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138U -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138U
KR20090009138U KR2020080003071U KR20080003071U KR20090009138U KR 20090009138 U KR20090009138 U KR 20090009138U KR 2020080003071 U KR2020080003071 U KR 2020080003071U KR 20080003071 U KR20080003071 U KR 20080003071U KR 20090009138 U KR20090009138 U KR 200900091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drum
shelter
rope
fixed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0338Y1 (ko
Inventor
양해완
Original Assignee
양해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해완 filed Critical 양해완
Priority to KR2020080003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33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1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1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3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62B1/04Single parts, e.g. faste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거용 및 비주거용 고층건물에서 화재 발생 시 다수의 인원이 안전하게 아래층으로 동시에 대피할 수 있는 비상탈출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대피공간(2c)이 형성되게 바닥판(2a) 사방으로 측벽(2b)을 형성한 대피함(2)과; 대피함(2)을 하강시키는 완강수단(10)으로 구성되며; 상기 대피함(2)은 세워진 상태에서 창문프레임 또는 슬래브에 결합된 브래킷(21)과 분리 가능한 핀(3)으로 결합되고; 상기 완강수단(10)은 상부층의 슬래브에 고정 설치되는 도르래(11)와, 대피함(2)의 바닥(2a)에 세워진 지지대(1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드럼(13)과, 상기 권취드럼(13)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며 타단은 도르래(11)를 경유하여 대피함(2)의 사방에 고정된 지지줄(15)과 연결되는 로프(14)와, 상기 권취드럼(1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지지대(12)에 설치되며 권취드럼(13)에 권취되어 있는 로프(14)를 서서히 풀려지게 하는 속도조절기(16)로 구성되며; 상기 속도조절기(16)는 로프(14)가 통과하는 가이드관(16a) 측방에 로프(14)의 일부가 노출되게 구멍(16b)을 형성하고, 이 구멍(16b)으로는 가이드관(16a)에 고정된 브래킷(16c)에 축 결합되며 핸들(16d)로 회동 조작되는 가압용 캠(16e)을 설치한 것으로서, 실내에서 화재 발생 시 여러 사람이 함께 탑승한 상태에서 아래층 혹은 지상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바,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대피공간, 완강수단, 권취드럼, 속도조절기

Description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Emergency escape device for high-storied building}
본 고안은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거용 및 비주거용 고층건물에서 화재 발생 시 다수의 인원이 안전하게 아래층으로 동시에 대피할 수 있는 비상탈출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산업발전에 따라 생활이 도시 주변에 밀집되면서 주거용 및 비주거용 고층건물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고층건물들은 건축법 및 소방법상 화재 등의 비상시를 대비한 각종 시설들을 갖추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화재 진화시설, 비상계단 등과 같은 시설들이다.
그러나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 시설물들은 복도 등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아래층에서 화염이 진행하는 화재 발생 시 혹은 출입문 쪽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연기나 화염에 의해 퇴로가 차단되므로 이들 시설물 사용이 어 려웠다.
또한 화재가 진행됨에 따라 대부분의 대피자들은 외부와 접근성이 양호한 베란다 쪽으로 피난하게 되고, 다급한 경우 창문에서 뛰어 내려 추락사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근자에는 화재 발생시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완강기를 설치하고 있으나, 완강기는 한 번에 한명씩 사용해야 하므로 신속한 대피가 어려웠다.
