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759Y1 -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 Google Patents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759Y1
KR200464759Y1 KR2020110003838U KR20110003838U KR200464759Y1 KR 200464759 Y1 KR200464759 Y1 KR 200464759Y1 KR 2020110003838 U KR2020110003838 U KR 2020110003838U KR 20110003838 U KR20110003838 U KR 20110003838U KR 200464759 Y1 KR200464759 Y1 KR 2004647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over
slip
enclosure
wire
evacua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8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787U (ko
Inventor
문영제
Original Assignee
(주)반초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반초기업 filed Critical (주)반초기업
Priority to KR20201100038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75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7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7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7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 발생시 직하층으로 피난하기 위한 것으로, 함체의 상부 덮개를 열고 하부 덮개 위에 올라타기만 하면 상기 하부 덮개와 연결된 완강기에 의해 자동으로 서서히 하강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노약자나 어린이도 혼자서 사용가능함은 물론, 하강시 주변장치에 의한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층간 소음도 방지할 수 있는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는 비상시 직하층으로 피난하기 위해 베란다에 설치되는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는 상부 덮개와; 상기 함체의 개방된 하단부를 개폐하며 상기 직하층으로 피난시에는 슬립 하강식 케이지로 사용되는 하부 덮개; 및 몸체는 상기 함체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고, 와이어는 상기 하부 덮개에 연결되며, 피난자의 하중에 의해 하강되는 완강기;를 포함하여, 피난자가 상기 하부 덮개 위에 올라타면 상기 완강기에 의해 서서히 직하층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Slip down type refuge tool}
본 고안은 화재 발생시 직하층으로 피난하기 위해 베란다에 설치되는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함체의 상부 덮개를 열고 하부 덮개 위에 올라타기만 하면 상기 하부 덮개와 연결된 완강기에 의해 자동으로 서서히 하강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노약자나 어린이도 혼자서 사용가능함은 물론, 하강시 주변장치에 의한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층간 소음도 방지할 수 있는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다층 구조물은 화재나 지진과 같은 비상시에 거주자가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탈출수단이 구비되는데, 대표적인 비상탈출수단으로는 비상계단이 있다. 그러나, 비상계단은 화재시 화염의 통로가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많은 사람이 일시에 비상계단을 이용하면서 발생하는 2차 사고의 염려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비상탈출수단이 제안되었는데, 대표적으로 베란다 또는 베란다 난간에 설치하여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제안된 비상탈출 장치들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0241329호 "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가 있는데, 제시된 기술을 살펴보면 위층 베란다 난간에서 아래층 베란다 난간을 사다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사다리가 항시 연결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못하고, 관리가 소홀할 경우 녹이 슬어 연결부위가 약해지며, 사다리가 베란다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대피할 때 건물의 외부로 추락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725267호 "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 가 있는데, 제시된 기술을 살펴보면, 베란다에 관통 설치하여 위층 베란다에 노출된 상부 커버를 개방하면 아래층 베란다에 노출된 하부 커버가 동시에 개방되면서 내부 수용공간에 배치된 사다리가 펼쳐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베란다에 관통 설치된 종래 기술은 상부 커버를 열면 그와 동시에 하층으로 펼쳐지는 사다리를 이용하므로, 화재시에는 연기가 자욱한 상태에서 사다리를 타고 내려오기가 어렵고, 일반 성인은 물론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는 비상시 당황을 한 상태에서 사다리를 잡으면서 침착하게 사다리를 타고 내려와 피난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서 제시된 사다리는 일단이 타단의 내부에 수납되는 형태로 보관되는 것으로,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수납된 일단이 내부에서 녹이 발생하거나 이물질이 끼어 위급시 사다리가 펼쳐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하부를 향할수록 사다리의 폭이 좁아져 사용 중 추락의 위험도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화재 발생시 직하층으로 피난하기 위해 베란다에 설치되는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함체의 상부 덮개를 열고 하부 덮개 위에 올라타기만 하면 상기 하부 덮개와 연결된 완강기에 의해 자동으로 서서히 하강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노약자나 어린이도 혼자서 사용 가능한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그에 더해 하강시 주변장치에 의한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층간 소음도 방지할 수 