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885Y1 -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885Y1
KR200466885Y1 KR2020110010327U KR20110010327U KR200466885Y1 KR 200466885 Y1 KR200466885 Y1 KR 200466885Y1 KR 2020110010327 U KR2020110010327 U KR 2020110010327U KR 20110010327 U KR20110010327 U KR 20110010327U KR 200466885 Y1 KR200466885 Y1 KR 2004668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rain
floor
evacuation port
fram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3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
Original Assignee
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철 filed Critical 강철
Priority to KR20201100103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8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8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8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피난구를 바닥에 매립할 때, 경계대를 구비한 프레임이 마감의 타일면과 수평으로 설치할 때, 청소수가 플랜지부의 요홈으로 유입되면 배수가 가능하도록 제안된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피난구의 프레임이 경계대를 구비하고 타일면과 수평으로하고 바닥에 매설됨에 있어서, 플랜지부(17)에 구비된 배수구(4)가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6)에 이어져서 배수트랩(5)과 통하도록 구성되는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for Emergency Exit}
고층형 주거건물이나 상업건물에서 화재시 스스로 대피하는 피난구에 관한 것이다.
건축법 시행령으로 방화구역 의무설치에 의한 대피공간 설치 또는 국토해양부령에 의한 하향식피난구를 설치하여 비상시 스스로 대피하여 인명을 보호하도록 시행하고 있다.
여기서 피난구는 도 3과 같이 건물의 발코니나 다용도실의 바닥슬래브에 사람이 통과하는 수납공간을 가진 상자와 같은 프레임(2)을 바닥슬래브가 관통하도록 매설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덮는 덮개(11), 프레임(2)의 하부를 막는 하뚜껑(12)을 구비한 후, 프레임(2)의 높이 폭에 일단이 고정하고 포개어 작게 접어 수용된 후, 하뚜껑(12)이 개방되면 하측으로 펼쳐져서 신장되는 사다리(13)가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피난구(1)가 바닥에 매설되면 통상으로 도 4와 같이 마감공정인 타일(15)의 마감면이 프레임(2)의 상부에서 하향된 날개부(16) 폭 임의 위치에서 맞대어 시공되면, 결과적으로 덮개(11)와 덮개(11)를 지지하는 받침대(7) 날개부(16)와 플랜지부(17)가 바닥면에 돌출하는 돌출부가 발생하여, 생활하고 있는 주거민이 걸려 넘어질 수 있는 등의 안전을 해칠수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인은 도 5와 같이 피난구가 설치될때 프레임(2) 상부와 덮개가 타일(15)면에 돌출하지 않고, 수평을 가지도록 바닥에 매설되고, 타일(15) 등의 건축마감재와 경계를 가지도록 프레임(2) 상부의 구조를 덮개가 닫힐때 지지되는 받침대(7)에서 이어져 외측이고 수평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17)의 끝단에서 상향되어 구비된 경계대(3) 구성의 프레임을 실용신안(출원번호:20-2010-0011128)으로 제안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 프레임 상부의 경계대 구조의 하향식 피난구가 설치되어있는 바닥에서 물청소 등을 하면 청소수가 플랜지부의 요홈으로 유입하여 머물게 되며, 물의 유입량이 넘치면 그중 일부가 피난구의 내측으로 스며들어 하측으로 낙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피난구를 바닥에 매립할 때 경계대를 구비한 프레임이 마감의 타일면과 수평으로 설치할 때 청소수가 플랜지부의 요홈으로 유입되면 배수가 가능하도록 제안된 프레임 구조이다.
경계대 또는 플랜지부 임의 위치에 배수구를 구비하고, 바닥에 형성된 배수트랩에 이어진 배수관에 연결시켜 플랜지부의 유입된 물을 배출하도록 해결하였다.
프레임의 플랜지부에 유입된 청소수를 외부로 즉시 배출시켜, 하향식 피난구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피난구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배수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피난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피난구를 바닥에 매립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피난구를 바닥에 매립된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고안의 피난구의 프레임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프레임(2)의 상부가 받침대(7)에서 덮개(11)를 닫고 열수 있는 간격을 확보하는 평활한 면체의 플랜지부(17) 외측에서 빙둘러 상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경계대(3)를 구비하는데, 상기 경계대(3)는 높이가 덮개(11)가 닫혔을때,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미장재를 포함한 덮개(11)의 상부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형성이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프레임(2)의 플랜지부(17) 또는 경계대(3)의 임의 위치에, 바람직하게는 배수트랩과 가까운 위치의 장소에서 몸체를 관통한 배수구(4)가 형성하게 된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배수구를 구비한 프레임의 피난구가 바닥에 설치되어 타일면과 일치하게 설치한 도면으로,
이때 바닥(14)에 설치된 프레임(2)은 프레임 상부에 구비된 배수구(4)를 통하여 어느 위치의 배수트랩(5)까지 이어지는 관체의 배수관(6)으로 배관되던가, 또는 바닥에 건축되는 요홈형태의 배수로(미도시)까지 배수관(6)이 배관된다.
이에따라 바닥(14)을 청소할 때 청소수가 경계대(3)를 넘어 요홈의 플랜지부(17)에 유입되면, 배수구(4)를 통해 배수관(6)으로 흘러서 배수트랩(5)으로 또는 배수로로 흘러 배수가 된다.
또한, 상기에서 배수구(4)에는 배수시 이물질들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투입 방지망이 결합하여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배수트랩(5)에서 올라오는 냄새를 제거하는 역류방지기능 등 공지된 기술들을 필요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배수관(6)이 배수트랩(5)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적용할 수 있고, 상기의 플랜지부(17) 배수구(4)는 배관되는 배수관(6)의 시공 용이성에 따라 경계대(3)의 측면을 관통한 배수구(4)(미도시)로 형성하여 이와같은 배수구(4)에 배수관(6)을 배관하고 배수트랩(5)에 접속하기도 한다.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1:피난구 2:프레임 3:경계대 4: 배수구 5: 배수트랩
6: 배수관 7:받침대 11:덮개 12:하뚜껑 13:사다리
14:바닥 15:타일 16:날개부 17:플랜지부

