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308B1 -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308B1
KR101235308B1 KR1020120107453A KR20120107453A KR101235308B1 KR 101235308 B1 KR101235308 B1 KR 101235308B1 KR 1020120107453 A KR1020120107453 A KR 1020120107453A KR 20120107453 A KR20120107453 A KR 20120107453A KR 101235308 B1 KR101235308 B1 KR 101235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re
lower support
coupl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수
Original Assignee
(주)건축사사무소청남씨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축사사무소청남씨앤 filed Critical (주)건축사사무소청남씨앤
Priority to KR1020120107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는 완강기에 결합된 바스켓 형상의 탑승낭에 탑승할 수 있으므로 대피 시에 공포감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유아나 노약자도 추락할 위험 없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공동주택의 외부로 대피할 수 있으며, 탑승낭의 하면 및 측면이 화염을 차단하므로 탈출하고자 하는 층보다 저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GUARDRAIL OF BALCONY FOR EVACUAT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 화재와 같은 재난이 발생했을 경우 거주자를 신속하게 공동주택 외부로 대피시킬 수 있는 탈출장치를 구비한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대도시와 같이 인구밀도가 집약된 지역에서는 면적에 비한 건축물의 용적률을 높이기 위하여 아파트, 연립주택 등과 같은 공동주택이 주거시설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공동주택은 에너지와 용수의 공급 및 통신시설과 같은 각종 설비의 설치와 유지보수 등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화재 및 자연재해 등의 재난이 발생될 경우 집중적인 피해가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수용인원의 증대를 위해 공동주택이 고층화 됨에 따라 재난이 발생되었을 때 대피로가 차단되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된 사례가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의 대피로가 차단되었을 때 발코니를 통하여 대피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발코니에 설치된 난간대에 대피기능을 부가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10310호(2006.08.01.) “비상사다리가 장착되는 베란다 난간”의 경우 베란다에 설치된 난간이 비상시에는 사다리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유아나 노약자는 위와 같은 사다리를 이용한 이동이 불가능하거나 이동 중 추락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고층에서 대피할 경우 사다리를 이용한 이동은 공포감을 높일 수 있으며, 저층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는 화염이나 연기가 상방향을 향하므로 사다리를 이용하여 대피하는 도중 화상이나 질식에 의한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에는 재난 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외부로 대피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10310호(등록일: 2006년 08월 01일, 발명의 명칭: 비상사다리가 장착되는 베란다 난간)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재난 발생 시 유아나 노약자도 공동주택으로부터 외부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탈출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코니가 구비된 공동주택의 상기 발코니에 설치된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로서, 상기 발코니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공동주택의 벽체에 고정된 하측지지대와, 상기 하측지지대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공동주택의 벽체에 고정된 상측지지대와, 상기 상측지지대 및 상기 하측지지대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상측지지대 및 상기 하측지지대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격자살과, 일측은 상기 하측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상측지지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 완강기 및 상기 완강기의 일면에 결합된 탑승낭을 갖는 탈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완강기는, 상기 하측지지대를 향하는 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면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하측지지대의 외주면 일부가 삽입되는 지지홈이 각각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된 드럼축과, 상기 드럼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와이어드럼과, 서로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하측지지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도르래와, 상기 하우징 내의 일측에 결합된 지지브라켓과, 일단부는 상기 와이어드럼에 고정되고 중간부분은 상기 와이어드럼에 감기며 타단부는 상기 한 쌍의 도르래를 경유하여 상기 지지브라켓에 고정 결합된 와이어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 일면에 설치된 브레이크 작동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작동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브레이크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드럼으로부터 풀려 나가지 않게 고정하거나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드럼으로부터 풀려 나가도록 하는 브레이크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방된 일면에 대향하는 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측지지대가 