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795B1 -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795B1
KR101100795B1 KR1020090083096A KR20090083096A KR101100795B1 KR 101100795 B1 KR101100795 B1 KR 101100795B1 KR 1020090083096 A KR1020090083096 A KR 1020090083096A KR 20090083096 A KR20090083096 A KR 20090083096A KR 101100795 B1 KR101100795 B1 KR 101100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scape
downstairs
evacuation
evacu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910A (ko
Inventor
이계삼
박성곤
Original Assignee
경기도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시공사 filed Critical 경기도시공사
Priority to KR1020090083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79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화재 등의 긴급상황 발생시 유비쿼터스 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긴급상황을 통지하고 아래층 대피공간이나 고층 건물 외부로 긴급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제공된다.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은, 대피자가 피신하거나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비상문, 탈출구, 탈출구 밸브 및 비상계단이 설치된 대피공간; 해당 층에 긴급상황 발생시 아래층 단말에 긴급상황을 통보하기 위한 긴급상황 알림부; 탈출구 밸브의 개방시 탈출구가 열린 것을 감지하여 탈출구 열림신호를 관리실 단말로 자동으로 송신하는 탈출구 열림 송신부; 대피공간 내에 설치되어 대피공간의 상황을 촬영하여 관리실 단말로 송신하는 CCD 카메라; 긴급상황 알림부로부터 긴급상황을 통보받고, 탈출구를 통해 내려온 대피자가 피신하도록 아래층 거주자가 아래층에 구비된 비상문을 열어 놓을 수 있게 하는 아래층 단말; 및 탈출구 열림신호를 수신하고, 대피공간의 상황을 CCD 카메라를 통해 확인하는 관리실 단말을 포함하되, 대피공간으로 피신한 대피자는 대피공간의 탈출구를 통해 아래층으로 피신하고, 아래층의 비상문을 통해 탈출하거나 아래층의 탈출구를 통해 다음 아래층으로 피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상탈출, 고층 건물, 아파트, 대피공간, 탈출구, 유비쿼터스

Description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및 그 방법 {Emergency escape system of high-rise building ,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비상탈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는 대피공간이 층별로 각각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 비상탈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다층구조의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비상탈출을 위한 피난장치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5-0007796호(출원일: 2005년 01월25일)에는 "비상탈출 장치가 설치된 베란다"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화재가 발생시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건물의 베란다를 이용하여 비상탈출을 할 수 있게 하는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된 베란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가 설치된 베란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된 베란다는, 베란 다(11)의 콘크리트바닥에 비상구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비상구에는 손잡이를 구비한 비상구도어(15)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비상구에는 비상구도어(15)의 개폐를 감지하여 비상벨을 울리게 하는 개폐감지기가 설치된다.
상기 비상구가 형성되고 그 비상구에 비상구도어(15)가 설치된 베란다(11)의 일측에는 격벽(17)을 설치하여 비상구가 형성된 베란다(11)의 일측 공간에 비상탈출실(18)을 마련하고, 상기 격벽(17)에는 비상탈출실(18) 쪽에는 손잡이가 없고 베란다 측에서만 잠글 수 있는 도어록이 설치된 비상탈출실 도어(20)가 비상탈출실(18)쪽으로 열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비상탈출실 도어(20)는 베란다(11)쪽으로 열리도록 설치할 수도 있겠으나, 비상탈출실(18) 쪽으로 열리도록 설치하면 비상탈출실 도어(20)의 비상탈출실(18) 쪽에 손잡이도 설치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비상탈출실(18)에 있는 사람이 베란다(11) 쪽으로 나갈 수 없음에 따라 비상탈출실 도어(20)는 비상탈출실(18) 쪽으로 열리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비상구가 