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175B1 -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175B1
KR101355175B1 KR1020120026252A KR20120026252A KR101355175B1 KR 101355175 B1 KR101355175 B1 KR 101355175B1 KR 1020120026252 A KR1020120026252 A KR 1020120026252A KR 20120026252 A KR20120026252 A KR 20120026252A KR 101355175 B1 KR101355175 B1 KR 101355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air supply
toilet
fan
passage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618A (ko
Inventor
허종구
허윤
Original Assignee
(주)융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융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융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026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175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3/00Special devices for ventilating gasproof shel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Abstract

고층건물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이 개시된다. 화재 감지기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중앙방재센터 제어기가 방화문 구동부를 제어하여 방화문을 닫고, 배기휀 구동부를 제어하여 배기휀을 정지시키고, 제1 모터를 구동하여 배기통로 차단막을 폐쇄하며, 급기휀 구동부를 제어하여 급기휀을 동작시키고, 제2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급기통로 차단막을 개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고, 보다 신속하게 대피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중앙방재센터 담당자와 대화가 가능하여 구난이 용이하다.

Description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Fire shelter system using the rest rooms of the higher buildings}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화장실을 화재 대피공간으로 이용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빌딩의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에서 불의의 화재가 발생하여 거주자들이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피신이 용이하지 않을 때 임시로 대피하여 2차적인 인명피해를 방지하고 구조자들이 구조시간을 벌 수 있도록 하는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거주자들은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피난하기 위하여 구조를 위한 소방차량의 사다리를 이용하거나, 건물내 별도로 설치된 비상탈출을 위한 피난장치를 이용하여 대피하는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피난장치의 일예로는 베란다의 일측에 개폐문이 구비된 방호벽에 의해 구획되는 피난로를 형성하고, 피난로의 바닥면에 형성된 피난구에는 상부로만 개폐되며 계지편이 구비된 복개가 설치되며, 피난사다리가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초고층 아파트의 등장으로 인하여 아파트에 화재 발생시 소방차량의 사다리 또는 피난장치를 이용하는 방식에는 큰 한계가 있고, 특별피난계단에 설치되는 피난시설 및 피난장치는 부실, 낙후되어 실제 작동하지 않는 곳이 많아서 고층 아파트에서는 화재 발생시 특히 대형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사람들은 이성적으로 판단하여 피난처를 찾기 보다는 평소에 잘 다니고 화염 또는 유독가스를 피하여 본능적으로 대피하기 때문에 건물내 구비되었을 별도의 대피장소나 피난장치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사람이 매우 적다.
그리고, 이는 창문을 깨고 빌딩 밖으로 뛰어내리는 등 극단적인 행동을 취하게 만들어 추락과 유독가스에 의한 2차적인 재해, 즉 대형 인명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화재발생시 일반적으로 화염에 의한 피해보다는 발생되는 유독가스에 의한 피해가 크고, 상기 유독가스는 순식간에 화재가 발생한 내부공간을 뒤덮기 때문에 특히나 고층건물일 경우 대피할 시간적인 이득을 얻기가 어렵고 외부로부터의 도움의 손길을 기다리기 위해 시간을 벌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아파트의 화장실을 화재 대피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기술이 국내특허공보 제101044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선행기술은 구 구조가 복잡하여 비용이 많이 소요되면, 아파트에 적합하도록 설계하여 비용이나 기타 문제로 일반 빌딩에는 적용하기가 쉽지는 않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고, 보다 신속하게 대피가 가능하도록 하며, 중앙방재센터 담당자와 대화가 가능하여 구난이 용이한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은,
고층건물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으로서,
불연성의 재질로 된 방화문;
상기 방화문을 개폐하는 방화문 구동부;
상기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기 위한 배기휀;
상기 배기휀을 구동하기 위한 배기휀 구동부;
상기 배기휀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통로를 개폐하는 배기통로 차단막;
상기 배기통로 차단막을 구동하기 위한 제1 모터;
외부의 공기를 상기 화장실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급기휀;
상기 급기휀을 구동하기 위한 급기휀 구동부;
상기 급기휀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를 개폐하는 급기통로 차단막;
상기 급기통로 차단막을 구동하기 위한 제2 모터;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기;
상기 화재 감지기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방화문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방화문을 닫고, 상기 배기휀 구동부를 제어하여 배기휀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배기통로 차단막을 폐쇄하며, 상기 급기휀 구동부를 제어하여 급기휀을 동작시키고, 상기 제2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급기통로 차단막을 개방하는 중앙방재센터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방화문은, 난연재로서 스테인레스 스틸 내ㅇ외층과, 상기 내ㅇ외층 사이에 유리솜이 구비된 판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실 내부는 평상시에는 부압상태이며, 화재시에 양압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실과 중앙방재센터간에 통화를 하도록 하는 교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방재센터 제어기는 상기 화재 감지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방화문은 슬라이드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화문은 상부가 레일 형태이고. 하부에 언더컷(Under Cut) 공간이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고, 보다 신속하게 대피가 가능하도록 한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앙방재센터 담당자와 대화가 가능하여 구난이 용이한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의 평상시 공기흐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의 평상시 공기흐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의 화재시 공기흐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의 화재시 공기흐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기, 부,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의 평상시 공기흐름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의 평상시 공기흐름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의 화재시 공기흐름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의 화재시 공기흐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은, 고층건물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으로서,
화재 감지기(101), 수신기(102), 중앙방재센터 제어기(103), 방화문 구동부(104), 방화문(105), 배기휀 구동부(106), 배기휀(107), 제1 모터(108), 배기통로 차단막(109), 급기휀 구동부(110), 급기휀(111), 제2 모터(112), 급기통로 차단막(113), 교신부(114, 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앙방재센터 제어기(103) 및 수신기(102)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고층건물의 모든 화장실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방재센터 제어기(103)는 하나로 구현하고, 수신기(102)는 각 화장실에 대응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화문(105)은 불연성의 재질 즉, 난연재로서 스테인레스 스틸 내외층과, 상기 내ㅇ외층 사이에 유리솜이 구비된 판형상을 가지며, 슬라이드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화문은 상부가 레일 형태이고. 하부에 언더컷(Under Cut) 공간이 확보되며, 필요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방화문 구동부(104)는 상기 방화문을 개폐하며,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다라서는 수동 걔폐도 가능하도록 한다.