삽입 가능한 고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측지지대가 삽입되는 부분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후크와, 상기 체결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후크에 삽입된 상기 상측지지대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수단 및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속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탑승낭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나란하게 배치된 방화패널과, 상기 하우징의 일면 중 상기 개방된 면의 양측 모서리 및 상기 방화패널의 일측 모서리를 연결하는 상측지지와이어와, 상기 하우징의 일면 중 상기 개방된 면에 대향하는 면의 양측 모서리 및 상기 방화패널의 타측 모서리를 연결하는 하측지지와이어 및 상기 상측지지와이어와 상기 하측지지와이어의 사이 부분 및 상기 하측지지와이어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모서리 사이 부분을 감싸는 가요성 방화막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방화막의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방화패널 사이에 배치된 부분에는 상기 방화패널이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근접한 상태가 되도록 절첩 가능한 복수의 주름이 형성된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탈출 시에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에 구비된 바스켓 형상의 탑승낭에 탑승할 수 있으므로 대피 시에 공포감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유아나 노약자도 추락할 위험 없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공동주택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탑승낭의 하면 및 측면이 화염을 차단하므로 탈출하고자 하는 층보다 저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도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가 공동주택에 설치된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2,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가 공동주택에 설치된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공동주택(10)에 구비된 발코니(13)에는 안전을 위한 발코니 난간대(2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20)에는 상측지지대(21), 하측지지대(22), 격자살(23) 및 탈출장치(200)가 포함될 수 있다.
하측지지대(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13)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공동주택(10)의 벽체(11)에 고정되며, 상측지지대(21)는 하측지지대(22)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공동주택(10)의 벽체(11)에 고정된다.
격자살(23)은 상측지지대(21) 및 하측지지대(22)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측지지대(21) 및 하측지지대(22)에 각각 결합된다.
격자살(23) 사이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데, 안전을 위하여 어린이의 신체나 동물 등이 통과할 수 없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측지지대(21)가 설치되는 위치도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데, 안전을 위하여 평균신장의 성인이 발코니(13)에 서 있을 때 상측지지대(21)가 허리 부분의 높이 이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각종 재난이 발생되어 공동주택(10)으로부터 외부로 대피해야 할 경우,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20)가 설치된 층에서 화재가 발생되거나 그보다 저층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발코니(13)와 실내 공간을 분리하는 발코니창(15)을 폐쇄하여 화염 및 연기가 발코니(13)로 유입되는 것을 일시적으로 차단한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20)를 이용하여 공동주택(10) 외부로 대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20)에 포함된 탈출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탈출장치(200)에는 완강기(210) 및 탑승낭(230) 등이 포함된다.
탈출장치(200)의 일측은 하측지지대(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측지지대(도 1의 21)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공동주택(10)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하여 탈출장치(200)의 타측을 상측지지대(21)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후 탈출장치(200)가 하측지지대(22)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도 2에 도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탑승낭(230)은 탈출장치(200)에 포함된 하우징(211)의 일면에 결합되는데, 여기서 하우징(211)을 일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출장치(200)가 하측지지대(22)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기 전에는 발코니(13)의 내측을 향하고, 회전된 후에는 발코니(13)의 외측을 향하는 면을 지칭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탑승낭(230)이 전개되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대피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탑승낭(230)에 형성된 탑승공간에 탑승한 후 대피를 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탈출장치(2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도 1의 20)의 탈출장치(200)에는 완강기(210) 및 탑승낭(230)이 포함된다.
완강기(210)에는 하우징(211), 드럼축(2121), 와이어드럼(2122), 한 쌍의 도르래(2123, 2124), 지지브라켓(2112), 고정부재(2123), 와이어(212), 브레이크(213), 브레이크 작동레버(2131), 고정후크(2113), 체결수단(2115), 결속벨트(214) 및 벨트고정수단(2141)이 포함될 수 있다.