있는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는 비상시 직하층으로 피난하기 위해 베란다에 설치되는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는 상부 덮개와; 상기 함체의 개방된 하단부를 개폐하며 상기 직하층으로 피난시에는 슬립 하강식 케이지로 사용되는 하부 덮개; 및 몸체는 상기 함체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고, 와이어는 상기 하부 덮개에 연결되며, 피난자의 하중에 의해 하강되는 완강기;를 포함하여, 피난자가 상기 하부 덮개 위에 올라타면 상기 완강기에 의해 서서히 직하층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완강기의 와이어는 상기 하부 덮개의 4개의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하부 덮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강기는 상기 함체의 4개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4개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완강기의 와이어가 상기 하부 덮개의 4개의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강기는 상기 함체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면에 각각 설치된 완강기는 2중 기어박스를 통해 상기 함체의 양측 모서리를 향해 와이어가 각각 인출되며, 상기 인출된 와이어는 상기 하부 덮개의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강기는 상기 함체의 일면에 하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일면에 설치된 완강기는 2중 기어박스와, 연결 기어박스 및 종동축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함체의 4개의 모서리를 향해 와이어가 각각 인출되며, 상기 인출된 와이어는 상기 하부 덮개의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단은 상기 함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덮개에 고정되어 있으며, 인입 또는 인출을 통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복수개의 관으로 이루어진 텔레스코픽 보호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완강기의 와이어는 각각 상기 텔레스코픽 보호관 내부를 통해 상기 하부 덮개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덮개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층간소음방지용 패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난자가 올라타는 상기 하부 덮개의 상면에는 피난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덮개의 각 측부에는 안전 펜스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에 의하면, 화재 발생시 직하층으로 피난함에 있어서 함체의 상부 덮개를 열고 하부 덮개 위에 올라타기만 하면 상기 하부 덮개와 연결된 완강기에 의해 자동으로 서서히 하강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노약자나 어린이도 혼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강시 주변장치에 의한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층간 소음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의 평상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의 내부를 나타낸 사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의 비상시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의 기어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의 기어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가 아파트 베란다에 설치된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층 구조물에서 하층으로 피난할 수만 있다면 베란다 이외에 방 바닥을 비롯하여 다양한 장소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100)는 아파트, 빌라 및 사무실을 비롯한 다양한 건물에서 화재 발생이나 지진 발생 등과 같은 비상시에 거주자가 신속하게 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베란다에 설치되는 것으로, 대략 사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 덮개(120)와, 상기 함체(110)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하부 덮개(130) 및 상기 함체(110) 내부에 구비된 완강기(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 덮개(120)는 힌지를 통해 함체(110)와 연결되어 있어서 함체(110)의 상부를 회동식으로 개폐할 수 있고, 하부 덮개(130)는 완강기(140)에 구비된 와이어(W)를 통해 연결 및 지지되어 있어서 평상시에는 함체(110)의 개방된 하부를 막는 역할을 하다가 비상시 피난자가 상부 덮개(120)를 열고 하부 덮개(130) 위에 올라타면 완강기(140)에 의해 슬립(slip) 방식으로 서서히 하강을 하는 피난 케이지(refuge cage)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부 덮개(120)의 상면에는 상부 손잡이(121)를 구비하고 있어서, 피난자가 베란다에 매입되어 있는 함체(110) 중 바닥면에 노출된 상부 덮개(120)의 상부 손잡이(121)를 잡고 열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일측에 시건장치(122)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시건장치(122)를 구비하고 있으면 외부인이 상부 덮개(120)를 열로 하층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시건장치(12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덮개(120)의 하부면에도 하부 손잡이(123)를 구비하고 있어서 하부 덮개(130) 위에 올라타서 하층으로 피난시 하부 손잡이를 잡고 상부 덮개(120)를 닫아 화재시 발생된 화염이나 유독연기가 하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완강기(140)는 함체(110)의 각 모서리(즉 4개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서, 완강기(140)에 각각 구비된 와이어(W)가 그 직하부에 위치한 하부 덮개(130)의 모서리에 각각 연결 및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피난자가 하부 덮개(130)에 올라탔을 때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하강할 수 있게 한다.