배기휀(107)은 상기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며, 건물 옥상의 공기통로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배기휀 구동부(106)는 상기 배기휀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일 수 있다.
배기통로 차단막(109)은 상기 배기휀(107)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통로를 개폐한다. 즉, 배기가 되는 공기 통로의 개폐를 한다. 배기통로 차단막(109)은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제1 모터(108)는 상기 배기통로 차단막(109)을 구동하여 개폐한다.
급기휀(111)은 외부의 공기를 상기 화장실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휀으로서, 건물 옥상의 공기통로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공기통로는 건물내에서는 흡기와 배기를 공통으로 사용하고, 옥상에서는 흡기와 배기통로를 별도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기휀 구동부(110)는 상기 급기휀(111)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스위치일 수 있다.
급기통로 차단막은 상기 급기휀(111)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를 개폐한다. 즉, 급기가 되는 공기 통로의 개폐를 한다. 급기통로 차단막(113)은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제2 모터(112)는 상기 급기통로 차단막(113)을 구동한다.
화재 감지기(101)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중앙방재센터 제어기(103)는 상기 화재 감지기(101)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방화문 구동부(104)를 제어하여 상기 방화문(105)을 닫고, 상기 배기휀 구동부(106)를 제어하여 배기휀(107)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1 모터(108)를 구동하여 상기 배기통로 차단막(109)을 폐쇄하며, 상기 급기휀 구동부(110)를 제어하여 급기휀(111)을 동작시키고, 상기 제2 모터(112)를 구동하여 상기 급기통로 차단막(113)을 개방한다. 상기 화장실 내부는 평상시에는 부압상태이며, 화재시에 양압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신부(114, 115)는 상기 화장실과 중앙방재센터간에 통화를 하도록 하는데, 교신부(114)는 화장실 출입문 내부 또는 외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수신기(102)는 화재 감지기(101)의 신호를 수신하여 중앙방재센터 제어기(103)로 전달한다.
입력부(116)에 의해 운영자의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중앙방재센터 제어기(103)는 상기 방화문 구동부(104)를 제어하여 상기 방화문(105)을 개폐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 중앙방재센터 제어기(103)는 상기 급기휀 구동부(110)를 제어하여 급기휀(111)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2 모터(112)를 구동하여 상기 급기통로 차단막(113)을 폐쇄하며, 상기 배기휀 구동부(106)를 제어하여 배기휀(107)을 동작시키고, 상기 제1 모터(108)를 구동하여 상기 배기통로 차단막(109)을 개방한다. 따라서, 상기 화장실 내부는 평상시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부압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감지기(101)는 화재를 감지한다. 수신기(102)는 화재 감지기(101)의 신호를 수신하여 중앙방재센터 제어기(103)로 전달한다. 이때, 사람들은 해당층의 화장실로 긴급히 대피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방화문을 닫을 수도 있다.