이에 본 고안자는 화재 발생으로 인해 베란다 등으로 대피한 경우 다수의 인원이 함께 아래층 혹은 지상으로 안전하게 대피하여 인명피해가 없도록 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베란다의 난간 바깥쪽에 완강수단으로 하강하는 대피함을 설치한 것으로, 화재 발생으로 피난코자 할 시에 대피함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핀을 분리하고 다수의 인원이 함께 탑승한 상태에서 아래층 혹은 지상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하였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를 고층건물의 창문 바깥쪽 등에 설치할 경우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때에 여러 사람이 함께 탑승한 상태에서 아래층 혹은 지상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바,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는 대피공간이 형성되게 바닥 판 사방으로 측벽을 형성한 대피함과; 대피함을 하강시키는 완강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대피함은 세워진 상태에서 창문프레임 또는 슬래브에 결합된 브래킷과 분리 가능한 핀으로 결합되고; 상기 완강수단은 상부층의 슬래브에 고정 설치되는 도르래와, 대피함의 바닥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며 타단은 상기 도르래를 경유한 상태로 대피함의 사방에 고정된 지지줄과 연결되는 로프와, 상기 권취드럼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대피함의 바닥에 설치되며 권취드럼에 권취되어 있는 로프를 서서히 풀려지게 하는 속도조절기로 구성되며;
상기 속도조절기는 로프가 통과하는 가이드관 측방에 로프의 일부가 노출되게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으로는 가이드관에 고정된 브래킷에 축 결합되며 핸들에 의해 조작되는 가압용 캠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피함의 측벽에는 상부로 당길 때 인출되어 고정되는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대피함이 세워진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대피함이 눕혀진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공간(2c)이 형성되게 바닥판(2a) 사방으로 측벽(2b)을 형성한 사각통 형상으로 대 피함(2)을 형성하고, 이 대피함(2)을 완강수단(10)에 의해 하강되게 한 것이다.
상기 대피함(2)의 측벽(2b)에는 핀 결합공(2d)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공간(2c)이 창문(20)을 향하도록 세운 상태로 창문프레임 또는 슬래브에 결합된 브래킷(21)에 형성된 구멍과 핀 결합공(2d)을 일치되게 한 상태에서 분리 가능한 핀(3)으로 결합하여 대피함(2)을 세워진 상태로 고정한다.
대피함(2)의 측벽(2b)은 대피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대략 50cm 정도가 적합하다.
상기 측벽(2b)에는 상부로 당길 때 인출되어 고정되는 손잡이(4)를 설치한다. 상기 손잡이(4)의 경우 대피공간(2c)에 대피자가 대피한 상태에서 측벽(2b)에서 인출할 경우 대피자를 심리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손잡이(4)의 결합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2b)에 손잡이(4)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5)을 형성하고, 손잡이(4)의 하단과 측벽(2b)의 상단에는 각각 걸림구멍(4a)과 스프링(6)으로 탄성 지지되는 강구(7)를 배치하여 상호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대피함(2)을 하강시키는 상기 완강수단(10)은 상부층의 슬래브에 고정 설치되는 도르래(11)와, 대피함(2)의 바닥(2a)에 세워진 지지대(1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드럼(13)과, 상기 권취드럼(13)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며 타단은 도르래(11)를 경유하여 대피함(2)의 사방에 고정된 지지줄(15)과 연결되는 로프(14)와, 상기 권취드럼(1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지지대(12)에 설치되며 권취드럼(13)에 권취되어 있는 로프(14)를 서서히 풀려지게 하는 속도조절기(1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속도조절기(16)는 다양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14)가 통과하는 가이드관(16a) 측방에 로프(14)의 일부가 노출되게 구멍(16b)을 형성하고, 이 구멍(16b)으로는 가이드관(16a)에 고정된 브래킷(16c)에 나사 결합되며 핸들(16d)로 회동 조작되는 가압용 캠(16e)을 설치한 구성이다.
상기 속도조절기(16)는 시계방향으로 핸들(16d)을 회전할 때 로프(14)와의 마찰력이 감소하고, 핸들(16d)을 회동하지 않을 때에는 로프(14)와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하강속도가 느려지거나 혹은 정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피함(2)의 내부 측벽(2b)에는 안전모(22), 마스크(23), 소화기(24), 랜턴(25), 구조깃발(26)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로프(14)의 경우 불연성 재질이고 성인 4명이 대피함(2)에 탑승한 상태에서 지탱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하여 구성하며, 안전성을 고려하여 2줄의 로프(14)를 사용토록 한다.