물론 하나의 완강기(140)를 이용하여 하부 덮개(130)를 슬립 방식으로 하강시킬 수도 있지만 그러한 경우에는 하부 덮개(130)가 좌우로 흔들릴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적어도 3개 이상(도 2에서는 4개)의 완강기(140)를 구비한 것을 예로 든 것이다.
완강기(140)는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의 화재시에 피난자가 신속하게 화재현장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하중에 의해 서서히 하강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감속기나 마찰식 하강기를 구비하고 있는데, 그에 대한 좀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일단은 함체(110)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부 덮개(130)에 고정되어 있으며, 인입 또는 인출을 통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복수개의 관들로 이루어진 텔레스코픽 보호관(15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완강기(140)에 구비된 와이어(W)는 이상과 같은 텔레스코픽 보호관(150) 내부를 통해 하부 덮개(130)에 연결되어 있어서 와이어(W)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피난자가 와이어(W)에 접촉함에 따른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피난자가 대피 중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난자가 상부 덮개(120)를 열고 하부 덮개(130) 위에 올라타면 피난자의 하중에 의해 완강기(140)가 작동하여 하부 덮개(130)가 슬립 방식으로 서서히 하강하고, 이때 완강기(140)의 와이어(W)가 풀리면서 움직이더라도 와이어(W)가 텔레스코픽 보호관(150)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서 피난자가 와이어(W)와 접촉하면서 상해를 입는 일은 없게 한다.
특히, 하부 덮개(130)의 각 측부에 안전 펜스(13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 예로서 안전 펜스(131)는 하부 덮개(13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피난자가 하부 덮개(130)로부터 외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와 동시에 하부 덮개(130)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서 평상시 하부 덮개(130)가 함체(110)의 저면을 막도록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도 안전 펜스(131)는 함체(110)와 부딧히지 않고 함체(1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하부 덮개(130)의 상면 또는 하면(도 3에서는 상면에 구비)에는 층간소음방지용 패드(132)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하부 덮개(130)에 층간소음방지용 패드(132)가 부착되어 있으면 부득이 비상시를 위한 피난구를 설치하여도 층간소음을 방지하고, 이러한 패드(132)를 쿠션감이 있는 재질로 두껍게 형성하면 상기 패드(132)를 피난자의 대피시 쿠션으로 사용하게 함으로써 긴급하게 하부 덮개(130) 위에 올라타는 경우에도 하부 덮개(130)와 부딪쳐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하부 덮개(130)의 상면에는 피난 손잡이(13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피난 손잡이(133)를 구비하면 피난자가 피난 손잡이(133)를 잡고 안정적으로 피난할 수 있어서 안전 펜스(131)와 함께 피난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함체(110)의 모서리마다 각각 완강기(140)를 설치함으로써 총 4개의 완강기(140)를 구비하면 제품의 제조단가가 올라가는 단점을 보완한다.
즉,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2개의 완강기(240)만 구비하더라도 하부 덮개(130)의 각 모서리를 모두 지지할 수 있도록, 완강기(240)를 함체(110)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에 각각 설치하고, 그 대신 2개의 면에 각각 설치된 완강기(240)는 그 내부에 일체로 구비된 2중 기어박스를 통해 함체(110)의 양측 모서리를 향해 와이어(W)가 각각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완강기(240) 1개가 2개의 모서리를 담당하도록 함으로써 2개의 완강기(240)로 4개의 모서리를 모두 지지할 수 있게 한다.