다음, 중앙방재센터 제어기(103)는 상기 화재 감지기(101)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방화문 구동부(104)를 제어하여 상기 방화문(105)을 닫고, 상기 배기휀 구동부(106)를 제어하여 배기휀(107)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1 모터(108)를 구동하여 상기 배기통로 차단막(109)을 폐쇄하며, 상기 급기휀 구동부(110)를 제어하여 급기휀(111)을 동작시키고, 상기 제2 모터(112)를 구동하여 상기 급기통로 차단막(113)을 개방한다. 따라서, 상기 화장실 내부는 화재시에 도 4 및 도 5와 같이 양압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대피자들은 교신부(114, 115)를 이용하여 중앙방재 센터의 운영자와 통화를 할 수 있으며, 화장실에 있음을 알리거나 화장실 방화문을 열어달라고 요청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운영자는 입력부(116)를 조작하여 방화문(105)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층건물의 화장실에서 소방차나 구조자들이 올때까지 안전하게 기다릴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화장실 내에 간이의자를 구비하여 편안하게 기다릴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고층건물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으로서,
    불연성의 재질로 된 방화문;
    상기 방화문을 개폐하는 방화문 구동부;
    상기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기 위한 배기휀;
    상기 배기휀을 구동하기 위한 배기휀 구동부;
    상기 배기휀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통로를 개폐하는 배기통로 차단막;
    상기 배기통로 차단막을 구동하기 위한 제1 모터;
    외부의 공기를 상기 화장실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급기휀;
    상기 급기휀을 구동하기 위한 급기휀 구동부;
    상기 급기휀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를 개폐하는 급기통로 차단막;
    상기 급기통로 차단막을 구동하기 위한 제2 모터;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기;
    상기 화재 감지기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방화문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방화문을 닫고, 상기 배기휀 구동부를 제어하여 배기휀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배기통로 차단막을 폐쇄하며, 상기 급기휀 구동부를 제어하여 급기휀을 동작시키고, 상기 제2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급기통로 차단막을 개방하는 중앙방재센터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방화문은, 난연재로서 스테인레스 스틸 내외층과, 상기 내외층 사이에 유리솜이 구비된 판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화장실 내부는 평상시에는 부압상태이며, 화재시에 양압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화문은 슬라이드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방화문은 상부가 레일 형태이고. 하부에 언더컷(Under Cut) 공간이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과 중앙방재센터간에 통화를 하도록 하는 교신부를 더 포함하는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방재센터 제어기는 상기 화재 감지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하는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26252A 2012-03-14 2012-03-14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KR101355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252A KR101355175B1 (ko) 2012-03-14 2012-03-14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252A KR101355175B1 (ko) 2012-03-14 2012-03-14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618A KR20130104618A (ko) 2013-09-25
KR101355175B1 true KR101355175B1 (ko) 2014-01-28

Family

ID=4945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252A KR101355175B1 (ko) 2012-03-14 2012-03-14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1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041B1 (ko) * 2017-07-25 2018-10-30 주식회사 목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인명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소방 지원 장치
KR20190104804A (ko) 2018-03-02 2019-09-1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파트 화재대피용 캡슐형 안전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017B2 (ja) * 1986-03-18 1994-07-06 興研株式会社 火災避難用シエルタ−
KR20000018980A (ko) * 1998-09-08 2000-04-06 전재홍 화장실 임시 대피소 장치
KR20100128779A (ko) * 2009-05-29 2010-12-08 오세종 방화용 대피실
KR20110133368A (ko) * 2010-06-04 2011-12-12 (주)거성전시문화 방화문 자동닫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017B2 (ja) * 1986-03-18 1994-07-06 興研株式会社 火災避難用シエルタ−
KR20000018980A (ko) * 1998-09-08 2000-04-06 전재홍 화장실 임시 대피소 장치
KR20100128779A (ko) * 2009-05-29 2010-12-08 오세종 방화용 대피실
KR20110133368A (ko) * 2010-06-04 2011-12-12 (주)거성전시문화 방화문 자동닫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041B1 (ko) * 2017-07-25 2018-10-30 주식회사 목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인명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소방 지원 장치
KR20190104804A (ko) 2018-03-02 2019-09-1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파트 화재대피용 캡슐형 안전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618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080B1 (ko) 화재 대피실
KR101306151B1 (ko) 고층건물의 화재 대피공간용 화장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20120112660A (ko) 비상 상황 중 승강기의 작동 방법
KR20070001065U (ko) 에어커튼기기를 이용한 제연방법 및 그 장치
KR101523659B1 (ko) 산소 공급 승강기
KR102263178B1 (ko) 노유자 거주공간의 화재대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
KR20110020306A (ko) 피난 지원 시스템
KR101355175B1 (ko)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KR20200036957A (ko) 건물의 비상계단 대피구조
JP477639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308356B1 (ko) 화재 대피실
CN105983189A (zh) 移动式火灾紧急避难舱及其工作方法
JP3567397B2 (ja) 排煙制御システム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101523186B1 (ko) 산소 공급 승강기
JP2012128469A (ja) 情報報知装置およびガス遮断装置
JP4117414B2 (ja) 高層建物
JP4526668B2 (ja) 避難階段の区画システム
JPH08131569A (ja) 特別避難階段並びに非常用エレベーター用附室の加圧 給気装置
JP3941588B2 (ja) アトリウムの防災システム
JPH04367670A (ja) 高層集合住宅における火災時の排煙方法
CN104712167A (zh) 火灾救生避难室及其工作方法
KR20110077827A (ko) 하향식 자루형 화재피난장치
KR101556377B1 (ko) 슬라이드식 간이형 계단부속공간 확보 장치
JP2000014811A (ja) 附室加圧煙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