하우징(211)의 일측은 하측지지대(22)에 의해 지지된다. 하우징(211)은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데, 하측지지대(22)를 향하는 면은 개방된다. 하우징(211)의 개방된 면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하측지지대(22)의 일부가 삽입되는 지지홈(도 5의 2116)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2112)은 하우징(211) 내부의 일측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드럼축(2121) 및 와이어드럼(2122)은 하우징(211) 내부에 설치된다. 드럼축(2121)은 하우징(211)에 고정 설치되고, 와이어드럼(2122)은 하우징(211) 내에 배치되어 드럼축(2121)에 결합되는데, 와이어드럼(2122)은 드럼축(212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측지지대(22)에는 한 쌍의 도르래(2123, 2124)가 서로 간격을 형성하며 결합되는데, 한 쌍의 도르래(2123, 2124)는 하측지지대(22)를 회전 중심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와이어(212)의 일단부는 와이어드럼(2122)에 고정 결합되고, 와이어(212)의 중간부분은 와이어드럼(2122)의 외주면에 다수 회 감긴다. 와이어(212)의 타단부는 한 쌍의 드르래(2123, 2124)를 경유하여 지지브라켓(2112)에 결합된다. 이때 와이어(212)의 타단부에는 고정부재(2123)가 결합되고, 고정부재(2123)는 지지브라켓(2112)에 체결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브레이크(213)는 하우징(211) 내에 설치되고, 브레이크 작동레버(2131)는 하우징(211)의 일면에 설치된다.
브레이크(213)는 와이어(212)에 인장력이 가해졌을 때 와이어(212)가 와이어드럼(2122)으로부터 풀려 나가지 않도록 고정시키거나 풀려 나가도록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장치로, 브레이크 작동레버(2131)의 조작에 따라 와이어(212)가 고정 또는 해제되도록 작동된다.
고정후크(2113)는 앞에서 설명한 하우징(211)의 개방된 일면에 대향하는 면에는 결합된다. 고정후크(2113)는 상측지지대(도 1의 21)가 삽입될 수 있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지지대(21)가 삽입되는 부분에는 체결공(2114)이 형성된다.
체결공(2114)에는 체결수단(2115)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데. 고정후크(2113)에 상측지지대(21)가 삽입되었을 때 체결수단(2115)이 체결공(2114)에 체결되면 상측지지대(21)가 체결공(2114)을 관통하여 돌출된 체결수단(2115)의 단부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후크(2113)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고정후크(2113)는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는데, 그 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결속벨트(214)의 일단부는 하우징(211)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하우징(211)의 타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1)의 타측면에는 벨트고정수단(2141)이 고정되는 고정공(2111)이 형성될 수 있는데, 벨트고정수단(2141)이 결속벨트(214)의 타단부를 관통하여 고정공(2111)에 고정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벨트(214)의 양단부가 모두 하우징(211)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탑승낭(230)에는 방화패널(231), 가요성 방화막(232), 상측지지와이어(233) 및 하측지지와이어(234)가 포함된다.
방화패널(231)은 불연성 또는 난연성을 가지면서 단열성이 높은 소재로 제조된 견고한 패널로서, 하우징(211)의 일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211)의 일면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의 장방형을 가질 수 있다.
상측지지와이어(233)는 하우징(211)의 개방된 면의 양측 모서리 및 방화패널(231)의 일측 모서리를 연결한다. 즉, 상측지지와어어(233)의 중간부분은 방화패널(231)의 모서리 중 하우징(211)의 개방된 면이 향하는 방향의 모서리에 결합되고, 양측 단부는 하우징(211)의 개방된 면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결합된다.
하측지지와이어(234)는 하우징(211)의 개방된 면에 대향하는 면의 양측 모서리 및 방화패널(231)의 타측 모서리를 연결한다. 즉, 하측지지와어어(234)의 중간부분은 상측지지와이어(233)가 결합된 부분의 반대방향 모서리에 결합되고, 양측 단부는 하우징(211)의 개방된 면의 반대방향 모서리에 각각 결합된다.
