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013B1 -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013B1
KR101647013B1 KR1020150159744A KR20150159744A KR101647013B1 KR 101647013 B1 KR101647013 B1 KR 101647013B1 KR 1020150159744 A KR1020150159744 A KR 1020150159744A KR 20150159744 A KR20150159744 A KR 20150159744A KR 101647013 B1 KR101647013 B1 KR 101647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ar
wall
veranda
railing
ris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혜원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혜원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혜원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159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간을 하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재난시에 난간을 사다리로 활용하여 아래층으로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베란다 창(窓) 공간을 구성하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창 공간을 가로 질러 설치되며, 복수의 세로바와 가로바로 구성되어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난간의 일측은 벽체에 대하여 수평하게 회동되도록 축 결합되고, 상기 난간의 타측은 벽체에 잠금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가로바는, 난간의 하부를 구성하며, 일단부는 벽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된 제1가로바와, 제1가로바의 상부에 수평하게 위치된 제2가로바로 구성되고, 상기 세로바는 제1가로바와 제2가로바 사이에 등간격으로 연결되며, 상기 잠금수단은, 제1가로바의 타단부 및 제2가로바의 양단부에 각각 대응된 벽체에 고정되며, 벽체 외측을 향해 상향 절곡된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부;상기 제1가로바의 타단부 및 제2가로바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고정부의 고정돌기를 향해 회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돌기에 걸려 결합되는 링 형태의 걸림부가 형성된 구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로바 하방의 벽체에는 외부로 돌출된 지지돌기가 더 형성되고, 제2가로바의 일단부 배면에는, 축을 중심으로 제2가로바 회동시 상기 지지돌기에 걸려 지지되는 스토퍼가 더 설치되며, 상기 지지돌기의 단면 형태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지돌기의 곡률에 대응되는 홈을 갖는 후크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A veranda railing installation structure of a high rise building}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란다 난간을 하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사다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고층 건물에는 베란다와 다용도실과 같은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게 되는데, 베란다에는 추락사고 방지를 위한 난간이 마련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아파트 및 고층 건물에 설치된 베란다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베란다의 전면에는 다수의 파이프로 구성된 난간(1)이 소정 높이로 하여 베란다의 벽체(5)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난간(1)의 뒤쪽으로는 유리문(6)이 창틀샤시(4)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베란다가 설치된 건물에 있어서, 가스누설이나 누전 또는 방화나 실화등의 원인에 의하여 불의의 화재가 발생할 경우, 초기에 화재 발생을 인지할 경우에는 현관문을 통하여 피난할 수 있지만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연기나 유독가스가 실내에 가득차게 되므로 사람들은 질식을 피하기 위하여 신선한 외부공기와 접할 수 있는 베란다쪽으로 피신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베란다쪽에 피신한 사람들 역시,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으로부터 피하기 위한 것이지 근본적인 피난을 위한 것은 아니다.
물론, 외부의 구조요원들이 사다리차를 이용해 베란다에 피신해 있는 사람들을 구조할 수도 있으나, 구조요원들의 도착 시간이 지연되거나 구조 준비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베란다에 피신해 있더라도 재난을 당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즉, 화재를 포함한 재난 발생시에는 구조 또는 피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게 매우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아파트 화재시에 화재가 발생한 층의 베란다로부터 아래층의 베란다쪽으로 긴급하게 피난할 수 있게 해주는 피난장치가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538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985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베란다 난간을 사다리로 활용하여 재난이 발생한 층으로부터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한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베란다 창(窓) 공간을 구성하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창 공간을 가로 질러 설치되며, 복수의 세로바와 가로바로 구성되어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난간의 일측은 벽체에 대하여 수평하게 회동되도록 축 결합되고, 상기 난간의 타측은 벽체에 잠금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가로바는, 난간의 하부를 구성하며, 일단부는 벽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된 제1가로바와, 제1가로바의 상부에 수평하게 위치된 제2가로바로 구성되고, 상기 세로바는 제1가로바와 제2가로바 사이에 등간격으로 연결되며, 상기 잠금수단은, 제1가로바의 타단부 및 제2가로바의 양단부에 각각 대응된 벽체에 고정되며, 벽체 외측을 향해 상향 절곡된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부;상기 제1가로바의 타단부 및 제2가로바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고정부의 고정돌기를 향해 회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돌기에 걸려 결합되는 링 형태의 걸림부가 형성된 구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로바 하방의 벽체에는 외부로 돌출된 지지돌기가 더 형성되고, 제2가로바의 일단부 배면에는, 축을 중심으로 제2가로바 회동시 상기 지지돌기에 걸려 지지되는 스토퍼가 더 설치되며, 상기 지지돌기의 단면 형태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지돌기의 곡률에 대응되는 홈을 갖는 후크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때, 고층 건물의 각 층마다 스피커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돌기와 스토퍼에는 센서 또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스토퍼가 지지돌기에 밀착시, 센서 감지 또는 스위치 동작에 의해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고층 건물의 특정층 재난시, 베란다 난간을 하방으로 회전하여 사다리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재난이 발생한 층으로부터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재난시에도 인명사고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재난시에 베란다 난간이 회전하여 사다리로 사용될 경우, 이를 재난 발생으로 인식하여 각 층마다 마련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다른 층 입주자들도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특히, 이러한 작용은 베란다 난간이 재난용도 이외의 범죄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고층 건물의 일반적인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에서 난간이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이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는 베란다 난간을 하방으로 회동하여 사다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재난시에 밑에 층으로 신속히 대피할 수 있으므로, 인명사고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로바(100)와, 제2가로바(200)와, 세로바(300)와, 잠금수단(400)과, 지지돌기(500)와, 스토퍼(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가로바(100)는 베란다 난간의 하부를 구성하며, 베란다 창(S)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된다.
