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387B1 -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387B1
KR100952387B1 KR1020100013096A KR20100013096A KR100952387B1 KR 100952387 B1 KR100952387 B1 KR 100952387B1 KR 1020100013096 A KR1020100013096 A KR 1020100013096A KR 20100013096 A KR20100013096 A KR 20100013096A KR 100952387 B1 KR100952387 B1 KR 100952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hole
balcony
build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윤옥
Original Assignee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013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자동으로 신속하게 대피로를 확보해주는 것은 물론, 평시에는 대피로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각 층의 방범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에 관한 것이며, 발코니 바닥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레일; 관통구멍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대피로와 집수공이 구비된 배수장치; 배수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스위치 봉이 구비된 솔레노이드 스위치로 구성된 잠금장치; 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잠금장치의 스위치 봉에 걸리도록 멈춤홈이 형성되고, 잠금장치에 고정되어 배수장치의 대피로를 밀폐시키는 대피판; 건축물의 각 층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 및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신호를 제공받으면 상기 잠금장치가 대피판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실현 가능하고, 대피판이 중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여 신속하게 대피로가 개방되게 하는 효과 및 제어부를 통해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만 선택적으로 작동되므로 인해 이웃 간에 사생활 침해에 따른 분쟁 및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와 발코니에 구비된 대피로를 통해 상층에서 하층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ESCAPING STRUCTURE OF BALCONY FOR BUILDINGS}
본 발명은 복층으로 구성된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건축물 내부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이 화재로부터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건축물의 대피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시 자동으로 신속하게 대피로를 확보해주는 것은 물론, 평시에는 대피로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각 층의 사생활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 건축기술이 발전하는 것과 함께 생활 편의를 위해 건축물이 점차 고층화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고층 건축물들은 생활에 편의성을 가져오는 것이 현실이나 각종 화재나 재난에 취약한 문제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특히, 고층 건축물은 화재에 취약하며 각 층의 출입구 부근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창이나 발코니 등을 통해 탈출이 불가능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현 소방법에서는 고층건물의 경우 각 층에 완강기를 구비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완강기 역시 사용할 수 있는 건축물의 높이에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고, 완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건축물의 외벽에 매달리거나 뛰어내리듯이 탈출해야 하기 때문에 완강기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이나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고층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서의 고가사다리차에 의해 구조가 이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사다리차의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높이에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고, 점차 건축물의 높이가 높아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상당수의 고층 건축물의 상층부에는 소방서의 고가사다리차에 의한 구조활동이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완강기나 고가사다리차에 의한 구조가 용이하지 않은 높이의 건축물에서는 발코니를 이용한 탈출방법이 안출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방법은 발코니의 바닥에 대피통로를 만들고 평시에는 덮개로 덮여 있으며, 필요시에만 덮개를 제거한 뒤 대피통로에 구비되어 있는 접이식 사다리를 펼쳐 사다리를 통해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대피통로와 접이식 사다리의 경우 수동으로 작동되는 기계식이기 때문에 상층에서 쉽게 개방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호기심이 높은 아이들이 손쉽게 개방할 수 있는 문제로 이웃 간에 사생활 침해로 인한 분쟁을 일으킬 소지가 있었다.
