1980-11-17 1982-09-28 Variable Control Systems, Inc. Speed retarder
JP2010167208A (ja) * 2009-01-26 2010-08-05 Naka Ind Ltd 避難装置
KR20110019632A (ko) 2009-08-20 2011-02-28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CN202161704U (zh) * 2011-05-27 2012-03-14 娄潮山 大众逃生器
KR101552300B1 (ko) * 2014-07-08 2015-09-10 주식회사 광희 권양기용 원심 브레이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9284B1 (en) * 2021-12-08 2023-05-02 George F. Becker Wedge brake elevator safety system
KR102474826B1 (ko) * 2022-05-27 2022-12-06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비상탈출장치용 승강 구동 어셈블리
WO2023229284A1 (ko) * 2022-05-27 2023-11-30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비상탈출장치용 승강 구동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170B1 (ko) 비상 탈출용 승강기
KR101040209B1 (ko)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KR101117277B1 (ko) 비상탈출장치
US10065053B2 (en) Device for evacuating individuals
KR101032877B1 (ko) 비상탈출장치
US8167090B2 (en) Apparatus for safely lowering user from structure
KR200450338Y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US2008031468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afely Evacuating an Individual During an Emergency From a Tall Structure
KR102145592B1 (ko) 안전손잡이를 구비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20110005130A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2135003B1 (ko) 안전 비상탈출장치
KR100977858B1 (ko) 비상탈출장치
KR101026277B1 (ko) 고층건물용 비상 완강장치
KR102264809B1 (ko) 발코니 방식 건물 대피 구조물
KR102393184B1 (ko) 비상 탈출용 승강기
KR20090089943A (ko) 완강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탈출장치
JP2003285985A (ja) 非常時脱出装置
KR102474826B1 (ko) 비상탈출장치용 승강 구동 어셈블리
KR102004974B1 (ko) 재난경보시스템을 구비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200464759Y1 (ko)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JP2000014813A (ja) 災害弱者避難用階段斜行リフト
KR102218584B1 (ko)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
KR102205499B1 (ko)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20070087319A (ko) 비상 승강장치
KR200381379Y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