본 고안을 베란다의 난간 바깥쪽에 설치할 경우 난간의 일부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여 대피하므로, 쉽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권취드럼(13)이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12)의 상단에는 경광등(1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특히 야간 화재시 대피함(2)의 위치를 외부에 정확히 알려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지지대(12)에는 권취드럼(13)에 로프(14)를 권취할 때 사용하는 회전손잡이(13a)를 설치하여 재사용을 위해 로프(14)를 권취드럼(13) 에 권취할 수 있게 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1)를 설치한 상태에서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태에서 본 고안을 이용하여 탈출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을 이용하여 탈출코자 할 시에는 대피함(2)이 세워져 있는 쪽의 창문(20)을 열고, 창문프레임 또는 슬래브에 결합된 브래킷(21)상의 구멍과 핀 결합공(2d)에 결합되어 있는 핀(3)을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핀(3)이 분리되면 완강수단(10)과 결합되어 있는 대피함(2)의 개방된 쪽이 상측으로 노출되게 도 3과 같이 회동된다. 이때 완강수단(10)의 속도조절기(16)는 잠김 상태를 유지하도록 초기 설정되어 있으므로 대피함(2)이 임의로 하강하는 등의 염려가 없다.
상기와 같이 대피함(2)이 회동되면 대피자들이 차례로 대피함(2)에 옮겨 탄 상태에서 속도조절기(16)의 핸들(16d)을 시계 방향으로 돌린다. 상기와 같이 핸들(16d)을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로프(14)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는 가압용 캠(16e)과 로프(14)의 마찰력이 저하되므로 권취드럼(13)에 귄취되어 있는 로프(14)가 풀리면서 대피함(2)이 서서히 하강하므로 안전한 대피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경우 대피함에 안전모(22), 마스크(23), 소화기(24), 랜턴(25), 구조깃발(26) 등이 구비되어 있는 바, 소화기(24)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고, 대피함에 탑승한 상태에서 안전모(22) 및 마스크(23)를 착용함으로 해서 추락에 대한 대비 및 화재 현장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으며, 랜턴(25), 구조깃발(26) 등을 이용하여 대피함에 탑승한 상황을 외부에 적극적으로 알려 신속한 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순한 설계변경이나 관용수단의 치환 등의 경우에도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대피함이 세워진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대피함이 눕혀진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측벽에 손잡이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된 완강수간의 구성을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된 속도조절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2:대피공간
4:손잡이 10:완강수단
11:도르래 13:권취드럼
14:로프 16:속도조절기
16e:가압용 캠

Claims (2)

  1. 대피공간(2c)이 형성되게 바닥판(2a) 사방으로 측벽(2b)을 형성한 대피함(2)과; 대피함(2)을 하강시키는 완강수단(10)으로 구성되며;
    상기 대피함(2)은 세워진 상태에서 창문프레임 또는 슬래브에 결합된 브래킷(21)과 분리 가능한 핀(3)으로 결합되고;
    상기 완강수단(10)은 상부층의 슬래브에 고정 설치되는 도르래(11)와, 대피함(2)의 바닥(2a)에 세워진 지지대(1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드럼(13)과, 상기 권취드럼(13)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권취되며 타단은 도르래(11)를 경유하여 대피함(2)의 사방에 고정된 지지줄(15)과 연결되는 로프(14)와, 상기 권취드럼(1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지지대(12)에 설치되며 권취드럼(13)에 권취되어 있는 로프(14)를 서서히 풀려지게 하는 속도조절기(16)로 구성되며;
    상기 속도조절기(16)는 로프(14)가 통과하는 가이드관(16a) 측방에 로프(14)의 일부가 노출되게 구멍(16b)을 형성하고, 이 구멍(16b)으로는 가이드관(16a)에 고정된 브래킷(16c)에 축 결합되며 핸들(16d)로 회동 조작되는 가압용 캠(16e)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함(2)의 측벽(2b)에는 상부로 당길 때 인출되어 고정되는 손잡이(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2020080003071U 2008-03-07 2008-03-07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200450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071U KR200450338Y1 (ko) 2008-03-07 2008-03-07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071U KR200450338Y1 (ko) 2008-03-07 2008-03-07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138U true KR20090009138U (ko) 2009-09-10
KR200450338Y1 KR200450338Y1 (ko) 2010-09-24

Family

ID=4129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071U KR200450338Y1 (ko) 2008-03-07 2008-03-07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338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07443A (zh) * 2011-09-24 2013-04-03 徐纯中 一种吊箱式逃生装置
CN104922806A (zh) * 2014-05-26 2015-09-23 吴超然 一种具有灭火救援功能的建筑