또한, 접이식 사다리의 경우 많은 기어, 링크 및 피벗으로 결합된 구조이므로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잘 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코니의 바닥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중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여 신속하게 대피로가 개방되게 하는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발코니에 구비된 대피로를 통해 상층에서 하층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이웃 간에 사생활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는 건축물의 상하층이 연결되도록 발코니 바닥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측면으로 돌출되는 멈춤구가 형성되며 상기 멈춤구의 상부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된 레일; 상기 관통구멍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대피로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집수공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배수공이 구비된 배수장치; 상기 배수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장치의 대피로와 연결되는 통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통공을 향해 입출되는 스위치 봉이 구비된 솔레노이드 스위치로 구성된 잠금장치; 상기 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기 잠금장치의 돌출되는 스위치 봉에 걸리도록 멈춤홈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장치에 고정되어 배수장치의 대피로를 밀폐시키며 상부에는 상기 레일을 감싸는 안내관이 구비되며 상기 멈춤홈에는 상기 레일과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베어링이 구비된 대피판; 건축물의 각 층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 및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신호를 제공받으면 상기 잠금장치가 대피판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피판은 외부 측면이 하부로 확장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대피판과 접하는 면이 상기 대피판의 측면과 대면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피판의 외부 측면 또는 상기 배수장치의 내부 측면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방수층이 구비되고, 상기 대피판의 상부에는 상기 배수장치의 상부로 연장되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의 방수덮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는 발코니의 바닥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중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여 신속하게 대피로가 개방되게 하여 화재시 종래보다 신속하게 안전한 곳으로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부를 통해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만 선택적으로 작동되므로 인해 이웃 간에 사생활 침해에 따른 분쟁 및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코니에 구비된 대피로를 통해 상층에서 하층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가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의 주요 구성품을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가 작동된 것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는 복층으로 구성된 건축물의 발코니(7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발코니(700)에는 관통구멍(710)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구멍(710)은 후술할 대피로(210)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피로(210)와 관통구멍(710)은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으로 제작되거나 원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에서는 관통구멍(710)과 대피로(210)가 원형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발코니(700)의 바닥에 형성되는 관통구멍(710)은 각 층의 발코니(700) 바닥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710)의 내측에는 배수장치(200)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장치(200)는 관통구멍(710) 주변의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한편, 화재시 상층 또는 하층의 발코니(700)로 연결되는 대피로(210)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대피로(210)의 주변에는 원형의 배수로(230)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배수로(230)는 상부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배수로(230)로 유입되는 오수에 섞여 있는 이물질이 싸이면 주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배수로(230)의 개방된 상부에는 배수로(230)로 유입되면 오수의 흐름을 방해할 정도의 크기를 가진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집수공(221)이 형성된 오수덮개(220)가 덮여진다.
이와 같이 중앙에 대피로(210)가 형성되며 관통구멍(710)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오수가 대피로(210)를 통해 아래층의 발코니(7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배수장치(200)는 배수로(230)로 유입된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공(240)이 더 형성된다.
상기에서 배수공(240)은 기존의 발코니(700)에 설치된 배수구(720)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수장치(200)로 유입된 오수는 오수덮개(220)에 의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배수로(230)로 유입된 오수는 배수공(240)을 통해 기존에 설치되어 사용되던 배수구(720)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관통구멍(710)과 배수장치(200)의 대피로(210)에는 레일(100)이 구비된다.
상기 레일(100)은 발코니(700)의 관통구멍(710)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발코니(700)의 벽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지대(730)에 고정된다. 이때, 레일(100)이 고정되는 지지대(730)의 단부에는 측면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멈춤구(110)가 설치되고, 상기 멈춤구(110)의 상부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완충부재(12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배수장치(200)의 하부에는 잠금장치(300)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장치(300)는 배수장치(200)의 중앙에 형성된 대피로(210)와 연결되는 통공(311)이 형성된 링 형상의 케이스(310)와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위치 봉(321)이 구비된 솔레노이드 스위치(320)로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320)는 케이스(310)의 내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솔레노이드 스위치(320)의 스위치 봉(321)은 상기 케이스(310)의 통공(311)을 향해 입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배수장치(200)의 대피로(210)에는 대피판(400)이 구비된다. 상기 대피판(400)은 화재가 발생되지 않았을 때에는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대피로(2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는 구조로서, 평면의 형성은 대피로(210)의 형성과 동일한 원형이며, 측면에는 상기 잠금장치(300)의 스위치 봉(321)이 삽입되는 멈춤홈(420)이 형성된다.
이러한 대피판(400)은 레일(100)을 따라 발코니(700) 하부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중앙에는 레일(100)이 삽입되는 가이드홀(410)이 형성되고, 가이드홀(410)의 주변에는 원형의 안치홈(450)이 형성된다.