형성된 비상탈출실(18)의 내부에는 난간(21)이 구비된 계단(22)이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된 베란다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비상탈출실을 이용하여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으면서 도둑이나 강도가 비상탈출실을 이용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된 베란다는, 비상탈출하는 사람이 비상탈출실로 들어간 뒤에 비상탈출실 도어를 닫지 못하는 경우, 유독가스가 비상탈출실로 들어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비상탈출하는 사람이 비상탈출실로 들어온 뒤에 비상탈출실 도어를 닫는다고 하여도 사람이 비상탈출실로 들어갈 때 유독가스가 비상탈출실로 함께 유입될 수 있으며, 이렇게 비상탈출실로 유독가스가 들어오면 비상탈출실로 들어온 사람은 그 유독가스에 질식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6-95354호(출원일: 2006년09월27일)에는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화재대피실 측으로만 열리는 출입구도어에 도어자동잠금장치를 설치하여 화재대피실로 사람이 들어가면 곧 바로 출입구도어가 닫혀서 화재대피실로 유독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화재대피실의 내측 상부에는 사람이 빠져나가는 비상구 측으로 연기가 퍼져나가지 않게 하는 연기차단수단을 설치하며, 출입구도어가 설치된 출입구 쪽의 화재대피실의 내측 상부에 환기수단을 설치하여 사람이 화재대피실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화재대피실로 연기가 들어오는 경우라도 1차적으로 사람이 빠져나가는 비상구 측으로 연기가 퍼져나가지 않게 하고, 2차로는 화재대피실 내측의 환기수단이 화재대피실로 들어온 연기를 외측으로 배출시켜 연기에 의해 사람이 질식되는 것을 예방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의 경우, 대피자가 건물 외부로 완전하게 빠져나오지 못하고 건물 내부에서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 즉, 고층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의 경우, 화재 대피공간이나 방화공간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나, 외부에서 구출이 있을 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이때, 대피 자가 좁은 실내공간에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고 있어야 하며, 만일 구출이 늦어질 경우, 무작정 밖으로 뛰어내리는 등 신체 및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재 등의 긴급상황 발생시 유비쿼터스(Ubiquitous) 기술을 활용하여 긴급상황을 통지하고 아래층 대피공간이나 고층 건물 외부로 긴급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은, 대피자가 피신할 수 있는 대피공간이 층별로 각각 구비된 고층 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에 있어서, 대피자가 피신하거나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비상문, 탈출구, 탈출구 밸브 및 비상계단이 설치된 대피공간; 해당 층에 긴급상황 발생시 아래층 단말에 긴급상황을 통보하기 위한 긴급상황 알림부; 상기 탈출구 밸브의 개방시 상기 탈출구가 열린 것을 감지하여 탈출구 열림신호를 관리실 단말로 자동으로 송신하는 탈출구 열림 송신부; 상기 대피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대피공간의 상황을 촬영하여 관리실 단말로 송신하는 CCD 카메라; 상기 긴급상황 알림부로부터 긴급상황을 통보받고, 상기 탈출구를 통해 내려온 대피자가 피신하도록 아래층 거주자가 아래층에 구비된 비상문을 열어 놓을 수 있게 하는 아래층 단말; 및 상기 탈출구 열림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대피공간의 상황을 상기 CCD 카메라를 통해 확인하는 관리실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대피공간으로 피신한 대피자는 상기 대피공간의 탈출구를 통해 아래층으로 피신하고, 상기 아래층의 비상문을 통 해 탈출하거나 아래층의 탈출구를 통해 다음 아래층으로 피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긴급상황 알림부는 긴급상황에 대한 문자메시지(SMS)를 생성하여 상기 아래층 단말에 통보하거나 상기 대피자의 가족 단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실 단말은 긴급상황을 확인하여 경보(Alarm)를 발생하거나 관공서에 소방구조를 요청하거나 또는 위층 및 아래층에 설치된 홈오토 시스템(home-auto system)과 연계하여 비상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피공간은, 상기 대피공간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서 대피공간으로 피신하도록 비상문 잠금장치가 구비된 비상문; 상기 대피자가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열 수 있는 탈출구; 상기 탈출구 열림 송신부가 상기 탈출구 열림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탈출구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탈출구 밸브; 및 