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628B1 -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 및 그 소화장치가 설치된 복합건물 호실의 베란다 - Google Patents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 및 그 소화장치가 설치된 복합건물 호실의 베란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628B1
KR102301628B1 KR1020210071349A KR20210071349A KR102301628B1 KR 102301628 B1 KR102301628 B1 KR 102301628B1 KR 1020210071349 A KR1020210071349 A KR 1020210071349A KR 20210071349 A KR20210071349 A KR 20210071349A KR 102301628 B1 KR102301628 B1 KR 102301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room
building
fixed
safety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1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6Life-saving rope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3Hollow or hose-lik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와 주상복합아파트 및 오피스텔을 포함하는 복합건물의 어느 한 호실에서 화재발생 시 소방차의 진입 이전에 일반시민 또는 소방관이 현장에 출동하여 초기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 및 그 소화장치가 설치된 복합건물 호실의 베란다에 관한 것으로,
물을 일정거리 이상 분사시킬 수 있도록 소화호스(10)가 구비되며, 그 소화호스(10)는 건물 내부의 직수관(30)과 연결되고, 상기 소화호스(10)의 끝단에는 직각으로 절곡 되어 건물의 내부로 물을 용이하게 분사시킬 수 있는 관창(20)이 연결고정되는 한편, 상기 직수관(3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로프(40)가 설치 고정되되, 상기 안전로프(40)와 소화호스(10) 간에는 사다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지 로프(5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전체에 걸쳐 연결 고정된다.