상기 안치홈(450)에는 레일(10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가이드관(430)의 하부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관(430)은 원형의 중공 기둥으로서, 탈출시 파지하는 봉으로 사용되는 한편, 대피판(400)이 배수장치(200) 하부로 원활히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대피판(400)에는 베어링(411)이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베어링(411)은 대피판(400)과 레일(100)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켜 대피판(400)이 레일(100)을 따라 중력에 의해 원활히 하강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배수장치(200)와 대피판(400)의 측면은 경사면(201,401)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대피판(400)은 외부 측면이 하부로 확장되는 경사면(401)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수장치(200)의 내부 측면인 대피로(210)의 측면도 상기 대피판(400)의 측면과 대면될 수 있도록 하부로 확장되는 경사면(201)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대피판(400)과 배수장치(200)의 대피로(210)의 측면을 하광/상협의 사다리꼴 형성으로 제작하는 것은 경사면(201,401)을 통해 수밀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대피판(400)이 배수장치(200)의 대피로(210)로부터 분리되는 순간 양측의 대면되는 면에서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 대피판(400)과 배수장치(200)의 대피로(210)에 형성된 경사면(201,401)에 수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으로는 방수층(480)을 형성시키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상기에서 방수층(480)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수층(480)은 잠금장치(300)에 의해 대피판(400)이 대피로(210)의 내부에 고정되는 순간 대피판(400)과 대피로(210) 사이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되는 것으로서, 가압되면서 대피판(400)과 대피로(210)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킨다.
상기에 더불어 대피판(400)의 상부에는 방수덮개(46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방수덮개(460)는 대피판(400)과 배수장치(200)의 연결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대피판(400)의 상부에 얇은 원형판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방수덮개(460)는 대피판(400)과 배수장치(200)의 연결면 사이로 오수가 유입되지 못하게 하는 한편, 배수장치(200)의 배수로(2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 대피판(400)의 상부와 배수장치(200)의 상부에 걸쳐지면서 설치되는 방수덮개(460)는 연질이면서 얇은 연질의 합성수지이므로 대피판(400)이 하강할 때 대피판(400)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변형되면서 대피로(210)의 내부로 유입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대피판(400)은 배수장치(200)의 대피로(21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대피판(400)의 측면에 형성된 멈춤홈(420)에 잠금장치(300)의 스위치 봉(321)이 돌출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가능하고, 대피판(400)이 대피로(2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은 외부에 구비되는 제어부(600)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에서 제어부(600)는 건축물의 방재실이나 관리실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건축물의 각 층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감지센서(500)에서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신호로 알려오면 상기 화재신호를 인지하여 잠금장치(300)에 해제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에서 제어부(600)는 싸이렌과 경광등과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싸이렌과 경광등을 통해 관리사무소(801) 및 소방서(802)에 해당 건축물의 화재를 통보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는 건축물의 각 층에 구비된 화재감지센서(500)가 화재를 감지했을 때에만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대피판(400)을 인위적으로 대피로(210)로부터 분리시킬 수는 없도록 구성된다. 즉, 화재가 발생되어 화재감지센서(500)에서 화재를 감지한 뒤 해당 층에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신호를 제어부(600)로 전달하면 제어부(600)는 상기 화재신호를 바탕으로 소방서(802)와 관리사무소(01)에 해당 층의 화재를 알리는 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잠금장치(300)에 해제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600)에서 해제신호를 수신한 잠금장치(300)는 솔레이노이드 스위치 내부로 스위치 봉(321)이 삽입된다. 이때 스위치 봉(321)이 솔레노이드 스위치(320) 내부로 삽입되면 잠금장치(300)의 통공(311) 내부의 모든 스위치 봉(321)은 통공(311)에서 제거된다.