상기 탈출구의 열림에 의해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아래층으로 펼쳐지도록 설치된 비상계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탈출구는 70도 내지 80도 범위로 열림으로써 상기 대피자가 아래층으로 탈출한 후 자동으로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방법은, 대피자가 피신하거나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비상문, 탈출구, 탈출구 밸브 및 비상계단이 설치된 대피공간이 층별로 각각 구비된 고층 건물의 비상탈출 방법에 있어서, a) 해당 층에 긴급상황 발생시 상기 대피자가 상기 대피공간으로 피신하여 긴급상황 알림부를 통해 아래층 단말에 긴급상황 을 통보하는 단계; b) 상기 탈출구 밸브의 개방시 상기 탈출구가 열린 것을 감지하여 탈출구 열림신호를 관리실 단말로 자동으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대피자가 상기 탈출구를 통해 아래층의 대피공간으로 내려가는 단계; d) 상기 아래층 단말을 통해 상기 긴급상황을 통보받은 경우, 아래층 거주가 아래층 비상문을 열고 상기 대피자를 탈출시키는 단계; e) 상기 아래층 비상문이 열려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아래층 대피공간에 설치된 탈출구를 통해 다음 아래층으로 내려가는 단계; 및 f) 최하층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d) 및 e)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대피자가 상기 최하층의 외부 탈출문을 통해 고층 건물 외부로 탈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긴급상황 알림부는 긴급상황에 대한 문자메시지(SMS)를 생성하여 상기 아래층 단말에 통보하거나 상기 대피자의 가족 단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 단계의 관리실 단말은 CCD 카메라를 통해 상기 대피공간의 상황을 확인하여, 경보(Alarm)를 발생하거나 관공서에 소방구조를 요청하거나 또는 위층 및 아래층에 설치된 홈오토 시스템(home-auto system)과 연계하여 비상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f) 단계의 최하층 외부 탈출문은 상기 고층 건물 외부로부터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등의 긴급상황 발생시 유비쿼터스 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긴급상황을 통지하고 아래층 대피공간이나 고층 건물 외부로 긴급하고 안전하 게 대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즉, 유비쿼터스 통신기술 기반을 활용하여 신속한 탈출 및 방재 활동으로 인해 피해 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단순 하향식 물리적 피난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피해 당사자의 최종 탈출 방안과 관련 세대의 충돌을 회피하고, 신속히 방재시스템이 가동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화재 등의 긴급상황 발생시 유비쿼터스 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긴급상황을 통지하고 아래층 대피공간이나 고층 건물 외부로 긴급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이 구비된 고층 건물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의 대피공간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이 구비된 고층 건물(400)은 대피자가 피신할 수 있는 대피공간(100)이 층별로 각각 구비되며, 이때, 대피공간(100)은 비상문, 탈출구, 탈출구 밸브 및 비상계단이 설치되어, 대피자는 비상문 잠금장치(130)가 구비된 비상문을 열고서 피신하거나 또는 탈출구 밸브(150)를 수동으로 개방하여 탈출구를 통해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다.
이때, 최상층 및 최하층을 제외한 모든 층에는 아래층 단말(320), 즉, 대피자의 관점에서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피신하는 경우, 아래층에 설치된 인터폰과 같은 아래층 단말(320)이 설치되고, 최하층의 경우, 관리실 내에는 관리실 단말(3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최하층 대피공간에는 고층 건물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탈출문(410)이 구비되며, 이때,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탈출문(410)에는 잠금장치가 형성된다. 즉, 최하층 출구는 반드시 밖으로만 나갈 수 있으며, 밖에서 안으로는 들어올 수 없다.
또한, 예를 들면, 대피공간 내에 화물 적재로 인한 시설 무용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모든 출입문은 안쪽으로 열리게 한다. 즉, 대피공간 내의 화물 적재 방지를 위해 탈출문(410)은 여닫이 방향 안쪽으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의 대피공간(100) 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구 표시부(110), 비상문(120), 비상문 잠금장치(130), 탈출구(140), 탈출구 손잡이(150), 탈출구 밸브(160), 비상계 단(170) 및 환기창(180)이 설치될 수 있다.