2중 기어박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풀리(241) 및 제2풀리(242)를 포함한 2개의 풀리(241, 242)를 구비하고, 제1풀리(241)와 제2풀리(242)는 제1풀리(241)의 측면에 구비된 톱니 형상의 제1기어(241a)와 제2풀리(242)의 측면에 구비된 톱니 형상의 제2기어(242a)가 서로 맞물려 연결됨으로써 동기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제1풀리(241)가 회전하면 제2풀리(242)도 함께 회전하며, 각각의 풀리(241, 242)에는 와이어(W)가 각각 감겨 있어서 제1풀리(241)에 감긴 와이어(W)와 제2풀리(242)에 감긴 와이어(W)가 양측 모서리에 각각 배치된 로울러(250)에 걸쳐진 후 하부 덮개(130)의 모서리에 각각 연결됨에 따라 2개의 완강기(240)로 하부 덮개(130)의 모서리를 모두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2개의 완강기(240)만을 사용하여 하부 덮개(130)의 각 모서리를 지지한다는 점 이외에는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없으므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 역시 텔레스코픽 보호관(150), 안전 펜스(131), 층간소음방지용 패드(132) 및 피난 손잡이(133)를 비롯한 각종 구성들을 포함할 것이나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는 함체(110)의 모서리마다 각각 완강기(140)를 설치함으로써 총 4개의 완강기(140)를 구비하거나, 서로 마주보는 함체(110)의 두 면에 완강기(240)를 설치함으로써 총 2개의 완강기(240)를 구비하면 제품의 제조단가가 올라가는 단점을 보완한다.
즉, 본 고안의 제3실시예는 1개의 완강기(240)만 구비하더라도 하부 덮개(130)의 각 모서리를 모두 지지할 수 있도록, 완강기(240)를 함체(110)의 일측면에 1개 설치하고, 그 대신 완강기(240)는 2중 기어박스(도 5와 동일)를 통해 함체(110)의 양측 모서리를 향해 와이어(W)가 각각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완강기(240) 1개가 2개의 모서리를 담당하도록 한다.
또한, 양측 모서리 부분으로 각각 인출된 와이어(W)는 연결 기어박스(260)를 통해 하부 덮개(130)와 연결되어 있는데, 연결 기어박스(2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연결 로울러(261)가 구비되어 있고, 연결 로울러(261)의 일측면에 구비된 기어(261a)는 종동축(270)의 일단에 맞물려 있어서, 연결 로울러(261)가 와이어(W)에 의해 회전하면 종동축(270) 역시 회전되게 한다.
또한, 종동축(27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단이 연결 로울러(261)에 맞물려 있어서 연결 로울러(261)와 함께 회전하고, 종동축(270)의 타단은 제3풀리(271)를 구비하되 함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완강기(240)의 2중 기어박스(240) 내에 구비된 제1풀리(도 5의 241 참조)와 제2풀리(도 5의 242 참조)에 각각 감겨져 있는 와이어(W)가 양측 모서리를 향해 풀리면, 각 와이어(W)가 연결 기어박스(260)의 연결 로울러(261)에 의해 지지되면서 하강함에 따라 하부 덮개(130)의 양측 모서리를 잡아준다. 아울러, 와이어(W)가 풀림에 따라 회전하는 연결 로울러(261)에 의해 종동축(270)이 회전하면 제3풀리(271)도 함께 회전되므로, 상기 제3풀리(271)에 감겨있던 와이어(W) 역시 풀리게 되므로 이를 통해서 하부 덮개(130)의 또 다른 양측 모서리를 잡아주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는 1개의 완강기(240)만을 사용하여 하부 덮개(130)의 각 모서리를 지지한다는 점 이외에는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나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은 없으므로, 본 고안의 제3실시예 역시 안전 펜스(131), 층간소음방지용 패드(132) 및 피난 손잡이(133) 등을 포함할 것이나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함체 120: 상부 덮개
130: 하부 덮개 131: 안전 펜스
132: 층간소음방지용 패드 133: 피난 손잡이
140, 240: 완강기 150: 텔레스코픽 보호관
150, 261: 로울러 260: 2중 기어박스
270: 종동축 W: 와이어

Claims (9)

  1. 비상시 직하층으로 피난하기 위해 베란다에 설치되는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는 상부 덮개와;
    상기 함체의 개방된 하단부를 개폐하며 상기 직하층으로 피난시에는 슬립 하강식 케이지로 사용되는 하부 덮개; 및
    몸체는 상기 함체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고, 와이어는 상기 하부 덮개에 연결되며, 피난자의 하중에 의해 하강되는 완강기;를 포함하여, 피난자가 상기 하부 덮개 위에 올라타면 상기 완강기에 의해 서서히 직하층으로 하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완강기의 와이어는 상기 하부 덮개의 4개의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하부 덮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강기는 상기 함체의 4개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4개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완강기의 와이어가 상기 하부 덮개의 4개의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강기는 상기 함체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면에 각각 설치된 완강기는 2중 기어박스를 통해 상기 함체의 양측 모서리를 향해 와이어가 각각 인출되며, 상기 인출된 와이어는 상기 하부 덮개의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강기는 상기 함체의 일면에 하나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일면에 설치된 완강기는 2중 기어박스와, 연결 기어박스 및 종동축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함체의 4개의 모서리를 향해 와이어가 각각 인출되며, 상기 인출된 와이어는 상기 하부 덮개의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6. 