가요성 방화막(232)은 불연성 또는 난연성을 가지면서 단열성 및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제조된 차폐막으로서, 상측지지와이어(233)와 하측지지와이어(234)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 부분 및 하측지지와이어(234)와 하우징(211)의 일측 모서리 사이에 형성된 공간 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즉, 가요성 방화막(232)은 하우징(211) 및 방화패널(231) 사이의 양측면 및 저면을 커버하는 형성으로 설치되어 탑승낭(230)이 상방향만 개방된 형성을 갖도록 한다. 그러므로, 탑승낭(230)의 내부에는 상방향을 제외하고는 하우징(211) 및 가요성 방화막(232)으로 둘러싸인 바스켓 형상의 탑승공간이 형성되며, 이 탑승공간에 탑승자가 탑승을 하였을 때 상측지지와이어(233), 하측지지와이어(234) 및 방화패널(231)에 의해 탑승낭(230)의 바스켓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가요성 방화막(232)에는 복수의 주름이 형성된다. 가용성 방화막(232)은 이 주름에 의해 절첩 또는 전개될 수 있다. 즉, 가용성 방화막(232)이 주름에 의해 절첩되면 방화패널(231)이 하우징(211)의 일면에 근접한 상태가 되어 탑승공간이 최소화 될 수 있고, 가용성 방화막(232)의 주름이 펴져서 전개되면 방화패널(231) 및 하우징(211)의 일면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어 탑승공간이 형성되어 탑승자가 탑승공간에 탑승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가용성 방화막(232)이 절첩된 상태일 때 결속벨트(214)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낭(230)을 감싸는 형상을 갖도록 하면 가용성 방화막(232)이 절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대(20)의 작동을 설명한다.
평상시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대(2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사용된다. 즉, 평상시에는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대(20)가 발코니(13)를 통하여 사람이나 동물이 공동주택(10)의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행한다.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되어 공동주택(10)의 외부로 탈출해야 할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대(20)는 다음과 같이 이용될 수 있다.
고정후크(2113)에 체결된 체결수단(2115)을 제거하여 고정후크(2113) 및 상측지지대(21)의 결합상태를 해제한 후 하우징(211)을 발코니(13)의 외측 방향으로 밀면 하우징(211)이 하측지지대(22)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어 도 2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된다.
이후 벨트고정수단(2141)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결속벨트(214)의 타단부가 하우징(21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고, 방화패널(231)을 하우징(211)으로부터 이격시켜 절첩된 상태인 가요성 방화막(232)이 전개되어 탑승낭(230)에 탑승공간이 확장되어 도 3에 도시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상측지지와이어(233) 및 하측지지와이어(234)가 가요성 방화막(232)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제조하면 결속벨트(214)의 타단부가 하우징(211)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가요성 방화막(232)이 자동으로 전개되므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후 탑승자가 탑승낭(230)에 형성된 탑승공간에 탑승하면 와이어(212)에는 탑승자의 체중에 의한 인장력이 작용된다. 이때 브레이크(213)는 와이어(212)가 와이어드럼(2122)로부터 풀려나가지 않도록 와이어(212)를 고정한 상태로, 탑승자가 복수일 경우 모든 탑승자가 탑승낭(230)에 탑승할 때까지 와이어(212)는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모든 탑승자가 탑승낭(230)의 탑승공간에 탑승한 후 브레이크 작동레버(2131)를 작동시켜 와이어(212)가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면 와이어(212)가 와이어드럼(2122)로부터 풀려나가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강기(210)가 하방향으로 하강된다.