Description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 및 그 소화장치가 설치된 복합건물 호실의 베란다{In the event of a fire in a room in a complex building,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extinguishing a fire in an adjacent room and a veranda of a room in a complex building equipped with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본 발명은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 및 그 소화장치가 설치된 복합건물 호실의 베란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아파트와 주상복합아파트 및 오피스텔을 포함하는 복합건물의 어느 한 호실에서 화재발생 시 소방차의 진입 이전에 일반시민 또는 소방관이 현장에 출동하여 초기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 및 그 소화장치가 설치된 복합건물 호실의 베란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주상복합아파트 및 오피스텔을 포함하는 복합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고층의 높이까지 올라갈 수 있는 사다리차를 동원하여야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그러나 사다리차로도 화재 진압이 곤란한 복합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초기 진압의 실패로 인해 주변으로 화재가 확산 되어 많은 재산과 인명피해를 야기시키게 되는 것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597058호(발명의 명칭 : 슬라이드식 화염확산 방지 방화 판) 및 등록특허 제10-0676475호(발명의 명칭 : 공동주택의 베란다에 설치되는 화재확산 방지장치)가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10-0597058호는 공동주택, 오피스텔 등의 다층으로 시공되는 건축 구조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상부 층으로 화염이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슬라이드 식 화염확산 방지 방화 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층 발코니 외벽에 슬라이딩 작동되는 방화 판을 설치하고 하부 층의 열감지 센서가 일정온도 이상의 열을 감지하면 모터에 작동신호 시그널을 송신하여 모터 구동에 의해 슬라이드 방화 판을 잡고 있던 가변 행거를 해제시켜 슬라이드 방화 판이 하강하여 하부 층의 발코니 상단을 차폐시켜 화염이 상부 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게 한 것이나, 이는 상부 층으로 확산 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지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것과는 상당한 차이기 있다.
그리고 등록특허 제10-0676475호는 베란다 외벽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된 차단대와 그 하부에 설치된 물 분사관을 구비하여 화염이 상부로 확산 되는 것을 차단시킬 뿐만 아니라, 하부로 물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동 주택 내에서 화재가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확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을 분사하여 화염이 상부로 확산 되는 것을 차단한다는 점에서 등록특허 제10-0597058호와 차이점이 있으나, 물의 분사가 지면방향으로만 한정되어 있어 아래 층에 화재 발생 시 내부로의 물분사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재산 및 인명 손실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베란다에도 획기적인 소방장치(설비)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화재 발생시 비상탈출을 시도하거나 또는 인접된 호실에서 발생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방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1. 등록특허 제10-0597058호(발명의 명칭 : 슬라이드식 화염확산 방지 방화 판) 2. 등록특허 제10-0676475호(발명의 명칭 : 공동주택의 베란다에 설치되는 화재확산 방지장치)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인식과 그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아파트와 주상복합아파트 및 오피스텔을 포함하는 복합건물의 어느 한 호실에서 화재발생 시 소방차의 진입 이전에 일반시민 또는 소방관이 현장에 출동하여 초기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저층에서는 곧바로 안전하게 탈출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산과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 및 그 소화장치가 설치된 복합건물 호실의 베란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S)는 물을 일정거리 이상 분사시킬 수 있도록 소화호스(10)가 구비되며, 그 소화호스(10)는 건물 내부의 직수관(30)과 연결되고, 상기 소화호스(10)의 끝단에는 직각으로 절곡 되어 건물의 내부로 물을 용이하게 분사시킬 수 있는 관창(20)이 연결고정되는 한편, 상기 직수관(3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로프(40)가 설치 고정되되, 상기 안전로프(40)와 소화호스(10) 간에는 사다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지 로프(5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전체에 걸쳐 연결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호스(10)와 안전로프(40)는 과 풀림 방지 기능이 탑재된 권취용 릴(60)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화재 진화작업의 편익을 위해 권취용 릴(60)의 일측에는 승강용 완강기(70)가 설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 발명의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는 고층 복합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황에서 고층용 사다리차의 진입이 곤란하거나 현장 투입이 지연될 때 일반시민 또는 소방관이 직접 인근 호실의 소화장치를 이용하여 화재가 난 호실의 화재를 진압내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재산과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권취 해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소화장치가 설치된 베란다의 내부를 도시한 설치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S)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S)는 도 1 내지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부착 또는 매립고정되는 보관함(80)과, 상기 보관함(80)에 설치되는 소화호스(10) 및 안전로프(40) 그리고 사용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로프의 기능을 추가로 보강해주는 완강기(7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관함(80)의 내측에는 소화호스(10)와 연결되는 직수관(3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직수관은 연결할 수도 있고 최초 베란다 시공시 직수관(30)이 매설된 위치에 보관함(8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소화호스(10)와 안전로프(40)는 권취 릴(60)에 권취 된 상태로 비치되는바, 상기 권취용 릴(60)은 직수관(30)과 소화호스(10)를 연결하는 T형 관(31)을 회전 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과 풀림 방지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 사용자의 안전한 하강이 용이하다.
상기 사용자라 함은 달비계를 이용한 고층 건물의 각종 작업을 해본 경험자 또는 소방관이 될 수 있는바, 적어도 고층용 사다리차에 비해 현장에 미리 투입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다.
상기 소화호스(10)는 약 10M 내외의 길이로 권취 되며, 끝단에는 직각으로 절곡 되어 건물의 내부로 물을 용이하게 분사시킬 수 있는 관창(20)이 연결 고정된다.
상기 관창(20)의 끝단을 직각의 각도로 절곡 형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현장에 없는 상황에서도 분사방향을 건물의 내측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어 조금이나마 신속함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직수관(30)의 일측으로 사용자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안전로프(40) 및 소화호스(10) 간에는 사다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지 로프(5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전체에 걸쳐 연결 고정된다.
상기 지지 로프(50)를 타고 사용자가 승강을 할 수 있으며, 승강하는 과정에서 완강기를 몸통에 연결 고정 시켜 사용할 수도 있고, 안전로프의 하단에 연결 고정된 묶음 고리(41) 및 카라비너(42)를 활용하여 안전하게 묶음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 발명의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S)는 20층 이상의 고층 복합건물의 어느 한 호실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고층용 사다리차 및 소방차의 현장 출동이 지연되거나 혹은 진입이 곤란한 상황일 때 달비계를 이용한 유경험 작업자 또는 소방관이 현장에 출동하여 인접된 호실의 베란다를 통해 하강하여 화재를 진압하거나 지연시킴으로써 재산과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 소화장치
10: 소화 호스 20: 관창
30: 직수관 31: T형 관
40: 안전 로프 41: 묶음 고리
42: 카라비너 50: 지지 로프
60: 권취용 릴 70: 완강기
80: 보관함

Claims (4)