CN105477794A (zh) * 2014-05-26 2016-04-13 吴超然 一种具有灭火救援功能的建筑
KR101659943B1 (ko) * 2016-05-30 2016-09-26 현대공영(주)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의 소방용 발코니 장치
KR102053083B1 (ko) * 2019-05-10 2019-12-06 김평욱 비상탈출장치
KR102386887B1 (ko) * 2021-05-24 2022-04-14 안윤희 소방용 캐리어
CN114412341A (zh) * 2022-01-25 2022-04-29 江苏轻舟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新风消毒杀菌多功能智能门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51526A (zh) * 2010-10-29 2012-05-16 湖南工业职业技术学院 逃生救援窗
KR200464759Y1 (ko) 2011-05-04 2013-01-16 (주)반초기업 슬립형 하향식 피난구
KR101849937B1 (ko) * 2017-05-26 2018-04-18 주식회사 코닥트 로프형 승강장치의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43952C2 (de) * 1982-11-27 1984-11-29 Walter 8112 Bad Kohlgrub Brda Abseilgerät
KR850002860Y1 (ko) * 1984-03-22 1985-12-04 유원무 안전 탈출장치
JPH03109421U (ko) * 1990-02-27 1991-11-11
US20070193823A1 (en) * 2006-01-30 2007-08-23 Chun-N Tseng Emergency exit window with anti-stealage functio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07443A (zh) * 2011-09-24 2013-04-03 徐纯中 一种吊箱式逃生装置
CN104922806A (zh) * 2014-05-26 2015-09-23 吴超然 一种具有灭火救援功能的建筑
CN105477794A (zh) * 2014-05-26 2016-04-13 吴超然 一种具有灭火救援功能的建筑
CN104922806B (zh) * 2014-05-26 2021-06-22 吴超然 一种具有灭火救援功能的建筑
CN105477794B (zh) * 2014-05-26 2021-06-22 吴超然 一种具有灭火救援功能的建筑
KR101659943B1 (ko) * 2016-05-30 2016-09-26 현대공영(주)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의 소방용 발코니 장치
KR102053083B1 (ko) * 2019-05-10 2019-12-06 김평욱 비상탈출장치
KR102386887B1 (ko) * 2021-05-24 2022-04-14 안윤희 소방용 캐리어
CN114412341A (zh) * 2022-01-25 2022-04-29 江苏轻舟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新风消毒杀菌多功能智能门窗
CN114412341B (zh) * 2022-01-25 2023-09-01 江苏轻舟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新风消毒杀菌多功能智能门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338Y1 (ko) 201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338Y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0701790B1 (ko) 고층건물의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장치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US20100163339A1 (en) Fire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KR100841211B1 (ko) 건물용 화재피난장치
KR101119886B1 (ko)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CN103691072B (zh) 高层建筑用救援系统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US5497855A (en) Exterior fire fighting and evacuation system for high rise buildings
RU2329838C2 (ru) Подвесн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эвакуации из многоэтажных зданий
KR20160143606A (ko) 응급탈출용 비상사다리
WO2022228202A1 (zh) 一种往复式高楼逃生缓降装置
KR20050012603A (ko) 난간 대피장치
KR102301628B1 (ko)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 및 그 소화장치가 설치된 복합건물 호실의 베란다
US20040245047A1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from edifices such as buildings, drilling platforms, ships or the like
RU273794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енной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KR102004974B1 (ko) 재난경보시스템을 구비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20070015237A (ko) 고층건물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KR102109587B1 (ko) 접이식 피난 기구
KR20110083820A (ko) 화재 대피용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RU88274U1 (ru) Пожарно-спас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JP2004197456A (ja) 非常用梯子装置
RU2651656C1 (ru) Устройство экстренной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RU2491401C1 (ru) Лестница для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с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KR200341256Y1 (ko) 베란다 난간용 화분거치대 겸용 비상 피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