이때 완강기(210)는 와이어(212)가 와이어드럼(2122)으로부터 풀려나가는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지 않도록, 드럼축(2121)에 대하여 와이어드럼(2122)이 적절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인 완강기에 적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필요한 경우에는 하강 중에 브레이크 작동레버(2131)를 조작하여 완강기(210)의 하강속도가 감소되도록 하거나 하강이 일시 중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대(20)를 이용하여 재난 시에 공동주택(10) 외부로 신속히 탈출할 수 있고, 탑승자를 감싸는 형식의 탑승낭(230)에 탑승하는 방식이므로 유아나 노약자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1), 가요성 방화막(232) 및 방화패널(231)에 의해 탑승자가 화염이나 열기, 유독성 가스, 비산되는 파편 등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탈출 중 발생되는 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공동주택 11: 벽체
13: 발코니 15: 발코니창
20: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21: 상측지지대
22: 하측지지대 23: 격자살
200: 탈출장치 210: 완강기
211: 하우징 2111: 고정공
2112: 지지브라켓 2113: 고정후크
2114: 체결공 2115: 체결수단
212: 와이어 2121: 드럼축
2122: 와이어드럼 2123, 2124: 도르래
213: 브레이크 2131: 브레이크 작동레버
214: 결속벨트 2141: 벨트고정수단
230: 탑승낭 231: 방화패널
232: 가요성 방화막 233: 상측지지와이어
234: 하측지지와이어

Claims (1)

  1. 발코니(13)가 구비된 공동주택(10)의 상기 발코니(13)에 설치된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20)로서,
    상기 발코니(13)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공동주택(10)의 벽체(11)에 고정된 하측지지대(22);
    상기 하측지지대(22)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공동주택의 벽체에 고정된 상측지지대(21);
    상기 상측지지대(21) 및 상기 하측지지대(22)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상측지지대(21) 및 상기 하측지지대(22)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격자살(23); 및
    일측은 상기 하측지지대(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상측지지대(21)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 완강기(210) 및 상기 완강기(210)의 일면에 결합된 탑승낭(230)을 갖는 탈출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완강기(210)는,
    상기 하측지지대(22)를 향하는 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면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하측지지대(22)의 외주면 일부가 삽입되는 지지홈이 각각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211);
    상기 하우징(211) 내에 고정된 드럼축(2121);
    상기 드럼축(2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211) 내에 배치된 와이어드럼(2122);
    서로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하측지지대(2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도르래(2123, 2124);
    상기 하우징(211) 내의 일측에 결합된 지지브라켓(2112);
    일단부는 상기 와이어드럼(2122)에 고정되고 중간부분은 상기 와이어드럼(2122)에 감기며 타단부는 상기 한 쌍의 도르래(2123, 2124)를 경유하여 상기 지지브라켓(2112)에 고정 결합된 와이어(212);
    상기 하우징의 외측 일면에 설치된 브레이크 작동레버;
    상기 하우징(211)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작동레버(2131)에 연결되며, 상기 브레이크 작동레버(2131)의 조작에 따라 상기 와이어(212)가 상기 와이어드럼(2122)으로부터 풀려 나가지 않게 고정하거나 상기 와이어(212)가 상기 와이어드럼(2122)으로부터 풀려 나가도록 하는 브레이크(213);
    상기 하우징(211)의 상기 개방된 일면에 대향하는 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측지지대(21)가 삽입 가능한 고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측지지대(21)가 삽입되는 부분에는 체결공(2114)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후크(2113);
    상기 체결공(211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후크(2113)에 삽입된 상기 상측지지대(21)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수단(2115); 및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211)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211)의 타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속벨트(214)를 포함하며,
    상기 탑승낭(230)은,
    상기 하우징(211)의 일면에 나란하게 배치된 방화패널(231);
    상기 하우징(211)의 일면 중 상기 개방된 면의 양측 모서리 및 상기 방화패널(231)의 일측 모서리를 연결하는 상측지지와이어(233);
    상기 하우징(211)의 일면 중 상기 개방된 면에 대향하는 면의 양측 모서리 및 상기 방화패널(231)의 타측 모서리를 연결하는 하측지지와이어(234); 및