이와 같이 통공(311)에서 스위치 봉(321)이 제거되면 대피판(400)은 지지되는 스위치 봉(321)이 없어지게 되므로 레일(100)을 따라 아래층 발코니(700)로 자중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아래층 레일(100)의 멈춤구(110)에 고정된다. 이때, 대피판(400)은 멈춤구(110)의 상부에 구비된 완충부재(120)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므로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대피판(400)은 내부에 구비된 베어링(411)과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관(430)에 의해 신속하게 하부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대피판(400)이 분리되어 아래층의 발코니(700)로 이동하게 되면, 대피판(400)이 분리된 발코니(700)의 바닥에는 대피로(210)가 형성되고, 분리된 대피판(400)은 아래층 발코니(700)의 중간정도의 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된 층의 사람은 상기 분리된 대피판(400)을 발로 밟고 내려선 다음 아래층의 발코니(700) 바닥으로 내려서서 대피하게 되고, 복수의 층에 연속해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대에는 순차적으로 대피로(210)를 통해 아래층으로 내려가 있는 대피판(400)을 밟고 아래층 발코니(700)로 이동하고, 다음 층으로도 동일한 방법으로 이동하면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고층 건축물의 특정 층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도 사람들은 신속하게 안정한 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달리 제어부(600)에서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대피판(400)을 대피로(2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도록 구성되어 상하층 간의 발코니(700)가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레일 110: 멈춤구
120: 완충부재 200: 배수장치
201: 경사면 210: 대피로
220:오수덮개 230: 배수로
240: 배수공 300: 잠금장치
310: 케이스 311: 통공
320: 솔레노이드 스위치 321: 스위치 봉
400: 대피판 401: 경사면
410: 가이드홀 411: 베어링
420: 멈춤홈 430: 가이드관
450: 안치홈 460: 방수덮개
480: 방수층 500: 화재감지센서
600: 제어부 710: 관통구멍

Claims (2)

  1. 건축물의 상하층이 연결되도록 발코니(700) 바닥에 형성된 관통구멍(710)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측면으로 돌출되는 멈춤구(110)가 형성되며 상기 멈춤구(110)의 상부에는 완충부재(120)가 구비된 레일(100);
    상기 관통구멍(710)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대피로(210)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집수공(221)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배수공(240)이 구비된 배수장치(200);
    상기 배수장치(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장치(200)의 대피로(210)와 연결되는 통공(311)이 형성된 케이스(310)와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310)의 통공(311)을 향해 입출되는 스위치 봉(321)이 구비된 솔레노이드 스위치(320)로 구성된 잠금장치(300);
    상기 레일(100)이 삽입되는 가이드홀(410)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기 잠금장치(300)의 돌출되는 스위치 봉(321)에 걸리도록 멈춤홈(420)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장치(300)에 고정되어 배수장치(200)의 대피로(210)를 밀폐시키며 상부에는 상기 레일(100)을 감싸는 가이드관(430)이 구비되며 상기 멈춤홈(420)에는 상기 레일(100)과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베어링(411)이 구비된 대피판(400);
    건축물 각 층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500); 및
    상기 화재감지센서(500)로부터 화재신호를 제공받으면 상기 잠금장치(300)가 대피판(40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판(400)은 외부 측면이 하부로 확장되는 경사면(40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장치(200)는 상기 대피판(400)과 접하는 면이 상기 대피판(400)의 측면과 대면되는 경사면(20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피판(400)의 외부 측면 또는 상기 배수장치(200)의 내부 측면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방수층(480)이 구비되고, 상기 대피판(400)의 상부에는 상기 배수장치(200)의 상부로 연장되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의 방수덮개(4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KR1020100013096A 2010-02-12 2010-02-12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KR100952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96A KR100952387B1 (ko) 2010-02-12 2010-02-12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096A KR100952387B1 (ko) 2010-02-12 2010-02-12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2387B1 true KR100952387B1 (ko) 2010-04-14

Family

ID=42219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096A KR100952387B1 (ko) 2010-02-12 2010-02-12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38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371B1 (ko) * 2010-09-02 2011-04-11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비상대피용 발코니 구조