이때, 제1가로바(100)의 일단부는 벽체(W)에 축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가로바(100)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2가로바(200)는 베란다 난간의 상부를 구성하며, 제1가로바(100)의 상방에 설치된다.
제2가로바(200)는 제1가로바(100)와 동일한 길이이며, 제1가로바(100)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즉, 제1가로바(100)와 제2가로바(200)는 베란다 난간의 가로를 구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세로바(300)는 제1가로바(100)와 제2가로바(200) 사이에 연결되며, 제1가로바(100)와 제2가로바(2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마련된다.
세로바(300)는 제1가로바(100)와 제2가로바(200) 사이를 연결하며,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세로바(300)는 재난 발생시, 사다리 디딤대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잠금수단(400)은 베란다 난간을 벽체(W)에 고정시키거나 벽체(W)로부터 베란다 난간의 구속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잠금수단(400)은 베란다 난간이 축 결합된 부위를 제외한 곳에 설치된다.
즉, 잠금수단(400)은 제1가로바(100)의 타단부측과, 제2가로바(200)의 양단부 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잠금수단(4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410)와 걸쇠(420)를 포함한다.
고정부(410)는 제1가로바(100)의 타단부 및 제2가로바(200)의 양단부에 대응되는 벽체(W)에 설치되며, 상기 제1가로바(100)의 타단부 및 제2가로바(200)의 양단부를 향해 각각 고정홈(411)을 형성한다.
고정홈(411)은 각각, 제1가로바(100)의 일단부 및 제2가로바(200)의 양단부를 향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걸쇠(420)는 고정부(410)의 고정홈(411)에 출입하면서 베란다 난간을 벽체에 고정시키거나 벽체(W)로부터 베란다 난간의 구속을 해제시킨다.
즉, 걸쇠(420)는 벽체(W)상에서 베란다 난간이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구속하는 것이다.
걸쇠(420)는 각 가로바(100,200)의 단부로부터 슬라이드 되어 돌출되는 삽입바(421)와, 상기 삽입바(42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손잡이(422)를 포함한다.
이때, 각 가로바(100,200)의 단부에는 슬라이드공(H)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422)는 슬라이드공(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다음으로, 지지돌기(500)는 난간 회동시 난간의 타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1가로바(100) 하방의 벽체(W)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지지돌기(500)의 단면 형태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난간 회동시 난간의 일측만 축 결합되어 있으므로, 난간이 좌,우로 유동될 수 있는바 상기 지지돌기(500)는 후술하는 스토퍼와 함께 난간의 타측을 지지하여 난간이 회동된 후 안정감 있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다음으로, 스토퍼(6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돌기(500)와 함께 난간의 타측을 안정감 있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제2가로바(200)의 일측 배면에 설치된다.
스토퍼(600)는 후크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지지돌기(500)의 곡률에 대응되는 홈을 형성한다.
즉, 후크가 형성하는 홈에 상기 지지돌기(500)가 위치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돌기(500)와 스토퍼(600)에는 센서 또는 스위치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센서 또는 스위치는 지지돌기(500)에 스토퍼(600)가 밀착된 것을 감지하기 위함인데, 지지돌기(500)에 스토퍼(600)가 밀착되면 건물 관리실에 신호가 전송되고 관리실은 각 층마다 마련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한다.