    상기 상측지지와이어(233)와 상기 하측지지와이어(234)의 사이 부분 및 상기 하측지지와이어(234)와 상기 하우징(211)의 일측 모서리 사이 부분을 감싸는 가요성 방화막(232)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방화막(232)의 상기 하우징(211) 및 상기 방화패널(231) 사이에 배치된 부분에는 상기 방화패널(231)이 상기 하우징(211)의 일면에 근접한 상태가 되도록 절첩 가능한 복수의 주름이 형성된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1020120107453A 2012-09-26 2012-09-26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101235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453A KR101235308B1 (ko) 2012-09-26 2012-09-26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453A KR101235308B1 (ko) 2012-09-26 2012-09-26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5308B1 true KR101235308B1 (ko) 2013-02-20

Family

ID=4789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453A KR101235308B1 (ko) 2012-09-26 2012-09-26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30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918B1 (ko) 2018-08-27 2018-12-27 (주)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난간 보강장치
KR102084145B1 (ko) * 2018-09-03 2020-03-03 (주)태백보안컨설팅 비상 탈출을 위한 자동 안전 탈출 장치
KR102120741B1 (ko) 2020-01-22 2020-06-10 주식회사 한반도건축 교체가 편리한 공동주택용 안전 난간
KR102199948B1 (ko) * 2020-02-18 2021-01-08 변석훈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신속소방방재장치
KR102199949B1 (ko) * 2020-02-14 2021-01-08 변석훈 건축물의 제연장치
KR102218584B1 (ko) * 2020-07-27 2021-02-22 (주)명인건축사사무소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356A (ko) * 2001-03-13 2001-07-25 남주희 난간용 비상탈출기
KR100845297B1 (ko) 2007-06-28 2008-07-10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발코니 난간 설치식 비상 탈출용 사다리
KR20100092175A (ko) * 2009-02-12 2010-08-20 차영흥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20110083207A (ko) * 2010-01-14 2011-07-20 마루기건 주식회사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356A (ko) * 2001-03-13 2001-07-25 남주희 난간용 비상탈출기
KR100845297B1 (ko) 2007-06-28 2008-07-10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발코니 난간 설치식 비상 탈출용 사다리
KR20100092175A (ko) * 2009-02-12 2010-08-20 차영흥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20110083207A (ko) * 2010-01-14 2011-07-20 마루기건 주식회사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918B1 (ko) 2018-08-27 2018-12-27 (주)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난간 보강장치
KR102084145B1 (ko) * 2018-09-03 2020-03-03 (주)태백보안컨설팅 비상 탈출을 위한 자동 안전 탈출 장치
KR102120741B1 (ko) 2020-01-22 2020-06-10 주식회사 한반도건축 교체가 편리한 공동주택용 안전 난간
KR102199949B1 (ko) * 2020-02-14 2021-01-08 변석훈 건축물의 제연장치
KR102199948B1 (ko) * 2020-02-18 2021-01-08 변석훈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신속소방방재장치
KR102218584B1 (ko) * 2020-07-27 2021-02-22 (주)명인건축사사무소 완강기능을 겸비한 발코니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308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101740261B1 (ko) 일체형 접이식 안전난간 및 옥외피난계단으로 활용되는 피난 대피장치
KR101706609B1 (ko)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KR101055294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0996129B1 (ko) 절첩식 구난장치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CN101249300A (zh) 用于高层建筑的升降机逃生救生系统
KR102021931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412211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20090009138U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20100092175A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101805060B1 (ko)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KR20110103181A (ko)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191757B1 (ko) 초고층 건축물 초고층 아파트 화재 무동력 다수인 피난설비(무동력 접이식 수납형 피난데크)
KR101141297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CN209154929U (zh) 一种庇佑仓以及壁掛式滑道火灾逃生装置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101922174B1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101648354B1 (ko) 완강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접이식 난간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200464759Y1 (ko)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CN108939345A (zh) 庇佑仓以及壁掛式滑道火灾逃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