WO2011162451A1 (ko) * 2010-06-25 2011-12-29 주식회사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피난용 이동장치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KR200460940Y1 (ko) 2010-10-11 2012-06-12 강철 배수장치를 구비한 바닥매립형 피난구
KR200466890Y1 (ko) 2011-12-19 2013-05-10 강철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
KR200466885Y1 (ko) 2011-11-22 2013-05-13 강철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
KR200470554Y1 (ko) * 2011-05-04 2013-12-24 (주)반초기업 층간 방수 기능을 갖는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 구조
KR101656041B1 (ko) 2016-05-20 2016-09-09 (주)한동엔지니어링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
KR20220020582A (ko) * 2020-08-12 2022-02-21 이국빈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909Y1 (ko) * 1992-05-07 1994-06-15 류왕수 공동 주택 비상 탈출구
JP2003250918A (ja) 2001-12-25 2003-09-09 Fumitane Ichikawa 緊急避難装置
KR20040005723A (ko) * 2003-11-24 2004-01-16 남주희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20090067926A (ko) * 2007-12-21 2009-06-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베란다에 마련된 비상탈출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909Y1 (ko) * 1992-05-07 1994-06-15 류왕수 공동 주택 비상 탈출구
JP2003250918A (ja) 2001-12-25 2003-09-09 Fumitane Ichikawa 緊急避難装置
KR20040005723A (ko) * 2003-11-24 2004-01-16 남주희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20090067926A (ko) * 2007-12-21 2009-06-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베란다에 마련된 비상탈출시설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62451A1 (ko) * 2010-06-25 2011-12-29 주식회사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피난용 이동장치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KR101027371B1 (ko) * 2010-09-02 2011-04-11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비상대피용 발코니 구조
KR200460940Y1 (ko) 2010-10-11 2012-06-12 강철 배수장치를 구비한 바닥매립형 피난구
KR200470554Y1 (ko) * 2011-05-04 2013-12-24 (주)반초기업 층간 방수 기능을 갖는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 구조
KR200466885Y1 (ko) 2011-11-22 2013-05-13 강철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
KR200466890Y1 (ko) 2011-12-19 2013-05-10 강철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
KR101656041B1 (ko) 2016-05-20 2016-09-09 (주)한동엔지니어링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
KR20220020582A (ko) * 2020-08-12 2022-02-21 이국빈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
KR102471462B1 (ko) * 2020-08-12 2022-11-28 이국빈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387B1 (ko)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US9108072B2 (en) Building fire escape system and refuge chamber
KR200450338Y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2021931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US11859404B2 (en) Fire resistant shelter
KR102202565B1 (ko) 내진구조를 갖는 소방용 대피장치
CN1970114B (zh) 一种楼宇走火救生方法及其设施
JP6593818B1 (ja) 防災扉
WO2003043699A1 (fr) Dispositif de securite permettant l'evacuation d'un batiment
KR101317330B1 (ko) 비상탈출장치
RU238198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при пожарах в высотных зданиях и сооружениях
JP2013234556A (ja) 津波・洪水など非常事態時の避難用シェルター
JP2013076257A (ja) 避難シェルタ
KR101093039B1 (ko) 건축물의 비상대피용 발코니 구조
KR102105877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소방용 베란다 완강기
JP6402296B1 (ja) 津波、洪水、高潮対策用の避難部屋付き建築建造物
KR20110083820A (ko) 화재 대피용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101656041B1 (ko) 화재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장치
JP6368892B1 (ja) 津波、洪水、高潮対策用の避難部屋付き建築建造物
RU88274U1 (ru) Пожарно-спас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KR20020070028A (ko) 건물용 비상탈출기
JP2005213996A (ja) 避難梯子装置
KR100529859B1 (ko) 아파트 화재시의 탈출장치
JP2014020066A (ja) 津波対策避難設備
CN204522038U (zh) 可伸缩箱式高层建筑逃生救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