비상문(120)은 상기 대피공간(100)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서 대피공간으로 피신하도록 비상문 잠금장치(130)가 구비되며, 상기 비상문(120)의 상부에는 비상구 표시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탈출구(140)는 상기 대피자가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열 수 있는 상하 연결통로를 제공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탈출구(140)는 탈출구 손잡이(150)를 통해 상부쪽으로 열 수 있고, 상기 탈출구는 수직을 기준으로 10도 내지 20도 정도의 경사각(θ)을 갖도록 열리는데, 70도 내지 80도 범위로 열림으로써 상기 대피자가 아래층으로 탈출한 후 중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탈출구 밸브(160)는 탈출구 열림 송신부가 탈출구 열림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탈출구(140)를 수동으로 개방하게 된다.
비상계단(170)은 상기 탈출구(140)의 열림에 의해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아래층으로 펼쳐지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비상계단(170)은 통상적인 탈출 사다리일 수도 있다.
상기 대피공간(100) 내에는 유독가스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기창(180)이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대피공간(100)의 아래층 천정은 방음 효과는 있으되 적당한 충격에 파손이 가능한 재질로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은 화재 등의 긴급상황 발생시 유비쿼터스 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긴급상황을 통지하고 아래층 대피공간이나 고층 건물(400) 외부로 탈출하기 위한 것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은, 대피공간(100), 긴급상황 알림부(210), 탈출구 열림 송신부(220), CCD 카메라(230), 가족 단말(휴대폰)(310), 아래층 단말(인터폰)(320), 관리실 단말(330) 및 경보 발생부(340)를 포함하며, 이때, 관리실 단말(330)은 관공서(소방서)(35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소방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
고층 건물에는 대피자가 피신할 수 있는 대피공간(100)이 층별로 각각 구비되는데, 대피공간(100)은 대피자가 피신하거나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비상문, 탈출구, 탈출구 밸브 및 비상계단이 설치된다.
긴급상황 알림부(210)는 해당 층에 긴급상황 발생시 아래층 단말(320) 또는 가족 단말(휴대폰)(310)에 긴급상황에 대한 문자메시지(SMS)를 생성하여 통보한다.
탈출구 열림 송신부(220)는 상기 탈출구 밸브(150)의 개방시 상기 탈출구(140)가 열린 것을 감지하여 탈출구 열림신호를 관리실 단말(330)로 자동으로 송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탈출구 열림신호는 아래층 단말(320)에게 송신될 수도 있다.
CCD 카메라(230)는 상기 대피공간(100) 내에 설치되어 상기 대피공간(100)의 상황을 촬영하여 관리실 단말(330)로 송신한다.
아래층 단말(320)은 상기 긴급상황 알림부(210)로부터 긴급상황을 통보받고, 아래층 거주자가 아래층에 구비된 비상문을 열어 놓을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탈출구(140)를 통해 내려온 대피자가 피신할 수 있게 한다.
관리실 단말(330)은 상기 탈출구 열림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대피공간(100)의 상황을 상기 CCD 카메라(230)를 통해 확인하며, 이에 대응하여 경보 발생부(340)를 통해 경보(Alarm)를 발생하거나 관공서(350)에 소방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대피공간으로 피신한 대피자는 상기 대피공간(100)의 탈출구(140)를 통해 아래층으로 피신하고, 상기 아래층의 비상문을 통해 탈출하거나 아래층의 탈출구를 통해 다음 아래층으로 피신하며, 결국, 고층 건물 외부로 탈출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대형 화재인 경우, 대피자는 최하층(1층)까지 내려간 후 외부 탈출문으로 탈출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의 비상탈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에서, 화재 등의 긴급상황 발생시 대피자는 화재 대피공간(100)으로 피신하고, 대피공간(100) 바닥에 있는 탈출구 밸브(150)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며, 상기 탈출구 밸브(150)의 작동과 동시에 탈출구 열림신호가 생성되어 관리실 단말에게 송신된다.