Claims (1)

  1. 피난구의 프레임 상부 플랜지부 끝단에서 상향으로 빙둘러 경계대를 구비하고 타일면과 수평으로하고 바닥에 매설됨에 있어서,
    플랜지부(17)에 구비된 배수구(4)가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6)에 이어져서 배수트랩(5)과 통하도록 구성하는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
KR2020110010327U 2011-11-22 2011-11-22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 KR2004668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327U KR200466885Y1 (ko) 2011-11-22 2011-11-22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327U KR200466885Y1 (ko) 2011-11-22 2011-11-22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885Y1 true KR200466885Y1 (ko) 2013-05-13

Family

ID=5367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327U KR200466885Y1 (ko) 2011-11-22 2011-11-22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8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688B1 (ko) 2014-09-02 2015-04-13 주식회사 사람과안전 타일 마감형 하향식 피난사다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387B1 (ko) 2010-02-12 2010-04-14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387B1 (ko) 2010-02-12 2010-04-14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688B1 (ko) 2014-09-02 2015-04-13 주식회사 사람과안전 타일 마감형 하향식 피난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466B1 (ko) 건축구조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JP2015021267A (ja) 建築物の排水構造
KR100953837B1 (ko) 배수트랩
KR101565457B1 (ko) 바닥면 누수 유도박스
KR200466885Y1 (ko)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
JP6768436B2 (ja) 排水チャンバー
KR100720969B1 (ko)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KR101576528B1 (ko) 베란다 우수관용 배수장치
KR101415952B1 (ko) 배수트랩
KR200466890Y1 (ko) 배수장치를 구비한 피난구
CN204919762U (zh) 一种建筑卫生间、厨房、阳台用同层排水接头
JPH08193393A (ja) バルコニーにおける排水設備構造
KR101335632B1 (ko) 선박용 화장실 유닛
KR200470554Y1 (ko) 층간 방수 기능을 갖는 하향식 피난구 및 그 설치 구조
JP5430102B2 (ja) 排水構造、シャワー室の排水構造、洗濯機用防水パンの排水構造
KR101646902B1 (ko)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KR101170813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100712963B1 (ko) 배수관용 소음 및 역유입 방지장치
KR101896456B1 (ko) 리모델링용 배수커버
JP3525794B2 (ja) 浴室の排水構造
JP2001026959A (ja) 水封式トラップ
TWI589756B (zh) Multi-functional convergence set of drainage
KR20170003206U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EP2084338A1 (en) Floor drain with odour seal
JP4506274B2 (ja) 浴室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