  1. 물을 일정거리 이상 분사시킬 수 있도록 소화호스(10)가 구비되며, 그 소화호스(10)는 건물 내부의 직수관(30)과 연결되고, 상기 소화호스(10)의 끝단에는 직각으로 절곡 되어 건물의 내부로 물을 용이하게 분사시킬 수 있는 관창(20)이 연결고정되는 한편,
    상기 직수관(3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로프(40)가 설치 고정되되, 상기 안전로프(40)와 소화호스(10) 간에는 사다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지 로프(5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전체에 걸쳐 연결 고정되며, 상기 소화호스(10)와 안전로프(40)는 과 풀림 방지 기능이 탑재된 권취용 릴(60)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물을 일정거리 이상 분사시킬 수 있도록 소화호스(10)가 구비되며, 그 소화호스(10)는 건물 내부의 직수관(30)과 연결되고, 상기 소화호스(10)의 끝단에는 직각으로 절곡 되어 건물의 내부로 물을 용이하게 분사시킬 수 있는 관창(20)이 연결고정되는 한편,
    상기 직수관(3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로프(40)가 설치 고정되되, 상기 안전로프(40)와 소화호스(10) 간에는 사다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지 로프(5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전체에 걸쳐 연결 고정되며, 상기 소화호스(10)와 안전로프(40)는 과 풀림 방지 기능이 탑재된 권취용 릴(60)에 권취되도록 구성된 소화장치(S)가 설치된 복합건물 호실의 베란다.
KR1020210071349A 2021-06-02 2021-06-02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 및 그 소화장치가 설치된 복합건물 호실의 베란다 KR102301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349A KR102301628B1 (ko) 2021-06-02 2021-06-02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 및 그 소화장치가 설치된 복합건물 호실의 베란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349A KR102301628B1 (ko) 2021-06-02 2021-06-02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 및 그 소화장치가 설치된 복합건물 호실의 베란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628B1 true KR102301628B1 (ko) 2021-09-14

Family

ID=7777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349A KR102301628B1 (ko) 2021-06-02 2021-06-02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 및 그 소화장치가 설치된 복합건물 호실의 베란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6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444B1 (ko) * 2022-10-04 2023-07-03 주식회사 반석기술단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527Y1 (ko) * 2004-04-12 2004-09-20 반재훈 아파트가정용 소화전.
KR100597058B1 (ko) 2005-12-30 2006-07-04 유재원 슬라이드식 화염확산 방지 방화판
JP2007000438A (ja) * 2005-06-24 2007-01-11 Yokoi Seisakusho:Kk 定流量回転エルボ
KR100676475B1 (ko) 2006-11-21 2007-01-30 (주)한원포럼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베란다에 설치되는 화재확산 방지장치
CN201535134U (zh) * 2008-12-22 2010-07-28 薛国军 灭火救生软梯
JP2021072945A (ja) * 2021-01-31 2021-05-13 小室 雅彦 室内消火栓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527Y1 (ko) * 2004-04-12 2004-09-20 반재훈 아파트가정용 소화전.
JP2007000438A (ja) * 2005-06-24 2007-01-11 Yokoi Seisakusho:Kk 定流量回転エルボ
KR100597058B1 (ko) 2005-12-30 2006-07-04 유재원 슬라이드식 화염확산 방지 방화판
KR100676475B1 (ko) 2006-11-21 2007-01-30 (주)한원포럼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베란다에 설치되는 화재확산 방지장치
CN201535134U (zh) * 2008-12-22 2010-07-28 薛国军 灭火救生软梯
JP2021072945A (ja) * 2021-01-31 2021-05-13 小室 雅彦 室内消火栓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444B1 (ko) * 2022-10-04 2023-07-03 주식회사 반석기술단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0224A (en) Rescue system on high rise buildings for evacuating persons in the case of fire
KR200450338Y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CN102886107A (zh) 一种高层建筑物消防救生装置
US20200254287A1 (en) Escape system
US5377778A (en) Emergency fire escape for multi-storied building
KR101607133B1 (ko) 공동주택용 비상대피 난간
KR102301628B1 (ko)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 및 그 소화장치가 설치된 복합건물 호실의 베란다
CN202236923U (zh) 一种高层建筑物消防救生装置
KR20070004492A (ko) 고층건물의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장치
KR101119886B1 (ko)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JP2010280251A (ja) ヘリコプターに取り付けられる消火救難ユニット
KR20070024457A (ko) 고층 소방, 구조 및 건설 장비
CN105983189A (zh) 移动式火灾紧急避难舱及其工作方法
KR101647013B1 (ko)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
CN102179016A (zh) 超高层火灾救援系统
CN203947838U (zh) 移动式火灾紧急避难舱
WO2015180628A1 (zh) 一种具有灭火救援系统的建筑
CN212593638U (zh) 公寓火灾安全系统
KR102105877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소방용 베란다 완강기
CN203001712U (zh) 一种楼房的逃生系统
CN102847239A (zh) 网状管道式应急逃生通道装置
US20200386051A1 (en) Escape system comprising extendible ladder
CN204737525U (zh) 一种智能安全特种电梯
Moushtakim et al. Fire fighting of a tall bulding: a review
JP3311087B2 (ja) 昇降式非常用通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