제1항 및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함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덮개에 고정되어 있으며, 인입 또는 인출을 통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복수개의 관으로 이루어진 텔레스코픽 보호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완강기의 와이어는 각각 상기 텔레스코픽 보호관 내부를 통해 상기 하부 덮개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층간소음방지용 패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8. 제1항에 있어서,
    피난자가 올라타는 상기 하부 덮개의 상면에는 피난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의 각 측부에는 안전 펜스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KR2020110003838U 2011-05-04 2011-05-04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KR200464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38U KR200464759Y1 (ko) 2011-05-04 2011-05-04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38U KR200464759Y1 (ko) 2011-05-04 2011-05-04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787U KR20120007787U (ko) 2012-11-14
KR200464759Y1 true KR200464759Y1 (ko) 2013-01-16

Family

ID=4751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838U KR200464759Y1 (ko) 2011-05-04 2011-05-04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75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041B1 (ko) * 2016-05-20 2016-09-09 (주)한동엔지니어링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
CN109748175B (zh) * 2019-01-31 2023-10-13 南京市特种设备安全监督检验研究院 一种高层建筑火灾快速救援设备及救援方法
KR102433190B1 (ko) * 2020-03-03 2022-08-18 (주)디딤돌 가변형 지주를 구비하는 자가 구동 비상탈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7208A (ja) * 2009-01-26 2010-08-05 Naka Ind Ltd 避難装置
KR100977858B1 (ko) 2010-04-02 2010-08-24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비상탈출장치
KR200450338Y1 (ko) 2008-03-07 2010-09-24 양해완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338Y1 (ko) 2008-03-07 2010-09-24 양해완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JP2010167208A (ja) * 2009-01-26 2010-08-05 Naka Ind Ltd 避難装置
KR100977858B1 (ko) 2010-04-02 2010-08-24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비상탈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787U (ko)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5267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KR100996129B1 (ko) 절첩식 구난장치
KR102021931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065487B1 (ko) 피난용 사다리
KR200464759Y1 (ko)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KR101080808B1 (ko)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
KR101119886B1 (ko)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KR200450122Y1 (ko) 베란다용 비상탈출 장치
KR101235308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CN104667441B (zh) 楼房折叠逃生箱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101130971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JP2006510404A (ja) 建築物用避難装置
KR101111888B1 (ko) 발 받침 수단이 구비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0381379Y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200466838Y1 (ko) 긴급 대피용 구조기구
KR101070179B1 (ko) 하향식 화재피난장치
KR101153789B1 (ko) 절첩식 구난 사다리
TWM523470U (zh) 逃生載具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KR102528446B1 (ko) 연결이 용이한 아파트용 연결형 난간
KR102602687B1 (ko) 하향식 피난구
KR102481459B1 (ko) 피난용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