한편, 상기 센서 및 스위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며, 이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다.
예컨대 센서는 지지돌기에 무게감지 센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스위치는 압력스위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센서 및 스위치 동작에 의한 관리실로부터 경고음 출력은 일반적인 회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센서 및 스위치 동작은 관리실을 거치지 않고 재난이 발생한 층에서만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센서 감지 및 스위치 동작에 의해 곧바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이 출력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재난시에 건물의 각 층 입주자들에게 알려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과 더불어, 난간을 범죄에 악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난간을 회동하여 사용할 경우, 무조건 각 층에 이를 알리도록 함으로써, 재난 발생이 아닌 경우에는 난간을 회동하여 사용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평상시에 베란다 난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란다 창(S)에 설치되어 추락을 방지하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한다.
이때, 제1가로바(100) 및 제2가로바(200)는 잠금수단(400)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후,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하면, 입주자는 이를 감지하여 현관문으로 신속하게 탈출하고, 현관문으로의 피난이 늦은 경우 베란다로 피신한다.
이후, 잠금수단(400)인 손잡이(422)를 잡아당겨 고정부(410)의 고정홈(411)으로부터 삽입바(421)를 인출시킨다.
이에 따라, 베란다 난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제1가로바(100)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때, 난간은 아래층으로 회동되며, 제2가로바(200)의 일측 배면에 설치된 스토퍼(600)는 지지돌기(500)에 걸려 난간의 과도한 회동을 억제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베란다 난간은 아래층을 향해 사다리로 제공된다.
즉, 제1가로바(100) 및 제2가로바(200)는 손잡이로 마련되며, 세로바(300)는 디딤대로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베란다에 피신해 있던 사람들은 세로바(300)를 밟고 천천히 아래 층으로 내려와 대피함으로써 난간을 이용한 피난이 완료된다.
한편, 잠금수단이 다르게 구성된 것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잠금수단(400)은 고정부(410)와, 구속부(430)로 구성된다.
고정부(410)는 제1가로바(100)의 타단부 및 제2가로바(200)의 양단부에 각각 대응된 벽체(W)에 고정되며, 벽체(W) 외측을 향해 상향 절곡된 고정돌기(412)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구속부(430)는 상기 고정부(410)에 걸림 결합되어 난간의 회동을 구속하며, 제1가로바(100)의 타단부 및 제2가로바(20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구속부(430)는 고정돌기(412)를 향해 회동되게 설치되며, 고정돌기(412)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부(431)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431)는 고정돌기(412)가 통과되어 걸리기 위한 통공을 형성하며, 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잠금수단(40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재난시에 난간을 사다리로 사용하기 위하여 잠금수단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구속부(430)를 고정부(410)의 외측으로 회동하여 고정돌기(412)로부터 구속부(430)를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난간은 제1가로바(100)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난간을 회전하여 사다리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측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는 난간을 하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재난시에 베란다를 이용해서도 아래층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으므로, 인명 피해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제1가로바 200 : 제2가로바
300 : 세로바 400 : 잠금수단
410 : 고정부 411 : 고정홈
412 : 고정돌기 420 : 걸쇠
421 : 삽입바 422 : 손잡이
430 : 구속부 431 : 걸림부
500 : 지지돌기 600 : 스토퍼
S : 창 W : 벽체
H : 슬라이드공

Claims (6)

  1. 베란다 창(窓) 공간을 구성하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창 공간을 가로 질러 설치되며, 복수의 세로바와 가로바로 구성되어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난간의 일측은 벽체에 대하여 수평하게 회동되도록 축 결합되고,
    상기 난간의 타측은 벽체에 잠금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가로바는,
    난간의 하부를 구성하며, 일단부는 벽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된 제1가로바와, 제1가로바의 상부에 수평하게 위치된 제2가로바로 구성되고,
    상기 세로바는 제1가로바와 제2가로바 사이에 등간격으로 연결되며,
    상기 잠금수단은,
    제1가로바의 타단부 및 제2가로바의 양단부에 각각 대응된 벽체에 고정되며, 벽체 외측을 향해 상향 절곡된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부;
    상기 제1가로바의 타단부 및 제2가로바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고정부의 고정돌기를 향해 회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돌기에 걸려 결합되는 링 형태의 걸림부가 형성된 구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로바 하방의 벽체에는 외부로 돌출된 지지돌기가 더 형성되고,
    제2가로바의 일단부 배면에는, 축을 중심으로 제2가로바 회동시 상기 지지돌기에 걸려 지지되는 스토퍼가 더 설치되며,