이때, 긴급상황 알림부(210)는 아래층 거주자에게 윗집에서의 대피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SMS)를 발송하거나 또는 대피자 가족 단말에게 SMS를 발송하게 된다. 여기서, 문자 메시지(SMS)는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대피자가 긴급상황에 대한 내용을 입력하여 발송할 수 있는데, SMS를 발송하는 것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대피자가 상기 탈출구 밸브(150)를 작동시키면, 관리실 단말(330)은 탈출구 열림신호를 수신하여, 대피공간(100)의 상황을 확인하고, 긴급상황이라고 판단된 경우, 아파트 관리실의 관리자는 경보를 발생시킨다. 또한, 아파트 관리실의 관리자는 관내 소방서 종합상황실에 화재발생을 자동으로 통보, 예를 들면, 119에 긴급상황을 자동으로 통보하거나 또는 도시 중앙통제센터(U-city)에 화재 상황을 자동으로 통보하며, 이때 CCD 카메라(230)를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CCTV로 확인하여 인명 대피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대피자가 상기 탈출구 밸브(15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예를 들면, 위층 및 아래층에 설치된 홈오토 시스템(home-auto system)과 연계하여 비상경보, 예를 들면, 화재발생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방법의 동작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방법의 구체적인 동작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방법은, 먼저, 해당 층에 화재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하면(S110), 대피자는 대피공간으로 피신하게 된다(S120). 이후, 소방구조 활동이 있는지 확인하여(S130), 소방구조 활동이 없는 경우, 대피자는 아래층 대피공간으로 탈출하게 된다(S140). 이때, 대피공간에는 대피자가 피신하거나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비상문, 탈출 구, 탈출구 밸브 및 비상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자가 피신하거나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비상문, 탈출구, 탈출구 밸브 및 비상계단이 설치된 대피공간이 층별로 각각 구비된 고층 건물의 비상탈출 방법에 있어서, 해당 층에 긴급상황 발생시(S210), 상기 대피자가 상기 대피공간으로 피신하여(S220), 긴급상황 알림부를 통해 아래층 단말에 긴급상황을 통보한다(S230). 이때, 상기 긴급상황 알림부는 긴급상황에 대한 문자메시지(SMS)를 생성하여 상기 아래층 단말에 통보하거나 상기 대피자의 가족 단말에게 통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탈출구 밸브의 개방시(S240) 상기 탈출구가 열린 것을 감지하여 탈출구 열림신호를 관리실 단말로 자동으로 송신한다(S250). 이때, 상기 관리실 단말은 CCD 카메라를 통해 상기 대피공간의 상황을 확인하여(S260), 경보(Alarm)를 발생하거나 관공서에 소방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S270). 예를 들면, 관내 소방서 종합상황실에 화재발생을 자동으로 통보, 예를 들면, 119에 긴급상황을 자동으로 통보하거나 또는 도시 중앙통제센터에 화재 상황을 자동으로 통보하며, 또한, 대피자가 상기 탈출구 밸브(15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예를 들면, 위층 및 아래층에 설치된 홈오토 시스템(home-auto system)과 연계하여 비상경보, 예를 들면, 화재발생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대피자가 상기 탈출구를 통해 아래층의 대피공간으로 내려가는데, 이때 탈출구는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S280).
다음으로, 상기 아래층 단말을 통해 상기 긴급상황을 통보받은 경우, 아래층 거주가 아래층 비상문을 열고 상기 대피자를 탈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아래층 비상문이 열려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아래층 대피공간에 설치된 탈출구를 통해 다음 아래층으로 내려가게 된다(S290).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아래층에서 소방구조 활동이 있는지 확인하여(S150), 소방구조 활동이 없는 경우, 대피자는 최하층에 도달할 때까지 다음 아래층 대피공간으로 탈출하게 되며(S160), 결국, 고층 건물 외부로 탈출하게 된다(S170). 즉, 최하층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대피자가 상기 최하층의 외부 탈출문을 통해 고층 건물 외부로 탈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최하층 외부 탈출문은 상기 고층 건물 외부로부터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은, 화재 등의 긴급상황 발생시 유비쿼터스 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긴급상황을 통지하고 아래층 대피공간이나 고층 건물 외부로 긴급하고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가 설치된 베란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이 구비된 고층 건물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의 대피공간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의 비상탈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탈출 방법의 구체적인 동작흐름도이다.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대피공간 110: 비상구 표시부
120: 비상문 130: 비상문 잠금장치
140: 탈출구 150: 탈출구 손잡이
160: 탈출구 밸브 170: 비상계단
180: 환기창
210: 긴급상황 알림부 220: 탈출구 열림 송신부
230: CCD 카메라 310: 가족 단말(휴대폰)
320: 아래층 단말(인터폰) 330: 관리실 단말
340: 경보 발생부 350: 관공서(소방서)
400: 고층 건물(아파트) 410: 외부 탈출문

Claims (9)

  1. 대피자가 피신할 수 있는 대피공간이 층별로 각각 구비된 고층 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에 있어서,
    대피자가 피신하거나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비상문, 탈출구, 탈출구 밸브 및 비상계단이 설치된 대피공간;
    해당 층에 긴급상황 발생시 아래층 단말에 긴급상황을 통보하기 위한 긴급상황 알림부;
    상기 탈출구 밸브의 개방시 상기 탈출구가 열린 것을 감지하여 탈출구 열림신호를 관리실 단말로 자동으로 송신하는 탈출구 열림 송신부;
    상기 대피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대피공간의 상황을 촬영하여 관리실 단말로 송신하는 CCD 카메라;
    상기 긴급상황 알림부로부터 긴급상황을 통보받고, 상기 탈출구를 통해 내려온 대피자가 피신하도록 아래층 거주자가 아래층에 구비된 비상문을 열어 놓을 수 있게 하는 아래층 단말; 및
    상기 탈출구 열림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대피공간의 상황을 상기 CCD 카메라를 통해 확인하는 관리실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대피공간으로 피신한 대피자는 상기 대피공간의 탈출구를 통해 아래층으로 피신하고, 상기 아래층의 비상문을 통해 탈출하거나 아래층의 탈출구를 통해 다음 아래층으로 피신하며,
    상기 긴급상황 알림부는 긴급상황에 대한 문자메시지(SMS)를 생성하여 상기 아래층 단말에 통보하거나 상기 대피자의 가족 단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실 단말은 긴급상황을 확인하여 경보(Alarm)를 발생하거나 관공서에 소방구조를 요청하거나 또는 위층 및 아래층에 설치된 홈오토 시스템(home-auto system)과 연계하여 비상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공간은,
    상기 대피공간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서 대피공간으로 피신하도록 비상문 잠금장치가 구비된 비상문;
    상기 대피자가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열 수 있는 탈출구;
    상기 탈출구 열림 송신부가 상기 탈출구 열림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탈출구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탈출구 밸브; 및
    상기 탈출구의 열림에 의해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아래층으로 펼쳐지도록 설 치된 비상계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구는 70도 내지 80도 범위로 열림으로써 상기 대피자가 아래층으로 탈출한 후 자동으로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6. 대피자가 피신하거나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비상문, 탈출구, 탈출구 밸브 및 비상계단이 설치된 대피공간이 층별로 각각 구비된 고층 건물의 비상탈출 방법에 있어서,
    a) 해당 층에 긴급상황 발생시 상기 대피자가 상기 대피공간으로 피신하여 긴급상황 알림부를 통해 아래층 단말에 긴급상황을 통보하는 단계;
    b) 상기 탈출구 밸브의 개방시 상기 탈출구가 열린 것을 감지하여 탈출구 열림신호를 관리실 단말로 자동으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대피자가 상기 탈출구를 통해 아래층의 대피공간으로 내려가는 단계;
    d) 상기 아래층 단말을 통해 상기 긴급상황을 통보받은 경우, 아래층 거주가 아래층 비상문을 열고 상기 대피자를 탈출시키는 단계;
    e) 상기 아래층 비상문이 열려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아래층 대피공간에 설치된 탈출구를 통해 다음 아래층으로 내려가는 단계; 및
    f) 최하층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d) 및 e)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대피자가 상기 최하층의 외부 탈출문을 통해 고층 건물 외부로 탈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긴급상황 알림부는 긴급상황에 대한 문자메시지(SMS)를 생성하여 상기 아래층 단말에 통보하거나 상기 대피자의 가족 단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비상탈출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관리실 단말은 CCD 카메라를 통해 상기 대피공간의 상황을 확인하여, 경보(Alarm)를 발생하거나 관공서에 소방구조를 요청하거나 또는 위층 및 아래층에 설치된 홈오토 시스템(home-auto system)과 연계하여 비상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비상탈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최하층 외부 탈출문은 상기 고층 건물 외부로부터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비상탈출 방법.