    상기 지지돌기의 단면 형태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지돌기의 곡률에 대응되는 홈을 갖는 후크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고층 건물의 각 층마다 스피커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돌기와 스토퍼에는 센서 또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스토퍼가 지지돌기에 밀착시, 센서 감지 또는 스위치 동작에 의해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


KR1020150159744A 2015-11-13 2015-11-13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 KR101647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744A KR101647013B1 (ko) 2015-11-13 2015-11-13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744A KR101647013B1 (ko) 2015-11-13 2015-11-13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013B1 true KR101647013B1 (ko) 2016-08-10

Family

ID=5671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744A KR101647013B1 (ko) 2015-11-13 2015-11-13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0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843B1 (ko) * 2016-10-18 2017-01-05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비상용 대피 난간
KR101692844B1 (ko) * 2016-10-18 2017-01-05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접이식 비상용 대피 난간
CN108360771A (zh) * 2018-03-08 2018-08-03 四川泰兴装饰工程有限责任公司 高层建筑玻璃护栏系统及施工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773A (ja) * 1989-08-22 1991-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写機
KR200401544Y1 (ko) * 2005-09-07 2005-11-21 최동식 회전형 자물쇠용 걸고리
KR100529859B1 (ko) 2003-05-19 2005-11-22 남준노 아파트 화재시의 탈출장치
KR100610310B1 (ko) * 2005-12-22 2006-08-09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비상사다리가 장착되는 베란다 난간
KR100725381B1 (ko) 2007-01-10 2007-06-07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KR100738812B1 (ko) * 2006-01-12 2007-07-12 김기종 발코니 난간을 이용한 비상 사다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773A (ja) * 1989-08-22 1991-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写機
KR100529859B1 (ko) 2003-05-19 2005-11-22 남준노 아파트 화재시의 탈출장치
KR200401544Y1 (ko) * 2005-09-07 2005-11-21 최동식 회전형 자물쇠용 걸고리
KR100610310B1 (ko) * 2005-12-22 2006-08-09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비상사다리가 장착되는 베란다 난간
KR100738812B1 (ko) * 2006-01-12 2007-07-12 김기종 발코니 난간을 이용한 비상 사다리
KR100725381B1 (ko) 2007-01-10 2007-06-07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843B1 (ko) * 2016-10-18 2017-01-05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비상용 대피 난간
KR101692844B1 (ko) * 2016-10-18 2017-01-05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접이식 비상용 대피 난간
CN108360771A (zh) * 2018-03-08 2018-08-03 四川泰兴装饰工程有限责任公司 高层建筑玻璃护栏系统及施工方法
CN108360771B (zh) * 2018-03-08 2020-02-21 四川泰兴装饰工程有限责任公司 高层建筑玻璃护栏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0401B1 (ko) 화재시 대피용 난간
KR101607133B1 (ko) 공동주택용 비상대피 난간
KR101647013B1 (ko)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
WO2012080534A1 (es) Método de evaluación del riesgo en caso de incendio en la edificación
KR101412211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805060B1 (ko)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CN104818939B (zh) 一种防盗护栏连接件及其制造方法
KR101100795B1 (ko)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93332B1 (ko) 재난용 비상탈출 장치
CN104751579A (zh) 带有拉簧的物联网防盗护栏开关
CN104747049B (zh) 一种自动垂直无线防盗报警护栏的制造方法
CN211169414U (zh) 住宅外加装电梯的结构
KR102301628B1 (ko) 복합건물의 호실에서 화재 발생 시 인접한 호실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장치 및 그 소화장치가 설치된 복합건물 호실의 베란다
KR101710468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구조
KR102105877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소방용 베란다 완강기
KR20230013685A (ko) 화재감지시 자동차폐기능을 갖는 방화겸용 롤스크린
KR101311016B1 (ko) 유무선통신 제어 비상피난시스템
KR20210100000A (ko)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
KR100529859B1 (ko) 아파트 화재시의 탈출장치
KR102072434B1 (ko) 화재경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고시스템
Kobayashi Some concerns for fire protection regulations in Asia and Japanese way
KR20180138334A (ko) 하향식 피난용 사다리의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00782A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Rini Applying Indonesia Regulation on Fire Protection System at WTC 1 Building in Jakarta through Fire Risk Assessment (FRA)
KR20110070935A (ko) 화재대피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