KR1020090083096A 2009-09-03 2009-09-03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00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096A KR101100795B1 (ko) 2009-09-03 2009-09-03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096A KR101100795B1 (ko) 2009-09-03 2009-09-03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910A KR20110024910A (ko) 2011-03-09
KR101100795B1 true KR101100795B1 (ko) 2012-01-02

Family

ID=43932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096A KR101100795B1 (ko) 2009-09-03 2009-09-03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7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218A1 (ko) * 2014-01-13 2015-07-16 정정애 화재,재난음성경보 및 음성대피안내장치
KR101532051B1 (ko) * 2014-12-02 2015-07-01 임남성 아파트 하향식 피난구 연동 피난구실 출입문 개폐 관리용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제어부
KR101684335B1 (ko) * 2016-04-11 2016-12-08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702044B1 (ko) * 2016-06-29 2017-02-02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CN108806467B (zh) * 2018-05-17 2021-03-02 郑州轻工业学院 一种集群动物沿楼梯向下疏散模拟实验平台
KR102637799B1 (ko) * 2023-01-10 2024-02-16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전이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대피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0822A (en) 1974-02-20 1977-03-08 Banner Philip M Building emergency exit means
JPH1133129A (ja) * 1997-07-18 1999-02-09 Shigezo Tatsumi 脱出避難装置の連続化構造
KR20060109400A (ko) * 2006-09-06 2006-10-20 남주희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20090045801A (ko) * 2007-11-02 2009-05-08 주식회사위드홈 안전장치를 갖춘 비상피난기구가 설치되는 세대홈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0822A (en) 1974-02-20 1977-03-08 Banner Philip M Building emergency exit means
JPH1133129A (ja) * 1997-07-18 1999-02-09 Shigezo Tatsumi 脱出避難装置の連続化構造
KR20060109400A (ko) * 2006-09-06 2006-10-20 남주희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20090045801A (ko) * 2007-11-02 2009-05-08 주식회사위드홈 안전장치를 갖춘 비상피난기구가 설치되는 세대홈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910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795B1 (ko) 고층 건물 비상탈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7204B1 (ko)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1843861B1 (ko) 비상문 자동 개폐 시스템
KR101762550B1 (ko) 공동주택의 화재 대피실 방화 장치
KR100972837B1 (ko) 바닥 매립형 피난사다리 운용을 위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81032B1 (ko) 피난용 사다리를 이용한 피난 관리 시스템
MXPA03011688A (es) Metodo y sistema para la evacuacion de emergencia de ocupantes de un edificio y metodo para la modernizacion de un edificio existente con dicho sistema.
KR20150048500A (ko)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JP2002509850A (ja) 火災時に緊急脱出退避手段として作動可能なエレベータ・システムを有する多層階ビルディング
KR101348949B1 (ko) 건축물에서의 화재 발생 위치에 기반한 동적 우선순위 시나리오 화재 알림 경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25515B1 (ko) 안전장치를 갖춘 비상피난기구가 설치되는 세대홈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KR100952387B1 (ko)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KR20090086966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9812172B (zh) 防火门控制装置与系统
KR101082185B1 (ko)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KR101281126B1 (ko) 비상탈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JP477639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647013B1 (ko)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
KR101588838B1 (ko) 개별 세대마다 설치된 피난구실의 개폐를 관리하는 피난구실 관리 장치, 피난구실 관리 시스템 및 피난구실 관리 방법
KR20090067926A (ko) 베란다에 마련된 비상탈출시설
CN114299684A (zh) 保持电梯安全运行的火灾报警系统
KR102472384B1 (ko) 스마트 방수 도어 및 그 운용 시스템
KR101355175B1 (ko)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KR102126829B1 (ko) 아파트, 건축물 화재 시 공기 순환식 피난설비
KR102637799B1 (ko) 전이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대피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